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976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9976A KR20160009976A KR1020140090606A KR20140090606A KR20160009976A KR 20160009976 A KR20160009976 A KR 20160009976A KR 1020140090606 A KR1020140090606 A KR 1020140090606A KR 20140090606 A KR20140090606 A KR 20140090606A KR 20160009976 A KR20160009976 A KR 201600099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application
- user
- input
-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모드 설정 및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선택된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모드를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최근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동일한 그룹 내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모드 편집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애플리케이션 편집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20)
-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별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정받는 사용자 입력부;
선택된 제1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정보가 상기 제1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2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드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제2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전환된 제2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3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3 화면정보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4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4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은,
사용자의 좌우 화면 넘김 제스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고 있는 베젤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좌우 화면 넘김 제스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플리킹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드전환의 제어명령은,
사용자의 상하 화면 넘김 제스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고 있는 베젤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하 화면 넘김 제스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위쪽 또는 아래쪽 플리킹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로 전환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주는 이미지 효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드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받은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하나로 전환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주는 이미지 효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정보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제5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5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정보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전 또는 이후에 기 설정한 시간 동안 실행되었던 제5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5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1 아이콘과 제5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5 아이콘이 동일한 그룹 내에서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정보가 상기 제5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5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a)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별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정받는 단계;
(b) 선택된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1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화면정보를 상기 제1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2 화면정보로 전환하는 단계;
(c)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드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제2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환된 제2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3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3 화면정보를 상기 제2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제4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4 화면정보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은,
사용자의 좌우 화면 넘김 제스처 및 디스플레이부를 감싸고 있는 베젤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좌우 화면 넘김 제스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플리킹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드전환의 제어명령은,
사용자의 상하 화면 넘김 제스처 및 디스플레이부를 감싸고 있는 베젤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하 화면 넘김 제스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상기 사용자의 위쪽 또는 아래쪽 플리킹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모드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로 전환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주는 이미지 효과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모드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받은 적어도 하나의 모드 중 하나로 전환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내주는 이미지 효과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정보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제5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5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정보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전 또는 이후에 기 설정한 시간 동안 실행되었던 제5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5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전환의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1 아이콘과 제5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제5 아이콘이 동일한 그룹 내에서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화면정보가 상기 제5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5 화면정보로 전환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606A KR102215817B1 (ko) | 2014-07-17 | 2014-07-17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US14/723,955 US10025495B2 (en) | 2014-07-17 | 2015-05-28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o convert screen information in response to control comm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606A KR102215817B1 (ko) | 2014-07-17 | 2014-07-17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9976A true KR20160009976A (ko) | 2016-01-27 |
KR102215817B1 KR102215817B1 (ko) | 2021-02-16 |
Family
ID=5507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0606A Ceased KR102215817B1 (ko) | 2014-07-17 | 2014-07-17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025495B2 (ko) |
KR (1) | KR1022158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02622B2 (en) | 2016-09-23 | 2020-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349961A1 (en) * | 2015-06-01 | 2016-12-0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ynamic tidy correlated icon depending on the favorite |
CN106254638B (zh) * | 2016-07-28 | 2020-01-17 | 湖南新云网科技有限公司 | 基于透明计算的智能终端启动方法、系统及智能自助系统 |
USD868827S1 (en) | 2017-02-15 | 2019-12-03 | Palantir Technologies,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set of icons |
EP3410016A1 (en) * | 2017-06-02 | 2018-12-05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User interface for a hob |
US11392276B2 (en) * | 2017-06-09 | 2022-07-1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designated application prioritization |
CN109947312A (zh) * | 2019-01-30 | 2019-06-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及终端设备 |
CN111078089A (zh) * | 2019-11-29 | 2020-04-28 | 东莞市拓久柘电子科技有限公司 | 基于触摸一体机的快速截图方法、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N111966258B (zh) * | 2020-08-28 | 2022-06-1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权限设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
WO2024034693A1 (ko) * | 2022-08-08 | 2024-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외부 디스플레이가 연결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3933A (ko) * | 2010-05-10 | 2011-1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US20120159395A1 (en) * | 2010-12-20 | 2012-06-21 | Microsoft Corporation |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
KR20130097433A (ko) * | 2012-02-24 | 2013-09-03 | 주식회사 팬택 |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
KR20140039210A (ko) * | 2011-05-27 | 2014-04-01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멀티-애플리케이션 환경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84679A1 (en) * | 2010-10-01 | 2012-04-05 | Imerj LLC | Keyboard operation on application launch |
US8296684B2 (en) * | 2008-05-23 | 2012-10-2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
US7880728B2 (en) * | 2006-06-29 | 2011-02-01 | Microsoft Corporation | Application switching via a touch screen interface |
US9052926B2 (en) * | 2010-04-07 | 2015-06-09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
KR20130102832A (ko) * | 2012-03-08 | 2013-09-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단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N102662584B (zh) * | 2012-04-01 | 2015-03-11 | 北京风灵创景科技有限公司 | 一种多应用执行方法及移动终端 |
US9851893B2 (en) * | 2012-04-17 | 2017-12-26 | Zotobi Management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to a user |
-
2014
- 2014-07-17 KR KR1020140090606A patent/KR102215817B1/ko not_active Ceased
-
2015
- 2015-05-28 US US14/723,955 patent/US1002549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3933A (ko) * | 2010-05-10 | 2011-1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
US20120159395A1 (en) * | 2010-12-20 | 2012-06-21 | Microsoft Corporation |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
KR20140039210A (ko) * | 2011-05-27 | 2014-04-01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멀티-애플리케이션 환경 |
KR20130097433A (ko) * | 2012-02-24 | 2013-09-03 | 주식회사 팬택 |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02622B2 (en) | 2016-09-23 | 2020-10-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025495B2 (en) | 2018-07-17 |
KR102215817B1 (ko) | 2021-02-16 |
US20160018941A1 (en) | 2016-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19392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4235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1800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0975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9018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21581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2484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6115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0132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11586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2318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80057936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2151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 |
KR2016009792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80031208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56833A (ko) | 이동단말기 | |
KR2016001278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19668A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 | |
KR2015013584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7647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6433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1153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8616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11685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47059A (ko) | 정보 표시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2102 | Extinguishment |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2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