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28071A - 우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우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071A
KR20160028071A KR1020140116366A KR20140116366A KR20160028071A KR 20160028071 A KR20160028071 A KR 20160028071A KR 1020140116366 A KR1020140116366 A KR 1020140116366A KR 20140116366 A KR20140116366 A KR 20140116366A KR 20160028071 A KR20160028071 A KR 20160028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ration
contaminants
filter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562B1 (ko
Inventor
민병영
Original Assignee
(주)워터소루션텍
민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터소루션텍, 민병영 filed Critical (주)워터소루션텍
Priority to KR102014011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5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5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침사조의 스크린이 일정 수위 이상에서 잠겨지는 위치에 설치되고, 급기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관의 공기분사노즐 유닛이 여과조의 여과필터 아래에 설치되어 여과조의 수중에 폭기되는 수류에 의하여 침전된 오염물질을 수중에 확산시키면서 여과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게 되며, 침사조와 정류조에 정체된 우수와 여과조에서 폭기된 우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양수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초기 강우 초기에 지붕, 옥상 또는 도로에서 많은 양의 협잡물과 오염물질을 포함하여 흘러내리는 우수를 한정된 공간 내에 저장하고, 저장된 우수의 협잡물을 분리하여 여과 및 정화 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우수 처리 장치에서, 오염물질이 여과필터에 부착되어 생성되는 협착물을 제거하고, 장치 내에 잔존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우수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rain water}
본 발명은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수를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강우 초기에 지붕, 옥상 또는 도로에서 많은 양의 협잡물과 오염물질을 포함하여 흘러내리는 우수를 한정된 공간 내에 저장하고, 저장된 우수의 협잡물을 분리하여 여과 및 정화 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우수 처리 장치에서 오염물질이 여과필터에 부착되어 생성되는 협착물을 제거하고, 장치 내에 잔존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와 강우량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비점오염원에 의한 공공수역의 수질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도로를 따라 흘러 하천이나 지하수로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도로의 근처에 웅덩이를 만들어서 우수가 집수될 수 있게 하고, 여기에 미나리와 같이 수질 정화 능력이 있는 식물을 육생시키면서 집수된 우수가 정화되게 한 다음 방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인구가 밀집되고 도시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비점오염물의 유입이 증대되어 별도의 여과 처리 시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여과 처리 시설은 침전과 폭기 및 여과를 동반하는 우수 처리 장치이다.
KR10-0897258 1
우수를 활용함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강우 초기의 우수에는 대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함께 건물의 옥상이나 가옥의 지붕 및 지상에 산재되어 있는 종이, 나뭇잎, 나무조각, 합성수지류 등과 같은 각종 협잡물을 동반하여 강, 하천, 호수 등과 같은 수계의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초기 강우의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을 분리하고, 여과 처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우수 처리 장치의 일례는 대한민국 특허 10-0897258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에서 제안되었다.
상기한 우수 처리 장치는 스크린이 설치되어 비점오염물을 저장하여 이송시키는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를 통과한 우수를 여과 처리하는 침전 여과조와, 상기 침전 여과조에서 처리된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정류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외부에서 비점오염원이 유입되는 공급관의 출구측 바로 아래쪽에 설치된 스크린에 협잡물이 1차적으로 분리된 다음 스크린을 통과한 우수가 침전조에 저장되는 구조로 되어, 초기에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이 많을 경우에는 스크린의 상부 공간이 막히게 되어 비점오염원이 월류하게 되는 등 처리과정이 원활하지 못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침전 여과조에서 우수의 흐름이 상향 이동식으로 되는 우수 처리 장치에서는 여과필터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이 점차 누적되어 여과 및 배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대부분의 우수 처리 장치는 지하에 매설됨에 따라 여과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여과필터를 역세척하는 장치가 고안되었는데, 종래의 역세척 장치는 별도의 상수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어서 수자원이 낭비되고, 상수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수 처리 장치는 구조적으로 처리되는 우수가 모두 배출되지 않고 침사조와 여과조 및 정류조에 가두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우수는 유기 오염물질에 의하여 쉽게 부패되어 악취를 발생하거나 모기와 같은 해충이 서식 및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여 도시의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 가옥의 지붕이나 건물 옥상에서 흘러내리는 초기의 우수로부터 낙엽 등과 같은 협잡물과 오염물질을 자동적으로 분리하고, 협잡물과 오염물질이 분리된 다량의 우수를 한정된 공간 내에 저장될 수 있게 하면서, 저장되는 우수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연침전과 여과수단에 의하여 미세한 오염물질을 분리함으로써, 강, 하천, 호수 등의 수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침사조와 여과조 및 정류조에 정체된 우수를 외부를 배출시켜서 우수 처리 장치 내에 정체된 우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여과조의 여과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고, 여과조에 정체된 우수에서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수중에 분산시켜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1격판에 의하여 구분되면서, 비점오염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1차로 여과시키기 위한 스크린이 설치되어 비점오염물을 저장하여 이송시키는 침사조와,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제1격판과 제2격판에 의하여 구분되면서 상기 침사조의 제1격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유입공에 의하여 연속적인 공간을 이루면서 여과필터가 설치되는 여과조와, 상기 제2격판에 의하여 구분되어 여과조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한 다음 배출하는 정류조로 이루어지는 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분산시키고, 여과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과; 상기 여과조를 세척한 여과조의 오수와 상기 침사조 및 정류조의 우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침사조와 여과조 및 정류조에 설치되는 양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이다.
