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03706U -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 Google Patents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706U
KR20160003706U KR2020150002489U KR20150002489U KR20160003706U KR 20160003706 U KR20160003706 U KR 20160003706U KR 2020150002489 U KR2020150002489 U KR 2020150002489U KR 20150002489 U KR20150002489 U KR 20150002489U KR 20160003706 U KR20160003706 U KR 201600037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case
battery case
portable terminal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3087Y1 (en
Inventor
정경철
Original Assignee
정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철 filed Critical 정경철
Priority to KR2020150002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87Y1/en
Publication of KR20160003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0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87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공급하여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
상기 보호케이스의 이면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용 잭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구비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of an auxiliary battery stored i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to a portable terminal,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A protective case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 auxiliary battery case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jack for accommodating auxiliary batteries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the auxiliary batteries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a lid provided on the auxiliary battery case to prevent the auxiliary batter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Description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is housed.

본 고안은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보호케이스에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for supplying a power source of an auxiliary battery stored in a protective case to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is housed.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장소,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는 통신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그 사용 분야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General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handheld computer and the like can be used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As the mobile terminal is ad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ommunication function, a multimedia function, and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its use field is increasing day by day.

특히, 애플사의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웹서핑,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비디오 녹화, 음성명령, 3차원 그래픽의 게임, 문서 읽기, 전자사전, 지도, MP3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Especially, when Apple's iPhone launches, users can use various functions such as web surfing, video playback, and download various applications to use video recording, voice command, 3D graphics game, document reading, electronic dictionary, map, MP3 .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인해 장시간 사용으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제대로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battery capacity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unction can not be utilized properly.

따라서, 실외에서 원활한 배터리 충전을 위해 상용 전원이 아닌 리튬이온 전지나 리튬폴리머 전지를 사용하는 휴대용 간이 충전기가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a portable simple charger using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polymer battery is being developed for charging the battery smoothly outdoors, rather than a commercial power source.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부가적인 장치는 보호케이스와 보조 배터리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두 가지의 장치를 별도로 구매 및 휴대해야 되므로 경제적인 손실과, 휴대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additional devic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the protection case and the auxiliary battery separately provided to provide respective convenience. Therefore, the user has to purchase and carry the two devices separately if necessary, thereby causing economic loss and inconvenience of carrying.

한편,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외장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때 외장 보조 배터리와 휴대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별도의 연결 케이블이 필요하고, 이러한 연결 케이블을 휴대단말기와 같이 항시 휴대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increase the battery capacity of the portable terminal, an external auxiliary battery is used. At this time, a separate connection cable is requi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xternal auxiliary battery and the portable terminal,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do.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13-0001431호(2013년 2월 25일 출원)에 보조전원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 utility power supply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13-0001431 (filed on February 25, 2013).

본 고안의 실시예는,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보호케이스에 수납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와 관련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is housed so that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stored in the protective case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provide practicality to the user.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공급되는 충전잭이 보호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지않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와 관련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 supplementary battery is housed so that the charging jack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housed without exposing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on case.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보호케이스 및 보조 배터리를 따로 따로 구매 및 휴대하지않게 되므로 편리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와 관련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 supplementary battery is housed so as to improve convenience and portability since the protection case and the auxiliary battery are not separately purchased and carried.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보호케이스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슬림화 및 콤팩트화할 수 있도록 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와 관련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 secondary battery is housed so that the protection case can be made slim and compact due to the structure simplifica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는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휴대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A protective case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보호케이스의 이면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용 잭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An auxiliary battery case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jack for accommodating auxiliary batteries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the auxiliary batteries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구비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And a lid provided on the auxiliary battery case to prevent the auxiliary batter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덮개는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DMB를 시청할 경우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임의각도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hinged to be rotatable within an arbitrary angle range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as to be used as a cradle when watching the DMB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덮개는The cover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대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opened / closed by being slid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se for the auxiliary battery.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의 이면에 상기 연결용 잭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that the connecting jack can be drawn out.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부터 상기 덮개의 개방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의 이면에 로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홈에 착탈되도록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로커로 이루어지는 로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ocking part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as to restrict the opening of the cover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and formed of a rocker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cking groove .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보호케이스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uxiliary battery case is injection-molded integrally into the protective case.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잭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할 경우, 상기 덮개가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 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상기 연결용 잭의 케이블이 함몰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cable of the connection jack is seated in a recessed state 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that the cov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auxiliary battery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connection jack, And a groove is formed.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부터 상기 덮개의 개방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 및 이와 밀착되는 상기 덮개에 장착되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agnetic body attached to the case for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lid closely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battery case to limit opening of the lid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보호케이스에 수납된 보조 배터리를 보호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지않은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the auxiliary battery stored in the protective case is not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case, and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practicality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공급되는 충전잭이 보호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지않게 수납되므로 보호케이스가 결합된 휴대단말기를 포켓에 수납시 옷에 걸려 바닥에 떨어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갖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jack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re stor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floor when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protective case is housed in the pocket, .

