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2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0028A KR20160040028A KR1020140133502A KR20140133502A KR20160040028A KR 20160040028 A KR20160040028 A KR 20160040028A KR 1020140133502 A KR1020140133502 A KR 1020140133502A KR 20140133502 A KR20140133502 A KR 20140133502A KR 20160040028 A KR20160040028 A KR 201600400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otion
- amount
- displayed
- cont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좀더 간단한 조작으로 정보량을 변경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태블렛 PC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을 이용한 입력 방법, 마우스를 이용한 입력 방법 및 터치 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법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한 입력 방법만으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가령, 스마트 TV 기술이 발전하고 서비스 제공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UI 화면의 구성은 종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찾거나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고, 버튼을 복수 회 누르는 등 종래의 조작보다 수월하게 컨텐츠를 탐색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에 따라 단순히 뎁스 만을 변경하는 경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뎁스 내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하위 뎁스로 진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드 상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는,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량은,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사이즈 및 컨텐츠의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변경되면, 변경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이즈 및 세부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량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뎁스 구조를 갖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 간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뎁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또한, 상기 뎁스 구조는, 메인 카테고리, 상기 메인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 패드 상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량은,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사이즈 및 컨텐츠의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변경되면, 변경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이즈 및 세부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량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 간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뎁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뎁스는, 메인 카테고리, 상기 메인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는 좀더 간단한 조작으로 정보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뎁스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아웃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뎁스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아웃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모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 온 하였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화, 교육 및 요리 등의 메인 카테고리로 구분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화 카테고리 중에서도 액션, 로맨스, 호러 및 코미디 등의 서브 카테고리로 구분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카테고리를 뎁스로 구분할 수도 있다. 뎁스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카테고리 및 컨텐츠를 제공하고, 메인 카테고리 화면이 선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영화, 교육 및 요리 등으로 구분된 UI 화면뿐만 아니라 영화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일부 정보, 교육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일부 정보 및 요리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일부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 주체의 모션은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손동작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동작 또는 안면을 감지하여 특정 모션 또는 특정 표정 변화에 따른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드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메인 카테고리 화면이 선택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5개를 보여줄 수도 있고, 10개를 보여줄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주체의 모션을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검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 기능, 저장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a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뎁스를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특정 뎁스 외에도 특정 뎁스의 하위 뎁스에 해당되는 정보를 일부 포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화, 요리 및 스포츠 등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화에 대한 하위 뎁스로 액션, 로맨스 등의 정보를, 요리에 대한 하위 뎁스로 디저트, 야식 등의 정보를, 스포츠에 대한 하위 뎁스로 쇼트트랙, 축구 등의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검출부(120)는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한다. 제어 주체는 원격 제어 장치 또는 사용자일 수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손동작 등을 검출할 수도 있다.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 등을 이용하는 경우 검출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을 직접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 자체에 구비된 터치 패드 등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검출부(12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 주체의 손동작 등을 검출하는 경우, 검출부(12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표정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20)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검출된 원격 제어 장치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검출부(120)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130)는, 터치 패드 상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120)는,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량은,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사이즈 및 컨텐츠의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변경되면, 변경된 개수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사이즈 및 세부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량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뎁스 구조를 갖는 화면을 제공하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 간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뎁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뎁스 구조는, 메인 카테고리, 메인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검출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5), 제어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뎁스 정보, 특정 뎁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및 레이아웃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뎁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5)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5)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5)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감지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는 상술한 터치 이외에, 회전, 기울기, 압력, 접근, 그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센서 대신 마그네틱과 자기장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터치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지자기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 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상에 구비된 터치 센서와는 별개로, 후면, 테두리,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는 터치 센서 외에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182)는 제어 주체의 모션을 촬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메인 카테고리는 영화, 교육 및 요리 등일 수 있고, 영화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는 내 영화, 예고편, 인기순, 신작, 추천작, 장르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카테고리에서 영화를 선택하였고, 서브 카테고리에서 추천작을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3a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다섯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각의 컨텐츠는 각각에 대응되는 썸 네일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섯 개의 컨텐츠 중 가장 좌측에 있는 제1 컨텐츠의 썸 네일(310)과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320)만을 설명한다. 