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624A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 Google Patents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7624A KR20160017624A KR1020150109910A KR20150109910A KR20160017624A KR 20160017624 A KR20160017624 A KR 20160017624A KR 1020150109910 A KR1020150109910 A KR 1020150109910A KR 20150109910 A KR20150109910 A KR 20150109910A KR 20160017624 A KR20160017624 A KR 201600176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piece
- contact piece
- insulator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MFGNRRURHSENX-UHFFFAOYSA-N beryllium copper Chemical compound [Be].[Cu] DMFGNRRURHSE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어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컨택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목적은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209)를 가지는 컨택트(20)에 대해, 2개의 측벽(202)과 측벽(202)를 연결하는 연결벽(203)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201)을 갖추어 2개의 측벽(202)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를 마련하고,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의 자유단 측에,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을 상하에 마련해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가 상대물과 롤(roll)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PROBLEMS] To provide a contac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in a length-pitch direction and a short (width) direction of a connector, and is not broken even when being miniaturized, and a stable contact (connection) reliability can be obtain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nnecting wall (203) connecting two side walls (202) and side walls (202) to a contact (20) having a contact part contacting with a mating object and a connecting par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204 and 205 are provided on the two side walls 202 to protrude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ting member with the body portion 201 having a substantially U-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206 and 207 which are in the form of an arc and are in contact with the same surface of the mating object are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204 and 205,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s (206) and (207) make roll face contact with the mating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업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이용하는 컨택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이며, 커넥터의 길이(longitudinal)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be downsized in the longitudinal pitch direction and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capable of achieving reliable contact (connection) reliability without being damaged.
컨택트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고정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절연물에 보호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접촉부는, 통상, 1개소에서의 접촉이 많지만,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2개소에서 접촉시키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접속 대상물(기판이나 플렉서블(flexible) 인쇄 기판(이하 FPC라고 한다)이나 케이블 등)에 납땜이나 압접, 압착, 프레스피트(pressfit)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Generally, the contact has at least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and a connecting por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object. In addition, there is a case where a fixing portion for protecting and holding the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as necessary (by means of fixing). The contact portion usually has many contacts at one place, but may be contacted at two places in order to improve contact reliability.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object (a substrate or a flexible printed subst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PC), a cable, or the like) by soldering, pressure bonding, compression bonding, pressfit or the like.
커넥터로서는, 적어도, 상기 컨택트와 상기 절연물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절연물에 압입이나 용착이나 일체 성형 등에 의해 보호 유지되고 있다.The connector includes at least the contact and the insulator. A plurality of the contacts are protected and held in the insulator by press-fitting, welding or integral molding.
하기에, 본 출원인이 2점 접촉으로서 이미 제안한 문헌으로 특허 문헌1(특개 2006-134687)과 특허 문헌 2(특개 2009-230945)이 있다.Hereinafter, Patent Documents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134687) and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230945) are already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two-point contact.
고객으로부터 커넥터의 소형화(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강하며, 소형화해도 강도 면에서 문제가 없고, 또한,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There is a strong demand for miniaturization (miniaturization in the length pitch direction and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from the customer, and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trength even with miniaturization, and stable contact (connection) reliability is demanded.
특허 문헌 1의 구조에서는, 길이 피치 방향의 소형화가 불가능하고, 특허 문헌 2의 구조에서는,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가 불가능하다.In the structure of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조이면서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고,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컨택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be miniaturized in the length pitch direction and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hile being simple in structure, To provide a contact having a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1)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절연물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이며,(1)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s a contact which is protected and arranged on an insulator,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A contact having a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and a connection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bject,
2개의 측벽과 해당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를 구비하고,And a substantially U-shaped main body portion having two side walls and a connecting wall connecting the side walls,
상기 2개의 측벽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projecting in a fitting engagement direction with a counterpart are provided on the two side walls,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의 자유단 측에,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상하에 마련하고,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which are in an arcuate shape and come in contact with the same surface of the mating object, are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상기 제 1 및 제2 접촉부가 상대물과 롤(roll)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make roll face contact with the mating member.
