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256A -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 Google Patents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8256A KR20160028256A KR1020140117084A KR20140117084A KR20160028256A KR 20160028256 A KR20160028256 A KR 20160028256A KR 1020140117084 A KR1020140117084 A KR 1020140117084A KR 20140117084 A KR20140117084 A KR 20140117084A KR 20160028256 A KR20160028256 A KR 201600282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suspension mounting
- coupled
- mounting member
- p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4—Vehicle body mounted on resilient suspension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사이드멤버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 및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에 구비되는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로워패널에 결합되는 로워 브라켓과,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어퍼패널에 결합되는 어퍼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브라켓과 어퍼 브라켓은 상호 결합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rame structure, which comprises a pair of side members, a cross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members, and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provided on a side of the side member,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side member lower panel of the side member, and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side upper panel of the side member, wherein the lower bracket and the upper bra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end 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킨 차량용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ram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frame structure in which strength and durability of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are increased.
일반적으로 대형 트럭 등의 차량은 차체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차체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한 차체 프레임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멤버와, 상기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 및 서스펜션을 장착하는 서스펜션 마운팅부를 포함한다.BACKGROUND ART Generally, a vehicle such as a heavy truck is provided with a vehicle body fram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body frame includes a side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cross member connecting the side member, And a suspension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suspension.
종래기술에 따른 서스펜션 마운팅부는 주물공법을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차체에 하중이 많이 걸릴 경우 강도 및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Since the suspension mounting p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nufactured through the casting metho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vehicle body, there arises a problem in strength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스펜션 마운팅부를 프레스 공법으로 가공하고, 폐단면 구조로 개선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킨 차량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suspension mounting portion is processed by a press method and is improved to a closed end face structure to increase strength and durabilit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구조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 및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에 구비되는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로워패널에 결합되는 로워 브라켓과,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어퍼패널에 결합되는 어퍼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브라켓과 어퍼 브라켓은 상호 결합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vehicl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ide members, a cross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members, and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ide member Wherein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includes a lower bracket coupled to a side lower panel of the side member and an upper bracket coupled to a side upper panel of the side member, wherein the lower bracket and the upper bra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formed.
상기 로워 브라켓은 일측 상부에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로워패널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서스펜션 장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로워 측벽부과, 상기 한 쌍의 로워 측벽부에 형성된 장착홈을 연결하는 로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어퍼패널에 결합되는 어퍼 수직면과, 한 쌍의 로워 측벽부 사이의 상면과 정면에 연결되는 연결하는 어퍼 수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bracket includes a pair of lower side walls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coupling grooves for coupling the side members of the side member and suspension mounting groove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racket, And the upper bracket may include an upper vertical surface coupled to the side upper panel of the side member and an upper horizontal surfac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between the pair of lower side wall portions.
상기 로워 브라켓은 로워 측벽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멤버에 연결된 크로스멤버에 결합되는 로워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bracket may include a lower reinforcement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side wall portion and coupled to the cross member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상기 로워 보강부는 크로스멤버의 측면과 저면에 함께 결합되도록 "ㄴ"자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lower reinforcement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uch that it is joined together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cross member.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과 상기 마운팅멤버의 측면을 연결하는 측면 보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보강브라켓은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과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ㄷ "자형 단면을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과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And a side reinforcement bracket connecting the side of the side member and the side of the mounting member. The side reinforcement bracket has a U-shaped cross-section so as to open toward the side of the side member and the sid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 Both ends of which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ide member and the sid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respectively.
