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609A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7609A KR20160027609A KR1020140115692A KR20140115692A KR20160027609A KR 20160027609 A KR20160027609 A KR 20160027609A KR 1020140115692 A KR1020140115692 A KR 1020140115692A KR 20140115692 A KR20140115692 A KR 20140115692A KR 20160027609 A KR20160027609 A KR 20160027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apsulation layer
- layer
- additional
- islands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8393 encaps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8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CJYREBRNVKWGJ-UHFFFAOYSA-N copper(II)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Cu+2].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XCJYREBRNVKW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BTKNAXYKSUFRK-UHFFFAOYSA-N heliogen blue Chemical compound [Cu].[N-]1C2=C(C=CC=C3)C3=C1N=C([N-]1)C3=CC=CC=C3C1=NC([N-]1)=C(C=CC=C3)C3=C1N=C([N-]1)C3=CC=CC=C3C1=N2 RBTKNAXYKSUF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98 polyfluo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DHFUVZGWQCTTF-UHFFFAOYSA-M 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 BDHFUVZGWQCTT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TVIVIEFSHFOWTE-UHFFFAOYSA-K tri(quinolin-8-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C1=CN=C2C([O-])=CC=CC2=C1 TVIVIEFSHFOWTE-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제1전극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에 대향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 상에 배치된 제2전극과,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한 중간층과, 상기 제2전극 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제1봉지층과,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는 제2봉지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고 무게가 가벼워 그 사용의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급성장함에 따라 유연성이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굽히거나 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다양한 박막의 특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플렉서블 특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급격하게 짧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구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제1전극들과,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에 대향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 상에 배치된 제2전극과,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한 중간층과, 상기 제2전극 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제1봉지층과,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는 제2봉지층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3봉지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봉지층은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봉지층과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컨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봉지층은 상기 제2봉지층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봉지층은 상기 제1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봉지층은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상면의 중앙부만 노출되도록 상기 제1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봉지층은 상기 제2봉지층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은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들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영역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제1추가봉지층과, 상기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는 제2추가봉지층과, 상기 제2추가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3추가봉지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컨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상기 제2추가봉지층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상면의 중앙부만 노출되도록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봉지층과 상기 제1추가봉지층은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봉지층과 상기 제2추가봉지층은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봉지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봉지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봉지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봉지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3봉지층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구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박막트랜지스터(220), 버퍼층(211), 게이트절연막(213), 층간절연막(215), 평탄화층(217), 제1전극(231), 중간층(233), 제2전극(235), 제1봉지층(310) 및 제2봉지층(320)을 구비한다. 또한 박막트랜지스터(220)는 게이트전극(221), 소스전극(223), 드레인전극(225) 및 반도체층(227)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플라스틱 소재인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다만 기판(100)이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할 경우, 플라스틱 기판은 유리 기판에 비하여 수분이나 산소를 쉽게 투과시키기 때문에, 수분이나 산소에 취약한 유기발광소자를 열화시켜 유기발광소자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100)상에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적층된 형태의 버퍼층(211)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211)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220)와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는 제1전극(231), 중간층(233) 및 제2전극(235)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220)는 게이트전극(221), 소스전극(223), 드레인전극(225), 반도체층(227), 게이트절연막(213) 및 층간절연막(215)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박막트랜지스터(2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도체층(227)이 최하부에 위치하고 그 상부에 게이트전극(221)이 위치하며 최상부에 소스전극(223)과 드레인전극(225)이 위치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이와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반도체층(227)은 다결정실리콘(poly-silicon), 비정질실리콘(amorphous silicon), 유기반도체층, 또는 전도성 산화물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221)은 반도체층(22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221)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전극(223)과 드레인전극(225)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227)과 게이트전극(221)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구성되는 게이트절연막(213)이 반도체층(227)과 게이트전극(221) 사이에 개재된다.
