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27652A -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652A
KR20160027652A KR1020140115937A KR20140115937A KR20160027652A KR 20160027652 A KR20160027652 A KR 20160027652A KR 1020140115937 A KR1020140115937 A KR 1020140115937A KR 20140115937 A KR20140115937 A KR 20140115937A KR 20160027652 A KR20160027652 A KR 20160027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apparatus
short
lo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627B1 (ko
Inventor
최군돈
김우용
임선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6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단말장치간의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근거리통신 채널을 연결 설정하여 주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 SETTING OF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주변의 다른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와 이러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의 발달에 따라 통신 기능이 부여된 다양한 단말장치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단말장치간의 연결 방식으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등과 같은 근거리통신 기술의 적용이 범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근거리통신 기술에 의한 단말장치간의 연결 방식은 근거리통신 기술의 다양성,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과정의 복잡성 등으로 인하여 모든 사용자들이 원활히 수행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 이러한 근거리통신 단말장치간의 연결 방식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다소 복잡한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과정을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른 종래 기술에 의하면, 블루투스 장치와 다른 블루투스 장치 간에 접속 또는 가까이 근접하는 것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자동으로 페어링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서로 근접된 상태에서 전파의 세기를 감지하여 무선으로 접속을 하는 것에 의해 페어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블루투스 장치들이 무선 전파를 서로 직접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무선 전파를 양호하게 서로 교신할 수 있는 근접 환경에서만 적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17594호, 등록일자 2008년 03월 21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장치들이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한 교신을 이용하여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설정 제어부와, 상기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단말장치들이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한 교신을 이용하여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단말장치간의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근거리통신 채널을 연결 설정하여 주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장치에 적용된 근거리통신 기술의 종류와 무관하게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준다.
또한, 통신 단말장치들의 근접 환경뿐만 아니라 적용된 근거리통신 기술의 유효범위 내에서 다소 이격된 환경에서도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준다.
따라서, 자동 연결 설정된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단말장치간에 컨텐츠 공유, 파일 전송, 화면 미러링(mirroring), AP(Access Point) 테더링(tethering) 등을 자유로이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자동으로 연결 설정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 즉 현재의 단말 구동에 불필요한 부분은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한 후에 연관된 응용프로그램을 자동으로 기동시켜 이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만큼 연관된 처리가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장치(100-1, …, 100-N)는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이 탑재되며, 이동통신망(10) 등과 같은 광역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예컨대, 이동통신망은 EPC(Evolved Packet Core)망을 사용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통신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각종 이동통신 시스템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에는 통신 단말장치(100-1, …, 100-N)를 스마트폰, 노트패드,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장치, 차량용 블랙박스, 노트북, 카메라 등과 같이 이동통신을 위한 모뎀칩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장치로 구현하고, 이 들이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접속된 환경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예시와는 달리, 통신 단말장치(100-1, …, 100-N)는 유선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유선통신 단말장치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에 광역통신망은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예시된 이동통신망(10)은 통신 단말장치간의 다이렉트(direct)연결 방식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D2D(Device to Device) 통신채널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망(10), 광역통신망, 공중전화교환망, D2D 통신채널 등은 통신 단말장치(100-1)와 통신 단말장치(100-N)가 상호간의 근거리통신 설정을 위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교신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통신경로의 실시예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도면부호 100-1과 100-N을 대표하는 100으로 통신 단말장치의 도면부호를 기재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마이크로폰(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40), 메모리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17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단말장치(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메모리부(150) 및 제어부(170)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와 비교할 때에 여타의 구성요소들보다 기능적인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중에서, 메모리부(150)에는 운용체제 프로그램(151),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 등이 저장된다. 이에, 제어부(170)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51)을 실행하여 통신 단말장치(100)를 부팅할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은 통신 단말장치(100)의 메모리부(150)에 미리 저장된 상태로 출시 및 유통될 수도 있지만, 어플(App) 등으로 호칭되는 스마트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같이 추후 통신부(110)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판단부(171), 단말 설정 제어부(172), 채널 설정부(173)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마이크로폰(120), 출력부(140), 메모리부(150) 등을 각각 제어하여 통신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70)를 구성하는 판단부(171)는 통신 단말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또, 판단부(171)는 통신 단말장치(100)가 기 등록된 다른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이 연결 설정된 상태에서는 통신 단말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단말 설정 제어부(172)는 판단부(171)에 의한 판단 결과가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광역통신망을 통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0)의 이동 통신부(111)를 제어한다. 예컨대,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는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자동 연결 설정이 필요한 채널에 대한 식별자나 보안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는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를 지정하기 위해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근거리통신 채널의 연결 설정을 위한 인증 정보로서 MIN, IP 주소, MAC 주소 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중에서 어느 하나를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또,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할 때에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동 신호를 함께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설정 제어부(172)는 판단부(171)에 의한 판단 결과가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이 만족되면 근거리통신 채널이 연결 설정된 다른 통신 단말장치에게 광역통신망 또는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0)의 이동 통신부(111)를 제어한다. 예컨대,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에는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가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직전의 상태에 대응하는 단말 상태정보가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또,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에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종료 신호가 포함되어 송신되거나 별도로 송신될 수도 있다.