(2) 상기 컨택트는, 상기 절연물에 보호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적어도 상기 2개의 측벽 중 어느 한 쪽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기재의 컨택트이다.(2) The contact according to (1), wherein the contac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side walls to securely hold the insulating material.
(3) 상기 절연물에 보호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상기 연결벽보다 상부의 접촉부 측에서, 적어도 상기 2개의 접촉편의 어느 한 쪽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기재의 컨택트이다.(3)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above (1), wherein a fixing portion for protecting and holding the insulator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contact pieces on th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above the connection wall.
(4) 상기 컨택트는, 상기 본체부를 밀착하여 구부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2) 또는 (3) 기재의 컨택트이다.(4) The contact according to any one of (1), (2), and (3), wherein the contac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portion to be bent.
(5) 제 2 접촉편을 선단으로부터 대략 활 모양으로 접어 꺾는 한편, 제 1 접촉편의 선단을 대략 L자 모양으로 구부려 접어,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의 선단끼리가 감싸는(wrap)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2) 또는(3), (4) 기재의 컨택트이다.(5) folding the second contact piece into a substantially bow-like shape from the tip end, folding the tip end of the first contact piece into a substantially L-shaped shape, and wrapping the first contact piece and the tips of the second contact pieces, (1), (2), (3) and (4).
(6)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의 선단끼리를 감싸게(wrap) 해, 유효 끼움결합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기재의 컨택트이다.(6) The contact according to (5), wherein the first contact piece and the tips of the second contact pieces are wrapped around each other to secure an effective fitting space.
(7) 상기(1)~(6) 중 어느 1개의 컨택트를, 2개의 상기 제 1및 제2 접촉부가 마주보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접촉편 또는 상기 제 2 접촉편의 어느 하나의 측벽끼리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여, 2개의 상기 컨택트를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7)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above, wherein the first contact piece and the second contact piece are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arts face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two contacts are integrated.
(8)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컨택트는, 절연물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이며,(8) Another conta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act which is protected and arranged on an insulating material,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A contact having a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and a connection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bject,
저벽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을 마련하고,A first contact piece protru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the mating member at the bottom wall and having a folded shape is provided,
상기 저벽과 연결하는 측벽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A second contact piece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connecting with the bottom wall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the counterpart,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 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ie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iece ar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9) 상기 컨택트는, 상기 측벽을 대략 수직으로 구부려 접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촉편을 굴곡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 기재의 컨택트이다.(9) The contact is formed by bending the side wall substantially vertically and folding the second contact piec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rst contact part of the first contact piece and the second contact part of the second contact piece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8) above.
(10) 상기 컨택트는, 상기 측벽을 비스듬하게 구부려 접음으로써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 기재의 컨택트이다.(10) The method according to (8), wherein the contact has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ie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iece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by bending the side wall obliquely. .
커넥터(connector)는, 상기(1) 내지 (10) 기재의 컨택트와 해당 컨택트를 보호 유지 및 배열하는 절연물을 구비한다.The connector includes the contacts described in the above (1) to (10) and an insulator for protecting and arranging the contacts.
본 발명의 컨택트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며,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어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로,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어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3)의 구조라면, 싱글 접점과 더블 접점으로 절연물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어 연결벽 부분이 전향 없이,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상기(5)와 (6) 같은 구조로 한다면, 상대물과 끼움결합했을 때에 있어서 접촉하기 시작한 후 부터 완전 끼움결합까지의 거리인 유효 끼움결합 공간(유효 접촉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유효 끼움결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으로, 다소 끼움결합 부족이 있을지라도 접속 불량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7) 기재의 컨택트는, 대전류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be miniaturized in the length pitch direction and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so that even if the connector is miniaturized, it is not broken and stable contact (connection) reliability can be obtained. Further, with the connector using the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aturization of the connector in the length pitch direction and the short (width) direction can be achieved, and even if the connector is miniaturized, the connector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reliable. With the structure (3), insulation can be commonly used with a single contact and a double contact, so that a stable connection can be obtained without changing the connecting wall portion.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5) and (6),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effective fitting space (effective contact space), which is the distance from the start of the contact to the complete fitting when engaging with the mating member. By sufficiently ensuring the effective fitting space, even if there is a slight insufficiency in fitting, it is not connected to the poor connection. The contact described in (7) above can also be used for a large current.
