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535A -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5535A KR20160005535A KR1020140084574A KR20140084574A KR20160005535A KR 20160005535 A KR20160005535 A KR 20160005535A KR 1020140084574 A KR1020140084574 A KR 1020140084574A KR 20140084574 A KR20140084574 A KR 20140084574A KR 20160005535 A KR20160005535 A KR 201600055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mediate node
- differential
- reset
- level
- differential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02100024032 Linker for activation of T-cells family membe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6232 SLC7A5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13—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input circuit
- H03K3/35613—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input circuit the input circuit having a differential configuration
- H03K3/356139—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using additional transistors in the input circuit the input circuit having a differential configuration with synchronous operatio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3/356182—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nodes
- H03K3/356191—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the main nodes with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Logic Circuit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차동 입력단과 차동 출력단을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차동 입력단과 상기 차동 출력단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와 제 2 중간 노드를 이전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리시버 회로가 구비된다.
반도체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리시버 회로를 입력 노이즈에 둔감하여 수신 효율이 우수하고, 저 전류 동작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효율을 증가시키고, 소비 전류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동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두 입력 데이터의 차이에 따라 차동 출력단의 로직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된 래치부;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입력단과 상기 차동 출력단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와 제 2 중간 노드를 선택적으로 리셋시킴으로써 등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리셋부; 및 리셋 조건 및 이전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동 입력단과 차동 출력단을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차동 입력단과 상기 차동 출력단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와 제 2 중간 노드를 이전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동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두 입력 데이터의 차이에 따라 차동 출력단의 로직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된 래치부; 상기 차동 출력단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를 차동 피드백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신호 생성부;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입력단과 상기 차동 출력단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와 제 2 중간 노드를 선택적으로 리셋시킴으로써 등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리셋부; 및 상기 차동 피드백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리시버 회로의 수신 효율을 증가시키고 소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100)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101)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101)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100)는 래치부(200), 리셋부(300), 등화부(400) 및 피드백 신호 생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200)는 클럭 신호(CLK)가 활성화되면 즉, 하이 레벨이면 차동 입력단(IN/INB)을 통해 입력된 두 입력 데이터의 차이에 따라 차동 출력단(LAT/LATB)의 로직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부(200)는 클럭 신호(CLK)가 비 활성화되면 즉, 로우 레벨이면 접지단(VSS)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부(200)는 크로스 커플드 래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8 트랜지스터(201 -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단(VDD)과 차동 출력단(LAT/LATB) 사이에 제 1 트랜지스터(201)와 제 3 트랜지스터(203)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202)의 소오스와 드레인이 제 1 트랜지스터(201)의 게이트와 제 3 트랜지스터(203)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202)의 게이트에 클럭 신호(CLK)가 입력될 수 있다.
차동 출력단(LAT/LATB)과 중간 노드들(MIDB/MID) 사이에 제 4 트랜지스터(204)와 제 5 트랜지스터(205)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중간 노드들(MIDB/MID)은 출력단과 입력단 사이 즉, 차동 출력단(LAT/LATB)과 차동 입력단(IN/INB) 사이의 노드들일 수 있다.
중간 노드들(MIDB/MID)은 출력단(LAT)과 입력단(IN)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MIDB) 및 출력단(LATB)과 입력단(INB) 사이의 제 2 중간 노드(MID)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노드들(MIDB/MID)에 제 6 트랜지스터(206)와 제 7 트랜지스터(207)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차동 입력단(IN/INB)이 제 6 트랜지스터(206)와 제 7 트랜지스터(207) 각각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 6 트랜지스터(206)와 제 7 트랜지스터(207)의 소오스에 공통으로 제 8 트랜지스터(208)의 드레인이 연결될 수 있다.
제 8 트랜지스터(208)의 게이트에 클럭 신호(CLK)가 입력되고, 소오스에 접지단(VSS)이 연결될 수 있다.
