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03483A -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83A
KR20160003483A KR1020140081988A KR20140081988A KR20160003483A KR 20160003483 A KR20160003483 A KR 20160003483A KR 1020140081988 A KR1020140081988 A KR 1020140081988A KR 20140081988 A KR20140081988 A KR 20140081988A KR 20160003483 A KR20160003483 A KR 20160003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laten cover
damping
rotation
plat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483A/ko
Priority to US14/579,216 priority patent/US9549094B2/en
Publication of KR2016000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83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개시된 스캐너 장치는, 원고가 놓이는 플라텐을 구비하는 스캐너 본체와, 플라텐을 덮는 닫힌 위치와 플라텐으로부터 이격된 열린 위치로 회동되는 플라텐 커버와, 플라텐 커버를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본체와 연결하는 힌지유닛과, 플라텐 커버가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큰 제1회동구간에서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도록 제1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기준 열림 각도 이하의 제2회동구간에서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닫힌 위치로의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탄성력을 플라텐 커버에 가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scann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스캐너 장치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는 말한다. 스캐너 장치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독취부재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방식과, 독취부재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방식과, 이들의 복합 방식이 있다.
스캐너 장치는 단독으로, 또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와 복합되는 복합기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스캐너 장치는 원고가 놓여지는 플라텐을 구비하는 본체와, 플라텐을 덮는 플라텐 커버를 구비한다. 플라텐 커버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로 회동된다. 플라텐 커버를 열린 위치로 회동시키고 원고를 플라텐 상에 놓은 후에 플라텐 커버를 다시 닫힌 위치로 회동시킨다.
플라텐 커버가 자중에 의하여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캐너 장치에는 댐퍼구조가 마련된다. 댐퍼구조는 소정의 열림 각도 이상의 구간(프리스톱(free stop) 구간)에서는 플라텐 커버가 닫힌 위치로 낙하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플라텐 커버에 회동 저항을 부여한다. 따라서, 소정의 열림 각도 이하의 구간(닫힘 구간)에서는 플라텐 커버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어 닫힌 위치로 회동된다.
자유낙하 구간에서 플라텐 커버의 급격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스캐너 장치는, 원고가 놓이는 플라텐과 힌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스캐너 본체;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회동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플라텐을 덮는 닫힌 위치와 상기 플라텐으로부터 이격된 열린 위치로 회동되는 플라텐 커버; 캠 궤적을 구비하고 상기 플라텐 커버에 마련된 캠 부재와, 상기 캠 궤적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라텐 커버가 회전됨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플라텐 커버를 지지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플라텐 커버를 기준 열림 각도 이상의 제1회동 구간에서 상기 닫힘 위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1댐핑유닛; 상기 기준 열림 각도 이하의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상기 닫힌 위치로의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댐핑유닛;을 포함하는 한다.
상기 제2댐핑 유닛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회전 모멘트와 반대 방향의 댐핑 모멘트를 상기 플라텐 커버에 제공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 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댐핑유닛은, 상기 회동 브라켓의 회동축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댐핑 아암;을 더 구비하며,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댐핑 아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댐핑 아암에 지지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댐핑 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댐핑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제2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플라텐 커버가 상기 열린 위치를 넘어서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제1캠궤적; 상기 제1회동구간에 대응되는 제2캠궤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제2회동구간에 대응되는 제3캠 궤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상기 닫힌 위치로의 낙하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캠 궤적은 상기 접촉부를 밀어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스캐너 장치는, 원고가 놓이는 플라텐을 구비하는 스캐너 본체; 상기 플라텐을 덮는 닫힌 위치와 상기 플라텐으로부터 이격된 열린 위치로 회동되는 플라텐 커버; 상기 플라텐 커버를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본체와 연결하는 힌지유닛; 상기 플라텐 커버가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큰 제1회동구간에서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도록 제1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기준 열림 각도 이하의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상기 닫힌 위치로의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탄성력을 상기 플라텐 커버에 가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플라텐 커버에 마련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캠 궤적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캠 궤적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라텐 커버의 회동에 따른 상기 캠 궤적의 캠 반경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플라텐 커버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2탄성력을 상기 플라텐 커버에 가하는 탄력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브라켓의 회동축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댐핑 아암;을 더 구비하며,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댐핑 아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댐핑 아암에 지지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댐핑 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댐핑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제2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전술한 스캐너 장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한다.
