[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43501A - 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 Google Patents

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501A
KR20160043501A KR1020150114005A KR20150114005A KR20160043501A KR 20160043501 A KR20160043501 A KR 20160043501A KR 1020150114005 A KR1020150114005 A KR 1020150114005A KR 20150114005 A KR20150114005 A KR 20150114005A KR 20160043501 A KR20160043501 A KR 2016004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ar body
reinforcing
elevator
coll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4021B1 (en
Inventor
남순우
Original Assignee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Publication of KR2016004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5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02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하부에 보강바와 보강바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트 피트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콘크리트 작업에 의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지지판에 보강바가 구비되어 콘크리트와 같은 건물 바닥층 뿐만 아니라 연약한 바닥층 상부에 설치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a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vertical wall, and can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to eliminate the installation of a concrete pouring formwor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by the concrete work and the reinforcement bar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the bottom floor such as concrete but also on the soft bottom floor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under- Lt; RTI ID = 0.0 > elevator < / RTI >

Description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집수정 또는 엘이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에 보강바를 구비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트 피트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십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콘크리트 작업에 의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지지판에 보강바가 구비되어 콘크리트와 같은 건물 바닥층 뿐만 아니라 연약한 바닥층 상부에 설치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sub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sub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on a supporting plate for supporting a vertical wall,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due to concrete work by omitting the concrete pouring for concrete pouring, and it is equipped with a reinforcing bar on the support plate so that it is installed not only on the bottom floor such as concrete but also on the soft bottom floor, To a coarse or elevator foot sub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foot substructure.

일반적으로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벽체로 형성되며, 특히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부에는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하므로 엘리베이터를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레벨(최하층의 바닥레벨)보다 약 1.5m ~ 2.2m까지 하부로 더 내려 가야하는 구조로 설계된다.Generally,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is formed of a wall mad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since the elevator pit has a space for checking the elevator at the lower part thereof, the elevator is required to have a height of about 1.5 m to 2.2m.

그리고 최근 건축물의 규모가 커지면서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는 횡력을 저항하는 전단 벽체의 역할을 하며 각층의 하중들이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의 벽체를 통해서 하부로 전달되는 구조로 설계된다.Recently, as the size of the building increases,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wall acts as a shear wall to resist the lateral force, and the load of each floor is designed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all of the elevator to the bottom.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강재 구조의 집수정이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 구조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직 판재 형의 리브가 다수 결합됨으로써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structure, there has been conventionally provided a housing structure of a stee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ibs or an elevator foot substructure. However, in this structure,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ransport.

또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많은 철근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증가되고, 공사 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 concrete structure through a form is used to form an elevator pit structure or an elevator pit structure, a large number of rebar and concrete works increase the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특허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09385호(2009. 07. 24.)(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09385 (2009. 07. 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하부에 보강바와 보강바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를 구비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rtical wall supporting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a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a vertical wall,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pit sub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콘크리트 작업에 의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which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due to the concrete work because it is possible to dispense with the mold installation for concrete pouring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에 보강바와 지지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지지판의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which can secure a supporting strength of a supporting plate by providing a supporting plate with a reinforcing bar and a supporting frame.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판에 보강바와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콘크리트와 같은 건물 바닥층 뿐만 아니라 연약한 바닥층 상부에 설치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inforcing bar and a supporting frame on a supporting plate to provide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substructure which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a building floor such as concrete but also on a soft bottom floor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substructure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운반과 현장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which can be mass-produced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assembled on-sit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판의 하부에 보강바와 지지 프레임의 이중 보강 구조로 인하여 건물 바닥층을 얇게 구성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bottom fixing structure for a building or an elevator foot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a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ng a thin bottom layer of a building due to a double reinforcing structure of a reinforcing bar and a supporting frame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ing plate, .

