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43412A -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 Google Patents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412A
KR20160043412A KR1020140137768A KR20140137768A KR20160043412A KR 20160043412 A KR20160043412 A KR 20160043412A KR 1020140137768 A KR1020140137768 A KR 1020140137768A KR 20140137768 A KR20140137768 A KR 20140137768A KR 20160043412 A KR20160043412 A KR 2016004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s
power
power module
modular
power conver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이
주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비
Priority to KR102014013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412A/ko
Publication of KR2016004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41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전력 변환기(PCS, Power Conversion System)를 구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는, 도 2와 같이 파워모듈(Power Module)을 구성하여 양방향 전력변환기(PCS) 를 무순단으로 운영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Modular type bi-lateral Power Conversion System}
본 발명은 양방향 전력 변환기 (PCS, Power Conversion System) 를 구성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PCS 시스템은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IGBT 스위치 스택 3개와 정류 부를 전부 연결하여 한 개의 몸체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PCS 용량을 증설하는데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PCS 의 일부가 고장나면 전체를 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수리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만큼 다수의 파워 모듈(Power Module)을 병렬로 연결하여 PCS 용량을 원하는 대로 증설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S 가 고장나면 고장 난 Power Module 만 교체하면 됨으로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또한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드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Power Module 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전체 PCS 는 해당 Power Module 이 속한 상의 불평형과 용량의 감소만 있을 뿐 전체 PCS는 정상운영 할 수 있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파워모듈(Power Module)을 구성하여 양방향 전력변환기(PCS)를 무순단으로 운영하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보인 것과 같이 도2의 파워모듈(Power Module)을 병렬로 연결하여 3상 양방향 PCS 를 구성하고, 이렇게 PCS 를 구성하여 고장이 나면 고장 난 Power Module 만 교체하여 유지보수를 간단히 하고 또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의 Power Module 을 도 3과 같이 연결하고 여기에 추가로 Power Module 을 필요한대로 다수 병렬 연결하여 PCS 의 용량을 증설하고, 이 경우 다수 연결한 Power Module 중 일부가 고장이 나더라도 부하 측에서 보았을 경우 해당 Power Module이 속한 상의 불 평형 및 용량 감소가 있을 뿐 전체 PCS는 정상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의 Power Module 을 필요한대로 3상 이상의 다상 구조로 연결하여 다상 양방향 PCS를 구성하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에 보인 것과 같이 Power Module 을 구성하고 이 Power Module 을 도 3에 보인 것과 같이 3개 병렬로 연결하여 3상 양방향 PCS 를 구성한다. 이렇게 Power Module 을 사용하여 PCS 를 구성 하면 필요한 만큼 다수의 Power Module 을 병렬로 연결하여 PCS 용량을 원하는 대로 증설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S 가 고장나면 고장 난 Power Module 만 교체하면 됨으로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또한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든다
또한, 다수의 Power Module 을 병렬로 연결 하여 사용할 경우 일부 Power Module 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전체 PCS 는 해당 Power Module 이 속한 상의 불평형 과 용량의 감소만 있을 뿐 전체 PCS 는 정상 운영된다.
도 1은 기존 방식의 전력변환기의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파워 모듈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파워모듈 3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양방향 3상 전력변환기를 구성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B, C, 그리고 N을 3상 4선식으로 구성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양방향 전력변환기의 AC 출력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워모듈(Power Module)을 보여준다. Power Module은 충전기 부 (정류기 부)와 DC/AC 변환 부 (인버터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터리를 연결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충전기 부와 DC/AC 변환부의 동작은 기존의 방식과 동일 하다. 충전기부에는 L 과 transformer 가 구비되어 있다. L 은 역률 보상 회로에 필요한 소자이며 Transformer 는 필요에 따라 충전기부를 배터리와 분리하기 위한 S1, S2 스위치를 구동 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S1, S2 와 Transformer 와의 결선은 일반적인 것임으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PFC IC 는 정류기의 역률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2의 DC/AC 인버터 부에서 N 을 구성하는 IGBT 스위치는 생략 할 수도 있다.
DC/AC 변환 부의 동작은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며 drv 는 IGBT 게이트 구동 회로이다. 또한 IGBT 구동회로 drv 를 제어하여 DC/AC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충전부에서는 A, N 으로 들어온 AC 를 충전 부가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며 DC/AC 변환부는 배터리의 출력을 IGBT 로 스위칭하여 A, N 으로 AC 출력을 생성한다. 스위치 S1, S2 를 사용해 배터리가 만 충전되면 충전 부를 분리 시킨다. Power Module 은 충전 부와 DC/AC 변환 부를 동시에 동작 시킬 수가 있으므로 양방향 동작의 전환이 무 순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의 Power Module 3개를 병렬로 연결한 회로를 보여준다. 도 2의 Power Module 을 필요한 만큼 병렬로 연결하면 PCS 의 용량을 마음대로 확장 할 수 있다. 또한 PCS 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Power Module 만 교체하면 됨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다수의 Power Module 을 병렬로 연결 하여 사용할 경우 일부 Power Module 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전체 PCS 는 해당 Power Module 이 속한 상의 불평형 과 용량의 감소만 있을 뿐 전체 PCS 는 정상운영된다.
도4 는 도 3의 A, B, C, N 을 3상 4선 식으로 연결한 회로이다. 도 5는 도3의 회로의 3상 출력 파형을 보여준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4)