채널 설정부(173)는 이동 통신부(111)에 의해 송신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수신한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 설정한다. 아울러, 채널 설정부(173)는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연결 설정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은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 채널 설정부(173)는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기 직전에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단말 상태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여 추후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채널 설정부(173)는 연결 설정된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한 컨텐츠 공유, 파일 전송, 화면 미러링(mirroring) 또는 AP(Access Point) 테더링(tether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단말장치(100)를 구성하는 이외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부(111), 근거리 통신부(112),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부(113) 등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부(111)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과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통화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동 통신부(1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와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 등을 송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2)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 한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근거리 통신부(1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설정부(173)에 의해 연결 설정된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통신 단말장치와 각종 신호 또는 컨텐츠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GPS 수신부(113)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마이크로폰(120)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러한 마이크로폰(120)은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에 이동 통신부(111)를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을 포함한다. 특히,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1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한다. 예컨대, 통신 단말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일 수 있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부(142)를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등의 각종 신호를 출력 한다.
디스플레이부(141)는 통신 단말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장치(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은 대기 모드,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는 통신 단말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통신 단말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은,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가 등록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1, S203)를 포함한다.
그리고,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를 확인한 후에 광역통신망(예컨대, 이동통신망, 공중전화교환망 등) 또는 D2D 통신채널 등의 기 설정된 통신경로가 이용 가능한 경우에 해당 통신경로를 통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05 내지 S20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동 신호를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와 함께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할 수도 있다.
아울러,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수신한 다른 통신 단말장치가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해석한 후에 근거리통신과 관련된 통신 채널 상태정보와 전력 소비 상태정보 등의 단말 상태정보를 송신하면 이를 저장하여 추후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211 내지 S215)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수신한 다른 통신 단말장치가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근거리통신 기능을 자동 설정하면 상호간에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는 단계(S217 및 S21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연결 설정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아울러, 상호간 연결 설정된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컨텐츠 공유, 파일 전송, 화면 미러링 또는 AP 테더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단계 S209에서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동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 이를 수신한 다른 통신 단말장치에서 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기동될 수 있다(S221).
다음으로, 채널 연결 상태를 안내한 후에 근거리통신 채널의 연결 설정 상태에서 기 설정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23, S225)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이 만족되면 근거리통신 채널이 연결 설정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기 설정된 통신경로 또는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22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 S215에 의해 저장된 상대방의 단말 상태정보를 함께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할 수 있다. 또,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종료 신호를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와 함께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종료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종료되고(S229), 단말 상태정보에 대응하게 근거리통신 채널이 해제되어 단말 상태가 자동으로 원복될 수 있다(S231).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통신 단말장치#1(100-1)의 제어부(17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 프로그램(151)을 실행하여 통신 단말장치(100)를 부팅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기 약정된 선택 신호가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부(141)의 GUI를 통해 기 약정된 아이콘 등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을 실행하여 판단부(171), 단말 설정 제어부(172) 및 채널 설정부(173)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통신 단말장치(100)가 부팅되면 제어부(170)에 의해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이 처음 실행된 경우에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를 등록하는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단말 설정 제어부(172)는 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부(141)를 제어하여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를 등록할 수 있는 절차에 대한 안내 화면을 출력한다.