또한, 본 발명은 제작 공장에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고, 설치 현장에서 지지 프레임에 보강바를 적정한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보강바의 간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 state where assembling is completed in a manufacturing factory,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reinforcing bars in a proper number in the support frame at the installation sit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it infra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llecting or elevator foot substructure,

상기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지지판(100)과;A flat plate type support plate 1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상기 지지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외면에는 소정 간격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각도가 커지도록 양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V형상 보강리브(210)가 구비된 수직 벽체(200)와;A plurality of V-shaped reinforcing ribs 210 protruding upward along the rim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so as to have a central angle larg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 vertical wall 200;

상기 지지판(100)의 하부에 밀착되어 지지판(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바 몸체(310)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바 몸체(3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제(320)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바 몸체(310)의 양측단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보강바 몸체(3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된 보강판(330)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바 몸체(310)와 보강판(330) 사이에 프레임 삽입홈(340)이 구비된 보강바(300)와;A reinforcing bar body 310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supports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filler 320 filled in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and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may include a reinforcing bar body 310, A reinforcing bar (300) having a frame insertion groove (340) between the plates (330);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삽입홈 삽입되어 다수의 보강바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upport frame (400) connect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nserted into the frame insertion groove to suppor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그리고 상기 보강바(300)의 보강판(330)에는 고정볼트(500)가 삽입되도록 구비된 볼트 삽입공(3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inforcing plate 330 of the reinforcing bar 300 includes a bolt insertion hole 331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500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은 수직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하부에 보강바와 보강바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트 피트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bove-described collecting or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a reinforc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ing plate for supporting a vertical wall, It is possible to omit the above-mentioned effect.

그리고 본 발명은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콘크리트 작업에 의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the mold installation for concrete pouring in the elevator pit sub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by the concrete work.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의 하부에 보강바와 보강바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지지판의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support strength of the support plate can be secured by providing the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reinforcement bar and the reinforcement bar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판의 하부에 보강바와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콘크리트와 같은 건물 바닥층 뿐만 아니라 연약한 바닥층 상부에 설치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inforcing bar and a supporting frame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plate, so that the reinforcing bar and the supporting frame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such as concrete but also on the bottom of the floor.

또한, 본 발명은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운반과 현장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ss production because of the simple structure of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substructure, and easy transportation and on-site assembly,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판의 하부에 보강바와 지지 프레임의 이중 보강 구조로 인하여 건물 바닥층을 얇게 구성하여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by making the building bottom layer thin by the doubl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supporting frame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plate, and shortening the working air.

또한, 본 발명은 제작 공장에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고, 설치 현장에서 지지 프레임에 보강바를 적정한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보강바의 간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ransferring the assembly to a site in a state where the assembly is completed, providing a proper number of reinforcement bars on the support frame at the installation site, and facilitating adjustment of the spacing positions of the reinforcement ba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수직 벽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서 보강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정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측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of a covert or elevator foot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wall is joined in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ement bar is engaged in a covert or elevator foot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ositive section of a collecting or elevator foot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fo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llecting or elevator foot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levator foot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중 미설명부호 500은 고정볼트이고, 600은 건물 바닥층이며, 700은 콘크리트층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500 denotes a fixing bolt, 600 denotes a building floor, and 700 denotes a concrete layer.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지지판(10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벽체(200)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외면에는 소정 간격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각도가 커지도록 양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V형상 보강리브(210)가 구비된다.1 to 3, the elevator foot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at plate-like support plate 1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a collecting or elevator pit, A plurality of V-shaped reinforcing ribs 210 projecting obliquely to both sides so as to increase the central angl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200.

이때 상기 수직 벽체(200)의 보강리브(210)는 수직 벽체(100)와 일체로 구비하거나, 별도의 보강리브(210)를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수직 벽체(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rib 210 of the vertical wall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ertical wall 100 or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wall 200 by welding or the like .

그리고 보강바(300)는 지지판(100)의 하부에 상단부가 밀착되는 보강바 몸체(310)의 내부에는 충진제(320)가 충진된다.The reinforcing bar 300 is filled with a filler 320 inside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where the upper e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또한, 상기 보강바 몸체(310)의 양측단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보강바 몸체(3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보강판(330)이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보강바 몸체(310)와 보강판(330) 사이에는 프레임 삽입홈(340)이 형성된다.The reinforcing bar body 310 and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may include a reinforcing bar body 310, A frame insertion groove 340 is formed between the plates 330.

그리고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연결된 지지 프레임(400)은 상기 보강바(300)의 프레임 삽입홈(340) 양측 프레임이 삽입되어 다수의 보강바(300)를 지지한다.The support frame 400 connect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supports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bars 300 by inserting frames on both sides of the frame insertion groove 340 of the reinforcement bar 300.