상술한 스캐너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플라텐 커버의 낙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낙하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제품 품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플라텐 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플라텐 커버가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힌지유닛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라텐 커버의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의 회동 구간을 보여주는 스캐너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플라텐 커버가 열린 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힌지 유닛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플라텐 커버가 제1회동 구간에 위치된 상태의 힌지 유닛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플라텐 커버가 기준 열림 각도에 위치된 상태의 힌지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댐핑 유닛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댐핑 유닛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댐핑 유닛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플라텐 커버(20)가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1)는 플랫베드 방식의 스캐너 장치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너 장치(1)는 본체(10)와, 플라텐 커버(2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원고가 놓이는 플라텐(11)과,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독취부재(12)를 포함한다.
플라텐(11)은 독취될 원고를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투광성 부재이다. 독취부재(12)는 플라텐(11)에 놓인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의 화상을 읽어들인다. 독취부재(12)로서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독취부재(12)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플라텐(11)의 아래에서 부주사 방향(S), 즉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3은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플라텐 커버(20)가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1)는 플랫베드 방식과 원고이송방식을 채용하는 복합 방식의 스캐너 장치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플라텐 커버(20)에는 원고이송유닛(30)이 배치된다. 본체(10)에는 플라텐(11)과, 원고이송방식으로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창(13)이 마련된다. 독취창(13)은 예를 들어 투명 부재일 수 있다. 원고이송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12)는 독취창(13)의 아래에 위치된다.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12)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플라텐(11)의 아래에서 부주사 방향(S), 즉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원고이송유닛(30)은 독취부재(12)가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을 수 있도록 원고를 이송시키고,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원고이송유닛(30)에는 원고이송경로(40)가 마련되며, 독취 부재(12)는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인다. 원고이송경로(40)는 예를 들어, 공급 경로(41), 독취 경로(42), 및 배출 경로(43)를 포함할 수 있다. 독취 경로(42)에서는 독취부재(12)가 배치되며, 독취 경로(42)를 통과하는 동안에 원고에 기록된 화상이 독취부재(12)에 의하여 독취된다. 공급 경로(41)는 독취 경로(42)로 원고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로서, 공급 트레이(40-1)에 적재된 원고는 공급 경로(41)를 통하여 독취 경로(42)로 공급된다. 배출 경로(43)는 독취 경로(42)를 통과한 원고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이다. 따라서, 공급 트레이(40-1)에 적재된 원고는 공급 경로(41), 독취 경로(42), 및 배출 경로(43)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 트레이(40-2)로 배출된다.
원고이송경로(40)에는 원고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원고이송롤러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공급 경로(41)에는 급지 트레이(40-1)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51), 픽업된 원고를 이송시키는 공급 롤러(52)(53)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롤러(52)(53) 각각은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원고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 중 하나는 구동 롤러이며, 나머지 하나는 구동 롤러에 가압되어 종동회전되는 종동 롤러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고 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급 경로(41)가 개방될 때에 종동 롤러는 구동 롤러로부터 분리되거나, 종동 롤러와 구동 롤러 사이의 가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픽업 롤러(51)와 공급 롤러(52) 사이에는 픽업된 원고를 한 장씩 분리하는 ADF(automatic document feed)부(54)가 배치될 수 있다. ADF부(54)는 예를 들어, 서로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제2ADF롤러(54a)(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DF롤러(54a)는 원고를 공급 경로(41)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ADF롤러(54b)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제2ADF롤러(54a)(54b)는 그 사이로 두 장 이상의 원고가 공급된 경우, 마찰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한 장의 원고만을 분리하여 공급 롤러(42)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ADF롤러(54a)(54b) 사이에 복수의 원고가 인입된 경우에, 원고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은 제1ADF롤러(54a)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 및 제2ADF롤러(54b)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 따라서, 제1ADF롤러(54a)에 접촉된 원고와 그 아래의 원고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제1ADF롤러(54a)에 접촉된 원고만이 분리되어 공급 롤러(52)를 향하여 이송된다. ADF부(54)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독취 경로(42)에는 독취 부재(12)와 대향되어 원고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55)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취 롤러(55)는 독취창(13)에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회전되며, 그 사이로 공급되는 원고를 이송시킨다.
