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105A -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light distribution - Google Patents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light distrib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38105A KR20160038105A KR1020140129863A KR20140129863A KR20160038105A KR 20160038105 A KR20160038105 A KR 20160038105A KR 1020140129863 A KR1020140129863 A KR 1020140129863A KR 20140129863 A KR20140129863 A KR 20140129863A KR 20160038105 A KR20160038105 A KR 20160038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justing
- led
- light source
- unit
- led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21V29/76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the planes containing the fins or blades hav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는 LED광원부재가 장착되는 LED장착부, LED장착부에 연결되어, LED광원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LED장착부와 방열부 사이에서, LED장착부의 일종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LED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1 조정부, 및 제 1 조정부와 방열부 사이에 설치되어, LED장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LED 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2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ncidence, comprising: an LED mounting part for mounting an LED light source member; a heat dissipating part connected to the LED mounting part for emit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member; A first adjusting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D mounting part between the first adjusting part and the heat dissipating part to adjust the angle of view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second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adjusting part and the heat dissipating par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angle of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LED 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ncid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ncidence of an LED light source member mounted on a vehicle.
일반적으로, 안개등은 안개가 많이 꼈을 때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사용하는 조명으로서, 상대편 차량에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도 한다. 안개등은 차 앞과 가까운 지면을 넓게 비추도록 전조등과 같은 높이 또는 아래쪽에 설치된다. 안내등은 전조등의 보조등 역할을 한다. Generally, a fog light is a light used to secure a driver's view when a lot of mist is present, and it also serves to inform the other vehicle of its position. The fog lights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or below as the headlights so as to illuminate the ground close to the front of the car. The guidance light serves as an assistant to the headlight.
한국은 1997년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정’에 안개등 관련 기준이 마련됐다. 이 기준에 따르면 전조등의 불빛은 백색광을, 안개등은 노란빛과 하얀빛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가능하다.In Korea, in 1997, "regulations on automobile safety standards" provided fog lights related standards. According to this standard, the light of the headlights can be used as white light, and the fog lights can be used as either yellow or white light.
안개등의 광원(光源)으로 노란빛을 쓰는 이유는 멀리서도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에는 여러 가지 색깔의 빛이 섞여 있는데, 그중 빨간색, 노란색 계열의 빛은 푸른색 빛보다 파장이 길다. The reason why I use yellow as a light source of a fog light is because it is visible from a distance. Visible rays in our eyes are mixed with various colors of light. Among them, red and yellow light have longer wavelength than blue light.
노란빛보다 파장이 긴 빨간빛을 쓰지 않는 이유는 파장이 555nm 전후의 녹황색 빛이 우리 눈의 시신경에 더 잘 반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차량의 디자인이 강조되면서 백색광을 더 선호하는 추세이다.The reason why we do not use red light with longer wavelength than yellow light is because green light of about 555nm wavelength responds better to our optic nerve. However, recently, as the design of the vehicle is emphasized, it is more likely to prefer white light.
차량의 사용되는 안개등은 차량의 종류 또는 디자인에 따라 설치되는 전구의 종류가 달라진다.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차량에 설치되는 전구를 일명 순정전구라 지칭하는데, 순정전구라 함은 자동차 설계시 자동차에 맞게 설계된 전구를 말한다. The type of fog lamp used depends on the type of vehicle or design.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the light bulb installed in each vehicle is called a pure electric bulb. The pure electric bulb refers to a bulb designed for automobiles in automobile design.
백색광을 조사하는 조명원 중의 하나인 LED 전구는 순정전구와 비슷하게 배광설계가 되서 판매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차량에 따라 배광각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LED 전구가 안내등으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한다고 볼 수 없어, 차량운행시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LED light bulbs, which are one of the light sources for illuminating white light, are sometimes marketed in a light distribution design similar to a genuine light bulb. However, in some cases, the LED light bulb does not meet the light diffusion angle conditions depending on the vehicle. In such a case,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the role properly,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occurs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한국특허등록 제0153149호에는 자동차용 안개등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153149 discloses an automobile fog lamp.
이에, 본 발명은 LED 광원부재를 안내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에 설치되는 LED 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light distribution of an LED light source member installed in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vehicle, when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s used as a guide or the like .