세척수단은 급기펌프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관의 공기분사노즐 유닛이 여과조의 여과필터 아래에 설치되어 여과조의 수중에 폭기되는 수류에 의하여 침전된 오염물질을 수중에 확산시키면서 여과필터의 하부면과 내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척수단은 정류조에 설치되는 양수펌프의 양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세척수관이 여과필터의 상부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정화된 정류조의 우수를 이용하여 여과필터를 역세척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공기분사노즐 유닛은 여과필터의 하부면 보다 여과조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공기분사노즐 유닛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한 수류가 여과필터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분사노즐 유닛은 여과조의 바닥면 보다 여과필터 하부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공기분사노즐 유닛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한 수류가 여과필터에 도달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침사조의 스크린이 일정 수위 이상에서 잠겨지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강우 초기에 대량으로 유입되는 협잡물들이 일단 침사조에 저장된 다음, 수위가 점차 높아지면서 점차적으로 스크린에 여과되어 우수가 배출되고, 공기분사노즐 유닛에서 발생되는 공기에 의한 수류를 이용하여 여과조의 하층수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수중에 부유시키면서 여과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정화처리된 정류조의 우수를 이용하여 여과필터를 역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유 및 세척에 사용되어 오염된 우수를 외부로 양수시켜서 별도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정하된 우수를 이용하여 여과필터를 세척시키고, 세척된 오염물질을 여과조에 침전된 오염물질과 함께 외부로 양수시킴으로써 여과필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여과조 이외에 침사조와 정류조에 고여있는 우수를 적시에 양수시킴으로써, 악취를 방지하고, 모기와 같은 해충이 서식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여과필터에 누적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공기분사노즐 유닛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폭기 시스템과 같은 역할도 할 수 있게 되어 저장된 우수에서 호기성 미생물이 물속의 유기물을 잘 분해할 수 있도록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을 높여서 자정 작용에 의한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수 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수 처리 장치의 단면도로서 우수가 만수되어 정화처리가 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수 처리 장치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설치되는 제1격벽(1)과 제2격벽(2)에 의하여 구획되는 침사조(3), 여과조(4), 정류조(5), 그리고 세척수단 및 양수수단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사각형 또는 원통형의 저장탱크와 같은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한쪽편에는 비점오염물을 포함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01)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는 여과 처리된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02)이 형성되어있다.
유입관(101)은 침사조(3)에서 충분한 저수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우징(1)의 상부쪽에 형성되고, 배출관(102)은 여과처리된 우수가 정류조(5)에서 서서히 방류될 수 있도록 대략 하우징(1)의 중앙 부위에서 유입관(10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중력에 의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격벽(1)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하우징(100)의 상판(103)과 바닥판(104)에 지지되면서 하단부에는 침사조(3)와 여과조(4)가 연속된 공간으로 연결되는 하부 유입공(10)이 형성되어 침사조(3)의 우수가 여과조(4)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제2격벽(2)의 상단부는 하우징(100)의 상판(10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우수가 배출되는 하부 유입공(105)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우수의 유출이 없도록 바닥판(104)과 접촉되어 있다.