게이트전극(221)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215)이 배치되는데, 이는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층간절연막(215)의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층간절연막(215)의 상부에는 소스전극(223) 및 드레인전극(225)이 배치된다. 소스전극(223) 및 드레인전극(225)은 층간절연막(215)과 게이트절연막(213)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2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전극(223) 및 드레인전극(225)의 상부에는 보호막 또는 평탄화층(217)이 배치되어, 하부의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하거나 평탄화한다. 이 보호막 또는 평탄화층(217)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BCB(benzocyclobutene) 또는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유기물이나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이중 혹은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보호막 또는 평탄화층(217) 상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유기발광소자는 화소전극인 제1전극(231)과, 이 화소전극에 대향하는 대향전극인 제2전극(235)과, 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3)을 구비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전극인 제1전극(231)의 중앙부를 포함한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1전극(231)의 잔여부분을 덮는 화소정의막이 존재할 수도 있다.
화소전극인 제1전극(23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전극인 제2전극(235)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 화소전극인 제1전극(231)과 대향전극인 제2전극(235)의 극성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제1전극(231)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투명전극일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될 수 있고, 반사전극일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막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전극(235)도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는데, 투명전극일 때는 제2전극(235)은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 화소전극인 제1전극(231)과 대향전극인 제2전극(235) 사이의 중간층(233)을 향하도록 증착된 막과, 그 위에 배치된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전극 형성용 물질로 형성된 보조 전극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일 때에는 제2전극(235)은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 증착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231)과 제2전극(235) 사이에는,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3)이 개재된다. 이 중간층(233)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물로 형성될 경우 중간층(233)은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적층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의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층은 마스크들을 이용한 진공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도리 경우 중간층(233)은 대개 정공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정공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3)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컨대 세 개의 서브픽셀들이 이루는 그룹이 하나의 픽셀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서브픽셀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한 색의 광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픽셀에서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면 다른 색들의 조합으로 복수개의 서브픽셀들이 하나의 픽셀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모든 서브픽셀들이 백색광을 방출하도록 하고 백색광이 색변환층이나 칼라필터를 통과하도록 할 수도 있다.
기판(100) 상에는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들이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전극(231)들이 기판(100) 상에 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대향전극인 제2전극(235)은 복수개의 제1전극(231)들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영역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된다.
제1봉지층(310)은 제2전극(235) 상에 배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1봉지층(310)은 유기발광소자를 봉지하는 박막 봉지층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불순물 등에 의해 유기발광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봉지층(310)은 실리콘옥사이드나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박막 봉지층은 다층구조의 무기층들로 만들어지거나, 무기층과 유기층이 교번하여 적층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박막 봉지층은 패널 전면(全面)에 증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막 봉지층이 불연속적인 지점 없이 패널 전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패널을 휘거나 구부리게 될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는 박막봉지의 두께가 얇다 하더라도 스트레스가 집중되는 일정 영역에서 크랙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또한 발생된 크랙이 연장될 경우 패널의 내구성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제1봉지층(310)이 제2전극(235) 상에 배치되되,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다. 이와 같이 상호 이격된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제1봉지층(310)은 무기물을 포함하더라도 어떠한 방향 및 세기로 구부리거나 휘더라도 크기가 작은 아일랜드들 각각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설혹 제1봉지층(310)의 아일랜드들 중 일부 아일랜드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그 크랙이 인접한 아일랜드들로 전파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조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휨이나 구김에 강건한 박막봉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이 복수개의 제1전극(231)들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특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면서도 강건한 박막봉지를 구현할 수 있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소전극들인 제1전극(231)들은 각 서브픽셀 단위로 패터닝된 형상을 갖는바, 제1전극(231)들은 플렉서블 특성이 낮다. 따라서 역시 플렉서블 특성이 낮은 제1봉지층(310)이 각 서브픽셀 단위로 패터닝되도록, 즉 제1봉지층(310)이 제1전극(231)들에 대응하도록 패터닝함으로써,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봉지층(310)이 패터닝된 상태이기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더라도 제1봉지층(310)에서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거나 그 발생 확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2봉지층(320)은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봉지층(32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및/또는 폴리아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봉지층(320)이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운다 하더라도, 유기물을 포함하는 제2봉지층(320)은 기본적으로 플렉서블 특성을 갖기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체적으로 그 플렉서블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나아가, 제2봉지층(320)이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고 있기에, 제2전극(235) 등 제1봉지층(310)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1봉지층(310)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들을 외부로부터의 불순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봉지층(320) 상에 배치된 제3봉지층(330)을 더 구비한다. 