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525A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9525A KR20160029525A KR1020140119189A KR20140119189A KR20160029525A KR 20160029525 A KR20160029525 A KR 20160029525A KR 1020140119189 A KR1020140119189 A KR 1020140119189A KR 20140119189 A KR20140119189 A KR 20140119189A KR 20160029525 A KR20160029525 A KR 201600295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electronic device
- interface
- processor
- user inte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일 측에 형성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 감지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 및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움직임 신호 및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써 키보드와 마우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마우스에 의해 다양한 입력기능이 수행되고 있다. 마우스에 의하여 입력이 가능한 프로그램들은 통상적으로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선택동작이 수행되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팝업 메뉴의 출력동작이 수행되고 있다. 또한, 마우스의 왼쪽 버튼과 오른쪽 버튼 사이에 스크롤 휠을 장착함으로써,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들을 상하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예: 전자 장치의 화면의 끝 영역 등)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전자 장치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전자 장치의 미리 저장된 위치영역으로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려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능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 등에 대하여 입력 인터페이스의 선택 입력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경우에만 해당 기능이 수행되었다. 이는 사용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속성을 저해하였다.
이에 후술할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줄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일 측에 형성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 감지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 및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움직임 신호 및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측에 실장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이동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동안 스크롤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접근성 및 편의성의 증대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있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 또는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은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 인터페이스(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입력 인터페이스간에 운영되는 시스템은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windows) 컴퓨터 운영 시스템, 애플 Mac OS 또는 Android OS 등의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입력 모듈(120), 오디오 처리모듈(130), 디스플레이 모듈(140), 저장 모듈(150), 프로세서(160), 진동 모듈(1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능적(예: 유선 또는 무선 등)으로 입력 인터페이스(2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전자 장치(100)의 이동통신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 이러한 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 모듈(11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방식을 통해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방식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 설정 및 전자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프로세서(160)로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모듈(130)은 프로세서(16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와, 전자 장치(100)의 특정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마이크(MIC: 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모듈(130)은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는 경우, 통신 모듈(110)을 통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전자 장치(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전자 장치(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40) 지원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40)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터치 패널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정전식의 경우에는 직접 터치 외에 근접 인식도 가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전자 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요청하는 터치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감지된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를 프로세서(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저장 모듈(15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저장된 다양한 파일들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모듈(14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항목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 모듈(15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전자 장치(100)의 부팅 및 전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전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정보,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40)에 제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모듈(150)은 잠금 상태의 화면을 활성화할 수 있는 비밀번호, 패턴 이미지, 지문인식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모듈(150)은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모듈(150)은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입력 신호의 패턴(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실장된 부, 버튼 등의 조합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모듈(150)은, 프로세서(160)가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추가 입력부를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신호와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일 측(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면과 맞닿는 표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일 방향, 동서남북 중 일 방향 등)으로 움직임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60)에 전달할 기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조합(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실장된 부, 버튼 등의 조합 입력 또는 움직임 등의 조합)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와 유선(예: 전자 장치(100)의 입력 단자와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커넥터의 연결,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도선 등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 등)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가 연결 되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가 무선 방식으로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인식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통신 모듈(110)을 통해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RF통신 등을 이용하여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인식된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예: 화살표 모양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클릭 이벤트, 드래그 이벤트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60)가 수신하는 입력신호는 별도의 기능 수행을 요청하는 신호, 특정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예: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의 전환 요청 신호), 패턴 정보(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실장된 버튼들의 조합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로(200)부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예: 상하좌우 방향, 특정 모양(예: 대각선, O모양 X 모양)을 이루는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움직임은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광 센서, 마우스 볼 등을 장착하고 제어회로, 센서부 등을 통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로(200)부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일 방향(예: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등)으로 이동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롤 부는 스크롤 휠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된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캡처(capture)하도록 제어하거나 오디오의 볼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는 특정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 이벤트,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의 수행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프로세서(160)가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아이템을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템,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및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움직임 방향(예: 화면과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마주보는 형태를 기준으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좌측 방향 등)과 동일한 방향(예: 디스플레이 모듈(140)이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좌측 방향 등)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화면과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마주보는 것을 기준으로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60)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아이템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 트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 아이템이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아이템(예: 어플리케이션, 단축 아이콘(shortcut), 썸네일 이미지 등)들을 그룹화한 아이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화면의 일 측(예: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화면과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될 때,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기준으로 화면의 좌측 방향 등)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아이템을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이란 입력에 따라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후 실행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예: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화면의 일 측(예: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화면과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될 때,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기준으로 화면의 하측 방향 또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아이템을 기준으로 이미지 아이템의 하측에 위치한 영역 등)에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상태 