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23412A -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412A
KR20160023412A KR1020140109794A KR20140109794A KR20160023412A KR 20160023412 A KR20160023412 A KR 20160023412A KR 1020140109794 A KR1020140109794 A KR 1020140109794A KR 20140109794 A KR20140109794 A KR 20140109794A KR 20160023412 A KR20160023412 A KR 2016002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ent
areas
display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953B1 (ko
Inventor
이민경
강윤정
홍유진
라스 안데르스 라르손
미카엘 에릭 윈버그
닐스 로져 안데르손 레이머
오스카 플라자 올리브스테드
퍼 마르쿠스 에릭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53B1/ko
Priority to US14/832,412 priority patent/US10551998B2/en
Publication of KR2016002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연관된 서비스를 모아서, 연관된 항목들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METHOD FOR DISPLAY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 장치는 개개인의 통신 장치로써,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수십 개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메뉴키 또는 단축키들(shortcut keys)이 아이콘 형태로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전자 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상기 메뉴키, 단축키들 이외에도 위젯, 사진 및 문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비쥬얼 객체들이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전자 장치에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 장치에서 실행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아짐에 따라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전자 장치 내에는 너무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고, 전자 장치에 구비된 소형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들의 개수는 매우 한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 중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한 후에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에 관련된 페이지를 찾아서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는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상기 화면을 통하여 표시될 수많은 비쥬얼 객체들(visual objects)을 분류하고 정리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사용자는 현재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찾는 데 많은 시간이 허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객체들이 배치되는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를 규칙적으로 배열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맞추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연관 서비스들을 모은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특정 컨텐츠에 대한 추천 항목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연관된 서비스를 모아서, 연관된 항목들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내의 특정 객체를 기반으로 통합 화면 상에서 모든 서비스들이 연계될 수 있어, 복잡한 백엔드 없이 서비스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웹 중심 플랫폼 모델에서 항상 연결된 경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상황에 대응한 추천 항목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추천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업자 입장에서는 컨텐츠와 서비스의 홍보가 용이하며, 새로운 주제와 서비스의 추가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객체들이 배치되는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연관된 서비스들을 모아 통합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과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간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의 영역들 중 컨텐츠 기반의 영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추천 화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의 영역들 중 어플리케이션 영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화면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선택 시 상기 게임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캘린더 컨텐츠 선택 시 상기 캘린더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컨텐츠 선택 시 상기 비디오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화면들 간의 좌우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화면을 구성하는 항목들을 예시한 도면,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추천 항목별 영역들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핀치 줌을 이용한 화면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101)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정보 통신을 위한 버스(bus)(105), 정보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105)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105)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상기 디스플레이(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상기 프로세서(120)와 상기 프로세서(120)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을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컨텐츠들은 서비스 카테고리별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 카테고리별 영역들이 배치되는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은 홈 화면일 수 있다. 상기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즉, 서비스 카테고리와 연관된 추천 항목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검색된 추천 항목들 각각에 대한 영역들로 레이아웃을 구성하여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행동 또는 전자 장치 상에서 이용 중인 컨텐츠 특성에 대응하여 연관된 객체들이 배치된 추천 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용이하게 추천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추천 항목들로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위해, 메모리(130)에 서비스 카테고리별로 추천 항목들을 저장해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여 추천 항목들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다면 추천 항목들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부(110)는 서비스 카테고리, 추천 항목들에 대한 선택 등의 이벤트 발생 시 외부 서버로 해당 서비스 카테고리 속성 등을 제공하여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추천 항목들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레이아웃은 복수개의 영역들로 구성되며, 각 영역들에는 컨텐츠와 연관된 객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각 추천 항목 영역에 배치되는 객체들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 컨텐츠, 메시지, 연락처, 통화 내역, SNS(Social Network Service) 내용, 위젯들, 다양한 파일 형식의 문서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 사진들, 음악 파일들, 텍스트 및 폴더들 등과 같은 다양한 비쥬얼 객체들(visual objects)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선택된 