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103A - Rice Burger-forming device - Google Patents
Rice Burger-form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5103A KR20160015103A KR1020140097610A KR20140097610A KR20160015103A KR 20160015103 A KR20160015103 A KR 20160015103A KR 1020140097610 A KR1020140097610 A KR 1020140097610A KR 20140097610 A KR20140097610 A KR 20140097610A KR 20160015103 A KR20160015103 A KR 201600151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rger
- plate
- rice
- forming
- pr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15220 hamburger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740 moulding (composite fabr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62 rice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밥버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버거와 하부버거 및 상, 하부버거 사이에 들어가는 토핑까지 한 번에 성형 및 가열, 제조시킬 수 있는 밥버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성형장치에 가압플레이트, 성형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에 밥버거를 구성하는 상부버거, 하부버거 및 토핑을 작동부재 한 번의 작동으로 밥버거를 성형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 관통 홈 및 홈부가 각각 형성된 밥버거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밥버거를 성형 시, 작동부재 한 번의 작동으로 하나의 밥버거를 성형시킬 수 있어 성형에 따른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게 되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토핑의 종류에 따라 가열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의 오목한 형상 및 볼록한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밥버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burger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burger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heating, and manufacturing the upper burger, the lower burger and the topping that ente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urgers at one time, The apparatus includes a pressing plate, a forming plate, and a support plate. The upper burger, the lower burger, and the topping constituting the burger are attached to the respective plates. The bosses are formed by one oper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burger forming device in which grooves are formed in each of a plurality of burgers to form a burger, and when the burger is formed, one burger can be formed by one oper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Depending on the type of topping, the heating can be controlled, and the concave and convex shapes of the upper and lower burg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justable rice burger molding apparatus.
Description
본 발명은 밥버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버거와 하부버거 및 상, 하부버거 사이에 들어가는 토핑까지 한 번에 성형 및 가열, 제조시킬 수 있는 밥버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burger mol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burger molding apparatus capable of molding, heating, and manufacturing the upper burger, the lower burger and the topping that enter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urgers all at once.
일반적으로 알려진 밥이 포함된 간단한 대용식으로는 김밥, 주먹밥 등이 있다.
Commonly known simple substitutes include rice, rice balls and rice balls.
김밥의 경우 김말이 등에 깔고 밥을 골고루 편 뒤, 그 중심에 반찬을 넣고 김에 의하여 포장되게 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흔한 간단한 대용식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으며, 김을 제거한 밥과 반찬만의 덩어리밥(일명 누드김밥)으로는 만들 경우 밥알의 끈기가 적거나 반찬을 유지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으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고 있으나, 김을 제외한 밥과 반찬만의 대용식으로 발전하기 어려웠다.
In the case of kimbap, it is widely used as a simple substitute, which is provided by wrapping Kimmalyi on the back of the rice and putting side dishes on the center of the rice and wrapping it in the kimchi. It is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rice, It is difficult to develop rice as a substitute for only rice and side dishes except for Kim, although it is made in various ways by problems such as low stickiness of rice balls or difficulty in maintaining side dishes.
이러한 밥과 반찬만의 간이 대용식으로는 밥만을 둥글게 말은 뒤, 소금과 깨 등을 겉에 두른 상태의 주먹밥이 알려져 있으나, 이 역시 반찬을 넣게 되는 경우 그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As a substitute for only these rice and side dishes, it is known that rice balls are wrapped around salt and sesame after rounding rice only.
최근 이동식 식당 등을 통하여 햄버거 혹은 샌드위치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열판위에 밥을 깔고 그 내부에 반찬이 포함되게 한 뒤, 이를 살짝 구워내는 방법의 구워진 밥이 알려지게 되었다.
Recently, a hamburger or a sandwich is served through a portable restaurant, etc., and a grilled rice which is made by grilling the rice after the rice is laid on the soleplate and the side dish is included in the inside is known.
이에 종래에는 공개번호 특 1998-081907호의 ‘쌀을 이용한 햄버거빵 패드 및 그 제조방법’과, 공개번호 특 1999-0037876호의 ‘쌀을 이용한 햄버거빵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및 등록번호 20-0403661호의 ‘밥 구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Conventionally, a hamburger bread pa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ing rice, a method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hamburger bread pad using rice disclosed in Laid-open No. 1998-081907, 0403661 discloses a " rice grilling device ".
그러나 상기한 구워진 밥을 제공하기 위한 밥 구이장치의 단점은 구이기에 있다. 뜨거워진 열판 내에 소정온도로 구워진 밥을 꺼내기 위하여 일일이 고리를 형성한 철사봉을 열판의 뚜껑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덮개를 열고 꺼내게 되어 구워진 밥의 인출이 까다롭고 밥의 형태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 disadvantage of the rice grilling apparatus for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roasted rice is the roasting. In order to take out the rice bak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 hot plate, a wire rod formed with a loop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lid of the plate so that the lid is opened and taken out, so that the baked rice is difficult to take out and the shape of the rice is damaged. there was.