이 제3봉지층(330)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나 실리콘옥사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는 제2봉지층(320)은, 제2전극(235) 등 제1봉지층(310)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1봉지층(310)에 의해 덮이지 않은 부분들을 외부로부터의 불순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봉지층(320)이 유기물을 포함하기에, 무기물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외부로부터의 불순물 차폐 효과가 낮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2봉지층(320) 상에 위치하며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3봉지층(330)을 구비함으로써, 제2봉지층(320)으로 덮이는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불순물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제1봉지층(310)은 여전히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상으로 패터닝된 상태이기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플렉서블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3봉지층(33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봉지층(330)은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3봉지층(33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플렉서블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3봉지층(33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봉지층(310)과 컨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2봉지층(320)이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기 때문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3봉지층(33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제1봉지층(310)과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컨택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제3봉지층(33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이 +y 방향, -y 방향, +x 방향 및 -x 방향의 4군데에서 제1봉지층(310)과 컨택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봉지층(310)과 제3봉지층(330)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적인 면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불순물 등에 의해 유기발광 소자가 영향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봉지층(310)과 제3봉지층(330)이 패터닝되어 있기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플렉서블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제1봉지층(310)과 제3봉지층(330)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유기발광 소자가 영향 받게 되는 확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이한 점은, 제3봉지층(330)이 형상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3봉지층(330)이 복수개의 개구들을 갖도록 패터닝되되, 제2봉지층(320)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2봉지층(320) 상에 위치하며 제2봉지층(3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3봉지층(330)을 구비함으로써, 제1봉지층(310)으로 덮이지 않은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불순물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제1봉지층(310)은 여전히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상으로 패터닝된 상태이고, 제3봉지층(330)도 복수개의 개구들을 갖도록 패터닝되어 있기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플렉서블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3봉지층(33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봉지층(310)과 컨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3봉지층(330)은 복수개의 개구들을 가져, 제1봉지층(310)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상면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1봉지층(310)과 제3봉지층(330)이 상호 연결됨에 따라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적인 면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불순물 등에 의해 유기발광 소자가 영향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봉지층(310)과 제3봉지층(330)이 패터닝되어 있기에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플렉서블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제1봉지층(310)과 제3봉지층(330)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유기발광 소자가 영향 받게 되는 확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한편, 기판(100)은 디스플레이영역과 이 디스플레이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극(231)들은 디스플레이영역 내에 배치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제1봉지층(310), 제2봉지층(320) 및/또는 제3봉지층(330)의 구조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영역에서의 봉지층들의 구조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주변영역에도 봉지층들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100)의 주변영역에는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제1추가봉지층과,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는 제2추가봉지층과, 제2추가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3추가봉지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추가봉지층 및 제3추가봉지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제2추가봉지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의 주변영역에서의 제1추가봉지층 내지 제3추가봉지층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제1봉지층(310) 내지 제3봉지층(33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추가봉지층은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되고, 제3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봉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제1봉지층(310)과 제3봉지층(330)의 관계와 유사하게, 제3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이 제1추가봉지층과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컨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제3봉지층(330)과 유사하게, 제3추가봉지층은 제2추가봉지층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추가봉지층은 복수개의 개구들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3추가봉지층이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하도록 하여, 봉지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제3추가봉지층은 복수개의 개구들을 갖기에, 제3추가봉지층은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상면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기판(100)의 주변영역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제1추가봉지층 내지 제3추가봉지층을 갖고, 디스플레이영역에서는 제1봉지층(310)과 제2봉지층(320)만이 존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기판(100)의 주변영역은 디스플레이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환경에 가깝기에, 제1추가봉지층 내지 제3추가봉지층을 가져 봉지의 효과를 높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의 디스플레이영역에서는 제1봉지층(310)과 제2봉지층(320)만이 존재하도록 하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특성 극대화를 도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제1봉지층(310)과 제1추가봉지층은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제2봉지층(320)과 제2추가봉지층은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조과정에서 제1봉지층(310)과 제1추가봉지층은 동일 물질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제2봉지층(320)과 제2추가봉지층 역시 동일 물질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봉지층(320)과 제2추가봉지층은 상호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일체(一體)일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 제1봉지층(310), 제2봉지층(320), 제3봉지층(330), 제1추가봉지층, 제2추가봉지층 및/또는 제3추가봉지층 각각의 경우,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기판