침사조(3)는 초기 우수에서 비점오염물과 함께 유입되는 다량의 협잡물을 수용하여 저장한 다음, 비교적 비중이 큰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고, 협잡물이 여과 분리될 수 있게 한 다음, 이렇게 여과된 우수가 여과조(4)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제1격벽(1)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하단부가 하우징(100)의 바닥면(104) 접촉하는 제3격벽(30)의 상단부에 스크린(31)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스크린(31)은 침사조(3)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될 때에 협잡물을 여과하여 여과조(4)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상승하는 수위에 잠기게 설치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협잡물이 적층되어 폐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침사조(3)에는 집중 호우로 인하여 유입관(10)으로부터 우수가 급속하게 유입될 경우에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우수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바이패스관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협잡물을 분리시키는 스크린(31)이 제1격벽(1)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승하는 우수의 수위에 점차적으로 잠겨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바이패스관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우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과조(4)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제1격판(1)과 제2격판(2) 사이의 공간에서 형성되면서, 여과필터(40)의 양단부가 제1격판(1)과 제2격판(2)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미세한 오염물질을 여과하여 배출시킨다.
정류조(5)는 여과조(4)에서 오염물질이 처리된 우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저장되는 수위가 높아지면 양수수단에 의하여 정화된 우수를 배출관(102)으로 배출시키면서 여과필터(40)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세척수단은 하우징(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급기펌프(20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송되는 급기관(202)의 단부가 다수개로 분기관으로 분기되면서, 각각의 분기관에 다수의 분사노즐(203)을 구비하는 분사노즐 유닛(204)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관(202)은 정류조(5)와 제2격벽(2)의 하부를 통하여 여과조(4)에 도달하게 되며, 분사노즐 유닛(204)은 여과조(4)의 하부에 위치된다.
양수수단은 침사조(3)에 설치되는 제1양수펌프(301)와 여과조(4)에 설치되는 제2양수펌프(302)와 제3양수펌프(303) 및 정류조(5)에 설치되는 제4양수펌프(304)로 구성된다.
제1양수펌프(301), 제2양수펌프(302), 제4양수펌프(304)는 수중펌프로 되어 우수에 침수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제3양수펌프(303)는 상판(103) 위에 설치된다.
제1양수펌프(301)의 제1양수관(311)과 제2양수펌프(302)의 제2양수관(312)은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출수측이 하나의 오수배수관(310)에 접속되어 합류되고, 제3양수펌프(303)의 제3양수관(303)은 여과필터(40)의 아래쪽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면서 출수측이 상기 오수배수관(310)에 접속되어 합류된다.
그리고 제4양수펌프(304)의 제4양수관(314)은 정화수배출관(320)과 세척수관(321)으로 분기되어, 정화수배출관(320)은 배출관(102)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고, 세척수관(321)은 여과필터(4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3양수관(313)은 평면상에서 분사노즐(203)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분사노즐(203)에서 분사되는 수류가 저촉되지 않고 여과필터(40)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우수 처리 장치는 지중에 매설되어 강우시 도로상에 방치된 나뭇잎, 나뭇가지, 종이 및 비닐조각 등과 같은 협잡물이 비점오염물과 함께 유입관(101)으로 유입되어 침사조(3)에 저장된다.
이후 계속되는 강우로 인하여 침사조(3)에 저장되는 우수의 수위가 상승하면 경사지게 설치된 스크린(31)에 의하여 우수의 유량이 조절되면서 서서히 여과조(4)로 배출된다.
이때, 나뭇잎, 나뭇가지, 종이 및 비닐조각 등과 같은 협잡물은 스크린(31)에 여과되어 여과조(4)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각종오염물질을 포함한 비점오염물이 스크린(31)을 통과하게 된다.
스크린(31)을 통과한 우수는 제1격벽(1)의 하부 유입공(10)을 통하여 여과필터(40)쪽의 수면이 서서히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비교적 무거운 오염물질은 침전이 되고, 비교적 미세한 오염물질 들은 여과필터(4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다음 제2격벽(2)의 상부로 월류한 다음 정류조(5)로 배출된다.
정류조(5)에 도달한 우수는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배출관(102)을 통하여 서서히 배출된다.