예로서, 통신 단말장치#1(100-1)의 디스플레이부(141)는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등록하고자 하는 통신 단말장치#N(100-N)의 MIN 등과 같은 전화번호를 입력 및 등록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등록된 전화번호의 통신 단말장치#N(100-N)에게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상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통신 단말장치#1(100-1)의 디스플레이부(141)에는 상호 등록 설정을 위해 통신 단말장치#N(100-N)에서 입력하여야 할 암호가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단말장치#N(100-N)는 통신 단말장치#1(100-1)에 의해 상호 등록 설정이 요청된 상태를 표시하며, 이후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기 약정된 선택 신호가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부(141)의 GUI를 통해 기 약정된 아이콘 등이 선택되면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은 상대방을 지정할 때에 이용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호 연결 가능한 통신 단말장치로 등록 처리한다. 이때, 통신 단말장치#N(100-N)에서 상호 등록 설정을 위한 암호가 입력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시에 상대방을 지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는 MIN,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로서,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의 상호 연결을 위한 등록 절차가 완료된다(S201).
다음으로, 통신 단말장치#1(100-1)의 판단부(171)는 통신 단말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203). 예컨대,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에서 기 약정된 아이콘이나 버튼 등이 선택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기 약정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 단말장치#1(100-1)의 단말 설정 제어부(172)는 단계 S201에서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N(100-N)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며(S205), 이동통신망(10)이 이용 가능한 상태(S207)일 때에 이동통신망(10)을 통해 통신 단말장치#N(100-N)에게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10)은 통신 단말장치#1(100-1)과 통신 단말장치#N(100-N) 사이에 기 설정된 통신경로의 일 예이며, 통신 단말장치간의 다이렉트연결 방식인 3GPP의 D2D(Device to Device) 통신채널로 구현하거나, 여타의 광역통신망 또는 공중전화교환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포함되어 통신 단말장치#N(100-N)를 지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는 MIN, IP 주소 또는 MAC 주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는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자동 연결 설정이 필요한 채널에 대한 식별자나 보안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는 근거리통신 채널의 연결 설정을 위한 인증 정보로서 MIN, IP 주소, MAC 주소, 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등이 함께 송신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동 신호를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할 수도 있다. 즉, 근거리통신 채널이 자동 설정된 후에 이를 이용하거나 연관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통신 단말장치#1(100-1)에 미리 설정 및 저장되며, 이렇게 설정 및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동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컨텐츠 공유, 파일 전송, 화면 미러링 또는 AP 테더링을 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들에 대한 기동 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송신하거나 특정 TID(Tele-service ID)의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거나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는 SMS 등의 다양한 신호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는, 패킷 기반의 메시지 형태로 송신할 수도 있다(S209).
여기서, 통신 단말장치#1(100-1)는 단계 S209에 의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가 등록된 경우라면 단계 S203에서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단계 S201이 최초 수행된 이후라면 부팅 후에 단계 S209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 송신 과정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그러면, 통신 단말장치#1(100-1)로부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수신한 통신 단말장치#N(100-N)는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해석하여 단계 S201에서 상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단말장치임을 확인한다(S211).
그리고, 통신 단말장치#N(100-N)는 현재의 단말 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단말 상태정보를 통신 단말장치#1(100-1)에게 송신한다(S213). 예컨대, 이때 수집되는 단말 상태정보는 와이파이 온/오프 정보, 블루투스 온/오프 정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온/오프 정보 등과 같이 근거리통신과 관련된 통신 채널 상태정보일 수 있다. 또, 전력 소모와 관련이 깊은 터치 진동 온/오프 정보, 디스플레이 온/오프 정보, 디스플레이 밝기 정보 등의 상태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상태정보가 회신되는 통신 경로는 단계 S209에서 이용된 이동통신망(10) 등의 통신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통신 단말장치#1(100-1)과 통신 단말장치#N(100-N) 사이의 다이렉트연결 방식인 3GPP의 D2D 통신채널이나 여타의 광역통신망 또는 공중전화교환망 등이 회신 전용으로 별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통신 단말장치#1(100-1)는 통신 단말장치#N(100-N)으로부터 단말 상태정보를 수신한 후에 이를 저장하여 추후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215).