일부 비쥬얼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에서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는 다양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로서 상기 전자 장치(100) 내의 메모리(130)에 저장되거나, 외부의 서버(106)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제공 웹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100)에 다운로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객체들은 이미지, 텍스트,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이콘 또는 버튼 등으로 형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영역들에는 객체들과 함께 각 객체의 제목 또는 특성을 설명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상기 디스플레이(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132),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105),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131)은 상기 미들웨어(132),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132)는 상기 API(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이 상기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105),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133)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34)이 상기 커널(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105)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20), 상기 메모리(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손가락, 전자 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의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손가락, 펜 등의 각종 물체를 이용한 사용자의 싱글 또는 멀티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필기 입력, 드로잉 입력 등의 각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은 손가락 입력 감지 및 펜 입력 감지가 모두 가능한 하나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손가락 입력 감지가 가능한 터치 인식 모듈과 펜 입력 감지가 가능한 펜 인식 모듈과 같이 두 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105)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20), 상기 메모리(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컨텐츠 기반의 관련 객체들이 배치된 추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 및 센서모듈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 음성, 눈동자 움직임, 생체신호 등 상기 전자 장치(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133), 상기 미들웨어(132), 커널(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2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200) 중앙에는 디스플레이(150)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200)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5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질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 전환키(191-4)를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50)에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배치되는 메뉴 화면(2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화면에는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과 같은 다양한 비쥬얼 객체들이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장치(100) 내에는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은 메뉴 화면(210)의 페이지들을 넘겨가면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로 관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객체들 및 그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 또는 서로 관련된 객체들을 신속히 찾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과 같은 비쥬얼 객체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3에서는 상기 객체들이 단축 아이콘들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각각의 페이지(310, 320, 330)에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아이콘들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0)에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플릭킹(flicking) 또는 드래그(drag)하는 제스처에 의하여, 상기 메뉴 화면의 페이지들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들이 터치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된 아이콘들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페이지(310, 320, 330)에서 연관된 객체들을 모아서, 하나의 화면(300)의 복수의 영역들(340, 350, 360)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 또는 관련된 객체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뮤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유사한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컨텍스트(context)를 공유할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뮤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그 뮤직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객체들이 모아져서 한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400단계에서 터치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은 메인 화면 또는 홈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화면 또는 홈 화면은 예를 들어, 음악, 비디오, 게임 등 카테고리별로 영역들이 할당되며, 이러한 영역들로 구성되는 레이아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은 슬라이스(slice), 그리드(grid), 프레임, 구역 등의 용어로도 칭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레이아웃으로 이루어진 화면을 스페이스(space)라고 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과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간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홈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사이에, 컨텍스트와 연관된 서비스들을 모아서 보여주는 레이아웃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컨텐츠 기반의 추천 항목들이 표시되는 화면이며, 연관된 컨텐츠들이 배치되는 영역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홈 화면(510)은 기본적인 홈 화면의 구성 요소로 알림(notification), 전자 장치의 상태(status) 등의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되는 영역과 함께 예를 들어, 음악(515), 비디오(520), 게임(525), 룩업(530) 등 카테고리별로 영역들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홈 화면(510)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실행 객체를 모아놓은 영역(53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영역(535)은 메뉴 화면(500)에서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객체들(505)을 모아놓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홈 화면(510)은 크게 카테고리별 영역들(515, 520, 525, 530)의 오버뷰를 볼 수 있는 화면으로, 각 카테고리별 영역들(515, 520, 525, 530)에는 각 영역이 어떠한 컨텐츠와 관련된 영역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를 나타내는 객체는 이미지, 텍스트,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이콘 등으로 형성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의 