또한,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안개등 이외에 차량용 조명으로도 사용가능한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ncidence, which can be used as a vehicle illumination in addition to a fog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a vehic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는 LED광원부재가 장착되는 LED장착부, LED장착부에 연결되어, LED광원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LED장착부와 방열부 사이에서, LED장착부의 일종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LED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1 조정부, 및 제 1 조정부와 방열부 사이에 설치되어, LED장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LED 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2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ncidence, comprising: an LED mounting part for mounting an LED light source member; a heat dissipating part connected to the LED mounting part for emit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member; A first adjusting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D mounting part between the first adjusting part and the heat dissipating part to adjust the angle of view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second adjus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adjusting part and the heat dissipating part, And a second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angle of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조정부는 LED장착부와 제 2 조정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정부재는 LED 장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LED 장착부의 전체길이를 조정하여 LED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justment portion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adjustment member connecting the LED mount portion and the second adjustment portion, and at least one first adjustment member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D mount portion, And adjus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mounting portion so as to adjust the light diffusion angle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조정부는 LED장착부와 제 2 조정부를 연결하고, 일측에 LED장착부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는 제 1 끼움홀, 타측에 제 2 조정부의 제 2 끼움홀에 끼움결합되는 제 1 돌출부, 외면에 제 1 끼움홀과 연통되는 제 1 결합끼움홀이 마련된 제 1 조정부재, 및 제 1 결합끼움홀에 삽입되어, 제 1 끼움홀에 삽입된 LED장착부의 일단과 맞닿게 결합되어, LED장착부를 제 1 조정부재에 결합하는 제 1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justment portion connects the LED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adjustment portion, and has a first fitting hole in which one end of the LED mounting portion is fitted to one side and a second fitting hole, A first adjustment memb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hole and having a first fitt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itting hole and a second adjus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to abut one end of the LED fit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And a first engag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member to engage the LED mounting portion with the first adjusting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조정부는 제 1 조정부와 방열부를 연결하는 제 2 조정몸체, 제 2 조정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 1 조정부의 제 1 돌출부가 끼움결합되는 제 2 끼움홀, 제 2 조정몸체의 외면에 마련되어, 제 2 조정몸체의 회전각도를 조작하는 조작날개, 제 2 조정몸체의 외면에 마련되고, 제 2 끼움홀과 연통되는 제 2 결합끼움홀, 및 제 2 결합끼움홀에 삽입되어, 제 2 끼움홀에 삽입된 제 1 돌출부와 맞닿게 결합되어, 제 1 조정부와 제 2 조정몸체를 연결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adjusting body for connecting the first adjusting portion and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a second fitting hole provided in the second adjusting body for fitting the first projection of the first adjusting portion, An operation van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djusting body for oper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adjusting body, a second engaging hol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djusting body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engaging hole,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inserted into the hole and abutted against the first projection inserted in the second fitting hole to connect the first adjusting portion and the second adjusting bod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조정부와 방열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l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and the heat-radiating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LED광원부재는 LED장착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ED mounting por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LED 광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LED광원부재의 밝기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light source member,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the degree of brightness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열부를 둘러싸도록 방열부에 연결된 하우징몸체, 및 하우징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LED광원부재를 보하하는 하우징커버가 구비된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커버는 LED광원부재의 발광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housing body coupled to the heat dissipating unit to surround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a hous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the housing unit including a housing cover for supporting the LED light source member,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when emitting light from the LED light source member.