[도 1]
(A) 본 발명의 컨택트(contact)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A)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connector)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A)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절연물을,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A) 밀접하여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밀접하여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A) 본 발명의 또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A) 본 발명의 도5와는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도5와는 또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A) 본 발명의 도1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도4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본 발명의 도5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D) 본 발명의 도5의 컨택트를, (A)~(C)와는 다른 측벽을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A)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A)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A)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 도1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4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5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Figure 1]
(A)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using a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using the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using the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t the insertion hole portion of the contact.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insulator.
(B)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connection direction) of the insulator.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ulator cut at the insertion hole portion of the contact.
[Figure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bent in close contact,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member;
(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in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in a case where it is bent in close contact.
[Figure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member;
(B)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using another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ut at the insertion hole portion of the contact.
[Figure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different from that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different from that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member;
[Figure 7]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a connecting portion, in a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a connecting portion, in a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a connecting portion, in a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D)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in which side walls different from (A) to (C) are integrally formed by a connecting portion.
[Figure 8]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tection holding position is changed,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object;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using the contacts of (A) cut at the insertion hole portion of the contact.
[Figure 9]
(A)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tection holding position is change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1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member.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tection holding position is changed,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object.
(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tection holding position is changed,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object.
본 발명의 특징은, 절연물(40)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20)이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209)를 가지는 컨택트(20)에 있어서, 2개의 측벽(202)과 해당 측벽(202)를 연결하는 연결벽(203)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201)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벽(202)보다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 (204), (205)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 (204), (205)의 자유단 측에,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을 상하에 마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가 상대물과 롤(roll) 면 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a contact (20) which is protected and arranged on an insulator (40) and has a contact portion (20) which is in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and a connection portion (209) (202) and a connecting wall (203)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side wall (202). The main body portion (201) has a substantially U shape in a direction of fitting A
즉, 본 발명의 컨택트(20), (30)은 상자모양으로 구부리거나, 또는 밀착하여 구부린 본체부(201), (301)의 2개의 측벽(202)로부터 각각 2개의 접촉편(204), (205), (304), (305)를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시켜, 각각의 자유단 측에 접촉부 (206), (207), (306), (307)을 마련하여, 상대물의 동일면과 상하에 롤면접촉을 시킨 것이다.That is, the
도 1 내지 도 9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1 to 9, an embodiment of the
도 1(A)은 본 발명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은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절연물을,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밀접하게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밀접하게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도 5와는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또 도 5와는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도 1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도 4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도 5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D)는 본 발명의 도 5의 컨택트를, (A)~(C)와는 다른 측벽을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은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A)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 1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 4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 5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object, and Fig. 1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Fig.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using a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object, Fig. 2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using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using the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ut at the insertion hole portion of the contact.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or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ulator se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tting direction Cut section. Fig.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where it is bent in a close bending direction, and Fig. 4 (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object,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using a conta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t the insertion hole portion of the contact. Fig. 6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different from that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object, Fig. 6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different from that of Fig. . Fig. 7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integrally by a connecting portion, in a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member, Fig. 7 (B) (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integrally by a connecting portion,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member, and FIG. 5 (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act of the mat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walls different from (A) to (C)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connecting portion.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tection holding position is changed in a fitting direction of a mating object, Fig. 8B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using the contact shown in Fig. to be. Fig. 9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tection holding position is changed as seen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object, Fig. 9 (B) (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of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otective holding position is changed, as viewed from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mating member. FIG.