나머지 네 개의 컨텐츠에 대하여는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의 썸 네일(310)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섯 개의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시인성을 올리기 위해 썸 네일(31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의 썸 네일(310)을 축소시키고,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320)를 좀더 많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의 썸 네일(3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썸 네일(310)이 아닌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예고편 등을 반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320)는 컨텐츠에 대한 세부 정보일 수 있다.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컨텐츠의 세부 정보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컨텐츠의 세부 정보에 일부 정보만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컨텐츠의 세부 정보로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컨텐츠의 세부 정보에 타이틀 및 컨텐츠 요약 정보만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아무것도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변경되어 제공된 화면이다.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변경되는 정보량으로,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사이즈 및 컨텐츠의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변경되면, 변경된 개수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사이즈 및 세부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따르면, 도 3a와 동일한 뎁스에서 제어부(130)는 열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0)는 다섯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때보다 컨텐츠의 썸 네일을 더 작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330) 역시 다섯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때보다 더 적은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330)는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하되, 폰트 크기를 줄여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b에서 두 개의 컨텐츠는 상대적으로 큰 썸 네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같은 레이아웃은 제조사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썸 네일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c는 도 3b의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정보량이 변경된 화면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도 3c로 바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c에 따르면, 도 3a 및 3b와 동일한 컨텐츠 카테고리에서 제어부(130)는 열여덟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일부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썸 네일을 축소시킬 수도 있으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의 썸 네일에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썸 네일의 크기를 더 축소시키고, 더 많은 개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도 4 내지 6에서는 제어 주체의 모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검출부(120)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10)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는 지자기 센서 등을 구비하여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는 이동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0)는 이동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가까워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0)는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하여 회전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0)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0)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량을 감소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검출부(12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모션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검출된 모션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멀어지는 모션이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모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원격 제어 장치(10)의 모션을 검출하는 경우 검출부(120)는 후술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원격 제어 장치(10)의 상대적인 위치 만이 아니라 사용자에 대한 원격 제어 장치(10)의 상대적인 위치로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가까워지는 것이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확대시킬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축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격 제어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가까워지는 것이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과의 거리에 따라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고, 원격 제어 장치(10)가 직접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1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11)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검출된 원격 제어 장치(10)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는 누름 조작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0)의 모션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130)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원격 제어 장치(10)의 모션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버튼(11)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만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설정된 버튼(11)이 아닌 터치 패드의 터치 조작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검출부(120)는, 터치 패드(12)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제어부(130)는, 터치 패드(12) 상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와이프 인터랙션은 특정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지 않고 특정 방향으로 연속하여 터치하는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제어 주체는 터치 패드(12) 상의 특정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을 떼지 않고 슬라이딩하는 터치를 할 수 있으며, 터치 패드(12) 상의 터치 시작점과 터치 방향으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12) 상의 아래쪽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여 위쪽으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고, 반대로 터치 패드(12) 상의 위쪽을 터치 시작점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감소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스와이프 인터랙션이 입력되는 경우, 검출부(120)는 제어 주체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라는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제어 주체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이라는 모션이 있으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직접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격 제어 장치(10)는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라 터치점이 변경되는 신호만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상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으로 정보량을 변경시킨다면, 좌우 방향으로의 인터랙션으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포커스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5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의 움직임 및 터치 패드 상의 제어 주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의 양 끝 엣지(edge)에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제어 주체의 터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설정된 버튼을 터치하고 상술한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변경되는 정보량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버튼을 