배출 경로(43)에는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56)가 배치된다. 배출롤러(56)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급 경로(41), 독취 경로(42), 및 배출 경로(43)에는 원고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고이송유닛(30)은 양면 독취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고의 표면으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독취부재(12)의 하류측에 원고의 배면으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제2독취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원고이송유닛(30)에는 표면의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그 배면이 독취부재(12)를 향하도록 뒤집어서 독취 경로(42)로 다시 공급하는 재공급 경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플라텐(11) 위에 원고를 올려놓기 위하여 플라텐(11)을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플라텐 커버(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텐(11)을 덮는 닫힌 위치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텐(11)을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로 회동된다. 이를 위하여, 힌지유닛(100)은 플라텐 커버(20)를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본체(10)에 연결한다.
도 5는 힌지유닛(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힌지유닛(100)은 힌지 브라켓(110)과 회동 브라켓(120)을 포함한다. 힌지 브라켓(110)은 본체(10)에 설치되며, 회동 브라켓(120)은 플라텐 커버(20)에 설치된다. 회동 브라켓(120)은 힌지 브라켓(110)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힌지 브라켓(110)과 회동 브라켓(120)에는 관통공(111)(121)이 각각 마련되고, 회동축(130)이 관통공(111)(121)에 삽입된다. 회동 브라켓(120)은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며, 이에 의하여 플라텐 커버(20)는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도 6은 플라텐 커버(20)의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의 회동 구간을 보여주는 스캐너 장치(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열림 각도(A) 보다 큰 제1회동 구간(프리스톱 구간)(A1)에서는 플라텐 커버(20)는 자중에 의하여 닫힌 위치로 낙하되지 않는다. 제1회동 구간(A1)에서, 플라텐 커버(20)는 열린 위치로 회동되거나, 또는 닫힌 위치로 회동되지 않고 적어도 그 열림 각도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용이하게 플라텐(11)에 원고를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플라텐 커버(20)가 열린 상태에서 원고 스캔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텐 커버(20)는 기준 각도(A) 제2미만의 회동 구간(닫힘 구간)(A2)에서는 자연스럽게 닫힌 위치로 낙하된다. 기준 열림 각도(A)는 예를 들어 약 10도 정도일 수 있다.