이러한 우수 처리 과정은 통상적인 우수 처리 장치와 유사한 것으로, 강우가 개시된 이후에는 장기간 동안 강우가 없을 경우에도 우수가 침사조(3)와 여과조(4) 및 정류조(5)에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며 고여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우징(100) 내에 고여 있는 우수는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누적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서식과 번식을 하는 장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우징(100)내의 우수는 적정한 시점에서 인위적으로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우수가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급기펌프(201)는 여과조(4)의 수위가 여과필터(40) 하부에서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게 될 때에 작동하거나, 여과조(4)가 오염된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하여 작동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기펌프(201)로부터 급기관(202)을 통하여 분사노즐(203)에서 분사되는 기포와 함께 수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수류는 여과조(4)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수중에 확산시켜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수류는 여과필터(40)까지 도달하여 여과필터(40)의 하부면과 내부에 부착되어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분사노즐(203)에서 분사되는 수류는 분사노즐(203)이 평면상에서 제3양수관(313)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제3양수관(313)에 저촉되지 않고 여과필터(40)까지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분사노즐유닛(204)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폭기 시스템과 같은 작용도 할 수 있게 되어 저장된 우수에서 호기성 미생물이 물속의 유기물을 잘 분해할 수 있도록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제2양수펌프(302)와 제3양수펌프(303)가 구동하면 수중에 오염물질이 분산된 여과조(4) 하부의 오수는 제2양수관(312)을 통하여 오수배출관(310)으로 배출되고, 상부의 오수는 제3양수관(313)에 흡입되어 오수배수관(310)으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1양수펌프(301)와 제4양수펌프(304)가 구동하면 침사조(3)와 정류조(5)의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다량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여과조(4)의 우수를 외부로 양수하여 별도의 정화처리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침사조(3)에 정체되어 있는 우수는 제1양수펌프(301)로 흡입된 다음 제1양수관(311)을 통하여 오수배수관(310)으로 배출되고, 여과필터(40)에서 여과 및 정화처리가 되어 정류조(5)에 정체되어 있는 정화수는 제4양수펌프(304)로 흡입된 다음 정화수배출관(3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4양수관(314)으로 배출되는 정화수의 일부는 세척수관(321)으로 유입되어 여과필터(40)를 역세척할 수 있게 된다.
여과필터(40)의 역세척에 사용된 오수는 제2양수펌프(302)와 제3양수펌프(303)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양수펌프(304)는 여과필터(40)를 역세척하기 위하여 단독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렇게 정류조(5)의 정화수를 이용하는 역세척 방식은 외부의 상수도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이다.
따라서 여과필터(40)를 적절한 시기에 세척하여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침사조(3)와 여과조(4) 및 정류조(5)에 정체되어 있는 우수를 배출하여 모기와 같은 해충이 서식하거나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여 있는 우수의 부패로 인한 악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급기수단과 양수수단은 적정한 위치에서 침사조(3)와 여과조(4) 및 정류조(5)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제어가 될 수 있고, 우수의 오염도와 여과필터(40)의 오염정도에 따라 수동제어를 할 수도 있다.
1 : 제1격판 2 : 제2격판
3 : 침사조 4 : 여과조
5 : 정류조 10 : 하부 유입공
30 : 제3격벽 31 : 스크린
40 : 여과필터 100 : 하우징
101 : 유입관 102 : 배출관
103 : 상판 104 : 바닥판
201 : 급기펌프 202 : 급기관
203 : 분사노즐 204 : 분사노즐 유닛
301 : 제1양수펌프 302 : 제2양수펌프
303 : 제3양수펌프 304 : 제4양수펌프
310 : 오수배수관 311 : 제1양수관
312 : 제2양수관 313 : 제3양수관
314 : 제4양수관 320 : 정화수배수관
321 : 세척수관

Claims (6)

  1. 하우징(100)내에 설치되는 제1격판(1)에 의하여 구분되면서 비점오염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1차로 여과시키기 위한 스크린(31)이 설치되어 비점오염물을 저장하여 이송시키는 침사조(3)와,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제1격판(1)과 제2격판(2)에 의하여 구분되면서 상기 침사조(3)의 제1격판(1)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유입공(10)에 의하여 연속적인 공간을 이루면서 여과필터(40)가 설치되는 여과조(4)와, 상기 제2격판(2)에 의하여 구분되어 여과조(4)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한 다음 배출하는 정류조(5)로 이루어지는 우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4)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분산시키고, 여과필터(4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과;
    상기 여과조(4)를 세척한 오수와 상기 침사조(3) 및 정류조(5)의 우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침사조(4)와 여과조(4) 및 정류조(5)에 설치되는 제1, 제2, 제3, 제4양수펌프(301, 302, 303, 304)를 포함하는 우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침사조(4)의 스크린(31)이 일정 수위 이상에서 잠겨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수단은 급기펌프(201)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관(202)의 공기분사노즐 유닛(204)이 여과조(4)의 여과필터(40) 아래에 설치되어 여과조(4)의 수중에 폭기되는 수류에 의하여 침전된 오염물질을 수중에 확산시키면서 여과필터(4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수단은 정류조(5)에 설치되는 제4양수펌프(304)의 제4양수관(314)로부터 분기되는 세척수관(321)이 여과필터(40)의 상부에 도달하여 정화된 정류조(5)의 우수를 배출하면서 여과필터(40)를 역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분사노즐 유닛(204)이 여과필터(40)의 하부면 보다 여과조(4)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공기분사노즐 유닛(204)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한 수류가 여과필터(40)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 처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분사노즐 유닛(204)이 여과조(4)의 바닥면 보다 여과필터 (40)의 하부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공기분사노즐 유닛(204)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한 수류가 여과필터(40)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우수 처리 장치.