정보, 통신 정보, 메모 정보 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 또는 화면에 미리 설정된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0)의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을 선택하는 선택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에 이미지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추가 입력부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을 선택하는 선택부의 입력을 감지하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의 밝기만 미리 설정된 밝기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에 복수의 이미지 아이템들(예: 애플리케이션, 썸네일 이미지 등)이 표시되고,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추가 입력부와 선택부에 대한 입력이 동시에 감지된 이미지 아이템만 밝기가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밝기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팝업창을 표시하는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에 이미지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추가 입력부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에 관하여 미리 설정된 팝업창을 표시하는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의 밝기만 미리 설정된 밝기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화면에 복수의 이미지 아이템들(예: 애플리케이션, 썸네일 이미지 등)이 표시되고, 입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추가 입력부와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이 동시에 감지된 이미지 아이템만 밝기가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밝기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진동 모듈(17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진동을 수행하고, 이를 위하여 진동 모듈(170)은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17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무음 진동 모드 상태에서 통화신호를 수신하거나, 알람 시각이 도래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제어부(210) 및 센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제어부(210) 및 센서부(220)에 추가적으로 메모리(23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메모리(230) 및 통신 인터페이스(240)가 실장되지 않고 제어부(210) 및 센서부(22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컴퓨터 입력 장치(예: 마우스, 휴대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2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물리적 압력일 수 있다. 센서부(220)는 입력이 감지되었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신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통신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RF 통신등을 이용하여 수신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입력부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인식부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선택부 사이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2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2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를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신호는 화면의 이미지 아이템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신한 신호를 유선 방식(예: 케이블, USB 등) 또는 무선 방식(예: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RF 통신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3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이동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3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동안 스크롤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전자 장치(100)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00)와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때,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대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화살표 이미지 아이템 등)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추가 입력부가 가압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입력부는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추가 입력부는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한 추가 입력부가 임의의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선택부(310), 팝업창부(320), 스크롤 부(330) 및 추가 입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외부로부터 선택부(310), 팝업창부(320), 스크롤 부(330) 및 추가 입력부(340)에 대한 물리적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감지된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부(330)는 바퀴 모양을 갖는 스크롤 휠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화면에는 텍스트 이미지 아이템 또는 비디오 이미지 아이템 등을 전부 표시할 수 없을 때,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아이템을 바꿔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롤 이미지 아이템이 화면에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스크롤 부(330)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을 바꾸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발광 다이오드, 광학 엔진, 투시경 부품, 제어 부품, 마우스 볼, 제어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입력부(34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입력부(34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돌출되는 형태의 버튼 등의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입력부(34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좌측 하단 위치 영역(예: 평면 위에 입력 인터페이스(200) 배치되고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평면 위에서 움직일 때 평면과 맞닿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면과 선택부(310)의 사이 영역 등)에 실장, 융착, 용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추가 입력부(340)의 재료는 고무, 플라스틱 수지 등일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00)는 추가 입력부(340)를 물리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 입력부(34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평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40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선택부(410), 팝업창부(420), 스크롤 부(430) 및 추가 입력부(440)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0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추가 입력부(440)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상하좌우(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와 맞닿는 표면을 기준으로 동서남북 등)로 움직임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인 경우, 입력 장치(400)가 추가 입력부(440)를 가압하는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좌측(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와 맞닿는 표면을 기준으로 서쪽 방향 등)으로 이동 시, 태블릿 PC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화면의 좌측(예: 이미지 아이템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이동 방향 등)에 트레이 아이템(46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인 경우, 입력 장치(400)가 추가 입력부(440)를 가압하는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상측(예: 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와 맞닿는 표면을 기준으로 북쪽 방향 등)으로 이동 시, 화면의 상측(예: 이미지 아이템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이동 방향 등)에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45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인 경우, 입력 장치(400)가 추가 입력부(440)를 가압하는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하측(예: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맞닿는 표면을 기준으로 하측 등)으로 이동하는 신호를 수신 시, 태블릿 PC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80)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인 경우, 입력 장치(400)가 추가 입력부(440)를 가압하는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동쪽(예: 입력 인터페이스(200)가 맞닿는 표면을 기준으로 동쪽 방향 등)으로 이동하는 신호를 수신 시, 태블릿 PC는 현재의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캡처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태블릿 PC는 캡처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7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50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선택부(510), 팝업창부(520), 스크롤 부(530) 및 추가 입력부(540)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50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추가 입력부(540)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스크롤 부(530)에 대한 입력(예: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실장된 스크롤 휠에 대한 입력, 입력 인터페이스(200)에 실장된 마우스 볼에 대한 스크롤 등)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오디오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롤 부(530)의 스크롤 업 신호를 수신하면, 오디오 볼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5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업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530)의 일 면을 일정한 방향(예: 선택부(510)와 팝업창부(520)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크롤 부(530)의 스크롤다운 신호를 수신하면, 오디오 볼륨을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다운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530)의 일 면을 일정한 방향(예: 선택부(510)와 팝업창부(520)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60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선택부(610), 팝업창부(620), 스크롤 부(630) 및 추가 입력부(640)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60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추가 입력부(640)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선택부(610) 또는 팝업창부(620)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의 명도를 조절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65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추가 입력부(640)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선택부(610)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되는 명도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의한 명도 조절은, 화면의 해상도 조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추가 입력부(640)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팝업창부(620)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명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70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입력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형성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60)는 유무선 방식을 통하여 입력 인터페이스(160)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70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 및 입력 인터페이스(200)의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한다.