리셋부(300)는 클럭 신호(CLK)가 비 활성화되면 차동 출력단(LAT/LATB) 및 중간 노드들(MIDB/MID)을 전원단(VDD) 레벨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셋부(300)는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301 - 3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301)와 제 2 트랜지스터(302)가 전원단(VDD)과 차동 출력단(LAT/LATB)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3 트랜지스터(303)와 제 4 트랜지스터(304)가 전원단(VDD)과 중간 노드들(MIDB/MID)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등화부(400)는 차동 피드백 신호(FEED/FEEDB)에 응답하여 차동 출력단(LAT/LATB)의 전압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등화(Equalization)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화부(400)는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401 - 40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동 출력단(LAT/LATB)에 제 1 트랜지스터(401)와 제 2 트랜지스터(40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401)의 게이트에 차동 피드백 신호(FEED/FEEDB) 중에서 FEED가 입력되고, 제 2 트랜지스터(402)의 게이트에 차동 피드백 신호(FEED/FEEDB) 중에서 FEEDB가 입력될 수 있다.
제 3 트랜지스터(403)는 드레인이 제 1 트랜지스터(401)의 소오스 및 제 2 트랜지스터(402)의 소오스와 공통 연결되고, 소오스가 접지단(VSS)과 연결되며, 게이트에 클럭 신호(CLK)가 입력될 수 있다.
피드백 신호 생성부(500)는 이전 입력 데이터를 래치한 신호 즉, 차동 출력단(LAT/LATB)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를 차동 피드백 신호(FEED/FEEDB)로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백 신호 생성부(500)는 제 1 내지 제 4 인버터(501, 502, 505, 508) 및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503, 504, 506, 5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인버터(501, 502)는 차동 출력단(LAT/LATB)의 로직 레벨을 반전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인버터(505) 및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503, 504, 506, 507)는 차동 출력단(LAT/LATB)의 로직 레벨과 이를 반전시킨 신호들(LAT1B, LAT1)의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차동 피드백 신호(FEED/FEEDB)의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101)는 래치부(200), 리셋부(700), 피드백 신호 생성부(800) 및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부(200)는 클럭 신호(CLK)가 활성화되면 즉, 하이 레벨이면 차동 입력단(IN/INB)을 통해 입력된 두 입력 데이터의 차이에 따라 차동 출력단(LAT/LATB)의 로직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부(200)는 클럭 신호(CLK)가 비 활성화되면 즉, 로우 레벨이면 접지단(VSS)과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래치부(200)는 크로스 커플드 래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8 트랜지스터(201 -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단(VDD)과 차동 출력단(LAT/LATB) 사이에 제 1 트랜지스터(201)와 제 3 트랜지스터(203)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202)의 소오스와 드레인이 제 1 트랜지스터(201)의 게이트와 제 3 트랜지스터(203)의 게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트랜지스터(202)의 게이트에 클럭 신호(CLK)가 입력될 수 있다.
차동 출력단(LAT/LATB)과 중간 노드들(MIDB/MID) 사이에 제 4 트랜지스터(204)와 제 5 트랜지스터(205)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중간 노드들(MIDB/MID)은 출력단과 입력단 사이 즉, 차동 출력단(LAT/LATB)과 차동 입력단(IN/INB) 사이의 노드들일 수 있다.
중간 노드들(MIDB/MID)에 제 6 트랜지스터(206)의 드레인과 제 7 트랜지스터(207)의 드레인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6 트랜지스터(206)와 제 7 트랜지스터(207) 각각의 게이트에 차동 입력단(IN/INB)이 연결될 수 있다.
제 6 트랜지스터(206)와 제 7 트랜지스터(207)의 소오스에 공통으로 제 8 트랜지스터(208)의 드레인이 연결될 수 있다.
제 8 트랜지스터(208)의 게이트에 클럭 신호(CLK)가 입력되고, 소오스에 접지단(VSS)이 연결될 수 있다.