힌지유닛(100)은 제1회동 구간(A1)에서 플라텐 커버(20)의 낙하를 방지하는 구조(제1댐핑유닛)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댐핑유닛의 일 실시예로서, 캠궤적(141)을 구비하는 캠부재(140)와, 캠궤적(141)에 접촉되는 접촉부(151)를 구비하는 지지부재(150)와, 접촉부(151)가 캠궤적(141)에 접촉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지지부재(150)에 가하는 탄성부재(160)가 도시되어 있다. 캠부재(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브라켓(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동 브라켓(120) 또는 플라텐 커버(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재(150)는 힌지 브라켓(110)에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탄성부재(160)로서 일단부는 힌지 브라켓(11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지지부재(150)에 지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채용된다. 탄성부재(130)은 지지부재(150)에 플라텐 커버(20)를 지지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도 7은 플라텐 커버(20)가 열린 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힌지 유닛(100)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캠궤적(141)은 열린 위치에 대응되는 제1캠궤적(141-1)을 포함한다. 열린 위치는, 예를 들어, 플라텐 커버(20)의 열림각도가 90도인 위치일 수 있다. 열린 위치에서 접촉부(151)는 제1캠궤적(141-1)에 접촉된다. 탄성부재(160)가 지지부재(150)를 제1캠궤적(141-1) 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플라텐 커버(20)는 자중에 의하여 열린 위치로 낙하되지 않고 열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1캠궤적(141-1)의 형상은 플라텐 커버(20)가 열린 위치를 넘어서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캠궤적(141-1)은 플라텐 커버(20)가 열린 위치를 넘어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도 8은 플라텐 커버(20)가 제1회동 구간(A1)에 위치된 상태의 힌지 유닛(100)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캠궤적(141)은 제1회동 구간(A1)에 대응되는 제2캠궤적(141-2)을 포함한다. 플라텐 커버(20)가 열린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회동됨에 따라, 즉, 플라텐 커버(20)의 열림 각도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모멘트 아암(moment arm)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므로, 플라텐 커버(20)의 무게에 의한 회전 모멘트(M1)는 점차 커진다. 플라텐 커버(20)가 닫힌 위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한 지지 모멘트(M2)의 크기가 회전 모멘트(M1)보다 커야한다. 그러므로, 제2캠궤적(140-2)의 형상은 플라텐 커버(20)의 열림각도가 작아질수록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결정된다. 제1회동 구간(A2)에서 탄성부재(160)는 플라텐 커버(20)가 자중에 의하여 닫힌 위치로 낙하되지 않도록 제1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캠궤적(141-2)의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하는 캠 반경(R2)은 제1캠궤적(14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커진다. 플라텐 커버(20)가 닫힘 위치 쪽으로 회동됨에 따라서 제2캠궤적(141-2)에 의하여 지지부재(150)는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며,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은 점차 커진다. 제2캠궤적(141-2)의 캠 반경(R)과 탄성부재(160)의 스프링 상수는 제1회동 구간(A1)에서 임의의 열림 각도에 대하여 지지 모멘트(M2)가 회전 모멘트(M1)보다 크게 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플라텐 커버(20)는 제1회동 구간(A1)에서는 닫힌 위치로 낙하되지 않고 임의의 열림 각도를 갖는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 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힌지유닛(100)의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플라텐 커버(20)를 기준 열림 각도(A)에 도달될 때까지 회동시키면, 접촉부(151)는 제2캠궤적(141-2)으로부터 벗어나며, 플라텐 커버(20)는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어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닫힌 위치로 회동된다.
