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37132A -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132A
KR20160037132A KR1020157035773A KR20157035773A KR20160037132A KR 20160037132 A KR20160037132 A KR 20160037132A KR 1020157035773 A KR1020157035773 A KR 1020157035773A KR 20157035773 A KR20157035773 A KR 20157035773A KR 20160037132 A KR20160037132 A KR 2016003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restricting portion
compression
restriction
restri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케이 트로터
데니스 엠 마크
에스알 글렌 헤븐스
제이슨 디 홀트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3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13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28End stop features or buff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6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rigid sleeves or pin, e.g.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링 링크 조립체(10)가,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 링(18),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부싱(16)으로서, 중앙 개구부 내에서 연결 링(18)에 의해서 유지되는 부싱(16), 부싱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되는 압축 제한부(14), 및 대향 단부들에서 압축 제한부(14)에 고정된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12)를 포함한다.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12)가 압축 제한부(14) 및 부싱(16)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COMPRESSION-LIMITING RING LINK ASSEMBLY}
관련 출원
본원은 2013년 7월 24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압축 제한부 조립체(Compression Limiter Assembly)"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61/857,873호와 관련되고 상기 가특허출원에 대해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링 링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차량(vehicle)에서 링 링크를 사용하여 특정 구성요소들을 함께 연결한다. 예를 들어, 링 링크가 현가 시스템을 스테빌라이저 바아(stabilizer bar)에 연결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링 링크가, 스테빌라이저 바아와, 하부 제어 아암, 스프링 링크 등과 같은, 가동형(movable) 현가 구성요소를 연결하고 이들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 단부 링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용례에서, 링 링크가 현가 시스템과 스테빌라이저 바아 사이에서 하중(load)을 전달한다. 그에 따라, 링 링크가 안정적인 코너링(cornering) 및 감소된 본체 롤링(roll)을 가능하게 한다. 스테빌라이저 바아를 현가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볼트체결하는 것에 대비하여, 링 링크는 부가적인 분절화(articulation)를 가능하게 하고 차량 설계 시에 융통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전형적인 링 링크 조립체는 대향 단부들에서 탄성중합체 부싱을 가지는 주 본체(main body)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부싱이 고무의 마찰 및 압축에 의해서 통로 내에서 유지된다. 부가적으로, 외측 유지 립(lip)이 부싱을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공지된 링 링크가, 튜브 제한부로서 작용하고 고무 부싱에 접합되는 금속 튜브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압입(press fitting)을 허용하기 위해서, 부싱의 내경 및 튜브 제한부의 외경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다. 부싱이 튜브 제한부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천이(shift)될 수 있거나, 그 반대로 천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 제한부가 길수록, 그러한 이동 가능성이 더 크다.
그러나, 튜브 제한부에 대한 부싱의 이동이 부싱을 조기에 마모시킬 수 있을 것이고, 튜브 제한부로부터 코팅을 침식(erode)시킬 수 있을 것이며, 파편이 부싱과 튜브 제한부 사이로 침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의해서 바람직하지 못한 소음 및/또는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특정 실시예가 링 링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러한 링 링크 조립체는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 링,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부싱으로서, 중앙 개구부 내에서 연결 링에 의해서 유지되는 부싱, 부싱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되는 압축 제한부, 그리고 대향 단부들에서 압축 제한부에 고정되는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압축 제한부 및 부싱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압축 제한부가,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단부 칼라(end collar)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고정 부재(들)가 단부 칼라 내로 확실하게 인접하게 되어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를 압축 제한부에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중앙 챔버 내에서 압축 제한부를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내측 안내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플레어(flare)형 단부로부터 단부 칼라까지, 테이퍼링된(tapered) 외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협력하여 그 사이에 부싱 유지용 함몰부(recess)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부싱이, 부싱 유지용 함몰부 내에서 압축식으로 유지되는 내향 지향식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예로서, 