70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캡처 하도록 제어하거나 오디오의 볼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아이템을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이미지 아이템을 선택하는 선택부 또는 화면에 미리 설정된 팝업창을 표시하는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0)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40: 디스플레이 모듈
110: 통신 모듈 150: 저장 모듈
120: 입력 모듈 160: 프로세서
130: 오디오 처리 모듈 170: 진동 모듈
110: 통신 모듈 150: 저장 모듈
120: 입력 모듈 160: 프로세서
130: 오디오 처리 모듈 170: 진동 모듈
Claims (15)
-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전자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일 측에 형성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 감지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 및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움직임 신호 및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캡처하도록 제어하거나 오디오의 볼륨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아이템을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이미지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에 대한 입력 또는 상기 화면에 미리 설정된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선택부에 대한 입력 또는 상기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측에 형성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입력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측에 실장된 스크롤 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캡처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오디오의 볼륨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화면의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아이템을 포함하는 트레이 아이템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화면의 이미지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에 대한 입력 또는 상기 화면에 미리 설정된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는 팝업창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 입력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측에 실장된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가 이동함으로써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 동안 스크롤부에 대한 입력이 감지됨으로써 생성되는 스크롤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측에 실장된 추가 입력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입력부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 인식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선택부 사이 영역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입력부는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입력부는 상기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가 입력부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하는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9189A KR20160029525A (ko) | 2014-09-05 | 2014-09-05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US14/846,136 US20160070368A1 (en) | 2014-09-05 | 2015-09-04 |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9189A KR20160029525A (ko) | 2014-09-05 | 2014-09-05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9525A true KR20160029525A (ko) | 2016-03-15 |
Family
ID=5543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9189A Withdrawn KR20160029525A (ko) | 2014-09-05 | 2014-09-05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070368A1 (ko) |
KR (1) | KR2016002952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865A (ko) * | 2019-06-26 | 2021-01-06 |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웨어러블 제어장치, 가상/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10130B2 (en) * | 2021-03-02 | 2024-02-20 | Carnegie Mellon University | Media control device an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62724B1 (en) * | 1999-04-15 | 2001-07-17 | Apple Computer, Inc. |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media information |
US6580420B1 (en) * | 2000-03-15 | 2003-06-17 | Yanqing Wang | Convertible computer input device |
DE60222178T2 (de) * | 2001-12-20 | 2008-04-30 | Sds Biotech K.K. | Neue substituierte pyrazol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herbizide zusammensetzung |
DE202004010948U1 (de) * | 2003-10-03 | 2004-10-14 | Chen, Richard | Fortentwickelte Maus |
WO2005109847A2 (en) * | 2004-04-30 | 2005-11-17 | Hillcrest Laboratories,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users based on tremor |
US20070132733A1 (en) * | 2004-06-08 | 2007-06-14 | Pranil Ram |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
US20060132447A1 (en) * | 2004-12-16 | 2006-06-22 | Conrad Richard H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orming functions of computer keyboard keys and pointing devices by detection of hand location |
US20080007522A1 (en) * | 2005-03-09 | 2008-01-10 | Rhett Howard E | Multiple-evaluator input device |
CN101156128B (zh) * | 2005-04-06 | 2012-10-10 | 雷泽美国有限公司 | 可编程用户输入设备、对用户输入设备进行编程的方法和装置 |
US8009138B2 (en) * | 2005-05-09 | 2011-08-30 | Sandio Technology Corporation | Multidimensional input device |
US20060250363A1 (en) * | 2005-05-09 | 2006-11-09 | Pin-Kuan Chou | Mouse with imag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US20060274044A1 (en) * | 2005-05-11 | 2006-12-07 | Gikandi David C | Whole hand computer mouse with a button for each finger |
