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20837A -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 Google Patents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837A
KR20160020837A KR1020140106076A KR20140106076A KR20160020837A KR 20160020837 A KR20160020837 A KR 20160020837A KR 1020140106076 A KR1020140106076 A KR 1020140106076A KR 20140106076 A KR20140106076 A KR 20140106076A KR 20160020837 A KR20160020837 A KR 2016002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layer
plasma
film
barrier
film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환
안중규
조원제
정호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837A/ko
Publication of KR2016002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60In a particular environment
    • B32B2309/62In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투과도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1 배리어층 및 상기 제 1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2 배리어층을 구비하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Barrier film structure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유기발광소자는 외부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스로 발광하는 발광 소자로, 특히,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지며, 휘도 및 시야각이 뛰어나며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갖지만,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가스가 발광소자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전극이 산화되거나 소자 자체의 열화가 진행되면서 수명이 단축되고, 발광 휘도, 발광 효율 및 발광 균일성이 점차적으로 열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과 산소와의 접촉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기발광소자를 밀봉하는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재에 알루미늄 박층을 구비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가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체는 안정된 가스 배리어 기능을 얻을 수 있지만, 배리어층으로서 알루미늄 박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적성이 뒤떨어지고, 사용 후의 폐기 처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박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투명성을 갖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이나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EVOH)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구비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폴리염화비닐리덴은 염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사용 후에 소각하게 되면 염소 가스가 발생하여 환경에 유해한 문제가 있다. 한편,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는 산소 가스에 대한 배리어 기능이 우수하며, 또한 향미 성분의 흡착성이 낮다는 장점은 있지만, 고습도 분위기 하에서는 산소 가스 배리어 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는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 기능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배리어층은 수증기로부터의 차단을 위하여 추가적인 적층 구조를 도입할 필요가 있어서 제조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도 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10-00564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 투과도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자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1 배리어층 및 상기 제 1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2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에서 상기 제 1 배리어층과 상기 제 2 배리어층은 각각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및 유기실리콘(SiOxCyH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수층 또는 적층된 복수층일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에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아르곤 플라즈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에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헬륨 및 아르곤 플라즈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제 1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리어층의 상부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상기 제 1 배리어층 상에 제 2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배리어층의 상부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한 유기전자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상술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OLED) 또는 유기 태양전지(OP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 투과도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자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밀도와 투습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해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해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는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투명한 구조체이다.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1 배리어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배리어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및 유기실리콘(SiOxCyH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수층 또는 적층된 복수층일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헬륨과 아르곤 플라즈마 또는 아르곤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부면이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제 1 배리어층은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가 개선되고 막의 밀도가 높아지며 투습도 특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는 플라즈마 처리된 제 1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2 배리어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배리어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및 유기실리콘(SiOxCyH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수층 또는 적층된 복수층일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헬륨과 아르곤 플라즈마 또는 아르곤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부면이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제 2 배리어층은 표면 거칠기가 개선되고 막의 밀도가 높아지며 투습도 특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기 제 2 배리어층은 상기 제 1 배리어층과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서로 다른 조성을 가지는 제 1 배리어층과 제 2 배리어층을 각각 형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상부면을 상기 플라즈마 처리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제 2 배리어층은 상기 제 1 배리어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단일 조성을 