내향 지향식 유지 부재가 내향 지향식 환형 융기부(ridge)일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부싱 제한용 장벽(barrier)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부싱이 부싱 제한용 장벽들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부싱의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대향 단부들로부터 중앙 슬리브를 향해서 내향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부싱의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직선형일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어떠한 테이퍼, 각도, 또는 사면(cant) 등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압축 제한부가 부싱의 양 단부를 지나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압축 제한부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연장되는 연장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특정 실시예가 링 링크 조립체를 제시하는데, 그러한 링 링크 조립체는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부싱, 부싱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된 압축 제한부, 그리고 대향 단부들에서 압축 제한부에 고정되는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압축 제한부 및 부싱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는 부싱이 압축 제한부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천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측방향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링 링크 내에 고정된 부싱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링 링크 내에 고정된 부싱 내에 배치된 압축 제한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형성된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부와 함께 축방향으로 정렬된 대향되는 부싱 제한부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부와 함께 축방향으로 정렬된 대향되는 부싱 제한부들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부로 고정된 부싱 제한부들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선 8-8을 통한, 형성된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개시 내용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개시 내용의 적용이,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되거나 도면에서 도시되는 구성의 상세 내용 및 구성요소의 배치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 내용은 다른 실시예로 가능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행 또는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문구 및 용어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 그리고 그 변형의 이용은, 그 이후에 나열된 물품 및 그 균등물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물품 및 그 균등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0)의 측방향 분해도를 도시한다. 링 링크 조립체(10)는 대향되는 단부 부싱 제한부(12), 압축 제한부(14), 중앙 부싱(16), 및 연결 링(18)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부싱 제한부(12)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링 링크 조립체(10)의 대향 단부들(20 및 22)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압축 제한부(14)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원통형 튜브일 수 있을 것이다. 중앙 부싱(16)은, 중앙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재료(예컨대, 고무)로 형성된, 탄성적 튜브형 부재일 수 있을 것이다. 링(18)이 예를 들어 환형 금속 링일 수 있을 것이다.
링 링크 조립체(10)를 형성하기 위해서, 부싱(16)이 공통 길이방향 축(24)과 관련하여 링(18)의 중앙 개구부와 정렬된다. 이어서, 부싱(16)이 화살표(26)의 방향으로 링(18)의 중앙 개구부 내로 압박된다.
도 2는 링(18)의 중앙 개구부 내에 고정된 부싱(16)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부싱(16)은, 함몰된 중앙 슬리브(29)에 연결된 외향 플레어식 원뿔형 단부(28a 및 28b)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단부(28a 및 28b)의 외경(30)이,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는 링(18)의 내경보다 클 수 있을 것이다. 부싱(16)이 중앙 개구부 내로 압박될 때, 선도(leading) 단부(28a)가 중앙 개구부 내로 통과되도록 압축식으로 내향으로 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선도 단부(28a)가 링(18)의 중앙 개구부를 통과할 때, 선도 단부(28a)가 그 휴지 위치로 다시 휘어질 수 있고[및/또는 부싱(16)으로 추가적으로 고정되도록 외향으로 강제되고], 그에 따라 링(18)이 단부들(28a 및 28b) 사이에서 중앙 슬리브(29) 상으로 확실하게 포획된다. 부싱(16)이 링(18)에 고정된 후에, 압축 제한부(14)가, 길이방향 축(24)과 관련하여, 부싱(16)의 중앙 통로와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압축 제한부(14)가 화살표(26)의 방향으로 부싱(16)의 중앙 통로 내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다음으로 링(18)의 중앙 개구부 내에 고정되는, 부싱(16)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된 압축 제한부(14)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압축 제한부(14)가 부싱(16)의 중앙 통로 내로 느슨하게 끼워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부싱(16)이 압축 제한부(14)에 확실하게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및/또는 압축 제한부(14)를 확실하게 유지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압축 제한부(14)가 부싱(16)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된 후에, 부싱 제한부(12)가 압축 제한부(14)의 대향 단부들(32 및 34) 위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고, 부싱(16)의 중앙 통로 내에서 확실하게 연결되어 링 링크 조립체(10)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압축 제한부(14)가 부싱(16)의 중앙 통로 내로 삽입되기에 앞서, 부싱 제한부(12)가 먼저 압축 제한부(14)의 대향 단부들(32 및 34) 위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고, 이어서 부싱(16)의 중앙 통로 내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형성된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제한부(14)(도 1 및 도 3에 도시됨)가 부싱 제한부(12)의 외향 플레어형인 단부(36)에 의해서 은폐되어 보이지 않는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부(14)와 함께 축방향으로 정렬된 대향되는 부싱 제한부(12)를 도시한다. 