본 발명은 안내등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의 안내등장착공간에서 차량의 안내등커버와 LED광원부재 사이의 간격을 제 1 조정부를 통해 조절하여 LED광원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 source unit that adjusts an interval between a guide light cover of a vehicle and an LED light source member through a first adjustment unit in a guide space for mounting the vehicle in a vehicle, The divergent angle of the divergent light can be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제 2 조정부를 통해 LED장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LED장착부의 전면과 후면에 장착된 LED광원부재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LED광원부재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배광각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LED mounting part is adjusted through the second adjusting part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ED mounting part, .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안내등으로 사용되는 LED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차량에 적합하게 다양하게 조정함으로써, LED광원부재의 빛을 효울적으로 분산 또는 발산하게 할 수 있어, 차량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or diverge the light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by variously adjusting the angle of view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used as a guide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Thereby enabling safe driving of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안개등 이외에 차량용 조명으로도 사용가능하고, 일반 조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LED광원부재에 연결된 컨트롤러에 의해 LED 광원부재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상 특성에 따라 점멸시키는 LED광원부재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ehicle lighting other than a fog light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a vehicle, and when the LED is used as general illumination,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s not operated simultaneously by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LED light source member,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for blinking can be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일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일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일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of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proje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of a ligh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proje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light distribu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of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projection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ncide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llumin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of incide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100)는 LED광원부재(111, 112), LED장착부(120), 제 1 조정부(130), 제 2 조정부(140)와 방열부(160)를 포함한다. 1 to 3, an
LED장착부(120)는 LED광원부재(111, 112)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LED광원부재(111, 112)는 전원인가시 발광되는 부재이다. LED장착부(120)에는 제 1 조정부(130)가 연결된다. LED장착부(120)는 LED장착플레이트(121)와 장착돌출부(122)로 이루어진다. The
LED장착플레이트(121)는 전면과 후면이 평평한 구조를 가진다. LED장착플레이트(121)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LED광원부재(111, 112)가 설치된다. 여기서, LED광원부재(111, 112)는 LED장착플레이트(121)에 볼팅결합된다. The
LED장착플레이트(121)의 측면에는 장착돌출부(122)가 마련된다. 여기서, 장착돌출부(122)는 제 1 조정부(130)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다. 장착돌출부(122)의 직경은 후술할 제 1 조정부(130)의 제 1 끼움홀(131a)에 끼움결합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돌출부(122)는 후술할 제 1 결합부재(137)에 의해 제 1 조정부(130)에 결합된다.
A
제 1 조정부(130)는 LED장착부(120)와 방열부(160) 사이에서, LED장착부(120)의 일종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LED광원부재(111, 112)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부재이다. 제 1 조정부(130)는 제 1 조정부재(131)와 제 1 결합부재(137)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adjust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정부재(131)에는 제 1 끼움홀(131a), 제 1 돌출부(132) 및 제 1 결합끼움홀(133)이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djusting
여기서, 제 1 끼움홀(131a)은 제 1 조정부재(131)의 일측에 마련된 홀이다. 제 1 끼움홀(131a)에는 LED장착부(120)의 장착돌출부(122)가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 1 끼움홀(131a)의 직경은 상기의 장착돌출부(122)가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가능한 크기를 가지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범위 내에서 수치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Here, the
제 1 돌출부(132)는 제 1 조정부재(131)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 것이다. 제 1 돌출부(132)는 제 2 조정부(140)의 제 2 끼움홀(143)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다. 제 1 돌출부(132)의 직경은 제 2 끼움홀(143)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수치를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The first projecting
제 1 결합끼움홀(133)은 제 1 조정부재(131)의 외면에 마련된다. 제 1 결합끼움홀(133)은 제 1 끼움홀(131a)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 1 결합끼움홀(133)에는 제 1 결합부재(137)가 설치된다.The first