또한, 보호케이스 및 보조 배터리를 따로 따로 구매 및 휴대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on case and the auxiliary battery are not required to be separately purchased and carri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nd provide convenience and portability to the user.

또한, 보호케이스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줄이고 외관의 슬림화 및 콤팩트화로 인해 상품성 및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rotective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cost, to make the appearance slimmer and compact, and to improve the merchantability and purchasing pow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2(a,b,c)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에서, 보호케이스에 수납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의 제2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2 (a), (b) and (c) illustrate a process for using a power source of the auxiliary battery housed in a protective case in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FIG. 3 is a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4 is a second use state view of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manner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category of the design is limit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는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4 is housed,

휴대단말기(10)(일 예로서, 애플사의 아이폰(스마트폰)을 말함)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1);A protective case 11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portable terminal 10 (for example, an Apple iPhone (smart phone));

상기 보호케이스(11)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12)가 수납되는 수납홈(21)과,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메인 배터리(미 도시됨)의 방전시 상기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10)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용 잭(13)이 함몰상태로 수납되는 수납홈(16)이 이면에 각각 형성되는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housing 11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11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21 for receiving the auxiliary battery 12, An auxiliary battery case 1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a receiving groove 16 in which a connecting jack 13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 is housed in a recessed state;

상기 보조 배터리(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구비되는 덮개(15);를 구비한다.And a lid 15 provided on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to prevent the auxiliary battery 12 from being separated.

상기 덮개(15)는The cover (15)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DMB를 시청할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세워놓기 위해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임의각도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될 수 있다.When viewing the DMB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rotated in an arbitrary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used as a stand for erec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at an angle. The hinge can be fixed.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덮개(15)는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ver 15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게 상기 덮개(15)에 형성되는 결합편에 의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대해 종방향(길이방향을 말함) 또는 횡방향(폭방향을 말함)으로 슬라이딩이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nd a coupling piece formed on the cover 15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Or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부터 상기 덮개(15)의 개방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의 이면 임의위치에 로킹홈(17)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홈(17)에 대응되게 상기 덮개(15)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홈(17)에 착탈되는 로커(18)로 이루어지는 로킹부;를 구비할 수 있다.A locking groove 17 is formed at a posi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so as to selectively restrict opening of the cover 15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nd a locker 18 formed on the cover 15 so as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cking groove 17.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는 상기 보호케이스(11)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can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into the protective case (11).

상기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잭(13)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10)에 공급할 경우, 상기 덮개(15)가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의 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상기 연결용 잭(13)의 케이블(19)이 함몰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20)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12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by the connection jack 13, the cover 1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 seating groove 20 in which the cable 19 of the connecting jack 13 is seated in a recessed state can be formed in the case 14 for the user.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부터 상기 덮개(15)의 개방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 및 이와 밀착되는 상기 덮개(15)의 임의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자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nd the lid 15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s to selectively restrict opening of the lid 15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nd a magnetic body to be mounted thereon, respectively.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using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케이스(11)에 장착된 메인 배터리(미도시됨)의 방전시 상기 휴대단말기(10)로부터 메인 배터리를 분리시키지않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에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1 to 4, when the main battery (not shown) mounted on the protective case 11 is discharged, the main battery is not remo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12 can be supplied.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로부터 상기 덮개(15)를 이의 힌지부(미 도시됨)를 중심으로 하여 개방시킨다. 즉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의 일측에 형성된 로킹홈(17)과 이와 대응되게 상기 덮개(15)에 형성된 로커(18)로 이루어진 로킹부의 로킹상태를 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로부터 덮개(15)를 개방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A, the lid 15 is open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round its hinge (not shown). The lock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formed by the locking groove 17 formed at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nd the locker 18 formed at the corresponding lid 15 is released, The cover 15 is opened from the cover 14.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12) 및 연결용 잭(13)은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형성된 수납홈(21,16)에 각각 함몰상태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battery 12 and the connecting jack 13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s 21 and 16 formed 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respectively.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 배터리(12)에 접속된 연결용 잭(13)을 이의 수납홈(16)으로부터 인출한 후(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12)는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형성된 수납홈(21)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용 잭(13)의 커넥터(13a)를 상기 휴대단말기(11)에 형성된 연결단자(11a)에 결합하여 도통되도록 접속시킨다.2B, after the connection jack 13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12 is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groove 16 (at this time, the auxiliary battery 12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The connector 13a of the connection jack 1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a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1 so as to be made conductive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수납된 상태의 상기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잭(13)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11)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12 stored 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can be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1 through the connection jack 13.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15)를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닫은 상태에서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통화 등을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2 (c),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such as a call using the cover 15 in a closed state with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