도 6은 압축 제한부(14)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대향되는 부싱 제한부(12)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압축 제한부(14)는, 외경(40) 및 중앙 채널(44)을 형성하는 내경(42)을 가지는 튜브형 주 본체(3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지 로크(retaining lock)와 같은, 부싱 제한부-고정 부재(46)가 주 본체(38)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부재(46)가 반구형 결절(nub), 스터드(stud), 범프(bump), 또는 다른 그러한 돌출부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고정 부재(46)가 반구형 이외의 여러 가지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46)가 블록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부재(46)가 주 본체(3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부재(46)가 주 본체(38)의 외주 주위로 규칙적으로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정 부재(46)의 쌍들이 길이방향 축(24)과 관련하여 서로에 대해서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46)의 쌍은 단부(32)에 보다 근접한 하나의 고정 부재(46)와 함께, 단부(34)에 보다 근접하는 다른 고정 부재(46)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고정 부재들이 공간(47)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고, 그러한 공간은, 대향된 부싱 제한부들(12)의 대향된 단부 칼라들(50)(이하에서 설명됨)이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전장(span)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고정 부재들(46)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의 쌍 대신에, 단일 고정 부재(46)가 주 본체(38)의 중간 평면에서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격된 돌출부들 대신에, 고정 부재(46)가, 주 본체(3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환형 융기부(ridge)일 수 있거나 그러한 하나 이상의 환형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부싱 제한부(12)가, 단부 칼라(50)로부터 플레어형 단부(36)까지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외측 벽(52)을 통해서, 플레어형 단부(36)에 연결된 단부 칼라(5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벽(52)이 외측 벽(52)으로부터 단부 칼라(50)까지 하향 테이퍼링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챔버(54)가 각각의 부싱 제한부(12)를 통해서 형성된다. 단부 칼라(50)의 내경(56)이 압축 제한부(14)의 외경(40)보다 클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단부 칼라(50)가 압축 제한부(14)의 외측 표면 위에서 활주할 수 있을 것이다. 단부 칼라(50)는, 부싱 제한부(12)를 압축 제한부(14)의 외측 표면 상으로 그리고 그 위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내부 유도 특징부(lead-in feature)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부 칼라(50)는, 부싱 제한부(12)를 부싱(16)의 내경 내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내부 유도 특징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플레어형 단부(36)가, 편평한 베어링 표면(60)으로 연결되는, 플랜지, 테두리, 또는 융기부 등과 같은, 상향 연장식 부싱 제한용 장벽(58)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베어링 표면(60)이, 다시, 중앙 챔버(54) 내로 연장하는 내향 지향식 슬리브(62)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슬리브(62)에 의해서 형성된 내경(64)이 단부 칼라(50)의 내경(56)과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슬리브(62)의 내경(64) 및 단부 칼라(50)의 내경(56)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내경(64) 및 내경(56)이 길이방향 축(24) 주위로 형성된 공통 길이방향 엔벨로프(envelope)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단부 칼라(50) 및 슬리브(62)가, 압축 제한부(14)를 중앙 챔버(54) 내에서 안내하고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안내 부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부(14)에 고정된 부싱 제한부(12)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향 지향식 슬리브(62) 및 부싱 제한부(12)의 단부 칼라(50)가 압축 제한부(14)를 중앙 챔버(54) 내에서 길이방향 축(24)에 대해서 정렬시킨다. 슬리브(62)가, 도시된 것보다 길거나 짧은 거리만큼, 중앙 챔버(54) 내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슬리브(62)가 단부 칼라(5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고, 파임부(divot), 홈, 또는 다른 함몰 지역이 단부 칼라(50)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파임부, 홈, 또는 다른 함몰 지역이 압축 제한부(14)의 고정 부재(46)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부싱 제한부(12)가 압축 제한부(14)의 각각의 단부(32 또는 34) 위에서 활주됨에 따라, 단부 칼라(50)가 각각의 고정 부재(46a 및 46b) 위에서 활주될 때 단부 칼라(50)의 내경(56)이 외향으로 편향될 수 있을 것이다[및/또는 압축 제한부(14)가 내향으로 편향될 수 있을 것임]. 단부 칼라(50)가 고정 부재(46a 및 46b)를 지나서 이동된 후에, 단부 칼라(50) 및/또는 압축 제한부(14)가 휴지 위치로 다시 휘어질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단부 칼라(50)의 내측 턱부(ledge)(61)가 고정 부재(46a 및 46b)에 고정된다. 