US20080106523A1 (en) * | 2006-11-07 | 2008-05-08 | Conrad Richard H | Ergonomic lift-clic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ctuating home switches on computer input devices |
WO2008066521A1 (en) * | 2006-11-29 | 2008-06-05 | Razer (Asia-Pacific) Pte Ltd | Customizable computer input device |
US7954067B2 (en) * | 2007-03-16 | 2011-05-31 | Apple Inc. | Parameter setting superimposed upon an image |
US7860676B2 (en) * | 2007-06-28 | 2010-12-28 | Hillcrest Laboratories, Inc. | Real-time dynamic tracking of bias |
WO2010088607A1 (en) * | 2009-02-02 | 2010-08-05 | Marc Laverdiere | Touch music player |
US9684521B2 (en) * | 2010-01-26 | 2017-06-20 | Apple Inc. | Systems having discrete and continuous gesture recognizers |
US9454297B2 (en) * | 2009-06-12 | 2016-09-27 | Steelseries Aps | Navigation device and methods thereof |
KR101604080B1 (ko) * | 2009-07-21 | 2016-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혈관 가압 커프, 상기 혈관 가압 커프를 구비한 혈압 측정 장치, 및 상기 혈압 측정 장치를 이용한 혈압 측정 방법 |
KR101722616B1 (ko) * | 2009-12-24 | 2017-04-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
WO2011125296A1 (ja) * | 2010-04-01 | 2011-10-13 |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 スケール付きβ写像に基づくデータコンバート方式 |
TWI406157B (zh) * | 2010-04-23 | 2013-08-21 | Primax Electronics Ltd | 多功能滑鼠裝置 |
CN103205859B (zh) * | 2012-01-16 | 2014-08-06 | 杜邦公司 | 包括聚对苯二甲酸丙二酯的经编织物 |
US8988372B2 (en) * | 2012-02-22 | 2015-03-24 | Avolonte Health LLC | Obtaining physiological measurements using a portable device |
US9632685B2 (en) * | 2012-05-31 | 2017-04-25 | Eric Qing Li | Method of navigating through a media program display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magnified time scale |
TWI501199B (zh) * | 2013-07-16 | 2015-09-21 | Pixart Imaging Inc | 具有操作模式分析之輸入裝置及電腦系統 |
TWI556090B (zh) * | 2013-09-13 | 2016-11-01 |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 無線周邊裝置之電池電量顯示系統 |
KR20150080995A (ko) * | 2014-01-03 | 2015-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입력 장치를 갖는 전자장치에서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
TWI520017B (zh) * | 2014-01-23 | 2016-02-01 | 艾維克科技股份有限公司 | 滑鼠按鍵功能設定方法及其系統 |
-
2014
- 2014-09-05 KR KR1020140119189A patent/KR2016002952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5
- 2015-09-04 US US14/846,136 patent/US20160070368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865A (ko) * | 2019-06-26 | 2021-01-06 |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 웨어러블 제어장치, 가상/증강현실 시스템 및 제어방법 |
US11175758B2 (en) | 2019-06-26 | 2021-11-16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Wearable control device, virtual/augmented reality system and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70368A1 (en) | 2016-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2003B1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표시 제어 방법 | |
KR10151828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2348947B1 (ko) |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9262867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 |
US20150095819A1 (en) | Method for displaying previews in a widget | |
US20150193103A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70277499A1 (en) | Method for providing remark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and terminal therefor | |
KR20170088691A (ko) | 페어링된 장치, 알림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관한 한 손 조작 모드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20160062452A (ko)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160005895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전자 장치를 위한 액세서리 | |
US1048179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sing on-screen keyboard | |
US11209930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using various input type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 |
EP3101525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3699743B1 (en) | Image view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KR20160009323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
KR102542913B1 (ko) | 회전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160026480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2018007987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11221732B2 (en) |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US20150193613A1 (en) |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necting to external apparatus | |
KR2017004645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29525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
KR2016004383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545907B1 (ko) |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KR20160032942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