이때, 상기 연결용 잭(13)의 케이블(19)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형성된 안착홈(20)에 함몰되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덮개(15)는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able 19 of the connecting jack 13 is held in the receiving groove 20 formed 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14).

이로 인해, 상기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잭(13)에 의해 휴대단말기(10)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15)를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밀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power source of the auxiliary battery 12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by the connection jack 13, the lid 15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

따라서,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휴대단말기(10)에 공급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기(10)를 휴대하는 경우에도 보호케이스(11)의 외관을 슬림화할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carried with the auxiliary battery 12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appearance of the protection case 11 can be made slim, and portability is improved.

즉,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가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가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보호케이스(11) 외관의 전체 두께는 동일하게 된다(따라서 휴대단말기(10)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uses the main battery power as shown in FIG. 2 (c) or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uses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12 as shown in FIG. 3 , The entire thicknes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11 becomes the same (thus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arry the portable terminal 10)

상기 덮개(15)는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형성된 로킹홈(17)과 이와 대응되게 상기 덮개(15)에 형성된 로커(18)의 로킹에 의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로부터 덮개(15)가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lid 15 is lock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by locking the locking groove 17 formed 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and the locker 18 formed in the lid 15 correspon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15 from being arbitrarily opened.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DMB를 시청할 경우 별도의 거치대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 덮개(15)를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로부터 개방시킨 후, 상기 보호케이스(11)와 덮개(15)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를 "∧"자 형상으로 세워서 DMB를 시청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DMB is viewe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 a separate stand is unnecessary. That is, after the lid 15 is open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the portable terminal 10 is erected in a "∧" shape using the protective case 11 and the lid 15 to watch the DMB .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10)로써 DMB를 시청하기 위해 상기 휴대단말기(10)를 경사각도로 세우기 위해 별도의 거치대의 사용 및 휴대가 불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d carry a separate stand to set the mobile terminal 10 at an inclination angle in order to view the DMB as the portable terminal 1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에 의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메인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상기 보호케이스(11)의 이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14)에 보관된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잭(13)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휴대단말기(10)를 감싸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11) 및 상기 보조 배터리(12)를 따로 따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when the main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discharged,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12 stored 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14 can be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using the connection jack 13. [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carry the protection case 11 and the auxiliary battery 12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10; 휴대단말기
11; 보호케이스
12; 보조 배터리
13; 연결용 잭
14;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
15; 덮개
16; 수납홈
17; 로킹홈
18; 로커
19; 케이블
20; 안착홈
10; Mobile terminal
11; Protective case
12; Secondary battery
13; Jack for connection
14; Case for auxiliary battery
15; cover
16; Storage home
17; Locking groove
18; Locker
19; cable
20; Seat groove

Claims (8)