따라서, 단부 칼라(50)가 고정 부재(46a 및 46b)에 스냅 가능하게 또는 걸림 가능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턱부(61)와 고정 부재(46a 및 46b) 사이의 계면은, 부싱 제한부(12)가 압축 제한부(14) 위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후퇴되는 것 그리고 압축 제한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항되는 부싱 제한부들(12)의 대향되는 단부 칼라들(50)이 그 사이에 부싱 유지용 함몰부(63)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향 지향식 융기부와 같은, 부싱(16)의 부분이 부싱 유지용 함몰부(63) 내에 포획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축 제한부(14) 및 부싱 제한부(12)와 관련하여 부싱(16)을 확실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부싱 제한부(12)의 단부 칼라(50) 및 플레어형 단부(36)가 중앙 챔버(54) 내에서 압축 제한부(14)를 안내 및 정렬한다. 부싱 제한부(12)가 압축 제한부(14)에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고정 부재(46a 및 46b)가 단부 칼라(50)에 고정된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선 8-8을 통한, 형성된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싱(16)이 링(18)의 중앙 개구부(70) 내로 압박될 때, 선도 단부(28a)가 중앙 개구부(70) 내로 통과되도록 압축식으로 내향으로 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18)이 단부들(28a 및 28b) 사이에서 부싱(16)의 중앙 슬리브(29) 상으로 고정된다. 또한, 부싱(16)은, 대향되는 부싱 제한부들(12)의 대향되는 단부 칼라들(50)의 외측 표면들 사이에서 부싱 유지용 함몰부(63) 내에 포획되는, 환형 융기부(72)[부싱(16)의 중앙 통로(73) 내로 내향 연장됨]와 같은, 중앙의 내향 지향식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단부(28a 및 28b)가 플레어형 단부(36)의 테두리(58) 내로 인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싱(16)을 대향되는 부싱 제한부들(12) 사이에서 확실하게 포획한다. 그에 따라, 대향되는 부싱 제한부들(12)은 부싱(16)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에 의해서 화살표(80 및 82)의 방향을 따른 부싱 제한부(12) 및 압축 제한부(14)에 대한 부싱(16)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거나, 또는 달리 감소시킨다.
환형 융기부(72)가 단부 칼라들(50) 사이에서 부싱 유지용 함몰부(63) 내에 포획되기 때문에, 부싱(16)이 길이방향 축(24)과 평행한 선형 방향(80 및 82)으로 활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환형 융기부(72)와 단부 칼라(50) 사이의 계면은, 부싱(16)이 부싱 제한부(12)로부터 또는 그 반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대안으로, 인접하는 환형 융기부 대신에, 전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와 같은 고정 부재가 부싱(16)의 내경 주위로 이격될 수 있을 것이고 단부 칼라들(50) 사이에서 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각각의 장벽(58)의 외경이 부싱(16)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플레어형 단부(36)의 단부 연부(71)가 장벽(58) 내로 인접하게 되고, 그에 의해서 부싱(16)을 부싱 제한부(12)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단부 연부(71)와 장벽(58) 사이의 계면은, 길이방향 축(24)과 평행한 선형 방향(80 및 82)으로, 부싱(16)이 부싱 제한부(12)에 대해서 또는 그 반대로 활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플레어형 단부(36)와 장벽(58) 사이의 계면은, 부싱(16)이 부싱 제한부(12)로부터 또는 그 반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인접하는 환형 융기부 대신에, 전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와 같은 고정 부재가 부싱(16)의 내경 주위로 이격될 수 있을 것이고 단부 칼라들(50) 사이에서 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부싱 제한부(12)가 장벽(58)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부싱(16)이, 대향되는 단부 칼라들(50) 사이에 포획된 환형 융기부(72)에 의해서 부싱 제한부(12)에 대해 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부싱(16)이, 단부 칼라들(50) 사이에 포획된 임의의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즉, 부싱 제한부(12)들은 그 사이에 부싱 유지용 함몰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부싱(16)이, 부싱(16)의 플레어형 단부(36)와 부싱 제한부(12)의 장벽(58) 사이의 계면에 의해서 부싱 제한부(12)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싱(16)이 링(18)의 중앙 개구부(70) 내로 고정된다. 또한, 압축 제한부(14)가 부싱 제한부(12)의 중앙 챔버(54) 내에 고정되고, 이는 다시 부싱(16)으로 확실하게 연결된다. 그에 따라,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9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링 링크 조립체(90)는, 압축 제한부(92)가 부싱(94)의 외측 단부를 지나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링 링크 조립체(10)와 유사하다. 또한, 평행 연장 슬리브(96)가 플레어형 단부(98)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연장 슬리브(96)가 압축 제한부(92)의 연장된 부분 위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부싱 제한부의 외측 표면이, 부싱(16)과 유사하게, 테이퍼링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0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02)이 직선형의 선형 튜브(106)에 의해서 연결된 외측 플랜지(10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부싱(102)이 내향 지향식 환형 융기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고, 부싱 제한부(112)의 대향되는 내측 단부들(110)이 서로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그에 따라, 부싱 유지용 함몰부가 형성되지 않음).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싱(102)이 부싱 제한부(112)의 외측 장벽들(116) 사이에서 확실하게 포획될 수 있을 것이다.
