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19563A -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563A
KR20160019563A KR1020140098796A KR20140098796A KR20160019563A KR 20160019563 A KR20160019563 A KR 20160019563A KR 1020140098796 A KR1020140098796 A KR 1020140098796A KR 20140098796 A KR20140098796 A KR 20140098796A KR 20160019563 A KR20160019563 A KR 20160019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amboo
table tennis
tennis racke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734B1 (ko
Inventor
최영주
Original Assignee
최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주 filed Critical 최영주
Priority to KR102014009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7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36Devices for cleaning handles or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biodegra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부(110)를 구비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120)와, 상기 블레이드(120)의 표면을 덮는 고무재질의 러버로 이루어지는 탁구라켓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 중간블레이드(120c)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는 대나무판재로 이루어지고, 중간블레이드(120c)는 대나무보다 비중이 가벼운 목재판재로 이루어지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대나무는 대단히 빠른 생육 사이클을 갖는 것이어서 이를 탁구채의 블레이드로 사용할 경우 삼림자원의 보호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고, 대나무의 특성상 세포조직이 매우 치밀하고 강인해서 내마모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강도와 탄성이 우수하여 고급재질의 탁구채의 재질로써 부족함이 없고, 신축성이 낮아 뒤틀림이 적어 쉬 변형되지 않으며, 항균 및 항곰팡이, 단열, 방습 등도 우수하여 내구성이 좋아 쉬 손상되지 않고 오래도록 사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PING PONG RACKET}
본 발명은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채의 블레이드를 대나무판재로 제조하여 무겁지 않으면서도 경쾌한 타격감과 적당한 강도 및 탄성,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탁구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卓球)는 2명(단식) 또는 4명(복식)의 선수가 탁구라켓을 사용해 중앙에 네트가 설치된 딱딱하고 평평한 탁구대 위에서 공을 쳐 넘기며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초기의 탁구라켓은 딱딱한 프레임 위에 양피지를 늘여 씌워서 만들어졌으나 지금은 합판재질로 만들어지며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러버를 붙인다.
이때 탁구라켓의 나무 부분은 블레이드(blade)라 불리며, 상기 블레이드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85% 이상의 비율의 목재가 포함되어 있기만 하면 그 외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러나 대개 블레이드의 소재로는 발사, 림바, 호두나무, 사이프러스, 히노키 등과 같은 목재가 사용된다.
또 블레이드의 평균적인 크기는 길이 16.5cm(6.5인치)에 너비 15cm(6인치)이나 크기나 모양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플레이어들의 선호도에 의해 적합한 크기의 것들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처럼 종래 목재를 재질로 하는 블레이드는 방충 및 방습, 보온 등이 취약하고, 뒤틀림(휨)이 발생하기도 하며, 가공성이 떨어지는 등 상당한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대량생산도 가능하고, 환경보호의 측면까지 고려되는 경우 블레이드재질의 범위는 더욱 한정적일 수 밖에 없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21838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목재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탁구채의 블레이드 재질로 가장 바람직한 대상으로 대나무를 사용하고자 함에 있다. 대나무는 3년이면 안정된 품질의 성죽(成竹)이 되어 목재로써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단히 빠른 생육 사이클을 갖는 것이어서 삼림자원의 보호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고, 무엇보다 대나무는 대나무의 세포조직이 매우 치밀하고 강인해서 내마모성과 가공성이 우수하고, 신축성이 낮아 뒤틀림이 적은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항균, 항곰팡이, 단열 및 방습, 보온, 탈취 등 물리적 특성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어서 이를 이용해 블레이드를 제작할 경우 이상적인 탁구채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탁구채의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를 3개의 층으로 나누되, 전면블레이드와 후면블레이드의 재질은 대나무판재로 하고, 중간블레이드의 재질은 대나무보다 비중이 가벼운 목재판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나무판재는 대나무의 내피부분이 각각 중간블레이드에 접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나무판재는 손잡이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나무의 결 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의 효과로는 대나무는 대단히 빠른 생육 사이클을 갖는 것이어서 이를 탁구채의 블레이드로 사용할 경우 삼림자원의 보호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고, 대나무의 특성상 세포조직이 매우 치밀하고 강인해서 내마모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강도와 탄성이 우수하여 고급재질의 탁구채의 재질로써 부족함이 없고, 신축성이 낮아 뒤틀림이 적어 쉬 변형되지 않으며, 항균 및 항곰팡이, 단열, 방습 등도 우수하여 내구성이 좋아 쉬 손상되지 않고 오래도록 사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탁구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V-V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100)은 크게 손잡이부(110)를 구비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120), 상기 블레이드(120)의 표면을 덮는 고무재질의 러버(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레이드(120)는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 중간블레이드(120c)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는 대나무판재로 이루어지고, 중간블레이드(120c)는 대나무보다 비중이 가벼운 목재판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자는 대나무재질만으로 단판(單板) 또는 대나무판재의 앞뒤를 서로 맞붙인 블레이드를 제작하기도 하였으나, 단판 또는 대나무판재만을 서로 맞대 제작한 탁구채는 테스트결과 사용자들이 무게 때문에 상당한 불편함을 호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이는 대나무의 경우 섬유조직이 매우 치밀하여 일반 탁구채 전도의 두께를 유지할 정도가 되면 상당한 무게를 갖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대나무의 강도와 탄성 등은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적당한 무게를 갖도록 하기 위해 대나무판재을 앞뒤로 두고, 중간에 대나무보다 비중이 가벼운 목재판재, 예를 들면 발사목이나 오동나무, 또는 이들과 비슷한 비중을 갖는 목재판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 중간블레이드(120c)의 외곽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가 중간블레이드(120c)에 접착제, 주로 목공용 본드로 접착됨에 있어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의 내피부분이 중간블레이드(120c)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는 대나무판재의 경우 외피(外皮)와 내피(內皮)로 이루어지고, 외피가 강도와 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탁구공에 맞는 면이 외피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가 중간블레이드(120c)에 접착됨에 있어 손잡이(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나무의 결 방향(130)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나무는 결방향에 의해 쉽게 휘거나 부러지는 특징을 갖는데, 대나무의 결 방향(130)이 손잡이(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아닌 경우에는 탁구공에 부딪치는 순간의 충격에 의해 부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를 얇게 저민 대나무판재를 두겹 내지 세겹을 결 방향이 서로 각각 직교되도록 겹치고 이들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한 다음 중간블레이드(120c)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나무판재는 얇게 절단한 대나무를 합판제작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거나, 파티클보드처럼 여러 조각의 대나무막대 또는 조각들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프레스로 압착 성형한 다음 이를 얇게 절단하여 판재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대나무를 절단하고 이를 갈라서 단면이 호(弧)형상인 대나무 원재를 얻고 이를 열로 가열하면서 로울러 또는 프레스로 눌러서 펴는 열소성가공을 통해 제조된 대나무 판재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탁구채용 블레이드
110: 손잡이부
120: 블레이드
120a: 전면블레이드
120b: 후면블레이드
120c: 중간블레이드