사용자는 플라텐(11)에 원고를 놓기 위하여 플라텐 커버(20)를 닫힌 위치로부터 적어도 기준 열림 각도(A)보다 큰 열림 각도를 갖도록 회동시킨다. 그러면, 플라텐 커버(20)는 해당 열림 각도를 유지하는 위치에 정지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열림 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라텐 커버(20)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플라텐 커버(20)를 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용이하게 스캔할 원고를 플라텐(11) 위에 놓거나 또는 스캔이 끝난 후에 원고를 플라텐(11)으로부터 들어낼 수 있다. 또, 스캔을 위하여 원고를 플라텐(11) 위에 놓은 후에는 플라텐 커버(20)를 기준 열림 각도(A)보다 작은 위치까지 회동시킨 후에 플라텐 커버(20)를 놓으면, 플라텐 커버(20)는 자중에 의하여 닫힌 위치까지 회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회동 구간(A2)에서 플라텐 커버(20)는 자중에 의하여 닫힌 위치로 회동된다. 이때, 플라텐 커버(20)의 닫힘에 의한 충격이 본체(10)와 플라텐 커버(20)에 가해질 수 있다. 이 충격에 의하여 본체(10)와 플라텐 커버(20)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충격에 의한 소음은 제품의 품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충격과 이로 인한 소음은 플라텐 커버(20)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더 커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이송유닛(30)을 구비하는 플라텐 커버(20)는 무게가 무거우므로 닫힘 충격이 더 커서, 본체(10)와 플라텐 커버(20)가 파손될 위험이 더 커진다. 따라서, 닫힘 구간에서 플라텐 커버(20)의 닫힘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캠 부재(140)에 닫힘 구간에 대응되는 제3캠궤적(미도시)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제3캠궤적은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하는 캠 반경이 제2캠궤적(14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플라텐 커버(20)의 낙하 충격을 충분히 줄이기 위하여는 캠 반경의 변화량을 크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2회동 구간(A2)은 10도 정도에 불과하여 제2회동 구간(A2)에서 캠 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면 접촉부(151)와의 접촉각이 너무 커져서 제3캠궤적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플라텐 커버(20)가 자중에 의하여 닫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플라텐 커버(20)를 닫힌 위치까지 회동시키더라도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라텐 커버(20)가 닫힌 위치에 유지되지 않고 열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1)에 따르면, 제2회동 구간(A2)에서 플라텐 커버(20)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댐핑유닛(200)을 구비한다. 제2댐핑유닛(200)은 제1회동 구간(A1)에는 플라텐 커버(20)의 회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댐핑유닛(200)은 제2회동 구간(A2)에는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방향의 회전 모멘트(M1)와 반대 방향의 댐핑 모멘트(M3)를 플라텐 커버(20)에 가하여 플라텐 커버(20)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킨다.
일 예로서, 댐핑유닛(200)은 댐핑 아암(210)과 댐핑 스프링(220)을 구비할 수 있다. 댐핑 아암(210)은 회동축(130)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일 예로서, 댐핑 아암(210)에는 관통공(211)이 마련되고, 회동축(130)은 관통공(111), 관통공(211), 및 관통공(121)에 차례로 삽입된다. 이에 의하여 회동 브라켓(120)이 힌지 브라켓(110)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는 동시에 댐핑 아암(210)이 회동축(130)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댐핑 아암(210)의 단부(212)는 제1회동 구간(A1)에서는 접촉부(151)에 접촉되지 않으며, 제2회동 구간(A2)에서는 접촉부(151)에 접촉된다. 즉, 댐핑 아암(210)의 단부(212)는 플라텐 커버(20)의 열림 각도가 기준 열림 각도(A)보다 큰 때에는 접촉부(151)에 접촉되지 않으며, 플라텐 커버(20)의 열림 각도가 기준 열림 각도(A)보다 작은 때에는 접촉부(151)에 접촉된다.
댐핑 스프링(220)은 댐핑 아암(210)에 접촉부(151)에 접촉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일 예로서, 댐핑 스프링(220)으로서 제1아암(221)은 회동 브라켓(120)에 지지되고, 제2아암(222)은 댐핑 아암(210)에 지지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0은 제2댐핑 유닛(200)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에 도달되면, 댐핑 아암(210)이 접촉부(151)에 접촉된다. 일 예로서, 댐핑 스프링(220)의 제1, 제2아암(221)(222) 사이의 초기 각도는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에 도달된 때에, 댐핑 아암(210)이 접촉부(151)에 접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회동 브라켓(120)에 댐핑 아암(210)이 지지되는 지지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플라텐 커버(20)의 열림 각도가 기준 열림 각도(A)보다 클 때에는, 댐핑 아암(210)은 지지부(122)에 지지되어 접촉부(151)에 접촉되지 않는다.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에 도달되면, 댐핑 아암(210)은 접촉부(151)에 접촉되며, 지지부(122)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한다. 플라텐 커버(20)가 자중에 의하여 기준 열림 각도(A)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댐핑 스프링(220)은 댐핑 각도(d)만큼 압축되면서, 플라텐 커버(20)에 제2탄성력을 가하며, 제2탄성력에 의하여 회동 브라켓(120)에 댐핑 모멘트(M3)가 인가된다. 이에 의하여 플라텐 커버(20)의 회동 속도가 저하되고,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충격이 감소된다.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는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충격을 감소시킨다는 조건과, 플라텐 커버(20)가 닫힌 위치까지 닫힌다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준 열림 각도(A)를 10도, 플라텐 커버(20)의 무게를 약 1.4kg, 기준 열림 각도(A)에서 회동축(130)으로부터 플라텐 커버(20)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 즉 모멘트 아암의 길이를 약 200mm로 설정하고,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k)를 변화시키면서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시간과 닫힘 충격력을 시험한 결과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k(Nmm/deg) 닫힘 시간(초) 닫힘 여부 닫힘 충격력(nnN)