상기 사이드멤버의 저면과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을 연결하는 저면 보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면 보강브라켓은 상기 사이드멤버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선단이 상기 사이드멤버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And a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conn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the sid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the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having a " C "shaped cross-section so as to ope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the rear end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상기 저면 보강브라켓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may be formed so that its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상호 대응하는 상기 측면 보강브라켓의 단부와 상기 저면 보강브라켓의 단부는 겹쳐져 결합될 수 있다.The end portions of the side reinforcing brackets and the end portions of the bottom reinforcing brackets may overlap with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로워 측벽부 사이에는 내면 보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And an inner surface reinforcement bracke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lower side wall por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는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특히 프레스 가공방법으로 제조하여 제조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can increas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manufactur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구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를 도시한 배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를 도시한 측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내측 보강브라켓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enlarged view of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enlarged view of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ner reinforcement bracket of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레임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쌍의 사이드멤버(110)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멤버(110)를 연결하는 크로스멤버(120), 및 상기 사이드멤버(1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를 포함한다.1, a vehicl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사이드멤버(11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되고, 사이드 로워패널(111)과 사이드 어퍼패널(112)로 마련되며, 사이드 로워패널(111)과 사이드 어퍼패널(112)의 결합에 의해 폐단면을 형성한다.The
크로스멤버(120)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구비되고, 양 단부가 한 쌍의 사이드멤버(110)에 각각 결합되며, 크로스 로워패널(121)과 크로스 어퍼패널(122)로 마련되고, 크로스 로워패널(121)과 크로스 어퍼패널(122)의 결합에 의해 폐단면을 형성한다.The
여기서 사이드멤버(110)의 측면에는 서스펜션을 장착하기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는 폐단면으로 구성된다. Here, a side surface of the
일례로, 본 발명의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대형 트럭에 적용되는 것으로, 사이드멤버(110)의 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를 통해 서스펜션(미도시)이 장착된다.For example, the
즉,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는 사이드멤버(110)의 사이드 로워패널(111)에 결합되는 로워 브라켓(210)과, 사이드멤버(110)의 사이드 어퍼패널(112)에 결합되는 어퍼 브라켓(220)을 포함하고, 로워 브라켓(210)과 어퍼 브라켓(220)은 상호 결합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한다.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로워 브라켓(210)은 일측 상부에 사이드 로워패널(111)이 삽입되고 결합되는 결합홈(211a)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서스펜션 장착홈(211b)이 형성되는 한 쌍의 로워 측벽부(211)과, 한 쌍의 로워 측벽부(211) 장착홈(211b)을 연결하는 로워 연결부(212)를 포함한다. 즉, 한 쌍의 로워 측벽부(211)와 로워 연결부(212)가 연결되면서 "U"자형 단면을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로워 연결부(212)는 한 쌍의 로워 측벽부(211) 장착홈(211b) 둘레를 따라 연결되게 형성되면서 로워 브라켓(210)의 강성을 증대시킨다.Here, the lower connecting
한편, 로워 브라켓(210)은 로워 측벽부(2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멤버(110)에 연결된 크로스멤버(120) 저부에 결합되는 로워 보강부(213)를 포함하며, 로워 보강부(213)를 통해 로워 브라켓(21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특히, 로워 보강부(213)은 크로스멤버(120)의 저부 측면과 저면에 함께 결합되도록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이에 크로스멤버(120)와의 결합면적을 증대시켜 강도 및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the lower reinforcing
어퍼 브라켓(220)은 사이드 어퍼패널(112)에 결합되는 어퍼 수직면(221)과, 한 쌍의 로워 측벽부(211) 사이의 상부면과 앞쪽면에 결합되는 어퍼 수평면(222)을 포함한다. 즉, 어퍼 브라켓(220)과 로워 브라켓(210)의 결합에 의해 "ㅁ"자 단면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한다.The
이와 같이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는 로워 브라켓(210)과 어퍼 브라켓(220)의 결합에 의한 폐단면을 통해 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Thus, the
한편, 사이드멤버(110)의 측면과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을 연결하는 측면 보강브라켓(230)을 포함한다.And a
즉, 측면 보강브라켓(23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멤버(110)의 측면과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ㄷ "자형 단면을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과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2 and 5, the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측면 보강브라켓(230)은 수직면(231)과, 상기 수직면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사이드멤버(110)의 측면과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플랜지(232a)가 형성된 수평면(232)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면(231)과 수평면(232)은 ㄷ "자형 단면을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측면 보강브라켓(230)은 도 2에 표시된 "A"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에 발생하는 비틀림에 대해 강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사이드멤버(110)의 저면과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을 연결하는 저면 보강브라켓(240)을 포함한다.And a