리셋부(700)는 제어 신호들(OUTFEED/OUTBFEED)에 응답하여 중간 노드들(MIDB/MID)을 선택적으로 리셋시킴으로써 등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셋부(700)는 제어 신호들(OUTFEED/OUTBFEED)에 응답하여 중간 노드들(MIDB/MID)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전원단(VDD) 레벨로 리셋시킴으로써 등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셋부(700)는 클럭 신호(CLK)에 응답하여 차동 출력단(LAT/LATB)을 전원단(VDD) 레벨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셋부(700)는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701 - 7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701)는 소오스가 전원단(VDD)과 연결되고, 드레인이 차동 출력단(LAT/LATB) 중에서 LAT에 연결되며, 게이트에는 클럭 신호(CLK)가 입력된다.
제 2 트랜지스터(702)는 소오스가 전원단(VDD)과 연결되고, 드레인이 차동 출력단(LAT/LATB) 중에서 LATB에 연결되며, 게이트에는 클럭 신호(CLK)가 입력된다.
제 3 트랜지스터(703)는 소오스가 전원단(VDD)과 연결되고, 드레인이 중간 노드들(MID/MIDB) 중에서 MIDB에 연결되며,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들(OUTFEED/OUTBFEED) 중에서 OUTFEED가 입력된다.
제 4 트랜지스터(704)는 소오스가 전원단(VDD)과 연결되고, 드레인이 중간 노드들(MID/MIDB) 중에서 MID에 연결되며,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들(OUTFEED/OUTBFEED) 중에서 OUTBFEED가 입력된다.
피드백 신호 생성부(800)는 이전 입력 데이터를 래치한 신호 즉, 차동 출력단(LAT/LATB)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를 차동 피드백 신호(OUT/OUTB)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드백 신호 생성부(800)는 제 1 내지 제 4 인버터(801, 802, 805, 808) 및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803, 804, 806, 8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인버터(801, 802)는 차동 출력단(LAT/LATB)의 로직 레벨을 반전시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인버터(805) 및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803, 804, 806, 807)는 차동 출력단(LAT/LATB)의 로직 레벨과 이를 반전시킨 신호들(LAT1B, LAT1)의 로직 레벨에 응답하여 차동 피드백 신호(OUT/OUTB)의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리시버 회로(101)의 리셋 조건 시, 이전 입력 데이터에 따라 중간 노드들(MID/MIDB)을 선택적으로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들(OUTFEED/OUTBFEED)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이전 입력 데이터로서 차동 피드백 신호(OUT/OUTB)를 사용할 수 있다.
차동 피드백 신호(OUT/OUTB)는 이전 입력 데이터를 래치한 신호이다.
제어부(900)는 리시버 회로(101)의 리셋 조건으로서 반전된 클럭 신호(CLKB)를 사용할 수 있다.
리시버 회로(101)의 리셋은 클럭 신호(CLK)의 비 활성화 즉, 로우 레벨 구간에 이루어지며, 클럭 신호(CLK)의 로우 레벨 구간 동안 반전된 클럭 신호(CLKB)는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차동 피드백 신호(OUT/OUTB)와 반전된 클럭 신호(CLKB)를 조합하여 제어 신호들(OUTFEED/OUTBFEED)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 1 낸드 게이트(901) 및 제 2 낸드 게이트(9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낸드 게이트(901)는 피드백 신호(OUTB)와 반전된 클럭 신호(CLKB)를 부정 논리곱하여 제어 신호(OUTFEED)를 생성한다.
제 2 낸드 게이트(902)는 피드백 신호(OUT)와 반전된 클럭 신호(CLKB)를 부정 논리곱하여 제어 신호(OUTBFEED)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시버 회로(101)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입력단(IN)을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고, 클럭 신호(CLK) 및 반전된 클럭 신호(CLKB)가 입력된다.
제 1 타이밍(t0)을 보면, 반전된 클럭 신호(CLKB)가 하이 레벨로 천이된다.