여기서, 제 1 결합부재(137)는 제 1 결합끼움홀(133)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조정부재(131)와 나사결합되는 부재이다. 제 1 결합부재(137)는 제 1 끼움홀(131a)에 삽입된 LED장착부(120)의 일단과 맞닿게 제 1 조정부재(131)와 결합되어, LED장착부(120)를 제 1 조정부재(13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engaging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100)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LED광원부재(111, 112)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보다 원할하게 조절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조정부재(131)를 이용할 수 있다. 4 and 5, in order to more smoothly adjust the angle of diffraction of the LED
여기서, 복수의 제 1 조정부재(131)는 LED장착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LED장착부(120)의 전체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의 단순화를 통해 두 개의 제 1 조정부(130, 130a)를 이용한 도면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차량의 종류에 따른 LED광원부재(111, 112)의 배광각을 보다 바람직하게 조정하기 위해 당업자의 입장에서 설치개수에 대한 한정은 두지 않기로 한다. Here, the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복수의 제 1 조정부(130, 130a)의 연결방식은 어느 하나의 제 1 조정부(130)가 LED장착부(120)와 제 2 조정부(140)에 연결되는 방식과 동일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 1 조정부(130, 130a)의 결합방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plurality of
제 2 조정부(140)는 제 1 조정부(130)와 방열부(160) 사이에 설치되어, LED장착부(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제 2 조정부(140)는 제 2 조정몸체(141)와 제 2 결합부재(148)로 이루어진다. The
여기서, 제 2 조정몸체(141)는 제 1 조정부(130)와 방열부(16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 2 조정몸체(141)에는 제 2 끼움홀(143), 제 2 돌출부(144), 조작날개(142) 및 제 2 결합끼움홀(146)이 마련된다. Here, the
제 2 끼움홀(143)은 제 2 조정몸체(141)의 일측에 마련된다. 제 2 끼움홀(143)은 제 2 조정몸체(141)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 1 조정부(130)의 제 1 돌출부(132)가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 2 끼움홀(143)의 직경은 제 1 돌출부(132)가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가능한 크기를 가지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한 범위 내에서 수치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econd
제 2 돌출부(144)는 제 2 조정몸체(141)의 타측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돌출부(144)는 후술할 방열부(160)의 방열끼움홈(16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The
조작날개(142)는 제 2 조정몸체(14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2 조정몸체(141)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작날개(142)는 제 2 조정몸체(141)의 회전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The
즉, 사용자는 LED광원부재(111, 112)의 배광각을 조절하기 위해 조작날개(142)를 통해 제 2 조정몸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제 2 조정몸체(141)에 연결된 LED장착부(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rotates the
제 2 결합끼움홀(146)은 제 2 조정몸체(141)의 외면에 마련되고, 제 2 끼움홀(143)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 2 결합끼움홀(146)에는 제 2 결합부재(148)가 설치된다. The second
여기서, 제 2 결합부재(148)는 제 2 결합끼움홀(146)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면서 제 1 조정부(130)와 제 2 조정몸체(141)를 연결한다. 이때, 제 2 결합부재(148)는 제 2 끼움홀(143)에 삽입된 제 1 돌출부(132)와 맞닿게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cond engag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방열부(160)는 제 2 조정부(140)에 의해 LED장착부(120)에 연결된다. 방열부(160)는 LED광원부재(111, 1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부재이다. 방열부(160)의 일측에는 방열끼움홈(161)이 마련된다. 방열부(160)의 일측면과 제 2 돌출부(144) 사이에는 실링부재(150)가 설치된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여기서, 실링부재(150)는 제 2 돌출부(144)가 관통되는 오링구조를 가진다. 제 2 돌출부(144)가 실링부재(150)를 관통하여 방열끼움홈(161)에 끼움결합될 때, 실링부재(150)는 제 2 돌출부(144)를 둘러싼 상태에서, 방열판의 일측과 제 2 조정몸체(141)의 타측에 밀접하게 접촉된다. Here, the sealing
한편, 방열부(160)의 타측에는 복수의 방열핀(162)이 마련된다. 여기서, 방열핀(162)은 LED광원부재(111, 112)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부분이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radia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100)는 안내등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량의 안내등장착공간(미도시,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조등 아래에 마련된 공간)에서 차량의 안내등커버(안착등장착공간을 덮는 커버)와 LED광원부재(111, 112) 사이의 간격을 제 1 조정부(130)를 통해 조절하여 LED광원부재(111, 112)에서 발산되는 빛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100)는 제 2 조정부(140)를 통해 LED장착부(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LED장착부(120)의 전면과 후면에 장착된 LED광원부재(111, 112)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LED광원부재(111, 112)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배광각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100)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안내등으로 사용되는 LED광원부재(111, 112)의 배광각을 차량에 적합하게 다양하게 조정함으로써, LED광원부재(111, 112)의 빛을 효울적으로 분산 또는 발산하게 할 수 있어, 차량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6,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본 실시예에서,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200)는 LED광원부재(211), LED장착부(220), 제 1 조정부(230), 제 2 조정부(240), 방열부(260), 하우징부(270)와 컨트롤러(280)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200)의 LED광원부재(211), LED장착부(220), 제 1 조정부(230), 제 2 조정부(240) 및 방열부(26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LED광원부재(111, 112), LED장착부(120), 제 1 조정부(130), 제 2 조정부(140) 및 방열부(160)와 그 기능 및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LED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LED광원부재(211), LED장착부(220), 제 1 조정부(230), 제 2 조정부(240) 및 방열부(26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컨트롤러(280)와 하우징부(2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L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80)는 하우징부(270)의 내부에서 방열부(260)의 후면, 구체적으로는 방열핀(262)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컨트롤러(280)는 LED광원부재(211)의 밝기 정도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6, in this embodiment, the