Claims (4)

  1. 손잡이부(110)를 구비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120)와, 상기 블레이드(120)의 표면을 덮는 고무재질의 러버로 이루어지는 탁구라켓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 중간블레이드(120c)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는 대나무판재로 이루어지고, 중간블레이드(120c)는 대나무보다 비중이 가벼운 목재판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블레이드(120c)는 발사목 또는 오동나무, 또는 이들과 비슷한 비중을 갖는 목재판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가 중간블레이드(120c)에 접착됨에 있어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의 내피부분이 중간블레이드(120c)에 접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블레이드(120a)와 후면블레이드(120b)가 중간블레이드(120c)에 접착됨에 있어 손잡이(1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나무의 결 방향(1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KR1020140098796A 2014-08-01 2014-08-01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Expired - Fee Related KR10172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96A KR101721734B1 (ko) 2014-08-01 2014-08-01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96A KR101721734B1 (ko) 2014-08-01 2014-08-01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563A true KR20160019563A (ko) 2016-02-22
KR101721734B1 KR101721734B1 (ko) 2017-03-30

Family

ID=5544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7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1734B1 (ko) 2014-08-01 2014-08-01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7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1980A (zh) * 2018-12-27 2019-06-07 聚石化学(苏州)有限公司 一种乒乓球用热塑性复合材料及其制备的乒乓球
KR102240615B1 (ko) 2019-12-09 2021-04-15 서여민 장애우용 탁구라켓
KR20220029975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티마운트 반발력이 우수한 탁구 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322U (ja) * 1997-08-28 1998-06-09 良介 本多 竹製集成材板を利用した卓球用ラケット
KR20140003911U (ko) * 2012-12-17 2014-06-25 이두성 탁구용 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322B2 (ja) * 1990-01-08 2000-06-05 コニカ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9322U (ja) * 1997-08-28 1998-06-09 良介 本多 竹製集成材板を利用した卓球用ラケット
KR20140003911U (ko) * 2012-12-17 2014-06-25 이두성 탁구용 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1980A (zh) * 2018-12-27 2019-06-07 聚石化学(苏州)有限公司 一种乒乓球用热塑性复合材料及其制备的乒乓球
KR102240615B1 (ko) 2019-12-09 2021-04-15 서여민 장애우용 탁구라켓
KR20220029975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티마운트 반발력이 우수한 탁구 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734B1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734B1 (ko) 대나무를 재질로 하는 탁구라켓
EP2806952B1 (en) Table tennis bat
US20090275428A1 (en) Baseball bat
CN207614288U (zh) 用于球类运动的球拍
WO2012012287A3 (en) Co-molded, focused weighted, dimple arrayed hockey sticks and other composite structures
CN102416253B (zh) 竹木玻纤制的运动滑板的踏板及其生产方法
CN115155026A (zh) 一种匹克球拍及其制备方法
JP5678245B2 (ja) 食品用木製積層板
US3997161A (en) Table-tennis bat
CN201899851U (zh) 一种运动滑板用的高强踏板
CN117504254A (zh) 一种匹克球拍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346692B1 (ko) 코르크 필름의 제조 방법, 코르크 필름을 이용한 문구 및 단말기 케이스
KR200469551Y1 (ko) 탁구라켓
JP5052435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
JPH06277313A (ja) 打球用運動具
KR101121838B1 (ko) 단판 탁구라켓 및 그 제작방법
CN201997074U (zh) 网状结构乒乓球底板
KR200475001Y1 (ko) 접이가능한 식기 건조대 겸용 도마
CN204850362U (zh) 三层竹木复合竹面地板
CN104096345A (zh) 环保型乒乓球拍底板
JP3194383U (ja) 卓球ラケットのブレード、ラケット本体及び卓球ラケット
WO2012106988A1 (zh) 一种加固击球板上指孔的乒乓球拍
CN201143159Y (zh) 一种新型的竹切菜板
JP4130199B2 (ja) 練習用バット
CN201862226U (zh) 竹碳乒乓球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