제 1 타이밍(t0)에 이전 데이터 즉, 피드백 신호(OUT)는 로우 레벨이며, 피드백 신호(OUTB)는 하이 레벨이다.
반전된 클럭 신호(CLKB)가 하이 레벨이고 피드백 신호(OUT)가 로우 레벨이며, 피드백 신호(OUTB)가 하이 레벨이므로 제어부(900)는 제어 신호(OUTFEED)를 하이 레벨로 그리고 제어 신호(OUTBFEED)를 로우 레벨로 출력한다.
제어 신호(OUTFEED)가 하이 레벨이고, 제어 신호(OUTBFEED)가 로우 레벨이므로 리셋부(700)는 제 1 중간 노드(MIDB)와 제 2 중간 노드(MID) 중에서 제 2 중간 노드(MID) 만을 전원단(VDD) 레벨로 리셋시킨다.
한편, 제 1 중간 노드(MIDB)의 전압 레벨은 래치부(200)의 입력 데이터 수신 동작에 따른 전압 변동 값만큼 강하되어 전원단(VDD)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이 된다.
즉, 제 1 중간 노드(MIDB)의 전압 레벨은 도 2의 출력단(LAT)과 입력단(IN) 및 이들과 연결된 트랜지스터들(601, 604, 606)의 전압 변화에 따라 전원단(VDD)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이 된다.
제 2 중간 노드(MID)는 전원단(VDD) 레벨로 리셋되는 한편, 제 1 중간 노드(MIDB)의 전압 레벨은 전원단(VDD)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이 됨으로써 등화 기능 즉, DFE(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 2 타이밍(t1)을 보면, 제 1 타이밍(t0)에 입력된 하이 레벨 데이터를 래치한 피드백 신호(OUT)가 하이 레벨로 천이되고, 피드백 신호(OUTB)는 로우 레벨로 천이된다.
제 3 타이밍(t2)을 보면, 반전된 클럭 신호(CLKB)가 하이 레벨로 천이되고 피드백 신호(OUT)는 하이 레벨이며, 피드백 신호(OUTB)는 로우 레벨이므로 제어부(900)는 제어 신호(OUTFEED)를 로우 레벨로 그리고 제어 신호(OUTBFEED)를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제어 신호(OUTFEED)가 로우 레벨이고, 제어 신호(OUTBFEED)가 하이 레벨이므로 리셋부(700)는 제 1 중간 노드(MIDB)와 제 2 중간 노드(MID) 중에서 제 1 중간 노드(MIDB) 만을 전원단(VDD) 레벨로 리셋시킨다.
한편, 제 2 중간 노드(MID)의 전압 레벨은 래치부(200)의 입력 데이터 수신 동작에 따른 전압 변동 값만큼 강하되어 전원단(VDD)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이 된다.
즉, 제 2 중간 노드(MID)의 전압 레벨은 도 2의 출력단(LATB)과 입력단(INB) 및 이들과 연결된 트랜지스터들(603, 605, 607)의 전압 변화에 따라 전원단(VDD)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시버 회로(101)는 별도의 등화 기능을 위한 트랜지스터를 차동 출력단(LAT/ALTB)에 추가하지 않고, 리셋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이전 데이터 레벨에 따라 제 1 중간 노드(MIDB)와 제 2 중간 노드(MID)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리셋시킴으로써 리셋 및 등화 기능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
리셋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리셋 및 등화 기능을 한번에 수행하므로 수신 효율 향상 및 소비 전류 절감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 차동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두 입력 데이터의 차이에 따라 차동 출력단의 로직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된 래치부;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입력단과 상기 차동 출력단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와 제 2 중간 노드를 선택적으로 리셋시킴으로써 등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리셋부; 및
리셋 조건 및 이전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제 1 중간 노드와 상기 제 2 중간 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중간 노드를 전원단 레벨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2 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중간 노드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전원단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로 강하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출력단을 전원단 레벨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셋 조건으로서 클럭 신호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전 입력 데이터로서 상기 차동 출력단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를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클럭 신호와 상기 차동 출력단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차동 입력단과 차동 출력단을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차동 입력단과 상기 차동 출력단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와 제 2 중간 노드를 이전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중간 노드와 상기 제 2 중간 노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중간 노드를 전원단 레벨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9 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중간 노드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전원단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로 강하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출력단은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단 레벨로 리셋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동 출력단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에 따라 상기 이전 데이터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클럭 신호와 상기 차동 출력단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를 조합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중간 노드와 상기 제 2 중간 노드를 선택적으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차동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두 입력 데이터의 차이에 따라 차동 출력단의 로직 레벨을 천이시키도록 구성된 래치부;