KR1020140116366A 2014-09-02 2014-09-02 우수 처리 장치 Active KR10163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366A KR101637562B1 (ko) 2014-09-02 2014-09-02 우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366A KR101637562B1 (ko) 2014-09-02 2014-09-02 우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071A true KR20160028071A (ko) 2016-03-11
KR101637562B1 KR101637562B1 (ko) 2016-07-07

Family

ID=5558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366A Active KR101637562B1 (ko) 2014-09-02 2014-09-02 우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5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47B1 (ko) * 2016-10-14 2017-04-12 주식회사 기수환경테크놀로지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CN109758843A (zh) * 2019-03-25 2019-05-17 重庆恩倍克科技有限公司 一种治理雾霾的净化装置
KR102371298B1 (ko) * 2021-07-12 2022-03-07 주식회사 우영엔텍 자동 역세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220086161A (ko) * 2020-12-16 2022-06-23 농업회사법인 보승 주식회사 컨테이너형 스마트 팜
CN116837933A (zh) * 2023-08-21 2023-10-03 山东双利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高承压雨水收集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056B1 (ko) * 2017-02-10 2017-08-25 (주)명보피앤씨 비점오염 처리시스템
KR102291065B1 (ko) 2021-05-26 2021-08-19 세현산업 주식회사 공간절감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고효율 역세척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258B1 (ko) 2008-11-05 2009-05-15 대일산업(주)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991836B1 (ko) * 2010-02-02 2010-11-04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1203059B1 (ko) * 2011-08-26 2012-11-22 장학섭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130079289A (ko) * 2011-12-30 2013-07-10 한국과학기술원 가변확장형 우수저류조
KR101412689B1 (ko) * 2014-02-21 2014-06-27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258B1 (ko) 2008-11-05 2009-05-15 대일산업(주)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991836B1 (ko) * 2010-02-02 2010-11-04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1203059B1 (ko) * 2011-08-26 2012-11-22 장학섭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130079289A (ko) * 2011-12-30 2013-07-10 한국과학기술원 가변확장형 우수저류조
KR101412689B1 (ko) * 2014-02-21 2014-06-27 주식회사 대진환경산업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47B1 (ko) * 2016-10-14 2017-04-12 주식회사 기수환경테크놀로지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CN109758843A (zh) * 2019-03-25 2019-05-17 重庆恩倍克科技有限公司 一种治理雾霾的净化装置
KR20220086161A (ko) * 2020-12-16 2022-06-23 농업회사법인 보승 주식회사 컨테이너형 스마트 팜
KR102371298B1 (ko) * 2021-07-12 2022-03-07 주식회사 우영엔텍 자동 역세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16837933A (zh) * 2023-08-21 2023-10-03 山东双利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高承压雨水收集模块
CN116837933B (zh) * 2023-08-21 2024-05-28 山东双利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高承压雨水收集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562B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633767B1 (ko) 부상여재를 이용한 상향류식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RU2121981C1 (ru)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653780B1 (ko)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200483464Y1 (ko) 태양광 발전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70117280A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673075B1 (ko)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수질 정화 방법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05129969A (zh)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KR102414675B1 (ko) 하수처리 시스템
KR101585575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0805877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0205193Y1 (ko) 상수도용간이여과장치
JP4844825B2 (ja) サテライト処理場の汚水処理装置
KR101843063B1 (ko) 다단 처리 구조를 가진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085199B1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101764721B1 (ko)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자동 역세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