링 링크 조립체(100)가, 부싱 유지용 함몰부(63)와 같은, 부싱 유지용 함몰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직선형 내측 보어를 가지는 부싱(102)이 경직성(stiffness) 증가를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직선형 보어는, 테이퍼링된 부싱(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비해, 부가적인 부싱 압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부싱 유지용 함몰부(63)(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됨)는, 탄성중합체 부싱이 내부로 흐를 수 있게 하기 위한 공간 부피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적은 예비 압축(pre-compression)을 초래한다. 또한, 부싱(102)의 외측 표면이 직선형의 외측 표면 또는 테이퍼링된 외측 표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경방향 비율(radial rate)에 더하여, 부싱이 정상적인(regular) 부싱 회전에 대해서 수직으로 축을 벗어나 분절화될 때 유발되는 원뿔 비율(conical rate)을 부싱이 또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부싱의 원뿔 비율이 부싱 제한부, 링 링크, 및/또는 부싱의 하나 이상의 각도에 의해서 조율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직선형 외경을 가지는 부싱 제한부가, 5°테이퍼와 같은 테이퍼를 가지는 제한부보다 작은 원뿔 비율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링크 조립체(100)가 전반적으로 직선형인 보어 부싱(102)을 포함한다. 직선형 보어 부싱(102)은, 예를 들어, 경직성이 증가된 적용예에 대해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2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연장된 압축 제한부(121) 및 부싱 제한부(122)를 링 링크 조립체(120)가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링 링크 조립체(120)가 링 링크 조립체(100)와 유사하다.
도 1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3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링 링크 조립체(130)가 테이퍼링된 외측 표면을 가지는 부싱(132)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링 링크 조립체(130)는 도 10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링 링크 조립체(100)와 유사하다.
도 1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4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연장된 압축 제한부(142) 및 부싱 제한부(144)를 링 링크 조립체(140)가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링 링크 조립체(140)는 링 링크 조립체(130)와 유사하다.
도 14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5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링 링크 조립체(150)가 직선형 보어를 가지는 부싱(152)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링 링크 조립체(150)는 도 8에 도시된 링 링크 조립체(10)와 유사하다.
도 15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6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연장된 압축 제한부(162) 및 부싱 제한부(164)를 링 링크 조립체(160)가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링 링크 조립체(160)는 링 링크 조립체(150)와 유사하다.
도 16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7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172)이, 대향된 부싱 제한부들(178)의 단부 칼라들(176) 사이에 포획될 수 있는 내측으로 지향된 환형 턱부(17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부싱 제한부(178)가, 부싱(172) 내로 인접하게 되지 않는, 테두리와 같은, 외측의 평탄화된 장벽(18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장벽(180)이 부싱(172) 내로 인접하게 되도록, 부싱(172) 및/또는 부싱 제한부(178)가 크기 결정 및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장벽(180)은, 전술한, 장벽(58)에 대비할 때, 키가 더 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장벽(180)이, 다른 구성요소의 보다 큰 표면과 맞대어질 수 있는 증가된 지탱면(181)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부싱(172)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부재(182)가 예를 들어 경사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고정 부재(182)가, 부싱(17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피라미드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190)의 가로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장벽(192)이 내측 공간을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링 링크 조립체(190)는 링 링크 조립체(170)와 유사하다. 그에 따라, 장벽(192)이 재료의 평탄화된 단편이 아닐 수 있고, 그 대신에, 예를 들어 연장된 블록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부싱 제한부, 압축 제한부, 및 변화되는 형상 및 크기의 부싱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의해서 모듈형 링 링크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통 연결 계면은, 예를 들어, 부싱 제한부, 부싱, 및 압축 제한부의 상호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도 1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200)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링크 조립체(200)가, 연결 비임(218)을 통해서 [주 본체(212)의 대향 단부에서] 다른 링 링크 조립체(216)에 연결된 링 링크 조립체(214)를 포함하는 주 본체(21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링 링크 조립체(214 및 216)는 전술한 것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 조립체(22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링크 조립체(220)가, 선형 샤프트(226)를 통해서, 고리(grommet)와 같은, 연결 부재(224)에 결합된, 전술한 링 링크 조립체 중 임의의 것과 같은 링 링크 조립체(22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가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를 제공한다. 링 링크 조립체가 부싱의 시프트(shift), 이동, 또는 다른 그러한 움직임을 최소화, 배제, 방지, 또는 달리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부싱의 조기 마모 및 파열을 방지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는 파편 침입을 방지하고, 예를 들어, 바람직하지 못한 소음을 최소화하거나 달리 감소시킨다.