제목 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전 정보의 일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405단계에서 상기 제1화면의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410단계에서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기반의 관련 추천 항목별 영역들로 구성된 제2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 415단계에서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항목이 선택되면, 420단계에서 선택된 추천 항목 영역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홈 화면(510)에서 복수의 영역들(515, 520, 525, 53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추천 항목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영역이 음악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515)이라고 할 경우 음악 컨텐츠 기반의 관련 추천 항목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기반의 화면은 그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된 관련 정보들에 따라 복수의 페이지들(515a, 515b, 515c)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페이지들을 구성하는 추천 항목 영역들(516, 517, 518)도 페이지별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항목 영역들(516, 517, 518)을 구성하는 각 영역들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페이지들(515a, 515b, 515c)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항목 영역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54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홈 화면(510)에서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복수의 영역들(515, 520, 525, 53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었을 경우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추천 화면의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며, 도 5의 홈 화면(510)의 어플리케이션 영역(535)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화면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의 영역들 중 컨텐츠 기반의 영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추천 화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에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영역들(610, 615, 620, 625, 630, 635)로 구성되는 레이아웃(600)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영역들(610, 615, 620, 625, 630, 635)에는 홈 화면을 구성하는 카테고리별 영역들 중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홈 화면을 구성하는 카테고리별 영역들 중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된 컨텐츠의 종류 및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추천 항목별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영역들(610, 615, 620, 625, 630, 635)에는 각 영역들에 대한 사전 정보가 다양한 객체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영역(610)에서와 같이 표시 가능한 객체들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640)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내용(645) 등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영역(625)에서와 같이 제목(627) 및 사전 정보(629)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문자(레터링, 활자), 기호 등의 구성요소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컨대, 텍스트, 위젯들, 다양한 파일 형식의 문서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 및 폴더들 등과 같은 다양한 비쥬얼 객체들(visual objects)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선택된 일부 비쥬얼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항목별 영역들은 크게 2 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feature)로의 숏컷(shortcut)을 제공하는 영역, 피처로의 숏컷 및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미리 보여주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영역(625)에 표시되는 내용을 터치할 경우 해당 내용의 페이지로 이동하여 해당 내용의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해당 영역(625)을 터치하거나 상기 영역(625)에 표시되는 내용을 터치하여 추가 정보(629)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지점에 상기 영역(625)이 확대되어 터치 이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내용의 나머지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일부 내용이 미리 보여지는 상태에서 다시 한번 사용자 입력이 있을 경우에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여 해당 내용을 페이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해당 영역(610)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640)을 터치할 경우에는 상기 영역(610)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에 해당하는 레이아웃(600)은 백그라운드 면(background pane) 상에 하나 이상의 영역들이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600)은 다양한 주제별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행동, 컨텐츠 특성 등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현재 위치, 시간, 센서 데이터 등 다양한 주제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카테고리별로 정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편집, 삭제, 생성 가능하며, 다운로드를 통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속성에 따라 크게 오픈 레이아웃과 클로즈 레이아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오픈 레이아웃은 음악, 비디오, 게임, 소셜 서비스 등과 같이 추천 항목 등의 검색이 가능하며, 페이지별로 다양한 객체들이 배치되는 영역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의 경우, 컨텍스트와 디스커버리에 초점을 두고, 연관된 컨텐츠를 추천해줄 수 있는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서비스의 경우, 다양한 소셜 서비스를 오버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경우, 스포티파이(spotify), 라스트에프엠(Last.fm), 샤잠(Shazam), 유투브(YouTube), 튠인라디오(Tune.in Radio)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이 배치되는 영역들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티파이(spotify)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노래를 듣고 있는 경우, 재생 중인 노래와 연관된 컨텐츠들이 각 영역들에 표시될 수 있으며, 유투브(YouTube)의 경우에는 연관된 뮤직 비디오를 제안하는 내용이 각 영역들에 표시될 수 있으며, 라스트에프엠(Last.fm)의 경우 유사한 아티스트를 추천하는 내용이 각 영역들에 표시될 수 있다.
반면, 클로즈 레이아웃은 예컨대, 캘린더와 같이 추천 항목 등의 검색이 제한적이어서, 이전 일정, 오늘 일정, 현재 일정 등의 제한된 내용의 객체들이 배치되는 영역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 면은 현재 사용자 행동, 컨텐츠 등을 기반으로 한 컨텍스트(context)가 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각 영역들(610, 615, 620, 625, 630, 635)에는 상기 백그라운드 면에 표시된 컨텍스트와 연관된 서비스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홈 화면의 영역들 중 어플리케이션 영역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화면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서는 음악, 비디오, 게임, 룩업 등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들(710, 720, 730, 740) 및 어플리케이션 영역(750)로 구성되는 홈 화면(700)을 예시하고 있다.