11: 버퍼층
213: 게이트절연막 15: 층간절연막
217: 평탄화층 20: 박막트랜지스터
221: 게이트전극 223: 소스전극
225: 드레인전극 227: 반도체층
231: 제1전극 233: 중간층
235: 제2전극 310: 제1봉지층
320: 제2봉지층 330: 제3봉지층
213: 게이트절연막 15: 층간절연막
217: 평탄화층 20: 박막트랜지스터
221: 게이트전극 223: 소스전극
225: 드레인전극 227: 반도체층
231: 제1전극 233: 중간층
235: 제2전극 310: 제1봉지층
320: 제2봉지층 330: 제3봉지층
Claims (19)
-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제1전극들;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에 대향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 상에 배치된, 제2전극;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한 중간층;
상기 제2전극 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제1봉지층; 및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는 제2봉지층;
을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3봉지층을 더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봉지층은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봉지층과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봉지층과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봉지층은 상기 제2봉지층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봉지층은 상기 제1봉지층과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봉지층은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상면의 중앙부만 노출되도록 상기 제1봉지층과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은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에 대응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영역들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영역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제1추가봉지층;
상기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사이를 채우는 제2추가봉지층; 및
상기 제2추가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3추가봉지층;
을 더 구비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형태로 패터닝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상기 제2추가봉지층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추가봉지층은 상기 제1추가봉지층의 복수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상면의 중앙부만 노출되도록 상기 제1추가봉지층과 컨택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층과 상기 제1추가봉지층은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봉지층과 상기 제2추가봉지층은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봉지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봉지층은 무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봉지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3봉지층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692A KR20160027609A (ko) | 2014-09-01 | 2014-09-01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5692A KR20160027609A (ko) | 2014-09-01 | 2014-09-01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7609A true KR20160027609A (ko) | 2016-03-10 |
Family
ID=5553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5692A Withdrawn KR20160027609A (ko) | 2014-09-01 | 2014-09-01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27609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5256A (ko) * | 2020-02-20 | 2020-07-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US11038146B2 (en) | 2019-05-27 | 2021-06-1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20018524A (ko) * | 2020-07-02 | 2022-02-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
US11348980B2 (en) | 2016-07-29 | 2022-05-3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WO2022257752A1 (zh) * | 2021-06-08 | 2022-12-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
-
2014
- 2014-09-01 KR KR1020140115692A patent/KR20160027609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48980B2 (en) | 2016-07-29 | 2022-05-3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1770963B2 (en) | 2016-07-29 | 2023-09-26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2360623B2 (en) | 2016-07-29 | 2025-07-1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1038146B2 (en) | 2019-05-27 | 2021-06-1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00085256A (ko) * | 2020-02-20 | 2020-07-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20220018524A (ko) * | 2020-07-02 | 2022-02-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
KR20240136895A (ko) * | 2020-07-02 | 2024-09-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 방법 |
WO2022257752A1 (zh) * | 2021-06-08 | 2022-12-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2283B1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
US9847486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9099674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TWI565047B (zh) |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 |
KR101097338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925238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 |
TWI593089B (zh) | 有機發光顯示設備 | |
KR101784468B1 (ko)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853091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ransmitting regions between pixel regions | |
KR101223727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882299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9923038B2 (en) | Organic EL display device | |
US11605694B2 (en) |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lanarization layer having a recess around a unit display portion | |
KR20120035039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9245905B2 (en) | Back plane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60090456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60027609A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50024729A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13849B1 (ko)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30232680A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281331B1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83038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670374B1 (ko)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50011232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