이때 상기 보강바(300)의 양측 보강판(330)은 지지 프레임(400)이 프레임 삽입홈(34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보강바 몸체(310)에서 지지 프레임(400) 두께만큼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330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300 are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by a thickness of the supporting frame 400 so that the supporting frame 4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rame insertion groove 340,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projection.

그리고 상기 수직 벽체(200)의 하단부 테두리는 지지판(100)의 상부 테두리에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dge of the vertical wall 200 may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support plate 100 by weld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보강바(3000의 보강바 몸체(310)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제(320)는 시멘트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량이 최소가 되도록 팽창제를 일부 첨가한 모르타르인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진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ler 320 filled in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of the reinforcing bar 3000 is filled with a non-shrinkable mortar which is a mortar added with a part of a swelling agent so that the amount of shrinkage occurring during curing of the cement is minimized .

상기와 같이 외부에서 수직 벽체(200)와 보강리브(2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강바(300)와 지지 프레임(400)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수직 벽체(200)가 외부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ad applied to the vertical wall 200 and the reinforcing rib 210 from the outside can be dispersed by the reinforcing bar 300 and the support frame 4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vertical wall 200 can be twis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such as warping or bend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바닥층(600)의 상부에 다수의 보강바(300)의 보강바 몸체(310) 하단부가 밀착되도록 배열하여 설치하고, 다수가 배열된 보강바 몸체(310) 양측단에 구비된 프레임 삽입홈(340)에 지지 프레임(400)을 결합한 후 수직 벽체(200)의 주변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700)을 형성한다.6, the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300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uilding floor layer 600, as shown in FIG. 6, The concrete frame 700 is formed by placing the concrete around the vertical wall 200 after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400 to the frame insertion grooves 34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rranged reinforcing bar body 310.

이때 상기 수직 벽체(200)의 외면에는 소정 간격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각도가 커지도록 양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V형상 보강리브(210)가 구비되어 외부 하중에 대한 수직 벽체(100)의 지지강도를 높이면서 콘크리트층(500)을 타설할 때 콘크리트와 수직 벽체(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층(500)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수직 벽체(2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V-shaped reinforcing ribs 21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200 so as to be inclined toward both sides of the V-shaped reinforcing ribs 2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vertical wall 200 when the concrete layer 500 is laid while increasing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vertical wall 200. When the concrete of the concrete layer 500 is laid,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그리고 보강바(300)의 보강바 몸체(310)와 보강바 몸체(310) 사이 공간에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와 보강바(300)의 결합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Also, the concrete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of the reinforcing bar 300 and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reinforcing bar 300.

또한, 상기 다수의 보강바(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바 몸체(310)의 양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다수개를 배열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300 may b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both side surfaces of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다수의 보강바(300)가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하면 지지판(100)과 수직 벽체(200)의 지지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300 ar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upporting plate 100 and the vertical wall body 200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바(300)의 양측단 보강판(330)에 구비된 볼트 삽입공(331)에 고정볼트(500)를 삽입하여 지지 프레임(400)에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보강바(300)를 지지 프레임(400)과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3, a fixing bolt 500 is inserted into a bolt insertion hole 331 provided in both side reinforcing plates 330 of the reinforcing bar 300 to be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400, The reinforcing bar 30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400 so as not to separate from the support frame 40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은 제작 공장에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현장으로 이송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는 지지판(100)과 수직 벽체(200), 다수의 보강바(300)와 지지 프레임(400)을 설치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The bottom part of the elevator pit or the bottom part of the elevator p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ported to the site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in a manufacturing factory or can be installed on the supporting plate 100, the vertical wall part 200, The frame 400 may be assembled and assembled immediately in the installation site.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장 및 설치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보강바(300)를 적정한 수량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보강바 몸체(310) 양측단의 프레임 삽입홈(340)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400)을 따라 보강바 몸체(310)를 이송시켜 보강바 몸체(310)와 다른 보강바 몸체(310) 사이의 간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body 310 can be assembled in the factory and the installation site as described above so that a sufficient number of the reinforcing bars 300 can be installed and the support frame 400 coupled to the frame insertion groove 340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can be moved along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o easily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and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