댐핑 스프링이 없는 경우 0.1 닫힘 670,041
17.4 0.19 닫힘 302,107
19.2 0.22 닫힘 254,824
20.9 0.27 닫힌 후 열림 -
22.7 - 닫히지 않음 -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k)가 20.9mmN/deg인 경우에는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시간이 0.27초로서 댐핑 스프링(220)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약 2.7배가 되어 큰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플라텐 커버(20)다 닫힌 후에 댐핑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라텐 커버(20)가 다시 열린다. 또한,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k)가 22.7mmN/deg인 경우에는 탄성력이 너무 커서 플라텐 커버(20)가 닫히지 않는다. 그러므로,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k)는 적어도 플라텐 커버(20)가 자중에 의하여 닫힐 수 있는 17.4 또는 19.2mmN/deg로 결정될 수 있다.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k)가 17.4mmN/deg인 경우, 댐핑 스프링(220)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닫힘 시간은 약 1.9배가 되며 닫힘 충격력은 약 53% 줄어든다. 또,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k)가 19.2mmN/deg인 경우, 댐핑 스프링(220)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닫힘 시간은 약 2.2배가 되며 닫힘 충격력은 약 62% 줄어든다. 따라서, 제2회동 구간(A2)에서의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충격으로 인한 스캐너 장치(1)의 파손 위험 및 충격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 플라텐 커버(20)가 닫히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상 위험 또한 줄일 수 있다.
힌지유닛(100)의 캠 궤적(141)이 댐핑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캠 궤적(141)은 제2회동 구간(A2)에 대응되는 제3캠궤적(14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캠궤적(141-3)은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하는 캠 반경(R3)이 제2캠궤적(14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로부터 닫힌 위치로 회동되는 동안에 제3캠궤적(141-3)에 의하여 지지부재(150)가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밀린다. 이에 의하여, 탄성부재(160)는 회동 브라켓(120)에 회전 모멘트(M1)와 반대 방향의 지지 모멘트(M2)를 가하며,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댐핑 스프링(220)의 스프링 상수(k)는 지지 모멘트(M2)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댐핑 유닛(200)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은 제2댐핑 유닛(20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댐핑 스프링(220)은 제2회동 구간(A2)에서 직접 접촉부(151)에 접촉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댐핑 스프링(220)으로서, 제1아암(221)은 회동 브라켓(120)에 지지되고 제2아암(222)은 제2회동 구간(A2)에서 접촉부(151)에 접촉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이 채용될 수 있다.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에 도달되면, 제2아암(222)이 접촉부(151)에 접촉된다. 일 예로서, 댐핑 스프링(220)의 제1, 제2아암(221)(222) 사이의 초기 각도는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에 도달된 때에, 제2아암(222)이 접촉부(151)에 접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회동 브라켓(120)에 제2아암(222)이 지지되는 지지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플라텐 커버(20)의 열림 각도가 기준 열림 각도(A)보다 클 때에는, 제2아암(222)은 지지부(122)에 지지되고, 접촉부(151)에 접촉되지 않는다.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에 도달되면, 제2아암(222)은 접촉부(151)에 접촉되며, 지지부(122)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한다. 플라텐 커버(20)가 자중에 의하여 기준 열림 각도(A)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댐핑 스프링(220)은 댐핑 각도(d)만큼 압축되면서, 회동 브라켓(120)에 댐핑 모멘트(M3)를 가한다. 이에 의하여 플라텐 커버(20)의 회동 속도가 저하되고,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충격이 감소된다.