또한, 항상 2벌의 구이기가 세트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구워진 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속이 빈 구이공간이 발생되어 열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since two sets of bakers are always set, there is a problem that a hollow baked space is generated to make one baked rice, and heat is was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성형장치에 가압플레이트, 성형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에 밥버거를 구성하는 상부버거, 하부버거 및 토핑을 작동부재 한 번의 작동으로 밥버거를 성형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 관통 홈 및 홈부가 각각 형성된 밥버거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ing device, a forming plate and a supporting plate in a molding apparatus, and an upper burger, a lower burger and a topping constituting a rice burg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burger forming device in which a protruding portion, a through groove and a groove portion are formed so as to form a rice burger in a single operation of a member.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량의 밥을 가압하여 버거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일정 간격 돌출되며 상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 1돌출부와 하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 2돌출부와 토핑을 가압하는 제 3돌출부로 형성된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제 1, 2, 3돌출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성형 홈이 다수개 형성된 성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제 1, 2, 3돌출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 1, 2, 3홈부가 일정 깊이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성형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를 상호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승, 하강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 하강 제어, 밥을 가압하는 시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버거 성형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ing apparatus for molding a burger by pressuriz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ice, comprising: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ing an upper burger, A mold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molding grooves for allow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of the pressing plate to pass therethrough; and a second plat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n operat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ress plate and the form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pressure for pressurizing the rice, the rising and falling control of the member, the time for pressing the rice, As it is to solve that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밥버거 성형장치에 의하면, 밥버거를 성형 시, 작동부재 한 번의 작동으로 하나의 밥버거를 성형시킬 수 있어 성형에 따른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게 되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토핑의 종류에 따라 가열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의 오목한 형상 및 볼록한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대단한 발명이라 하겠다.
According to the rice burger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ce burger is molded, on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can be performed to form one rice burger, so that no additional operation is required for the molding and the time can be shorten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ing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upper and lower burgers, and the concave and convex shapes of the upper and lower burgers can be controlled, which is a grea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성형장치 중 가압플레이트, 성형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성형장치 중 가압플레이트, 성형플레이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ing plate, a forming plate, and a supporting plate in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late and the molding plate in the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인 밥버거 성형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Accordingly, the Bobberger mol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일정량의 밥을 가압하여 버거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일정 간격 돌출되며 상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 1돌출부(110)와 하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 2돌출부(120)와 토핑을 가압하는 제 3돌출부(130)로 형성된 가압플레이트(100)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성형 홈(210)이 다수개 형성된 성형플레이트(200)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와 각각 대응되는 제 1, 2, 3홈부(310, 320, 330)가 일정 깊이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 및 지지플레이트(300)를 상호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승, 하강하는 작동부재(400) 및 상기 작동부재(400)의 상승, 하강 제어, 밥을 가압하는 시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A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는 각각 단일 또는 동시에 상승된다.
The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돌출부(110, 120)의 저면과,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제 1, 2홈부(310, 320)의 상면에는 성형하려는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의 형상에 따라 오목한 형상 및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상기 제 3돌출부(130)의 외주와, 제 3홈부(330)의 외주에는 토핑의 종류에 따라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부재(600)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는 상부버거, 하부버거, 토핑 각각의 성형시간 및 익힘 정도에 따라 각각의 돌출부, 성형 홈이 형성된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가 개별적으로 상승, 하강할 수 있다.
The
상기한 본 발명인 밥버거 성형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The above-described Bobburger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본 발명인 밥버거 성형장치는 가압플레이트(100), 성형플레이트(200), 지지플레이트(300), 작동부재(400) 및 제어부(500)로 대분 구성된다.
The rice burger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composed of a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가압플레이트(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400)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400)에 의해 상승, 하강하되, 저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제 1돌출부(110), 제 2돌출부(120) 및 제 3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3 (A), the
상기한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는 저면에서 하측방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어 있으며, 제 1돌출부(110)는 상부버거를 형성, 가압하고, 제 2돌출부(120)는 하부버거를 형성, 가압하며, 제 3돌출부(130)는 토핑을 가압한다.
The first, second, and
성형플레이트(2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에 돌출된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성형 홈(2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3 (B), the forming
상기한 성형 홈(210)은 가압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돌출부의 수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는 상기 성형 홈(210)을 완전히 관통될 수도 있지만, 상부버거와 하부버거를 형성하는 밥의 양 및 토핑의 양에 따라 성형 홈(210)의 일정 부분까지만 관통되어 인입될 수도 있다.