상기 커넥터(10)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상대물과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대물로서는, 커넥터나 기판, FPC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커넥터다. 상기 접속 대상물로서는, 기판이나 플렉서블(flexible) 인쇄 기판(이하 FPC라고 한다)이나 케이블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판이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커넥터(10)의 컨택트(20), (30)가 실장되는 랜드와 해당 랜드로부터 연장되어, 전자 부품 등에 연결되는 패턴이 마련되어 있다.Before describing the
도 1 내지 도 9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컨택트(20), (30), (50), (70), (80)을 이용한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10)는,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209), (309), (509), (709), (809)를 가지는 컨택트(20), (30), (50), (70), (80)과 해당 컨택트 (20), (30), (50), (70), (80)가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절연물(40)을 구비하고 있다.The
우선, 본 발명의 핵심인 상기 컨택트(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은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컨택트(20)의 재질로서는, 탄력성이나 도전성, 치수 안정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20)는 상기 절연물(40)에 압입에 의해 고정하고 있지만,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고, 갈고리(랜스(lance))나 용착이나 일체 성형 등이 있다.First, the
상기 컨택트(20)은,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06), (207)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209)를 가지고, 추가적으로 상기 절연물(40)에 고정하는 고정부(208)을 가진다.The
상기 컨택트(20)은, 상자 모양으로 구부려 형성된 대략 コ자형 모양의 본체부 (201)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01)은 2개의 측벽(202), (202)와 해당 측벽(202), (202)를 연결하는 연결벽(20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2개의 상기 측벽(202), (202)로부터 각각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제 1 접촉편(204)과 제 2 접촉편(205)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의 자유단 측에는, 상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06)과 제 2 접촉부(20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는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에서, 상하에서 롤 면접촉 하고 있다.Two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는, 상기 상대물과 접촉하기 쉽도록, 접촉편의 형상ㆍ크기는 접촉력이나 커넥터의 소형화나 강도나 탄성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는,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The shape and size of the contact pieces are appropriate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act force,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nnector, the strength and the elasticity, so that the first and
상기 제 1 접촉부(206)과 상기 제 2 접촉부(207)는 상기 상대물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접촉하기 쉽도록 활처럼 굽어져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206)가 상기 상대물의 위(끼움결합 방향측)에서, 상기 제 2 접촉부(207)가 상기 상대물의 아래(끼움결합 방향의 반대측)에, 상하에 롤면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206)과 상기 제 2 접촉부(207)의 형상ㆍ크기는, 상기 상대물에 따라서 접촉 안정성이나 커넥터의 소형화, 강도,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The
상기 접속부(209)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판에의 접속 방법으로는 납땜(표면 실장이나 딥)이나 압접, 압착, 프레스 피트(press fit)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20)은 기판 실장 타입이며, 납땜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The
상기 고정부(208)는 상기 절연물(40)에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고, 압입이나 갈고리(랜스)나 용착, 일체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물(40)에 압입에 의해 보호 유지 및 고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208)는 2개의 상기 측벽(202) 부분의 자유단 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08)의 형상ㆍ크기는, 보호 유지력이나 가공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고정부(208)는 상기 측벽(202)에, 화살촉 모양의 돌기를 마련해 상기 절연물(40)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0.1 ~ 0.3 mm정도의 상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The fixing
다음으로, 절연물(4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절연물(40)은 전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며, 공지 기술의 사출 성형이나 절삭에 의해 제작되어, 절연물의 재질로서는 치수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 액정 폴리머(LC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나 이러한 합성 재료들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Next, the
상기 절연물(40)은 대략 상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절연물(40)은,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402)와 길이 피치 방향의 양측의 플랜지(403)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물(40)의 본체(402)에는, 상기 컨택트(20)가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삽입 구멍(40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401)에 상기 컨택트(20)는 압입이나 갈고리(랜스), 용착, 일체 성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20)은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401)의 형상ㆍ크기는, 상기 컨택트(20)를 보호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며, 보호 유지력이나 강도, 가공성, 소형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The