댐핑 스프링(22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댐핑 유닛(20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댐핑 스프링(220a)은 회동 브라켓(120)에 고정되는 몸체(223)와 몸체(223)로부터 연장되어 접촉부(151)에 접촉되는 탄력아암(224)을 포함한다. 플라텐 커버(20)가 기준 열림 각도(A)로부터 닫힌 위치로 회동될 때에 탄력아암(224)은 접촉부(151)에 접촉되어 댐핑각도(d1)만큼 변형되며, 회동 브라켓(120)에 댐핑 모멘트(M3)를 가한다. 이에 의하여 플라텐 커버(20)의 회동 속도가 저하되고, 플라텐 커버(20)의 닫힘 충격이 감소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캐너 장치(1)와 인쇄유닛(2)이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2)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이다. 스캐너 장치(1)는 인쇄유닛(2)의 상부에 위치된다. 스캐너 장치(1)는 일 예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이다.
감광드럼(311), 대전롤러(312), 노광기(320), 현상기(330), 및 전사롤러(340)가 도시되어 있다. 감광드럼(31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312)는 감광드럼(31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31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31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노광기(32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L)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311)의 표면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32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31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기(330)는 감광드럼(1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현상기(330)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현상롤러(313)는 토너를 감광드럼(31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은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 현상방식이 채용되며, 현상롤러(313)의 표면은 감광드럼(311)의 표면과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 간격을 현상갭이라 한다. 현상롤러(313)에 현상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이 현상갭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3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접촉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313)는 감광드럼(311)에 접촉된다. 현상기(33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1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3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31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1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315는 현상롤러(313)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규제부재(31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313)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참조부호 316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31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31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31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교반기(317)는 토너를 현상롤러(313)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기(317)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전사롤러(340)는 감광드럼(31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40)에는 감광드럼(31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34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화상이 인쇄될 기록매체(P)는 픽업 롤러(352)에 의하여 급지 카세트(351)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353)에 하여 전사롤러(340)와 감광드럼(311)이 대면된 영역으로 공급된다. 전사롤러(34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311)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부(360)는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정착부(350)는 예를 들어 가열수단(363)이 내장된 가열롤러(361)와 가압롤러(362)가 서로 맞물려 정착닙을 형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정착부(360)를 통과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354)에 의하여 배출트레이(355)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인쇄, 복사, 독취 동작이 가능하다. 인쇄 동작은 외부의 호스트(미도시)로부터 화상정보에 근거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작을 말한다. 복사 동작은 스캐너 장치(1)를 이용하여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화상정보를 인쇄유닛(2)으로 전달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작을 말한다. 독취 동작은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동작을 말하며, 예를 들어 독취된 화상정보는 호스트(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수단(미도시)이 마련된 경우에는 독취된 화상정보를 전화선 등의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팩스 송신 기능과 전화선 등을 통하여 수신된 화상정보를 인쇄유닛(4)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팩스 수신 기능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현상기(330)를 구비하는 단색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4)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칼라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4개의 현상기(30)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인쇄유닛(2)으로서는 다른 화상형성방식, 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스캐너 장치 2...인쇄유닛
10...본체 11...플라텐
12...독취 부재 13...독취창
20...플라텐 커버 30... 원고이송유닛
40...원고이송경로 41...공급 경로
42...독취 경로 43...배출 경로
51...픽업롤러 52, 53...공급 롤러
54...ADF부 55...이송롤러
56...배출롤러 100...힌지유닛
110...힌지 브라켓 120...회동 브라켓
111, 121, 211...관통공 130...회동축
140...캠부재 141...캠궤적
141-1. 141-2, 141-3...제1, 제2, 제3캠궤적
150...지지부재 151...접촉부
160...탄성부재 200...제2댐핑유닛
210...댐핑 아암 220, 220a...댐핑 스프링

Claims (20)