이어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수신한 통신 단말장치#N(100-N)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근거리통신 기능을 자동 설정(S217)하면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의 상호간에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 설정한다. 즉,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의 채널 설정부(173)는 상호간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연결 설정한다. 예컨대,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의 통신 채널 상태가 와이파이 오프상태와 블루투스 오프상태 및 NFC 온상태로 되어 있었다가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온상태로 변경되어 자동 미러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장치#N(100-N)의 채널 설정부(173)는 이용 가능한 근거리통신 채널을 탐색한 후에 MIN, IP 주소, MAC 주소, 또는 SSID 등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며, 단계 S201의 등록 절차에서 이용된 암호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연결 설정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은 통신 단말장치#1(100-1)과 통신 단말장치#N(100-N)의 단말 설정 제어부(172)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단말 구동에 불필요한 부분은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 미러링을 위해 와이파이 다이렉트 온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블루투스와 NFC 등과 같은 다른 근거리통신 채널은 오프상태로 변경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터치 진동 오프, 디스플레이 오프,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호간 연결 설정된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의 상호간에 컨텐츠 공유, 파일 전송, 화면 미러링 또는 AP 테더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AP 테더링의 경우에 통신 단말장치#1(100-1)가 AP 역할을 할 때에는 단계 S209 이전에 근거리 통신부(112)에 의한 AP 기능을 활성화하여 와이파이 핫 스팟(hot spot)을 형성하며, 통신 단말장치#N(100-N)이 AP 역할을 할 때에는 단계 S217에서 근거리 통신부(112)에 의한 AP 기능을 활성화하여 와이파이 핫 스팟을 형성할 수 있다(S219).
또, 단계 S209에서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동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 이를 수신한 통신 단말장치#N(100-N)에서 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기동된다(S221).
이렇게, 단계 S219에서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이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자동으로 연결 설정되면 채널 설정부(173)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는 화면을 통해 채널 연결 상태를 안내한다(S223).
한편,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간의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설정 상태에서 통신 단말장치#1(100-1)의 판단부(171)는 단말 동작 상태가 기 설정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판단부(171)는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152)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통신 단말장치#1(100-1)의 전원이 커지면 기 설정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S225).
이어서, 판단부(171)에 의해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단말장치#1(100-1)의 단말 설정 제어부(172)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신 단말장치#N(100-N)에게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는 이동통신망(10) 등과 같이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송신하거나 단계 S219에서 연결된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215에 의해 저장된 상대방의 단말 상태정보를 함께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할 수 있다. 또,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종료 신호를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와 함께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할 수 있다(S227).
그러면, 통신 단말장치#N(100-N)에서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종료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종료되고(S229), 단말 상태정보에 대응하게 근거리통신 채널이 해제되어 자동으로 원복됨과 아울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수행하였던 터치 진동,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등도 원상태로 복원한다. 즉, 단계 S217에서 근거리통신 기능이 자동을 설정되기 직전의 상태와 같이 단말 상태가 복원된다(S231).
또한, 단계 219에서 연결 설정된 근거리통신 채널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송신측인 통신 단말장치#1(100-1) 또는 수신측인 통신 단말장치#N(100-N)에 의해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단말장치#N(100-N)은 단계 S219 이후에 기 설정된 특성 시간 이상동안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연결 설정되어 있는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은 예시된 바와 같이 두 단말장치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3개의 단말장치간 또는 그 이상 개수의 단말장치간에도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단말장치#1(100-1)와 통신 단말장치#N(100-N)가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된 후, 통신 단말장치#1(100-1) 또는 통신 단말장치#N(100-N)가 다른 통신 단말장치와 단계 S209 내지 S219를 통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단말장치들이 광역통신망 또는 D2D 통신채널을 통한 교신을 이용하여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단말장치간의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근거리통신 채널을 연결 설정하여 주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장치에 적용된 근거리통신 기술의 종류와 무관하게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준다.