The first, second, and
지지플레이트(30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와 각각 대응되며 상면에 제 1, 2, 3홈부(310, 320, 330)가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돌출부(110, 120)의 저면과,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제 1, 2홈부(310, 320)의 상면에는 성형하려는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의 형상에 따라 오목한 형상 및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이는 밥버거에 구성되는 상부버거와 하부버거를 성형함에 따라 상부버거의 상측을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상부버거를 성형하는 제 1돌출부(110)의 하면을 오목하게 형성하게 되고, 하부버거의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버거를 성형하는 제 2돌출부(120)의 하면을 오목하게 형성하게 된다.
This is because the upper and lower burgers formed in the rice burger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urger is concave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urger can be convex up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한 오목한 형상은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의 형상에 따라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더불어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가진 문자, 도형 및 그림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ncave shape may be formed in a concave or convex shape depending on the shapes of the upper and lower burgers, and characters, figures and figures having various shapes and shapes may be formed.
상기 제 3돌출부(130)의 외주와, 제 3홈부(330)의 외주에는 토핑의 종류에 따라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부재(600)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상기한 가열부재(600)는 가압플레이트(100), 성형플레이트(200) 및 지지플레이트(300) 전체에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한 각각의 플레이트(100, 200, 300)에 구성된 각각의 돌출부(110, 120, 130)와 성형 홈(210) 및 홈부(310, 320, 330)의 외주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eating member 600 may be formed on the entirety of the
작동부재(400)는 상기 가압플레이트(100), 성형플레이트(200 및 지지플레이트(300)를 상호 관통하여 연결되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승, 하강하며 작동된다.
The actuating
상기한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는 각각 단일 또는 동시에 상승된다.
The
이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가 각각 단일로 상승, 하강할 수도 있지만,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가 상호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에 의해 상호 끼움 연결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가 동시에 상승, 하강할 수도 있다.
4 (A), the
제어부(500)는 상기 작동부재(400)의 상승, 하강 제어, 밥을 가압하는 시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한다.
The
상기 제어부(500)는 작동부재(400)의 상승, 하강을 제어한다. 이는 작동부재(400)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며 그에 따라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를 상승, 하강시킬 수 있다.
The
또한, 제어부(500)는 밥을 가압하는 시간과 그에 따른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상부버거, 하부버거 및 토핑에 대한 성형과 익힘에 따른 시간과 그 압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는 상부버거, 하부버거, 토핑 각각의 성형시간 및 익힘 정도에 따라 각각의 돌출부, 성형 홈이 형성된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가 개별적으로 상승, 하강할 수 있다.
The
이는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와 토핑을 성형하는 시간과 익힘 정도에 따라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가 각각의 돌출부(110, 120, 130), 성형홈(210)에 따라 각각 구분되어 상승, 하강한다.
The
상기한 가압플레이트(100)는 제 1돌출부(110), 제 2돌출부(120) 및 제 3돌출부(130)에 따라 3등분되며, 성형플레이트(200)는 상기한 각각의 돌출부(110, 120, 130)에 따른 성형 홈(210)도 3등분하게 된다.
The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밥버거를 성형 시, 작동부재(400) 한 번의 작동으로 하나의 밥버거를 성형시킬 수 있어 성형에 따른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게 되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토핑의 종류에 따라 가열 여부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의 오목한 형상 및 볼록한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ice burger is formed, one operation of the
10 : 성형장치
100 : 가압플레이트
110 : 제 1돌출부
120 : 제 2돌출부
130 : 제 3돌출부
200 : 성형플레이트
210 : 성형 홈
300 : 지지플레이트
310 : 제 1홈부
320 : 제 2홈부
330 : 제 3홈부
400 : 작동부재
500 : 제어부
600 : 가열부재10: Molding device
100: pressing plate 110: first protrusion 120: second protrusion 130: third protrusion
200: forming plate 210: forming groove
300: support plate 310: first groove portion 320: second groove portion 330: third groove portion
400: operative member
500:
600: heating member
Claims (5)
저면에 일정 간격 돌출되며 상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 1돌출부(110)와 하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 2돌출부(120)와 토핑을 가압하는 제 3돌출부(130)로 형성된 가압플레이트(100)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성형 홈(210)이 다수개 형성된 성형플레이트(200)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 3돌출부(110, 120, 130)와 각각 대응되는 제 1, 2, 3홈부(310, 320, 330)가 일정 깊이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 및 지지플레이트(300)를 상호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승, 하강하는 작동부재(400) 및
상기 작동부재(400)의 상승, 하강 제어, 밥을 가압하는 시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버거 성형장치.