휴대단말기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케이스;
상기 보호케이스의 이면에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용 잭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
상기 보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구비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A protective case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 auxiliary battery case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having a connection jack for accommodating auxiliary batteries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the auxiliary batteries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a lid provided on the auxiliary battery case to prevent the auxiliary batter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DMB를 시청할 경우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임의각도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is hinged to be rotatable within an arbitrary angle range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as to be used as a cradle when watching the DMB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대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is slidably opened or closed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의 이면에 상기 연결용 잭을 인출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on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that the connecting jack can be drawn 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부터 상기 덮개의 개방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의 이면에 로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홈에 착탈되도록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로커로 이루어지는 로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king part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as to restrict opening of the cover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and formed of a locker to be detachable from the locking groove Protective case for mobile phones that feature a second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는 상기 보호케이스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ective case by injection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연결용 잭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에 공급할 경우, 상기 덮개가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 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에 상기 연결용 잭의 케이블이 함몰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able of the connection jack is seated in a recessed state in the auxiliary battery case so that the cov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auxiliary battery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connection jack,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부터 상기 덮개의 개방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용 케이스 및 이와 밀착되는 상기 덮개에 장착되는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가 수납되는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agnetic body attached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and the cover to be close to the auxiliary battery case to limit opening of the cover from the auxiliary battery case.
KR2020150002489U 2015-04-17 2015-04-17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Expired - Fee Related KR2004830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89U KR200483087Y1 (en) 2015-04-17 2015-04-17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89U KR200483087Y1 (en) 2015-04-17 2015-04-17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06U true KR20160003706U (en) 2016-10-26
KR200483087Y1 KR200483087Y1 (en) 2017-04-05

Family

ID=5723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8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3087Y1 (en) 2015-04-17 2015-04-17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87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289B1 (en) * 2017-08-04 2018-06-15 신승민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20180067998A (en) 2016-12-13 2018-06-21 최주호 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KR20190000346U (en) * 2017-07-28 2019-02-11 (주)아이티엔제이 Holder for embedding tablet
KR20190028868A (en) 2017-09-11 2019-03-20 신승민 Smart distribution box for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US10594352B2 (en) 2017-10-16 2020-03-17 Seung Min SHI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902B1 (en) * 2013-06-14 2013-11-07 박문수 Case for mobile
KR101400260B1 (en) * 2013-12-20 2014-05-28 (주)포밍코리아 Mobile case associated with battery cover having door for changing battery
KR101450311B1 (en) * 2014-02-07 2014-10-23 지영진 Mobile phone c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902B1 (en) * 2013-06-14 2013-11-07 박문수 Case for mobile
KR101400260B1 (en) * 2013-12-20 2014-05-28 (주)포밍코리아 Mobile case associated with battery cover having door for changing battery
KR101450311B1 (en) * 2014-02-07 2014-10-23 지영진 Mobile phone ca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998A (en) 2016-12-13 2018-06-21 최주호 Auxiliary battery attached mobile terminal
KR20190000346U (en) * 2017-07-28 2019-02-11 (주)아이티엔제이 Holder for embedding tablet
KR101868289B1 (en) * 2017-08-04 2018-06-15 신승민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20190028868A (en) 2017-09-11 2019-03-20 신승민 Smart distribution box for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US10594352B2 (en) 2017-10-16 2020-03-17 Seung Min SHI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87Y1 (en)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087Y1 (en)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US10148104B2 (en) Docking station and device adapter for use in a docking station
US8183825B2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US20080123287A1 (en) Casing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12113392B2 (en) Portable charger
US20100315041A1 (en) Portable phone holder and charger with quick release feature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882595B2 (en) Hous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KR101892546B1 (en) Mobile phone cover
US9755688B1 (en) MemEx cell phone case systems
KR20110136327A (en) Portable terminal auxiliary power supply that can be attached to the protective case
KR200476233Y1 (en) Mobile phone case
US10547340B1 (en) Mobile phone case with an integrated 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CN205453187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supply apparatus
KR200465348Y1 (en) Mobile phone case
KR200486136Y1 (en)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Spare Battery and USB Cable
KR200460930Y1 (en) Protecting cover for a mobile phone
KR101162362B1 (en) Battery pack with solar cell charger for portable device
KR20140001056U (en) Auxiliary power providing device
KR101109319B1 (en) Removable terminal plug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rotective cases containing them
KR101219775B1 (en) Mobile device recharging and mounting apparatus
CN205453186U (en) Multifunctional mobile power supply device
TWM431612U (en) Electronic facility protection cover with charge cable
KR20110109668A (en) Cell phone case with connector cover
KR20110062038A (en) All-in-one portable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4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3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01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