터치하고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3a의 상태에서 도 3c와 같은 상태로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주체의 모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검출부(120)는,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가까워지는 모션과 멀어지는 모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모션을 검출하기 위해 카메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션은 카메라부(600)에 의해 촬상되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모션은 사용자의 손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600)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을 밀고 당기는 모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를 전환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책을 보는 것처럼 손가락으로 페이지를 밀어서 전환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뎁스를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위 뎁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도 7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0)는 뎁스 구조를 갖는 화면을 제공하며,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 간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뎁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뎁스 구조는 메인 카테고리, 메인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브 카테고리에서 또 다른 서브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기설정된 조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해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6a에서와 같이 다섯 종류의 카테고리를 최소한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고 할 때, 이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가 도 6b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방향키의 조작으로 영화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50을 가장 좌측의 가장 큰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검출된 신호에 따라 더 많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더 적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섯 종류의 카테고리를 최소한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 적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고, 제어부(130)는 뎁스를 하위 뎁스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뎁스가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섯 종류의 카테고리를 최대한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 많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고, 제어부(130)는 뎁스를 상위 뎁스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섯이 아닌 다른 개수로 한계가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는 가장 좌측을 기준으로 하여 하위 뎁스로 변경될 때, 가장 좌측에 해당하는 카테고리의 하위 뎁스로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장 우측에 해당하는 카테고리가 기준 카테고리가 될 수도 있고, 포커스(20)가 별도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방향키 조작으로 기준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위 뎁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도면이다. 도 7b에 따르면, 도 7a의 영화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하위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제어부(130)는 액션, 로맨스, 호러 및 애니메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음을 상술하였으며, 액션 및 로맨스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무협, 전쟁 및 환타지 등이 더 포함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포커스(20)된 서브 카테고리에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하는 하위 뎁스의 정보를 일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위 뎁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거나, 포커스(20)되지 않은 서브 카테고리에도 하위 뎁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상위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보로 하위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카테고리에 대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메인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정보로 서브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뎁스 구조 및 뎁스를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테고리도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로 볼 수 있고, 넓은 의미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는 것은 복수의 카테고리 간의 변경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컨텐츠의 개수 등을 변경하는 것 뿐만 아니라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특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오버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와 각각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였으나, 도 8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영화 등을 시청하는 중에도 컨텐츠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8a에서 제1 컨텐츠의 썸 네일(810)과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820) 및 도 7b에서 제1 컨텐츠의 썸 네일(810)과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830)와 관련된 설명은 도 3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는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도 컨텐츠를 변경하기 위한 UI 화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당시의 뎁스와 해당 뎁스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130)는 가장 상위 뎁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아웃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량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기설정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레이아웃(910~950)을 저장해두고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레이아웃(910~950)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레이아웃(910)은 하나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레이아웃(920)은 4 개의 컨텐츠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점점 많아지도록 하여, 제5 레이아웃(950)은 48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제어부(13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해상도가 큰 경우 많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5 레이아웃(950)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해상도가 낮은 경우 많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3 레이아웃(930)까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해상도가 HD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2 레이아웃(920)까지를 이용하나, 화면의 해상도가 FHD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4 레이아웃(940)까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화면 크기가 큰 경우 많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5 레이아웃(950)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화면 크기가 작은 경우 많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4 레이아웃(940)까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크기가 40인치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3 레이아웃(930)까지를 이용하나, 화면의 크기가 80인치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1 레이아웃(910)부터 제5 레이아웃(950)까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5개의 레이아웃만을 가정하였으나, 이는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의 개수에 기초하여 레이아웃을 표시하였으나, 제어부(130)는 각각의 레이아웃에 별도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모두에 기초하여 레이아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아웃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아웃(910)과 제2 레이아웃(920) 및 제4 레이아웃(94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조사는 복수의 레이아웃을 설정하여 두고,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복수의 레이아웃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경될 정보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별로 별도의 레이아웃을 설정할 필요 없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010). 그리고,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한다(S1020). 그리고,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한다(S1030).