도 7(a)에서와 같이 홈 화면(700)의 어플리케이션 영역(750)이 선택되면, 도 7(c)에서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실행 객체를 모아놓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7(c)의 어플리케이션 영역(750)을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도 7(c)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나, 화면 변경 과정은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더블 클릭, 터치 후 드래그 입력 등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어플리케이션 영역(750)을 사용자가 터치한 채로 화면 상단 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 도 7(b)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영역(750)의 크기가 확장되면서 보이지 않았던 어플리케이션 객체들이 표시되면서 도 7(c)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a)은 서비스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영역들로 구성되는 홈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영역(800)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800)과 연관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추천 항목들이 배치되는 영역들이 도 8(b)에서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 영역이 어떠한 컨텐츠와 관련된 영역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영역들에는 제목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이미지, 텍스트,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아이콘 등으로 형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홈 화면을 구성하는 각 영역들 및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표시되는 객체들은 현재 컨텍스트 또는 최근 컨텍스트의 내용에 맞게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서 음악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영역(800)에는 최근 실행된 음악 서비스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영역(800)을 선택함에 따라 도 8(b)에서와 같이 음악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추천 화면(8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역(800)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종류, 이름 등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b)의 백그라운드 면에 표시될 내용과 각 추천 항목별 영역에 배치할 정보들이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백그라운드 면에 표시될 내용으로는 이미지, 연관 텍스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에서와 같이 음악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추천 화면(810)에서 노래를 재생하게 되면 도 8(c)에서와 같은 재생 화면이 표시되며, 다음 곡으로 순서가 바뀌게 되면 도 8(d)에서와 같이 재생 중인 노래와 관련된 내용으로 화면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후, 도 8(e)에서와 같은 홈 화면으로 돌아오게 되면, 홈 화면의 음악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영역(820)에는 최근 재생한 노래와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는 등 홈 화면을 구성하는 각 영역들에 최신의 업데이트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d)에서는 홈 화면을 구성하는 영역의 내용이 업데이트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8(b)에서와 같은 추천 화면을 구성하는 추천 항목별 영역에 표시되는 내용도 백그라운드 면에 표시되는 내용에 맞게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선택 시 상기 게임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a)의 게임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900)이 선택되면, 도 9(b)에서와 같이 게임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910, 915, 920, 925, 930)에 배치되며 백그라운드 면(905)에는 게임 컨텐츠와 관련하여 최근 실행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등이 표시되는 추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실행했던 또는 다운로드한 게임에 대한 정보가 백그라운드 면(905)에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추천 항목별 영역(910, 915, 920, 925, 930)에는 해당 게임과 관련된 스코어 보드, 순위표, 최고 기록, 연관된 다른 게임, 연관된 동영상 등과 관련한 객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캘린더 컨텐츠 선택 시 상기 캘린더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a)의 캘린더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1000)이 선택되면, 도 10(b)에서와 같이 캘린더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1010, 1015, 1020, 1025, 1030)에 배치되며 백그라운드 면(1005)에는 캘린더와 관련된 이벤트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 면(1005)에는 이벤트 내용이 표시되며, 각 추천 항목별 영역(1010, 1015, 1020, 1025, 1030)에는 해당 이벤트의 장소, 날짜, 해당 날짜의 날씨, 연관 연락처 정보, 이벤트 지역에 대한 추가 정보, 이벤트 날짜에 대한 추가 정보 등과 관련한 객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컨텐츠 선택 시 상기 비디오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a)의 비디오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역(1100)이 선택되면, 도 11(b)에서와 같이 비디오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1110, 1115, 1120, 1125, 1130, 1135)에 배치되며, 백그라운드 면(1105)에는 비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백그라운드 면(1105) 및 각 추천 항목별 영역(1110, 1115, 1120, 1125, 1130, 1135)에는 별다른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빈 스페이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버에서 추천해주는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내용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30)의 라이브러리에 있는 비디오 관련 초기 어플리케이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11(b)에서 터치 후 상단 방향으로 스크롤하게 되면, 도 11(c)에서와 같이 일부 가려지거나 보여지지 않았던 추천 항목 영역(1135, 114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d)에서와 같이 아직 다운로드받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비활성화 상태로 추천 항목 영역(1150, 1155, 1160)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항목 영역에 배치되는 항목들을 사용자가 추가할 수 있는데, 비디오의 경우에는 넷플릭스(Netflix), HBO Go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화 상태는 사용자가 관련 어플리케이션이나 해당 사이트에 가입을 해야 함을 나타내거나 사용자가 터치할 경우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현재 비디오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에서 찾아서 추천해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추천 항목 영역들의 가장 마지막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의 추천 화면들 간의 좌우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에서는 레이아웃의 컨텍스트가 업데이트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픈 레이아웃의 경우 사용자가 제1화면(1200)에서 우측으로 손가락을 넘기는 제스처를 하게 되면 제2화면(1210), 제3화면(1220)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추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클로즈 레이아웃의 경우에는 다가오는 이벤트 등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연관된 