가지는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중간 과정에서 층간 상부면을 상기 플라즈마 처리하는 공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comprise)"한다는 표현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배치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접합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투명하다’는 표현은 광 투과도가 100%인 경우 뿐만 아니라, 광이 100% 차단되는 완전 불투명한 경우를 제외한, 반투명의 개념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도해하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a)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110)을 제공하는 단계(S10), 베이스 필름(110) 상에 제 1 배리어층(120)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제 1 배리어층(120)의 상부면에 플라즈마(P) 처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구현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a)는 베이스 필름(110) 및 베이스 필름(110) 상의 제 1 배리어층(120a)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10)은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P, cyclic olefin polymer)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층 필름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필름이 적층된 복층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필름(110)은 유리기판을 대체하는 투명기판으로서 연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P)는 노보넨(norbornene)과 같은 고리형 단량체로부터 얻어진 중합체로서 기존 올레핀계 중합체에 비해 투명성,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복굴절율과 수분흡수율이 매우 낮아 베이스 필름(110)의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배리어층(12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및 유기실리콘(SiOxCyH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수층 또는 적층된 복수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배리어층(12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SiOxNy)로 이루어진 무기물층이거나 유기실리콘(SiOxCyHz)으로 이루어진 유기물층일 수 있다. 무기물층은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의 역할을 담당하며, 유기물층은 응력완화를 통하여 크랙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배리어층(120)이 무기물층일 경우, 예를 들어, 20nm 내지 3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배리어층(120)이 유기물층일 경우, 예를 들어, 1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알에프(RF)나 이온빔 방식의 플라즈마(P) 처리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사용하거나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부면이 플라즈마(P) 처리된 제 1 배리어층(120a)은 표면 거칠기가 개선되고 막의 밀도가 높아지며 투습도 특성이 향상된다. 플라즈마(P) 처리는 플라즈마 에너지에 의해 박막의 밀도가 증가하고 표면 원자의 재배치를 통하여 확산 경로가 증가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헬륨 가스의 경우 진공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아르곤 가스에 비해 크기 때문에 표면 개질 효과에서 유리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b)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필름(110)을 제공하는 단계(S10), 베이스 필름(110) 상에 제 1 배리어층(120)을 형성하는 단계(S20), 제 1 배리어층(120)의 상부면에 플라즈마(P) 처리하는 단계(S30), 플라즈마(P) 처리된 제 1 배리어층(120a) 상에 제 2 배리어층(130)을 형성하는 단계(S40) 및 제 2 배리어층(130)의 상부면에 플라즈마(P) 처리하는 단계(S50)를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구현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b)는 베이스 필름(110), 베이스 필름(110) 상에 제 1 배리어층(120a) 및 제 2 배리어층(130a)이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제 2 배리어층(13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및 유기실리콘(SiOxCyH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수층 또는 적층된 복수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배리어층(13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SiOxNy)로 이루어진 무기물층이거나 유기실리콘(SiOxCyHz)으로 이루어진 유기물층일 수 있다. 무기물층은 수분이나 산소의 유입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의 역할을 담당하며, 유기물층은 응력완화를 통하여 크랙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배리어층(130)이 무기물층일 경우, 예를 들어, 20nm 내지 3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배리어층(130)이 유기물층일 경우, 예를 들어, 1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알에프(RF)나 이온빔 방식의 플라즈마(P) 처리는 헬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를 사용하거나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부면이 플라즈마(P) 처리된 제 2 배리어층(130a)은 표면 거칠기가 개선되고 막의 밀도가 높아지며 투습도 특성이 향상된다. 플라즈마(P) 처리는 플라즈마 에너지에 의해 박막의 밀도가 증가하고 표면 원자의 재배치를 통하여 확산 경로가 증가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헬륨 가스의 경우 진공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아르곤 가스에 비해 크기 때문에 표면 개질 효과에서 유리하다.
발명자는 상술한 플라즈마(P) 처리를 수행한 배리어층을 구비하는 실험예들과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들에 대한 투과율, 표면 거칠기, 밀도 및 투습도(WVTR) 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실험예1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110) 상에 상부면이 아르곤 플라즈마(P) 처리된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120a)에 관한 것이며, 실험예2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110) 상에 상부면이 아르곤과 헬륨 플라즈마(P) 처리된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120a)에 관한 것이며, 실험예3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110) 상에 상부면이 아르곤과 헬륨 플라즈마(P) 처리된 실리콘 산질화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120a) 및 제 1 배리어층(120a) 상에 상부면이 아르곤과 헬륨 플라즈마(P) 처리된 유기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 2 배리어층(130a)에 관한 것이며, 실험예4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110) 상에 상부면이 아르곤 플라즈마(P) 처리된 실리콘 산질화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120a)에 관한 것이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1은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 상에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되지 않은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에 관한 것이며, 비교예2는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 상에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되지 않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에 관한 것이며, 비교예3은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 상에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되지 않은 실리콘 산질화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에 관한 것이며, 비교예4는 COP 필름인 베이스 필름 상에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되지 않은 유기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 1 배리어층에 관한 것이다.