컨트롤러(280)는 제 1 전선(291)에 의해 LED광원부재(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컨트롤러(280)는 제 2 전선(292)에 의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러(28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을 때 LED광원부재(211)의 밝기를 조작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260)에는 하우징부(270)가 연결된다. 여기서, 하우징부(270)는 하우징몸체(272)와 하우징커버(271)로 이루어진다. 하우징부(270)의 내부에는 LED광원부재(211), LED장착부(220), 제 1 조정부(230), 제 2 조정부(240) 및 방열부(260)가 설치된다. 6, the
하우징몸체(272)는 방열부(260)를 둘러싸도록 방열부(26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하우징몸체(272)는 방열부(260)를 보호하는 부재이다. 하우징몸체(272)의 내부에는 상술한 컨트롤러(280)가 설치된다. The
하우징커버(271)는 하우징몸체(27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커버(271)는 LED장착부(2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하우징커버(271)는 LED광원부재(211)의 발광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커버(271)는 빛이 투과될 수 있다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200)는 차량용 조명, 캠핑용 조명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200)는 컨트롤부에 의해 LED광원부재(211)의 밝기가 다양하게 조절되어, 감성등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nd it is obvious that i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111, 112, 211: LED광원부재
120, 220: LED장착부
121: LED장착플레이트
122: 장착돌출부
130, 130a, 230: 제 1 조정부
131: 제 1 조정부재
131a: 제 1 끼움홀
132: 제 1 돌출부
133; 제 1 결합끼움홀
137: 제 1 결합부재
140: 제 2 조정부
141: 제 2 조정몸체
143: 제 2 끼움홀
144: 제 2 돌출부
146: 제 2 결합끼움홀
148: 제 2 결합부재
150: 실링부재
160: 방열부
161: 방열끼움홈
162: 방열핀
270: 하우징부
280: 컨트롤러100, 200: Illumination device with adjustable angle of view
111, 112, 211: LED
121: LED mounting plate 122: mounting projection
130, 130a, 230: first adjustment part 131: first adjustment part
131a: first fitting hole 132: first projection
133; First engaging hole 137: First engaging member
140: second adjusting section 141: second adjusting body
143: second fitting hole 144: second projection
146: second engaging fitting hole 148: second engaging member
150: sealing member 160:
161: heat dissipating fitting groove 162: heat dissipating fin
270: housing part 280: controller
Claims (8)
상기 LED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LED광원부재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상기 LED장착부와 상기 방열부 사이에서, 상기 LED장착부의 일종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LED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1 조정부; 및
상기 제 1 조정부와 상기 방열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LED장착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LED 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제 2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An LED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s mounted;
A heat dissipating unit, connected to the LED mounting unit, for emitting heat generated from the LED light source member to the outside;
A first adjusting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D mounting part between the LED mounting part and the heat dissipating part to adjust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nd a second adjustment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unit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to adjus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LED mount unit to adjust the angle of diffraction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ossible lighting devices.
상기 LED장착부와 상기 제 2 조정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정부재는 상기 LED 장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 장착부의 전체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LED광원부재의 배광각을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djustment unit
And at least one first adjus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LED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first adjustment member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D mounting portion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LED mounting portion to adjust the angle of diffraction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ighting device.
상기 LED장착부와 상기 제 2 조정부를 연결하고, 일측에 상기 LED장착부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는 제 1 끼움홀, 타측에 상기 제 2 조정부의 제 2 끼움홀에 끼움결합되는 제 1 돌출부, 외면에 상기 제 1 끼움홀과 연통되는 제 1 결합끼움홀이 마련된 제 1 조정부재, 및
상기 제 1 결합끼움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끼움홀에 삽입된 상기 LED장착부의 일단과 맞닿게 결합되어, 상기 LED장착부를 상기 제 1 조정부재에 결합하는 제 1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djustment unit
A first projection which connects the LED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and has a first fitting hole in which one end of the LED mounting portion is fitted to one side and a first projection which is fitted to the second fitting hole of the second adjust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A first adjusting member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engaging hole,
And a first engag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hole and engages with one end of the LED attach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hole and engages the LED attaching portion with the first adjusting member To adjust the angle of incidence.