또한,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S1030)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1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검출된 원격 제어 장치(10)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S1030)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터치 패드 상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S1030)는, 사용자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량은,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사이즈 및 컨텐츠의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S103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변경되면, 변경된 개수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사이즈 및 세부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S10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량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 간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뎁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뎁스는, 메인 카테고리, 메인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는 좀더 간단한 조작으로 정보량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저장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0 : 원격 제어 장치
120 :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저장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0 : 원격 제어 장치
Claims (20)
-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제어 주체의 모션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드 상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사용자 모션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량은,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사이즈 및 컨텐츠의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변경되면, 변경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이즈 및 세부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량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뎁스 구조를 갖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 간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뎁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구조는,
메인 카테고리, 상기 메인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검출된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 패드 상의 스와이프 인터랙션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전방향 모션 또는 후방향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량은,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사이즈 및 컨텐츠의 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세부 정보는,
컨텐츠의 썸 네일, 타이틀, 컨텐츠 장르 및 컨텐츠 요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변경되면, 변경된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사이즈 및 세부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량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 정보 및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량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 주체의 기설정된 모션에 따른 신호가 검출되면, 뎁스 간 변경을 수행하고 변경된 뎁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는,
메인 카테고리, 상기 메인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서브 카테고리, 상기 서브 카테고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3502A KR20160040028A (ko) | 2014-10-02 | 2014-10-0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4/848,778 US20160098092A1 (en) | 2014-10-02 | 2015-09-09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3502A KR20160040028A (ko) | 2014-10-02 | 2014-10-0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0028A true KR20160040028A (ko) | 2016-04-12 |
Family
ID=5563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3502A Withdrawn KR20160040028A (ko) | 2014-10-02 | 2014-10-02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098092A1 (ko) |
KR (1) | KR2016004002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42499S1 (en) * | 2019-12-23 | 2022-0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12822A1 (en) * | 2006-07-11 | 2008-01-17 | Ketul Sakhpara | Motion Browser |
US8194037B2 (en) * | 2007-12-14 | 2012-06-05 | Apple Inc. | Centering a 3D remote controller in a media system |
US8341544B2 (en) * | 2007-12-14 | 2012-12-25 | Apple Inc. | Scroll bar with video region in a media system |
US20110265118A1 (en) * | 2010-04-21 | 2011-10-27 | Choi Hyunbo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US9274594B2 (en) * | 2010-05-28 | 2016-03-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Cloud-based personal trait profile data |
KR20110138925A (ko) * | 2010-06-22 | 2011-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730422B1 (ko) * | 2010-11-15 | 2017-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JP2012128662A (ja) * | 2010-12-15 | 2012-07-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
US9207782B2 (en) * | 2010-12-16 | 2015-12-08 | Lg Electronics Inc. |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
KR101788006B1 (ko) * | 2011-07-18 | 2017-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
KR101890140B1 (ko) * | 2012-05-07 | 2018-09-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시스템 |
KR20140136633A (ko) * | 2013-05-21 | 2014-1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형 전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
US20150067561A1 (en) * | 2013-08-30 | 2015-03-05 | Kabushiki Kaisha Toshiba |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
KR101636460B1 (ko) * | 2014-11-05 | 2016-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2014
- 2014-10-02 KR KR1020140133502A patent/KR20160040028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
- 2015-09-09 US US14/848,778 patent/US20160098092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98092A1 (en) | 2016-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87016B2 (en) |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 |
KR102203885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9703411B2 (en) | Reduction in latency between user input and visual feedback | |
US821790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based user interface interaction | |
US8686962B2 (en) |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 |
KR102168648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582541B1 (ko) | 에지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 |
CN203250304U (zh) | 信息处理装置 | |
US20160092072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03748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
KR20150081012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0466862B2 (en) | Inpu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inpu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150339026A1 (en) |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 |
US2012028467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gement | |
US20160227269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3218149A (zh) | 遥控器、利用该遥控器的系统和方法 | |
US20190171356A1 (en) |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2012028466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 management | |
US20130239032A1 (en) | Motion based screen control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 |
KR2016008664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60026309A1 (en) | Controller | |
EP2882195A1 (en) |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 |
KR2016004002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118084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
US20160110206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