표 1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진 배리어층에 아르곤 플라즈마(P)를 처리한 경우, 광투과도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표면 거칠기는 35% 정도 개선되며, 막 밀도는 50% 정도 증가하며, 투습도 특성도 37% 정도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진 배리어층에 아르곤과 헬륨의 플라즈마(P)를 처리한 경우, 광투과도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표면 거칠기는 60% 정도 개선되며, 막 밀도는 80% 정도 증가하며, 투습도 특성도 96% 정도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아르곤 단일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보다는 아르곤과 헬륨의 혼합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에 막 밀도가 더욱 개선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표 1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플라즈마(P) 처리를 수행한 경우에 막 밀도가 개선되고 투습도 특성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투습도(WVTR) 특성에서는, 배리어층의 표면 거칠기가 작을수록, 동일 물질의 박막에서는 밀도가 증가할수록, 투습도 특성이 향상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박막 밀도는 표면 거칠기가 작을수록 증가하며, 아르곤 단일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보다는 아르곤과 헬륨의 혼합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를 사용할 경우 박막 밀도가 증가함을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는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OLED)나 유기 태양전지(OPV)와 같은 유기전자소자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리어 필름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OLED)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해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200)는 기판(210), 기판(210) 상에 적층된 양극(220), 유기층(230) 및 광투과형 음극(240)이 적층되고, 그 상부로 상술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가 배치된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200)의 구성은 예시적이며 변형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a, 100b)의 상하가 뒤집힌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b)를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200)에 적용하는 경우, 광투과형 음극(240)의 바로 위에 제 2 배리어층(130a)이 배치되고, 제 2 배리어층(130a) 상에 제 1 배리어층(120a) 및 베이스 필름(11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는 유기발광소자 뿐만 아니라 유기태양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태양전지 모듈의 가장 뒷면에 위치하는 백시트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강도 뿐 아니라, 산소, 수분, 화학물질 등의 외부 요인으로부터 태양전지 모듈을 안쪽에 위치하는 수분에 취약한 태양전지 셀과 같은 구조들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데, 상술한 배리어 필름 구조체(100)가 상기 백시트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배리어 필름 구조체
110 : 베이스 필름
120 : 제 1 배리어층
130 : 제 2 배리어층
200 : 유기 발광 다이오드

Claims (9)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1 배리어층; 및
    상기 제 1 배리어층 상에 배치되며, 상부면이 플라즈마 처리된, 제 2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리어층과 상기 제 2 배리어층은 각각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및 유기실리콘(SiOxCyH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수층 또는 적층된 복수층인, 배리어 필름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아르곤 플라즈마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헬륨 및 아르곤 플라즈마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P, cyclic olefin polymer)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late)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상기 배리어 필름 구조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유기 발광소자 다이오드(OLED) 또는 유기 태양전지(OPV)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8.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제 1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리어층의 상부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상기 제 1 배리어층 상에 제 2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배리어층의 상부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는 아르곤 가스 또는 아르곤과 헬륨 가스 분위기에서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리어 필름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140106076A 2014-08-14 2014-08-14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Ceased KR20160020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76A KR20160020837A (ko) 2014-08-14 2014-08-14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76A KR20160020837A (ko) 2014-08-14 2014-08-14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37A true KR20160020837A (ko) 2016-02-24

Family

ID=5544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076A Ceased KR20160020837A (ko) 2014-08-14 2014-08-14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8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3027A (zh) * 2016-10-31 2018-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8129436A1 (en) * 2017-01-09 2018-07-12 Applied Materials, Inc. Encapsulating film stacks for oled applications with desired profile contr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421A (ko)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플라스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421A (ko) 2008-11-19 201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플라스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3027A (zh) * 2016-10-31 2018-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566572B2 (en) 2016-10-31 2020-02-1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3380959A (zh) * 2016-10-31 2021-09-10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8129436A1 (en) * 2017-01-09 2018-07-12 Applied Materials, Inc. Encapsulating film stacks for oled applications with desired profile control
US10615368B2 (en) 2017-01-09 2020-04-07 Applied Materials, Inc. Encapsulating film stacks for OLED applications with desired profil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443B1 (ko) 보호된 중합체성 필름
CN103490019B (zh) 有机电致发光器件的封装结构及封装方法、显示装置
JP2020155407A (ja) 発光装置
US9054345B2 (en) Pixel defining lay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 substrate and display
KR20030008818A (ko) 표시소자의 보호막 구조
KR20110055568A (ko) 복사 방출 장치 및 복사 방출 장치의 제조 방법
JP5933171B2 (ja)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23559A (ko) 광전자 컴포넌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광전자 컴포넌트
KR101727623B1 (ko) 유기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20837A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Han et al. Simple Encapsulation Method for Flexible Perovskite Solar Cells with Transparent Electrode‐Integrated Barrier Films
KR101524365B1 (ko) 다기능성 봉지막을 갖는 플렉시블 oled
KR102287519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US2021011436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moisture barrier layer
KR102343768B1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JP4892844B2 (ja) 透明導電膜の形成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透明導電基板及び有機el素子基板
JP2020157476A (ja) ガスバリア積層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102130470B1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KR102345795B1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US11991899B2 (en) Display panel, including a scattering layer with micropores prepar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60020839A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KR20160020840A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CN111668285A (zh) Oled显示装置及制备方法
KR20160020835A (ko) 배리어 필름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자소자
TWI630742B (zh) 可撓性有機發光二極體的結構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8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