컨텍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추천 화면을 구성하는 항목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음악 컨텐츠의 경우 상기 음악 컨텐츠와 관련하여, 백그라운드 면(1300) 및 추천 항목별 영역들(1301, 1302, 1303, 1304)에 배치되는 정보의 종류들(1310, 1320, 1330, 1340, 1350)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페이지들을 넘기는 것과 같은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을 하게 되면, Frequent Artist(1310), Suggested Artist(1320), Popular song(1330), New Release(1340), recently shazam-ed song(1350) 등 연관 어플리케이션들의 관련 정보들로 구성된 추천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14에서는 비디오 컨텐츠의 경우 상기 비디오 컨텐츠와 관련하여, 백그라운드 면(1400) 및 추천 항목별 영역들(1401, 1402, 1403, 1404)에 배치되는 정보의 종류들(1410, 1420, 1430, 1440, 1450)을 예시하고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추천 항목별 영역들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천 화면의 일 지점을 손가락을 터치한 채로 아래로 드래그하면 각 영역들의 크기가 도 15b에서와 같이 줄어들면서 도 15c에서와 같이 하단에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와이프 다운 동작을 통해 서비스들을 모두 최소화한 후, 백그라운드 면에서 보여지는 컨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전체 화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15c에서와 같은 전체 화면 모드에서는 백그라운드 면에서 보여지고 있는 컨텐츠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c에서는 추천 항목 영역들이 최소화되어 추천 항목 영역들의 일부(1500)만이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15d에서와 같이 액션 버튼들(1510)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핀치 줌을 이용한 화면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a)에서와 같이 각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도 16(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오므리는 핀치 제스처를 할 경우 도 16(c)에서와 같이 각 영역들이 접혀지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영역들의 크기가 최소화되므로, 각 영역들을 나타내는 내용 대신 아이콘들(160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17(a)에서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벌리는 핀치 제스처를 할 경우 도 17(b)에서와 같이 최소화되었던 영역들이 원래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동작과,
    상기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항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추천 항목 영역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전자 장치의 홈 화면이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실행 객체를 모아놓은 영역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에 가해진 제1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1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화면 상에 배치된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들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화된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가해진 제2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제2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최소화된 추천 항목별 영역들의 크기를 복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들은,
    추가, 삭제 및 편집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동작과,
    상기 식별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하는 동작과,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분류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은,
    상기 컨텐츠의 종류, 이름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이용하여 검색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분류하는 동작은,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천 항목별로 분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12.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들 각각이 복수의 행으로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제1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에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추천 항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화면에 가해진 제1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1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화면 상에 배치된 상기 추천 항목별 영역들의 크기가 최소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소화된 추천 항목별 영역들에 가해진 제2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2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최소화된 추천 항목별 영역들의 크기가 원래대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분류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컨텐츠의 종류 및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들을 추천 항목별로 분류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는,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0140109794A 2014-08-22 2014-08-22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ctive KR10227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94A KR102270953B1 (ko) 2014-08-22 2014-08-22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4/832,412 US10551998B2 (en) 2014-08-22 2015-08-21 Method of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794A KR102270953B1 (ko) 2014-08-22 2014-08-22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412A true KR20160023412A (ko) 2016-03-03
KR102270953B1 KR102270953B1 (ko) 2021-07-01

Family

ID=5534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794A Active KR102270953B1 (ko) 2014-08-22 2014-08-22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1998B2 (ko)
KR (1) KR1022709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73A1 (ko) * 2017-11-24 2019-05-31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118051B2 (en) 2021-12-07 2024-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earching for content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4650S1 (en) * 2014-11-28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229405A (zh) * 2016-03-25 2017-10-03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用于提供网页内容的方法、设备、浏览器及电子设备
KR102607560B1 (ko) * 2016-05-16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EP3553676A4 (en) * 2016-12-27 2019-11-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LLIGENT METHOD AND TERMINAL OF RECOMMENDATIONS
EP3577547A4 (en) * 2017-04-05 2020-10-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ICE LAUNCHER