상기 제 1 조정부와 상기 방열부를 연결하는 제 2 조정몸체;
상기 제 2 조정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조정부의 제 1 돌출부가 끼움결합되는 제 2 끼움홀;
상기 제 2 조정몸체의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조정몸체의 회전각도를 조작하는 조작날개;
상기 제 2 조정몸체의 외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끼움홀과 연통되는 제 2 결합끼움홀; 및
상기 제 2 결합끼움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끼움홀에 삽입된 상기 제 1 돌출부와 맞닿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조정부와 상기 제 2 조정몸체를 연결하는 제 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adjustment unit
A second adjusting body connecting the first adjusting part and the heat radiating part;
A second fitting hole provided in the second adjusting body and into which the first projection of the first adjusting portion is fitted;
An operating blad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djusting body to manipulate a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adjusting body;
A second engaging hol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djusting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itting hole; And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hole and engaged with the first projection inserted in the second fitting hole to connect the first adjusting unit and the second adjusting body. To adjust the angle of incidence.
상기 제 2 조정부와 상기 방열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l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djusting unit and the heat radiating unit.
상기 LED광원부재는 상기 LED장착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D light source member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LED mounting portion, respectively.
상기 LED 광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LED광원부재의 밝기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light source member,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the degree of brightness of the LED light source member.
상기 방열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방열부에 연결된 하우징몸체; 및
상기 하우징몸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LED광원부재를 보하하는 하우징커버가 구비된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LED광원부재의 발광시 빛을 외부로 발산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조절이 가능한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using body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to surround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and having a housing cover for supporting the LED light source member,
Wherein the housing cover is made of a material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when the LED light source member emits ligh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9863A KR20160038105A (en) | 2014-09-29 | 2014-09-29 |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light distribu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9863A KR20160038105A (en) | 2014-09-29 | 2014-09-29 |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light distribu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8105A true KR20160038105A (en) | 2016-04-07 |
Family
ID=5578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9863A Ceased KR20160038105A (en) | 2014-09-29 | 2014-09-29 |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light distribu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3810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4047A (en) * | 2021-03-02 | 2022-09-1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 rotatable automotive light emitting diode headl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4
- 2014-09-29 KR KR1020140129863A patent/KR2016003810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4047A (en) * | 2021-03-02 | 2022-09-1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A rotatable automotive light emitting diode headl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213165A1 (en) | Multi-colored vehicle rear lamp | |
US9243768B2 (en) | Light source for headlight and headlight | |
JP6509480B2 (en) | Lighting device | |
KR101259339B1 (en) | Vehicular headlamp | |
JP5883169B1 (en) | LED lamp module for vehicles | |
CN109578928A (en) | Light fixture | |
WO2012036266A1 (en) | Vehicle headlamp | |
KR101114068B1 (en) | head lamp of vehicles | |
JP6814069B2 (en) | Vehicle lighting | |
EP3165812B1 (en) | Attachable vehicle accent lamp | |
US9739439B2 (en) | Vehicle headlamp with light passage | |
KR20160136900A (en) | A lamp for vehicle | |
EP3165813B1 (en) | Vehicle headlamp and light-injecting accent lamp combination and method | |
WO2016064733A2 (en) | Vehicular lighting system | |
EP3061654B1 (en) | Vehicular active stop and tail lamp module | |
JP3201358U (en) | Car lights | |
KR101780691B1 (en) | Led lighting lamp for vehicle | |
KR101486817B1 (en) | Lamp for vehicles | |
KR20160038105A (en) |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light distribution | |
JP6781586B2 (en) | Vehicle light source unit | |
TWI666404B (en) | Low-beam-color-temperature-variable headlight unit | |
KR101733508B1 (en) |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light distribution | |
KR20100122645A (en) | Lamp for vehicles | |
CN211146145U (en) | Lamp set | |
JP2019003832A (en) | Vehicular lighting fix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