A molding apparatus for molding a burger by pressuriz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ice,
A first protrusion 110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ing an upper burger and a second protrusion 120 forming a lower burger and pressing the first burger and a third protrusion 130 pressing the topper, )Wow,
A molding plate 200 having a plurality of molding grooves 210 to allow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110, 120 and 130 of the pressing plate 100 to pass there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ooves 310, 320, and 3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110, 120, and 130 of the pressing plate 100 have a predetermined depth, ,
An operating member 400 connected to the pressing plate 100 through the forming plate 200 and the supporting plate 300 to move up and down,
And a control unit (500) for adjusting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rice, the control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operation member (400), the time for pressing the rice,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는 각각 단일 또는 동시에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버거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forming plate (200) are lifted up singly or simultaneous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의 제 1, 2돌출부(110, 120)의 저면과,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제 1, 2홈부(310, 320)의 상면에는 성형하려는 상부버거와 하부버거의 형상에 따라 오목한 형상 및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버거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10 and 120 of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top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renches 310 and 320 of the support plate 300,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shape of the rice burger can be changed.
상기 제 3돌출부(130)의 외주와, 제 3홈부(330)의 외주에는 토핑의 종류에 따라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부재(600)가 각각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버거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ating member (60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protrusion (130) an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groove portion (330) so as to be he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opping.
상기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는 상부버거, 하부버거, 토핑 각각의 성형시간 및 익힘 정도에 따라 각각의 돌출부, 성형 홈이 형성된 가압플레이트(100)와 성형플레이트(200)가 개별적으로 상승, 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버거 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forming plate 200 are formed so that the pressing plate 100 and the forming plate 200 in which the protrusions and the forming groove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forming time and the degree of the cooking of the upper burger, And the burger can be lifted up or down by a predetermined amou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610A KR20160015103A (en) | 2014-07-30 | 2014-07-30 | Rice Burger-form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7610A KR20160015103A (en) | 2014-07-30 | 2014-07-30 | Rice Burger-form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5103A true KR20160015103A (en) | 2016-02-12 |
Family
ID=5535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7610A Ceased KR20160015103A (en) | 2014-07-30 | 2014-07-30 | Rice Burger-form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15103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6134B1 (en) | 2016-05-29 | 2016-10-13 | 김준묵 | Rice Burger-forming device |
KR102097890B1 (en) * | 2019-02-01 | 2020-04-06 | 김선애 | scorched rice manufacturing equipment |
CN112690400A (en) * | 2021-02-05 | 2021-04-23 | 山东黄海科技创新研究院有限责任公司 | Rice hamburger production line |
KR102561752B1 (en) * | 2022-05-27 | 2023-07-31 | (주)지푸드 | Sealing device for burger |
-
2014
- 2014-07-30 KR KR1020140097610A patent/KR2016001510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6134B1 (en) | 2016-05-29 | 2016-10-13 | 김준묵 | Rice Burger-forming device |
KR102097890B1 (en) * | 2019-02-01 | 2020-04-06 | 김선애 | scorched rice manufacturing equipment |
CN112690400A (en) * | 2021-02-05 | 2021-04-23 | 山东黄海科技创新研究院有限责任公司 | Rice hamburger production line |
KR102561752B1 (en) * | 2022-05-27 | 2023-07-31 | (주)지푸드 | Sealing device for burg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56828B2 (en) | Electric oven for cooking food | |
USD1027537S1 (en) | Cooking appliance | |
CN102327073B (en) | Novel toaster | |
KR20160015103A (en) | Rice Burger-forming device | |
CN107278130B (en) | Toast the method on food materials two sides and the electric cooking appliance for this method | |
WO2020014142A8 (en) | User interface for a toaster | |
KR101641461B1 (en) | Hybrid heating cooker with electric and charcoal fire plate function | |
US20200037815A1 (en) | Toaster oven with built-in hot plate | |
EP3399894A1 (en) | A toaster | |
CN219109219U (en) | Air fryer with baking tray function | |
US10070753B2 (en) | Cooking chamber frame for a cooking appliance | |
JP2014030365A (en) | Food baking device | |
TWM543647U (en) | Fully shielded steam pot | |
KR200453377Y1 (en) | Electric heating nurungji rice cooker | |
KR20160092009A (en) | Electric baking device | |
KR100958843B1 (en) | Electric grill | |
CN204260592U (en) | Steamed bun cake clamping grilled mold | |
CN209107054U (en) | A kind of grill | |
KR102062253B1 (en) | Laver Roaster | |
CN203814467U (en) | Cake baking stove | |
RU2805017C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waffles with filling using kitchen appliance for manufacturing waffles with filling | |
KR20140131757A (en) | Electronic grill structure | |
KR102657843B1 (en) | Scorched rice 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 |
CN204292906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breakfast device | |
CN210299380U (en) | Multifunctional machine for egg dumplings and egg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