US20190065517A1 (en) * 2017-08-31 2019-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le preview and selective access to file content of archived file
CN112818259B (zh) * 2019-11-15 2024-10-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内容推荐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76764B (zh) * 2019-12-10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和终端设备
CN111177573A (zh) * 2020-02-26 2020-05-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推荐方法、电子设备及介质
CN113497835B (zh) * 2020-04-01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屏交互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7714765A (zh) * 2022-09-07 2024-03-15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的推送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5914764A (zh) * 2022-11-11 2023-04-04 上海哔哩哔哩科技有限公司 页面中的信息展示方法和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4292A1 (en) * 2010-09-15 2012-04-05 Jisheng Liang Recommending mobile device activities
US8346731B1 (en) * 2007-09-28 2013-01-01 Symantec Corporation Techniques for global single instance indexing for backup data
KR20130033505A (ko) * 2011-09-09 2013-04-04 유비벨록스(주) 사용자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US20140074652A1 (en) * 2012-09-05 2014-03-13 Kobo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 resizable recommendations area
US20140214850A1 (en) * 2010-11-01 2014-07-31 Vcvc Iii Llc Category-based content recommenda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20090193358A1 (en) * 2008-01-30 2009-07-30 Intui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formation access during a modal operation
WO2009149063A1 (en) 2008-06-02 2009-12-10 Azuki Systems, Inc. Media mashup system
US8244564B2 (en) * 2009-03-31 2012-08-14 Richrelevance, Inc. Multi-strategy generation of product recommendations
US8370762B2 (en) *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US8625908B2 (en) * 2009-11-02 2014-01-07 Apple Inc. Managing raw and processed image file pairs
US20110307354A1 (en) * 2010-06-09 2011-12-15 Bilgehan 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pplications to mobile users
EP2618493A4 (en) * 2010-09-15 2014-08-13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SCHEDULING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1783961B1 (ko) * 2010-11-17 201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EP3640763A1 (en) * 2011-02-10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812657B1 (ko) * 2011-11-22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024587B1 (ko) * 2012-02-02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575998B2 (en) * 2012-12-12 2017-02-21 Adobe Systems Incorporated Adaptive presentation of content based on user action
KR102129795B1 (ko) * 2013-05-15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424221B (zh) * 2013-08-23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50346952A1 (en) * 2014-05-30 2015-12-03 Apple Inc. Control center refine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6731B1 (en) * 2007-09-28 2013-01-01 Symantec Corporation Techniques for global single instance indexing for backup data
US20120084292A1 (en) * 2010-09-15 2012-04-05 Jisheng Liang Recommending mobile device activities
US20140214850A1 (en) * 2010-11-01 2014-07-31 Vcvc Iii Llc Category-based content recommendation
KR20130033505A (ko) * 2011-09-09 2013-04-04 유비벨록스(주) 사용자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US20140074652A1 (en) * 2012-09-05 2014-03-13 Kobo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 resizable recommendations are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473A1 (ko) * 2017-11-24 2019-05-31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118051B2 (en) 2021-12-07 2024-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earching for conten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54867A1 (en) 2016-02-25
US10551998B2 (en) 2020-02-04
KR102270953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953B1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240302952A1 (en) User interfaces for viewing and accessing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US93046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isplay screen of a user interface
US10955938B1 (en) Mobile device interfaces
US12200342B2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US9274686B2 (en) Navigation framework for visual analytic displays
US95243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ly manag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KR20160062452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20287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item
CN105164714A (zh)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60110035A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3999028A (zh) 不可见控件
KR20160086090A (ko)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20160062565A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필기 컨텐트 제공 방법
US20130141467A1 (en) Data display method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201600044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9074372A (zh) 使用拖放来应用元数据
US12001642B2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US20180004371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EP300129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74194A (ko)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5092379A1 (en) A method an apparatus for cataloguing data items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046014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tem management
CN105468254A (zh) 内容搜索设备和用于搜索内容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