상단, 하단, 하부, 중간, 측방향, 수평, 수직, 및 전방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공간적 용어 및 방향적 용어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되었을 수 있지만, 그러한 용어는 단지 도면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서 이용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배향이 반전, 회전, 또는 달리 변경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이 될 수 있고, 그 반대가 될 수 있으며, 수평이 수직이 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의 변경예 및 수정예가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개시되고 설명된 실시예가 본문 및/또는 도면에서 언급된 또는 그로부터 자명한 개별적인 특징들 중 둘 이상의 모든 대안적인 조합으로 확장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이한 조합 모두가 본 개시 내용의 여러 가지 대안적인 양태를 구성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개시 내용을 실시하기 위한 공지된 최적의 모드가 설명되고, 당업자가 개시 내용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청구항은 종래 기술에 의해서 허용되는 범위까지 대안적인 실시예를 포함하도록 해석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되는 범위까지, "포함하는" 및 "여기에서"라는 용어는 각각의 용어 "구비하는" 및 "이 경우"의 일반적인 균등어로서 이용되었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에서 이용된 범위까지,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표시(label)로서 이용된 것이고, 그들의 대상에 대한 수치적 요건을 부여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에서의 한정은 기능식(means-plus-function) 포맷으로 기재되지 않았고, 그러한 청구항 제한이 추가적인 구성을 가지지 않는 기능의 표현내용을 수반하는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문구를 명백하게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그리고 명백하게 이용할 때까지, 35 U.S.C. §112(f)를 기초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개시 내용의 여러 가지 특징이 이하의 청구항에서 개진된다.

Claims (20)

  1. 링 링크 조립체로서,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 링;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부싱으로서, 상기 중앙 개구부 내에서 상기 연결 링에 의해서 유지되는 부싱;
    상기 부싱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되는 압축 제한부; 및
    대향 단부들에서 상기 압축 제한부에 고정되는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상기 압축 제한부 및 상기 부싱에 확실하게 연결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제한부가,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단부 칼라(end collar)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가 상기 단부 칼라 내로 확실하게 인접하게 되어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를 상기 압축 제한부에 고정시키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은, 중앙 챔버 내에서 상기 압축 제한부를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내측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플레어(flare)형 단부로부터 단부 칼라까지 테이퍼링된 외측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협력하여 그 사이에 부싱 유지용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 유지용 함몰부 내에서 압축식으로 유지되는 내향 지향식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지향식 유지 부재는 내향 지향식 환형 융기부(ridge)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부싱 제한용 장벽(barrier)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이 상기 부싱 제한용 장벽들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대향 단부들로부터 중앙 슬리브를 향해서 내향으로 테이퍼링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직선형인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제한부가 상기 부싱의 양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상기 압축 제한부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연장되는 연장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3. 링 링크 조립체로서,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부싱;
    상기 부싱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되는 압축 제한부; 및
    대향 단부들에서 상기 압축 제한부에 고정되는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는 상기 압축 제한부 및 상기 부싱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는, 상기 부싱이 상기 압축 제한부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시프트(shift)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단부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칼라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가 스냅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를 상기 압축 제한부에 고정시키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은, 중앙 챔버 내에서 상기 압축 제한부를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내측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협력하여 그 사이에 부싱 유지용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 유지용 함몰부 내에서 압축식으로 유지되는 내향 지향식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부싱 제한용 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이 상기 부싱 제한용 장벽들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8. 링 링크 조립체로서,
    중앙 개구부를 형성하는 환형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 링;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부싱으로서, 상기 중앙 개구부 내에서 상기 연결 링에 의해서 유지되는 부싱;
    상기 부싱의 중앙 통로 내에 배치된 압축 제한부; 및
    대향 단부들에서 상기 압축 제한부에 고정되는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제한부는,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일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상기 압축 제한부 및 상기 부싱에 확실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는 상기 부싱이 상기 압축 제한부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시프트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은, (a) 단부 칼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가 상기 단부 칼라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를 상기 압축 제한부에 고정하는 것인 단부 칼라, (b) 중앙 챔버 내에서 상기 압축 제한부를 축방향으로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내측 안내 부재, 및 (c) 부싱 제한용 장벽으로서, 상기 부싱이 상기 부싱 제한용 장벽들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인 부싱 제한용 장벽을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가 협력하여 그 사이에 부싱 유지용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 유지용 함몰부 내에서 압축식으로 유지되는 내향 지향식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제한부가 상기 부싱의 양 단부를 지나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싱 제한부 및 제2 부싱 제한부 각각이, 상기 압축 제한부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연장되는 연장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링 링크 조립체.