  1. 도 2와 같이 파워모듈(Power Module)을 구성하여 양방향 전력변환기(PCS) 를 무순단으로 운영하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2. 도 3에 보인 것과 같이 도2의 파워모듈(Power Module)을 병렬로 연결하여 3상 양방향 PCS 를 구성하고, 이렇게 PCS 를 구성하여 고장이 나면 고장 난 Power Module 만 교체하여 유지보수를 간단히 하고 또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하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3. 도 2의 Power Module 을 도 3과 같이 연결하고 여기에 추가로 Power Module 을 필요한대로 다수 병렬 연결하여 PCS 의 용량을 증설하고, 이 경우 다수 연결한 Power Module 중 일부가 고장이 나더라도 부하 측에서 보았을 경우 해당 Power Module이 속한 상의 불 평형 및 용량 감소가 있을 뿐 전체 PCS는 정상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4. 도 2의 Power Module 을 필요한대로 3상 이상의 다상 구조로 연결하여 다상 양방향 PCS를 구성하는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KR1020140137768A 2014-10-13 2014-10-13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Withdrawn KR20160043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768A KR20160043412A (ko) 2014-10-13 2014-10-13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768A KR20160043412A (ko) 2014-10-13 2014-10-13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412A true KR20160043412A (ko) 2016-04-21

Family

ID=5591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768A Withdrawn KR20160043412A (ko) 2014-10-13 2014-10-13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4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70B1 (ko) 2018-10-05 2020-02-25 주식회사조흥기계 김밥용 햄 세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70B1 (ko) 2018-10-05 2020-02-25 주식회사조흥기계 김밥용 햄 세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6096B1 (en) Ups circuit
EP2833531B1 (en) Bi-directional battery converter and balancer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of a power supply system
US9812949B2 (en) Poly-phase inverter with independent phase control
US8044535B2 (en) Backup power system
US1095818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of operation
JP4669860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16201983A (ja) マルチレベルインバータ
CN104272573A (zh) 模块化的三相在线ups
US20200321799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and methods using interconnected power routing units
JP5556258B2 (ja) 無停電電源装置
WO2018021534A1 (ja) 電力変換装置
US20130176752A1 (en) Adaptive power conversion system
US10326357B1 (en) Adaptive power converter topologies supporting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PFC)
JP6926438B2 (ja) マルチセルコンバータ装置
JP5887501B2 (ja) 系統連系装置
Rao et al. A three phase five-level inverter with fault tolerant and energy balancing capability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JP5362657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4042396A (ja) 自励式電力変換装置
JP2008236993A (ja) 半導体電力変換システム
JP2015156740A (ja) 電力変換装置
JP5734083B2 (ja) 電力変換装置
JP6533016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システム
JP2011101456A (ja) 電力変換装置
JP2016214030A (ja) 電力変換装置
KR20160043412A (ko) 모듈식 양방향 전력 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