100 : 지지판
200 : 수직 벽체 210 : 보강리브
300 : 보강바
310 : 보강바 몸체 320 : 충진제
330 : 보강판 331 : 볼트 삽입공
340 : 프레임 삽입홈
400 : 지지 프레임
100: Support plate
200: vertical wall 210: reinforcing rib
300: Reinforcing bar
310: Reinforcing bar body 320: Filler
330: reinforcing plate 331: bolt insertion hole
340: frame insertion groove
400: support frame

Claims (2)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외면에는 소정 간격 좌우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각도가 커지도록 양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V형상 보강리브(210)가 구비된 수직 벽체(200)와;
상기 지지판(100)의 하부에 밀착되어 지지판(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바 몸체(310)가 구비되며, 상기 보강바 몸체(3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제(320)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바 몸체(310)의 양측단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보강바 몸체(31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된 보강판(330)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바 몸체(310)와 보강판(330) 사이에 프레임 삽입홈(340)이 구비된 보강바(300)와;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삽입홈(340) 삽입되어 다수의 보강바(30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In a collecting or elevator foot substructure,
A flat plate type support plate 10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or elevator pit;
A plurality of V-shaped reinforcing ribs 210 protruding upward along the rim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so as to have a central angle larg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 vertical wall 200;
A reinforcing bar body 310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and supports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0 is provided with a filler 320 filled in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and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The reinforcing bar body 310 may include a reinforcing bar body 310, A reinforcing bar (300) having a frame insertion groove (340) between the plates (330);
And a support frame (400) connect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nserted into the frame insertion groove (340) to suppor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3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300)의 보강판(330)에는 고정볼트(500)가 삽입되도록 구비된 볼트 삽입공(3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2. The collecting or elevator foo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330) of the reinforcing bar (300) includes a bolt insertion hole (331) for inserting the fixing bolt (500).
KR1020150114005A 2014-10-10 2015-08-12 Structure of bottom of compost Active KR1018240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6999 2014-10-10
KR1020140136999 2014-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501A true KR20160043501A (en) 2016-04-21
KR101824021B1 KR101824021B1 (en) 2018-02-02

Family

ID=5591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005A Active KR101824021B1 (en) 2014-10-10 2015-08-12 Structure of bottom of compo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0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67B1 (en) * 2018-06-29 2019-03-19 길현만 elevator room base concrete bl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073B1 (en) 2021-11-12 2023-06-28 한국도로공사 Grating opening device of the sum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385B1 (en) 2007-04-27 2009-07-24 엄기형 Elevator feet bottom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67B1 (en) * 2018-06-29 2019-03-19 길현만 elevator room base concrete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021B1 (en)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60B1 (en)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KR10155654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sing a double wall Precast Concrete
US10422133B2 (en)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KR101457077B1 (en)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KR101301076B1 (en)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front wall panel and precast back wall panel
KR101765334B1 (en) Construction methods of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its connection part being concealed by coupled ribs and, precast concrete slab used therefor
KR101018411B1 (en) Jo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floor plate for beam deck plate formwork for bone deck plate and deep dance deck deck plate method
KR20170032826A (en) Precast concrete dua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55926B1 (en) Reusable waffle type slab form assembly
KR101386415B1 (en) Floor structure and modular unit of modular buil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123537A (en) Method of constructing mat foundation, tubular formwork and mat foundation structure
KR102621195B1 (en) The Integrated PC double wall structure with improved productivit
KR101216632B1 (en) the method of constructing wall using foam block structure
KR101847827B1 (en) Exterior panel anchorage for building, and outer wall and exterior panel install method with form combined with insulation
KR101027973B1 (en) Foam block structure for wall pouring
KR101482523B1 (en) Nodular Box Girder, and Nodular Box Girde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824021B1 (en) Structure of bottom of compost
KR101753744B1 (en)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of Integrated Pier-Base
KR101747002B1 (en) Structure using reinforced concrete and composite beam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38890B1 (en) Wall system with frame pan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and constructing the wall system
KR102002429B1 (en) Sandwich precast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46336A (en) Sandwich precast concret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81492B1 (en) Wing Wall With Integrated Structural
KR101231779B1 (en) Extended precast concrete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KR200477823Y1 (en) Filler form for concrete building and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