저면 보강브라켓(24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저면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멤버(110)의 저면과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을 향해 개방되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선단이 사이드멤버(110)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후단이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에 결합된다.The
즉, 저면 보강브라켓(240)은 도 2에 표시된 "B"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에 발생하는 비틀림에 대해 강성을 높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여기서 저면 보강브라켓(240)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이에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Here, the
한편, 상호 대응하는 상기 측면 보강브라켓(230)의 단부와 상기 저면 보강 브라켓(240)의 단부는 도 5를 참조하면, 겹쳐져 결합되며, 즉, 저면 보강 브라켓(240)의 단부가 상기 측면 보강브라켓(230)의 단부 상면에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며, 이에 서스펜션 마운팅멤버(200)의 측면부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5, the end portions of the
한편, 한 쌍의 로워 측벽부(211)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쌍의 로워 측벽부(211) 상단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 레인프(250)를 포함하며, 보강 레인프(250)는 "V"자 형태로 형성된다.6, a reinforc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는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vehicle frame structure having such a structure can improve the rigidity and durability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suspension is mounted.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사이드멤버
111: 사이드 로워패널
112: 사이드 어퍼패널
120: 크로스멤버
121: 크로스 로워패널
122: 크로스 어퍼패널
200: 서스펜션 마운팅멤버
210: 로워 브라켓
211: 로워 측벽부
211a: 결합홈
211b: 장착홈
212: 로워 연결부
213: 로워 보강부
220: 어퍼 브라켓
221: 어퍼 수직면
222: 어퍼 수평면
230: 측면 보강브라켓
240: 저면 보강브라켓
250: 내면 보강브라켓110: Side member
111: Side lower panel
112: Side Upper Panel
120: Cross member
121: Crossrohr panel
122: Cross Upper Panel
200: Suspension mounting member
210: Lower bracket
211: Lower side wall portion
211a: coupling groove
211b: mounting groove
212: Lower connection
213: Lower reinforcement
220: Upper bracket
221: Upper vertical plane
222: Upper horizontal plane
230: Side reinforcement bracket
240: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250: Inner reinforcement bracket
Claims (11)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로워패널에 결합되는 로워 브라켓과,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어퍼패널에 결합되는 어퍼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워 브라켓과 어퍼 브라켓은 상호 결합되면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A pair of side members, a cross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members, and a suspension mounting member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ide member,
Wherein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includes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side lower panel of the side member and an upper bracket coupled to the side upper panel of the side member,
And the lower bracket and the upper bra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end face.
상기 로워 브라켓은 일측 상부에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로워패널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서스펜션 장착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로워 측벽부과, 상기 한 쌍의 로워 측벽부에 형성된 장착홈을 연결하는 로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멤버의 사이드 어퍼패널에 결합되는 어퍼 수직면과, 한 쌍의 로워 측벽부 사이의 상부면과 앞쪽면에 연결되는 연결하는 어퍼 수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bracket includes a pair of lower side walls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coupling grooves for coupling the side members of the side member and suspension mounting groove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racket, And a lower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Wherein the upper bracket includes an upper vertical surface coupled to a side upper panel of the side member and an upper horizontal surfac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between the pair of lower side wall portions.
상기 로워 브라켓은 로워 측벽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멤버에 연결된 크로스멤버에 결합되는 로워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wer bracket includes a lower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side wall portion and coupled to a cross member connected to the side member.
상기 로워 보강부는 크로스멤버의 측면과 저면에 함께 결합되도록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lower reinforcing portion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B" so as to be joined together on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ross member.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과 상기 마운팅멤버의 측면을 연결하는 측면 보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2,
And a side reinforcement bracket connecting side surfaces of the side members and side surfaces of the mounting member.
상기 측면 보강브라켓은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과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ㄷ "자형 단면을 가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멤버의 측면과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ide reinforcement bracket has a U-shaped cross-section so as to open toward a side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a side surfac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and both side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a side surfac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A frame structure for a vehicle.