상기 본체(402)에는, 상기 상대물이 들어가는 끼움결합구(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끼움결합구(12)의 형상ㆍ크기는, 상기 상대물과 끼움결합할 수 있으면 충분하지만, 상기 상대물의 형상ㆍ크기에 따라,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The
상기 플랜지(403)에는, 보다 접속 대상물에 강고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구(60)을 장착하는 장착구멍(40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착구멍(404)은 상기 고정구(60)를 장착할 수 있으며, 보호 유지 강도나 보호 유지력, 가공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The
상기 플랜지(403)의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 핀(405)이 본 실시예에서는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삽입 방지 핀(405)의 형상ㆍ크기는,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역할이나 강도,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단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오삽입을 방지하고 있다.On the connection side of the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구(60)은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고정구(60)의 재질로서는, 탄력성이나 도전성, 치수 안정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60)은 상기 절연물(40)의 플랜지(403)의 장착구멍(404)에, 압입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괜찮고, 갈고리(랜스)나 용착, 일체 성형 등이 있다.Next, the
다음으로, 도 4의 다른 컨택트(3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상기 본체부(201)의 형성하는 방법에 있다. 상기 컨택트(20)이 상자모양으로 구부러진 것에 반하여, 상기 컨택트(30)은 밀착하여 구부러진 것으로, 길이 피치 방향을 한층 더 소형화시키고 있다. 판 두께의 2배의 치수이다.Next, another
다음으로, 도 5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다른 컨택트(5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제 2 접촉편(505)의 한 쪽을 선단에서 대략 활 모양으로 접어 꺾고, 또한, 또 제 1 접촉편(504)의 한 쪽의 선단을 대략 L자 모양으로 구부려 접어, 상기 제 1 접촉편(504)과 상기 제 2 접촉편(505)의 선단끼리가 감싸도록(wrap)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효 끼움결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대물을 가이드하기도 한다. 단, 상기 상대물과 완전하게 끼움결합했을 때에는, 상기 제 1 접촉편(504)과 상기 제 2 접촉편(505)의 선단끼리는 접하지 않도록 설계하고 있다.Next, based on FIG. 5, additionally, another
이와 같이, 상기 제 1 접촉편(504)과 상기 제 2 접촉편(505)의 선단끼리가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대물과 끼움결합했을 때에 있어서 접촉하기 시작한 후 부터 완전 끼움결합까지의 거리인 유효끼움결합 공간(유효접촉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506)와 상기 제 2 접촉부(507)의 간격을, 0.3~0.6 mm정도 수준으로 억제함으로써, 유효끼움결합 공간의 충분한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ip ends of the
도 7을 바탕으로, 연결부(21), (31), (51)에 의해 일체 구조로 된 도1과 도4와 도 5의 컨택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난 컨택트(90)은, 도1과 도4와 도5의 컨택트(20), (30), (50)의 2개의 상기 제 1 접촉부(206), (306), (506) 및 제 2 접촉부(207), (307), (507)가 마주보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접촉편(204), (304), (504)측 혹은 상기 제 2 접촉편(205), (305), (505)측 중 어느 하나의 측벽(202), (302), (502)끼리를 연결부(21), (31), (51)에 의해 연결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21), (31), (51)의 형상ㆍ크기는, 커넥터의 소형화나 상대물의 크기ㆍ형상, 사용 용도, 강도,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1, Fig. 4 and Fig. 5, which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connecting
다음으로, 도6(A)을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다른 컨택트(7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상기 연결부(203)에 상당하는 저벽(703)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704)를 마련하고, 상기 저벽(703)과 연결하는 측벽(702)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705)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접촉편(704)의 제 1 접촉부(706)과 상기 제 2 접촉편(705)의 제 2 접촉부(707)을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제 1 접촉편(704)의 제 1 접촉부(706)와 상기 제 2 접촉편(705)의 제 2 접촉부(707)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측벽(702)를 대략 수직으로 구부려 접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촉편(705)를 굴곡시키고 있다.Next, another
다음으로, 도6(B)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다른 컨택트(8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상기 연결부(203)에 상당하는 저벽(803)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804)를 마련하고, 상기 저벽(803)과 연결하는 측벽(802)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805)를 마련하여, 상기 제 1 접촉편(804)의 제 1 접촉부(806)과 상기 제 2 접촉편(805)의 제 2 접촉부(807)을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제 1 접촉편(804)의 제 1 접촉부(806)으로 상기 제 2 접촉편(805)의 제 2 접촉부(807)을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측벽(802)를 비스듬하게 접어 구부리고 있다.Next, another