또한, 통신 단말장치들의 근접 환경뿐만 아니라 적용된 근거리통신 기술의 유효범위 내에서 다소 이격된 환경에서도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여 준다.
나아가,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자동으로 연결 설정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 즉 현재의 단말 구동에 불필요한 부분은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한 후에 연관된 응용프로그램을 자동으로 기동시켜 이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만큼 연관된 처리가 신속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단말장치간의 근거리통신 채널 연결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근거리통신 채널을 연결 설정하여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PDA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각종 통신 단말장치간에 컨텐츠 공유, 파일 전송, 화면 미러링, AP 테더링 등을 위해 근거리통신 채널을 연결 설정하는 기술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10 : 이동통신망 100, 100-1, 100-N : 통신 단말장치
110 : 통신부 111 : 이동 통신부
112 : 근거리 통신부 113 : GPS 수신부
120 : 마이크로 폰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출력부 141 : 디스플레이부
142 : 음향 출력부 150 : 운영체제 프로그램
152 : 근거리통신 설정 프로그램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71 : 판단부
172 : 단말 설정 제어부 173 : 채널 설정부

Claims (11)

  1.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근거리통신 채널 중에서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연결 설정된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은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근거리통신 채널이 연결 설정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상기 기 설정된 통신경로 또는 상기 근거리통신 채널을 통해 단말 상태 자동 원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한 후에 상기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근거리통신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기 직전의 단말 상태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통신경로 또는 별도의 통신경로를 통해 회신 받는 단계와,
    기 설정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근거리통신 채널이 연결 설정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상기 단말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기동 신호를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와 함께 송신하거나 별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단말 상태 원복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근거리통신 채널이 연결 설정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를 지정하기 위해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는, 상기 근거리통신 채널의 연결 설정을 위한 인증 정보로서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IP(Internet Protocol)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은,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가 등록된 경우, 기 약정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또는 기 약정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설정된 상기 근거리통신 채널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 또는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원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1. 기 설정된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근거리통신 설정 조건이 만족되면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에게 기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해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설정 제어부와,
    상기 기 등록된 통신 단말장치와의 근거리통신 채널을 상기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연결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장치.
KR1020140115937A 2014-09-02 2014-09-02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Active KR10163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37A KR101632627B1 (ko) 2014-09-02 2014-09-02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37A KR101632627B1 (ko) 2014-09-02 2014-09-02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652A true KR20160027652A (ko) 2016-03-10
KR101632627B1 KR101632627B1 (ko) 2016-06-22

Family

ID=5553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37A Active KR101632627B1 (ko) 2014-09-02 2014-09-02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6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2845B2 (en) 2016-08-23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24123077A1 (ko) * 2022-12-06 202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126A (ko) * 2006-02-15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KR100817594B1 (ko) 2006-09-0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들 간의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071664A (ja) * 2007-09-14 2009-04-02 Nec Corp 携帯端末のモード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モード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126A (ko) * 2006-02-15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KR100817594B1 (ko) 2006-09-05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치들 간의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071664A (ja) * 2007-09-14 2009-04-02 Nec Corp 携帯端末のモード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モード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2845B2 (en) 2016-08-23 2019-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24123077A1 (ko) * 2022-12-06 202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627B1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4802A1 (en) Room sensor applications and techniques
US9710214B2 (en) Room sensor applications and techniques
KR101682385B1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15314B1 (ko)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US9793962B2 (en) Proces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between active/passive devices and a control system
CN111447602B (zh) 蓝牙设备及其蓝牙抢占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693377B2 (en) Automatic internet sharing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10125756A (ko) 와이파이 디바이스의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1018361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EP261587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20120033788A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080789A1 (en) Simple and assisted mechanism for registering an internet-of-things (iot) device
JP2021192521A (ja) ホットスポット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デバイス
WO2022095709A1 (zh) 一种设备配网方法及装置
KR20180114466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7505B1 (ko) 근거리통신 자동 활성화를 위한 통신 단말장치
KR101632627B1 (ko)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US954207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766248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40215B2 (en) Temporary control of components using location based grants
JP2016158102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596307B2 (en) Communication system
JP2018101876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CN113543276B (zh) 网络接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