KR1020157035773A 2013-07-24 2014-06-11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 Withdrawn KR20160037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57873P 2013-07-24 2013-07-24
US61/857,873 2013-07-24
PCT/US2014/041882 WO2015012966A1 (en) 2013-07-24 2014-06-11 Compression-limiting ring link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132A true KR20160037132A (ko) 2016-04-05

Family

ID=5120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773A Withdrawn KR20160037132A (ko) 2013-07-24 2014-06-11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54179B2 (ko)
KR (1) KR20160037132A (ko)
CN (1) CN105392644B (ko)
DE (1) DE112014002792T5 (ko)
WO (1) WO2015012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11B1 (ko) * 2016-01-19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부 구성요소의 회전이 가능한 부시와 이를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DE102016107155A1 (de) * 2016-04-18 2017-10-1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Achskomponente für eine Kraftfahrzeugachse
US10322750B2 (en) * 2017-03-27 2019-06-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 steering assembly mounts with tapered protrusions
US10422372B2 (en) * 2017-10-27 2019-09-24 Mf Ip Holding, Llc Rotatable bushing
US11738614B2 (en) * 2018-04-30 2023-08-29 Research & Manufacturing Corporation Of America Two-piece vertical control arm bushing
DE102019113847B3 (de) * 2019-05-23 2020-03-26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Lageranordnung
US11179990B2 (en) * 2020-02-28 2021-11-23 Honda Motor Co., Ltd. Bushing collar assembly
US11815149B2 (en) * 2021-05-14 2023-11-14 The Pullman Company Elastomeric bushing with travel limiter
CN114013232B (zh) * 2021-11-09 2022-09-06 北京中资燕京汽车有限公司 重型车辆用后独立悬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48327A (en) * 1930-04-07 1931-05-14 Hamilton Neil Wylie Rubber bearing bushes
US2414743A (en) 1943-07-08 1947-01-21 Lord Mfg Co Joint
US2468985A (en) * 1943-11-26 1949-05-03 Goodrich Co B F Resilient conne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GB884170A (en) 1957-04-24 1961-12-06 Goodrich Co B F Improvements in bushing assemblies
US3230000A (en) * 1962-07-19 1966-01-18 Monarch Rubber Company Resilient bushing manufacture
US3298762A (en) 1962-12-18 1967-01-17 Gen Tire & Rubber Co Self-lubricating joint
US3784180A (en) * 1972-05-17 1974-01-08 A Massinger Stabilizer bar link
FR2335744A1 (fr) * 1975-12-15 1977-07-15 Citroen Sa Assemblage elastique a rigidite differentielle
DE3122311A1 (de) * 1980-06-13 1982-03-18 IAO Industrie Riunite S.p.A., 10092 Beinasco, Torino Vorrichtung zur elastischen befestigung eines vibrierenden teils an einem stuetzbauteil
JPS58141907A (ja) * 1982-02-19 1983-08-23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独立懸架装置
JPS58102845U (ja) * 1981-12-29 1983-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ヨンア−ムのブツシユ組立体
AU565285B2 (en) * 1982-11-01 1987-09-10 Mackay Consolidated Industries Pty. Ltd. Bushing for supporting an eye member
JPS6122944U (ja) * 1984-07-16 1986-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ッシュ組立体
US4744677A (en) * 1984-11-27 1988-05-1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Bush assemblage
JPS6218443U (ko) * 1985-07-18 1987-02-03
JPH07100403B2 (ja) 1986-12-15 1995-11-0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4809960A (en) * 1987-03-26 1989-03-07 Nissan Motor Co., Ltd. Bushing assembly
JPH0681970B2 (ja) * 1989-02-09 1994-10-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ブッシュ組立体
US4944523A (en) * 1989-03-03 1990-07-31 Illinois Tool Works End link for stabilizer bar
JPH05141462A (ja) 1991-11-20 1993-06-08 Bridgestone Corp 筒形防振ゴム
US5275429A (en) * 1992-04-16 1994-01-04 Donald Bunker Control arm assembly
FR2693152B1 (fr) 1992-07-03 1994-08-26 Gaby Mameri Moyen d'assemblage pour liaison essieu-support de châssis pour véhicules, et outil de montage.