마지막으로, 도8 및 도9를 바탕으로, 상기 고정부(208)의 위치를 바꾼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208)의 위치가 바뀐 것만으로, 그 밖의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절연물(40)에, 상기 컨택트(20), (30), (50)을 삽입했을 때에 전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208)의 위치를, 상기 연결벽(203), (303), (503)보다 상부의 접촉부 측에서, 적어도 상기 2개의 접촉편 중 어느 한 쪽에 마련했다. 즉, コ자형 모양이나 밀착하여 구부린 연결벽(203), (303), (503)이나 측벽(202), (302), (502)는 상기 절연물(40)의 삽입 구멍(401)으로부터 기판 측으로 돌출하는 구조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에 상기 고정부(208)를 마련함으로써 싱글 접점과 더블 접점으로 절연물(40)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Finally, based on FIGS. 8 and 9,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fixing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산업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이용하는 컨택트에 활용되며, 특히, 간단한 구조이며,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ntact used for a connector used in industrial equipment, electric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like. Particularly, it is a simple structure and enables miniaturization of the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pitch direction and the sho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capable of obtaining stable contact (connection) reliability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커넥터
12 끼움결합구
20, 30, 50, 70, 80, 90 컨택트
201, 301, 501 본체부
202, 302, 502, 702, 802 측벽
203, 303, 503 연결벽
204, 304, 504, 704, 804 제 1 접촉편
205, 305, 505, 705, 805 제 2 접촉편
206, 306, 506, 706, 806 제 1 접촉부
207, 307, 507, 707, 807 제 2 접촉부
208, 308, 508, 708, 808 고정부
209, 309, 509, 709, 809 접속부
703, 803 저벽
21, 31, 51 연결부
40 절연물
401 삽입 구멍
402 본체
403 플랜지
404 장착구멍
405 오삽입 방지 핀
60 고정구10 connector
12 fittings
20, 30, 50, 70, 80, 90 contacts
201, 301, 501,
202, 302, 502, 702, 802,
203, 303, 503 connecting wall
204, 304, 504, 704, 804 The first contact piece
205, 305, 505, 705, 805,
206, 306, 506, 706, 806,
207, 307, 507, 707, 807,
208, 308, 508, 708, 808,
209, 309, 509, 709, 809,
703, 803 bottom wall
21, 31, 51,
40 Insulation
401 insertion hole
402 body
403 Flange
404 mounting holes
405 O insertion prevention pin
60 fixture
Claims (11)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
2개의 측벽과 해당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벽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의 자유단 측에,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상하에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2 접촉부가 상대물과 롤(roll)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A contact that is protected and arranged on an insulator,
A contact having a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and a connection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bject,
And a substantially U-shaped main body portion having two side walls and a connecting wall connecting the side walls,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projecting in a fitting engagement direction with a counterpart are provided on the two side walls,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which are in an arcuate shape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same surface of the mating object, are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make roll face contact with the mating member.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
저벽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저벽과 연결하는 측벽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 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A contact that is protected and arranged on an insulator,
A contact having a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 mating object and a connection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object,
A first contact piece protruding from the bottom wall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the mating object and having a folded shape is provided,
A second contact piece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connecting with the bottom wall in the fitting direction with the counterpart,
W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ie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iece ar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A connector comprising: a contac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n insulator for protecting and arranging the cont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160213 | 2014-08-06 | ||
JPJP-P-2014-160213 | 2014-08-06 | ||
JPJP-P-2014-245440 | 2014-12-04 | ||
JP2014245440 | 2014-12-04 | ||
JP2015044202A JP6006356B2 (en) | 2014-08-06 | 2015-03-06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
JPJP-P-2015-044202 | 2015-03-06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9177A Division KR20160140543A (en) | 2014-08-06 | 2016-11-28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7624A true KR20160017624A (en) | 2016-02-16 |
KR101739067B1 KR101739067B1 (en) | 2017-05-23 |
Family
ID=561246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9910A Active KR101739067B1 (en) | 2014-08-06 | 2015-08-04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