상기 차동 출력단의 출력을 래치한 신호를 차동 피드백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신호 생성부;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입력단과 상기 차동 출력단 사이의 제 1 중간 노드와 제 2 중간 노드를 선택적으로 리셋시킴으로써 등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리셋부; 및
상기 차동 피드백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제 1 중간 노드와 상기 제 2 중간 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중간 노드를 전원단 레벨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5 항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중간 노드의 전압 레벨은 상기 전원단 레벨에 비해 낮은 레벨로 강하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동 출력단을 전원단 레벨로 리셋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4574A KR20160005535A (ko) | 2014-07-07 | 2014-07-07 |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US14/515,899 US9520882B2 (en) | 2014-07-07 | 2014-10-16 | Receiver circuit of semiconductor apparatus |
TW104105583A TWI657661B (zh) | 2014-07-07 | 2015-02-17 | 半導體裝置之接收器電路 |
CN201510178033.XA CN105322942B (zh) | 2014-07-07 | 2015-04-15 | 半导体装置的接收器电路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4574A KR20160005535A (ko) | 2014-07-07 | 2014-07-07 |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5535A true KR20160005535A (ko) | 2016-01-15 |
Family
ID=5501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4574A Withdrawn KR20160005535A (ko) | 2014-07-07 | 2014-07-07 |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520882B2 (ko) |
KR (1) | KR20160005535A (ko) |
CN (1) | CN105322942B (ko) |
TW (1) | TWI65766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0365B2 (en) | 2020-11-16 | 2022-09-20 | SK Hynix Inc. | Input/output circuit,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output circuit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input/output circu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1669A (ko) * | 2020-10-19 | 2022-04-26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입출력 장치, 그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52861A (en) * | 1997-06-19 | 1999-09-14 | Sun Microsystems, Inc. | Dynamic pulse register with scan functionality |
JP3510507B2 (ja) * | 1998-11-27 | 2004-03-29 | Necマイクロシステム株式会社 | ラッチ回路 |
US6175248B1 (en) * | 1999-05-18 | 2001-01-16 | Level One Communications, Inc. | Pulse width distortion correction logic level converter |
JP2001186009A (ja) * | 1999-12-22 | 2001-07-06 | Sony Corp | 論理回路 |
US6714053B2 (en) * | 2001-03-13 | 2004-03-30 |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 Fast set reset latch with complementary outputs having equal delay and duty cycle |
KR100618862B1 (ko) * | 2004-09-09 | 2006-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낮은 공통모드 싱글 엔디드 차동 입력신호를 사용하는감지증폭기 |
DE102004055006B4 (de) * | 2004-11-15 | 2012-09-13 | Infineon Technologies Ag | Flipflop mit zusätzlicher Zustandsspeicherung bei Abschaltung |
US7368955B2 (en) * | 2006-03-28 | 2008-05-06 | Intel Corporation | Current-balanced logic circuit |
US7362153B2 (en) * | 2006-05-01 | 2008-04-22 | Intel Corporation | Receiver latch circuit and method |
KR101368413B1 (ko) * | 2007-10-31 | 2014-03-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dfe회로 및 그의 초기화방법 |
US7936192B2 (en) * | 2008-05-16 | 2011-05-03 | Van Den Berg Leendert Jan | Alias-locked loop frequency synthesizer using a regenerative sampling latch |
JP5578820B2 (ja) * | 2009-09-11 | 2014-08-27 |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 半導体装置 |