US5380036A (en) * 1993-07-14 1995-01-10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rear suspension system
US5472226A (en) * 1994-03-09 1995-12-05 Bunker; Donald D. Walking beam bushing
CA2153914C (en) * 1995-06-23 1999-11-30 Mohawk Manufacturing & Supply, Inc. Stabilizer link
US5794965A (en) * 1995-06-23 1998-08-18 Mohawk Manufacturing & Supply Co., Inc. Stabilizer link
IT1285032B1 (it) * 1996-03-25 1998-06-03 F I B E T S P A Dispositivo di collegamento meccanico a guisa di vincolo elastico assiale e radiale con svincolo torsionale, in particolare per
JPH1151099A (ja) 1997-08-06 1999-02-23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ブッシュ
JPH1163058A (ja) * 1997-08-26 1999-03-05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ブッシュ
US20010040326A1 (en) * 1999-06-14 2001-11-15 Lord Corporation Resilient member with deformed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6354614B1 (en) * 1999-10-08 2002-03-12 Donald R. Ham, Jr. Link assembly for motor vehicle suspension
US6619639B1 (en) 2001-12-21 2003-09-16 Atro Engineered Systems, Inc. Low fiction rotating bushing, particularly for heavy vehicle lift axle
GB2417054B (en) 2004-08-12 2006-06-28 Minebea Co Ltd A resilient bush
US8226066B2 (en) 2007-11-27 2012-07-24 Lord Corporation Center-bonded isolation mounting assembly
CN101391567B (zh) 2008-10-23 2011-03-23 东风汽车公司 双向限位的悬架系统三角臂橡胶衬套
US20130071203A1 (en) 2011-09-21 2013-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astener retention system
US9610818B2 (en) * 2012-12-10 2017-04-04 Illinois Tool Works Inc. Ring lin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69860A1 (en) 2016-12-22
DE112014002792T5 (de) 2016-03-10
CN105392644B (zh) 2018-12-14
CN105392644A (zh) 2016-03-09
WO2015012966A1 (en) 2015-01-29
US10054179B2 (en)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7132A (ko) 압축 제한용 링 링크 조립체
US9610818B2 (en) Ring link assembly
CN101196208B (zh) 球窝接头装置
US8657249B2 (en) Low profile pivoting detent joint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CN102287426B (zh) 挡圈
CN103649567B (zh) 紧固件保持器
US20160053918A1 (en) Tube-retaining clip assembly
US20180186305A1 (en) Service hole fastening clip assembly
US20140042704A1 (en) Seal aligning and retaining assembly and method of retaining a seal
US9931902B2 (en) Stabilizer bushing and stabilizer-bar mounting device
CN103890439B (zh) 弹簧座构件和装备有该构件的弹簧组件
KR20170088876A (ko) 볼 조인트 어셈블리
CN101040142A (zh) 用于流体管线的插头式连接
CN104813062A (zh) 悬架系统的液力减振器和相应的改进的液力止动器
CN100353115C (zh) 具有单向阀的快速连接器
CN103712011B (zh) 插件
CN101939208A (zh) 带有碰撞缓冲的轴向球形接头
CA2657658A1 (en) Coupling assembly and retainer for use with same
IE45463B1 (en) Spring shackle assembly
US7004665B2 (en) Snap together automotive coupler
US6463898B1 (en) Rocker lever ball socket retainer
CN101208536B (zh) 具有整体止动件的合成橡胶弹性缓冲器
CN105579718A (zh) 球座及球型接头
US11982309B2 (en) Ball seat, ball joint, and method for producing ball joint
KR102074724B1 (ko) 서스펜션용 스러스트 베어링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