상기 사이드멤버의 저면과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을 연결하는 저면 보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2,
And a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conn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상기 저면 보강브라켓은 상기 사이드멤버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선단이 상기 사이드멤버의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멤버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7,
The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has a " C "-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open toward the bottom of the side member, and the front end of the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spension mounting member Of the frame structure.
상기 저면 보강브라켓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ottom reinforcement bracket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상호 대응하는 상기 측면 보강브라켓의 단부와 상기 저면 보강브라켓의 단부는 겹쳐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end portions of the side reinforcing brackets and the end portions of the bottom reinforcing bracke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overlapped and joined to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로워 측벽부 사이에는 내면 보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The method of claim 2,
And an inner surface reinforcement bracket between the pair of lower side wall portio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084A KR102175954B1 (en) | 2014-09-03 | 2014-09-03 |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7084A KR102175954B1 (en) | 2014-09-03 | 2014-09-03 |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8256A true KR20160028256A (en) | 2016-03-11 |
KR102175954B1 KR102175954B1 (en) | 2020-11-09 |
Family
ID=5558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7084A Active KR102175954B1 (en) | 2014-09-03 | 2014-09-03 |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595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0120A (en) * | 2018-10-08 | 2020-04-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front struc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4353A (en) * | 1992-07-08 | 1994-02-01 | Toyota Motor Corp | Cross member coupling structure for frame for automobile |
JPH0656051A (en) * | 1992-08-07 | 1994-03-01 | Toyota Motor Corp | Car body structure |
JP2000313361A (en) * | 1999-04-28 | 2000-11-14 | Toyota Auto Body Co Ltd | Support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bracket |
KR20030016622A (en) | 2001-08-21 | 2003-03-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
KR20080028141A (en) * | 2006-09-26 | 2008-03-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uspension arm mount structure |
-
2014
- 2014-09-03 KR KR1020140117084A patent/KR1021759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4353A (en) * | 1992-07-08 | 1994-02-01 | Toyota Motor Corp | Cross member coupling structure for frame for automobile |
JPH0656051A (en) * | 1992-08-07 | 1994-03-01 | Toyota Motor Corp | Car body structure |
JP2000313361A (en) * | 1999-04-28 | 2000-11-14 | Toyota Auto Body Co Ltd | Support structure of vehicle suspension bracket |
KR20030016622A (en) | 2001-08-21 | 2003-03-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
KR20080028141A (en) * | 2006-09-26 | 2008-03-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uspension arm mount struc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0120A (en) * | 2018-10-08 | 2020-04-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front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5954B1 (en) | 2020-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15808B2 (en) |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 |
US9457636B2 (en) | Suspension frame structure | |
KR101338966B1 (en) | Suspension device for automobile | |
JP2011219014A5 (en) | ||
JP6350461B2 (en) | Stabilizer support structure | |
CN108025773B (en) | Rear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 |
KR101558745B1 (en) | Under-floor frame system for vehicle | |
CN105564508A (en) | Vehicle connecting member and vehicle front section structure | |
US20160375938A1 (en) | Suspension member | |
KR101454726B1 (en) | Resin roof panel structure | |
WO2017068973A1 (en) | Body frame structure | |
KR20160028256A (en) | Suspension mounting device of vehicle | |
JP2007118929A (en) | Rear roof rail part structure in back-door vehicle | |
US20170259638A1 (en) | Axle Unit | |
JP2013144484A (en) | Vehicle body frame reinforcing structure | |
KR20160138006A (en) | Torsion beam suspension | |
KR20150104268A (en) | Under-floor frame system for vehicle | |
CN108674485B (en) | Support bracket for a suppor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cross-member | |
JP5831358B2 (en) | Vehicle rear structure | |
JP2014201072A (en) | Rear suspension bracket structure | |
WO2018155573A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KR101760279B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door hinge of vehicles | |
JP6201543B2 (en) | Body lower frame structure | |
JP2015081019A (en) | Side part structure of vehicle rear | |
WO2018155571A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