KR101726429B1 (ko) * | 2009-09-28 | 2017-04-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신호 입력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
TWI405415B (zh) * | 2009-11-09 | 2013-08-11 | Ind Tech Res Inst | 具有背景式誤差修正功能的動態比較器 |
CN102035528B (zh) * | 2010-11-30 | 2012-10-03 | 四川和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 高速动态比较锁存器 |
KR20120126652A (ko) * | 2011-05-12 | 2012-11-2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패키지 |
US8692581B2 (en) * | 2011-06-28 | 2014-04-08 | Agilent Technologies, Inc. | Constant switching current flip-flop |
JP5820888B2 (ja) * | 2011-10-11 | 2015-11-24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CN103066987A (zh) * | 2011-10-24 | 2013-04-24 | 三星电子株式会社 | 输出驱动器、集成电路及系统 |
US8704583B2 (en) * | 2012-02-17 | 2014-04-2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apacitive level-shifting circuits and methods for adding DC offsets to output of current-integrating amplifier |
US8829942B2 (en) * | 2012-11-13 | 2014-09-09 | University Of Macau | Comparator and calibration thereof |
US20140266306A1 (en) * | 2013-03-12 | 2014-09-18 | Analog Devices Technology | High speed dynamic latch |
-
2014
- 2014-07-07 KR KR1020140084574A patent/KR2016000553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4-10-16 US US14/515,899 patent/US9520882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02-17 TW TW104105583A patent/TWI657661B/zh active
- 2015-04-15 CN CN201510178033.XA patent/CN105322942B/zh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0365B2 (en) | 2020-11-16 | 2022-09-20 | SK Hynix Inc. | Input/output circuit,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output circuit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input/output circuit |
US11735239B2 (en) | 2020-11-16 | 2023-08-22 | SK Hynix Inc. | Input/output circuit, operation method of the input/output circuit and dat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input/output circu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322942A (zh) | 2016-02-10 |
US20160006418A1 (en) | 2016-01-07 |
US9520882B2 (en) | 2016-12-13 |
TW201603487A (zh) | 2016-01-16 |
CN105322942B (zh) | 2021-05-28 |
TWI657661B (zh) | 2019-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38404B (zh) | 準位切換器 | |
CN105049025B (zh) | 低电压差分信号驱动电路 | |
JP5135477B2 (ja) | プリエンファシス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差動電流信号伝送システム | |
KR102232554B1 (ko) | 레벨 시프터 | |
US9071247B2 (en) | Semiconductor device for performing preemphasis operation | |
US9270275B2 (en) | Level shifter and serializer having the same | |
CN110932715B (zh) | 位准移位电路及操作位准移位器的方法 | |
US7772883B2 (en) | Level shifter | |
US9876656B1 (en) | Differential feedback equaliz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differential feedback equalizer | |
US8604830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KR102409872B1 (ko) | 송신 회로 및 반도체 장치 | |
WO2016108989A1 (en) | Cross-coupled level shifter with transition tracking circuits | |
TWI401890B (zh) | 電壓位準轉換電路 | |
KR102445169B1 (ko) | 파워 게이팅 스킴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 | |
KR20160005535A (ko) | 반도체 장치의 리시버 회로 | |
JP2012023533A5 (ko) | ||
US9935636B1 (en) | CMOS input buffer with low supply current and voltage down shifting | |
KR20100009026A (ko) | 래치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플립플롭 | |
US9621165B2 (en) |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 |
JP6565325B2 (ja) | セレクタ回路、イコライザ回路、受信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 | |
KR102676329B1 (ko) | 레벨 쉬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 |
US8035420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CN104300928A (zh) | 差动转单端转换器 | |
US8760205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input signal reception circuit | |
US20250175163A1 (en) | Signal transmission circuits performing high-speed ope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