KR1020160159177A Ceased KR20160140543A (en) | 2014-08-06 | 2016-11-28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9177A Ceased KR20160140543A (en) | 2014-08-06 | 2016-11-28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2) | JP6006356B2 (en) |
KR (2) | KR10173906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23221B (en) * | 2016-07-13 | 2020-03-13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Elastic terminal |
JP6776085B2 (en) * | 2016-10-05 | 2020-10-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6360939B1 (en) | 2017-03-30 | 2018-07-18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Multi-contact connector |
JP6356860B1 (en) * | 2017-04-13 | 2018-07-11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6660915B2 (en) * | 2017-05-29 | 2020-03-11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connector |
JP6861603B2 (en) | 2017-09-25 | 2021-04-2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s and terminals |
CN109326909A (en) | 2018-11-20 | 2019-02-12 |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 A kind of high-power card class connection terminal of high density and connector |
JP2021061124A (en) * | 2019-10-04 | 2021-04-1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4687A (en) | 2004-11-05 | 2006-05-25 | D D K Ltd | Card connector |
JP2009230945A (en) | 2008-03-21 | 2009-10-08 | D D K Ltd | Electric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20808B2 (en) * | 1995-02-28 | 1998-03-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Contact structure and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
JP2000299150A (en) * | 1999-04-15 | 2000-10-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Connecting device |
JP3117439B1 (en) * | 1999-07-06 | 2000-12-11 | 山一電機株式会社 | Pinching socket |
JP5001193B2 (en) * | 2008-02-19 | 2012-08-15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Connector device |
JP5197216B2 (en) * | 2008-08-05 | 2013-05-1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contact terminals |
JP5486121B1 (en) * | 2013-07-24 | 2014-05-0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
2015
- 2015-03-06 JP JP2015044202A patent/JP6006356B2/en active Active
- 2015-08-04 KR KR1020150109910A patent/KR101739067B1/en active Active
-
2016
- 2016-06-01 JP JP2016109751A patent/JP6349346B2/en active Active
- 2016-11-28 KR KR1020160159177A patent/KR20160140543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4687A (en) | 2004-11-05 | 2006-05-25 | D D K Ltd | Card connector |
JP2009230945A (en) | 2008-03-21 | 2009-10-08 | D D K Ltd | Electric connector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특허 문헌 1] |
[특허 문헌 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6173998A (en) | 2016-09-29 |
JP6006356B2 (en) | 2016-10-12 |
JP6349346B2 (en) | 2018-06-27 |
KR20160140543A (en) | 2016-12-07 |
JP2016110966A (en) | 2016-06-20 |
KR101739067B1 (en) | 2017-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9067B1 (en)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 |
JP525045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9608349B2 (en) | Contact having two contact portions with their central lines in one plane | |
JP5185731B2 (en) | Floating connector fixture and floating connector using the fixture | |
JP6249676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539873B1 (en) | Board connecting terminal | |
US9577371B2 (en) | Connector with retaining portion having reinforcing portion | |
US7540770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WO2019077840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30124353A (en) | Contact and connector with contacts | |
US9190748B2 (en) | Connector structure | |
JP2005294217A (en) |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it | |
JP566558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23016919A (en) | connector | |
JP5134943B2 (en) | connector | |
JP4854096B2 (en)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
KR101859028B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shell having at least two interlocking holes, shell formed by thi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comprising this shell | |
KR20090090247A (en) | A socket for connection | |
JP6681655B2 (en) | Coaxial connector | |
JP2008171627A (en) | Female terminal fitting | |
CN204885639U (en) | Fixing structure of flexible flat cable electric connector | |
JP556788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4414845B2 (en) | connector | |
US9941649B2 (en) | Interboard connection connector with battery connector | |
WO2014126045A1 (en) | Electric wire pressure-contac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