  1. 원고가 놓이는 플라텐과 힌지 브라켓을 구비하는 스캐너 본체;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회동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플라텐을 덮는 닫힌 위치와 상기 플라텐으로부터 이격된 열린 위치로 회동되는 플라텐 커버;
    캠 궤적을 구비하고 상기 플라텐 커버에 마련된 캠 부재와, 상기 캠 궤적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라텐 커버가 회전됨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플라텐 커버를 지지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플라텐 커버를 기준 열림 각도 이상의 제1회동 구간에서 상기 닫힘 위치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제1댐핑유닛;
    상기 기준 열림 각도 이하의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상기 닫힌 위치로의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댐핑유닛;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핑 유닛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회전 모멘트와 반대 방향의 댐핑 모멘트를 상기 플라텐 커버에 제공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 아암을 구비하는 스캐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핑유닛은,
    상기 회동 브라켓의 회동축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댐핑 아암;을 더 구비하며,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댐핑 아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캐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댐핑 아암에 지지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댐핑 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댐핑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 스캐너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제2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 스캐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플라텐 커버가 상기 열린 위치를 넘어서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제1캠궤적;
    상기 제1회동구간에 대응되는 제2캠궤적;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제2회동구간에 대응되는 제3캠 궤적;을 더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상기 닫힌 위치로의 낙하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캠 궤적은 상기 접촉부를 밀어 상기 탄성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스캐너 장치.
  12. 원고가 놓이는 플라텐을 구비하는 스캐너 본체;
    상기 플라텐을 덮는 닫힌 위치와 상기 플라텐으로부터 이격된 열린 위치로 회동되는 플라텐 커버;
    상기 플라텐 커버를 상기 닫힌 위치와 상기 열린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상기 본체와 연결하는 힌지유닛;
    상기 플라텐 커버가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큰 제1회동구간에서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도록 제1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기준 열림 각도 이하의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플라텐 커버의 자중에 의한 상기 닫힌 위치로의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탄성력을 상기 플라텐 커버에 가하는 댐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마련된 힌지 브라켓과, 상기 플라텐 커버에 마련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캠 궤적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캠 궤적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플라텐 커버의 회동에 따른 상기 캠 궤적의 캠 반경의 변화량에 비례하여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플라텐 커버를 지지하는 스캐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2탄성력을 상기 플라텐 커버에 가하는 탄력아암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브라켓의 회동축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댐핑 아암;을 더 구비하며,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댐핑 아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캐너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댐핑 아암에 지지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댐핑 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댐핑 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 스캐너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스프링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아암과, 상기 제2회동구간에서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는 제2아암을 구비하는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과 상기 제2아암 사이의 초기 각도는 상기 기준 열림 각도보다 크며,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제1회동구간에서 상기 제2아암이 상기 접촉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아암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 스캐너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캐너 장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40081988A 2014-07-01 2014-07-01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Withdrawn KR20160003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88A KR20160003483A (ko) 2014-07-01 2014-07-01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4/579,216 US9549094B2 (en) 2014-07-01 2014-12-22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88A KR20160003483A (ko) 2014-07-01 2014-07-01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3A true KR20160003483A (ko) 2016-01-11

Family

ID=5501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988A Withdrawn KR20160003483A (ko) 2014-07-01 2014-07-01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49094B2 (ko)
KR (1) KR201600034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810A (ko) 2016-12-26 2017-02-14 경상남도 큰느타리버섯의 교배형 A4Bx 판별 PCR 프라이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83A (ko) * 2014-07-01 201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6379882B2 (ja) * 2014-09-03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読取装置
WO2018048434A1 (en) * 2016-09-12 2018-03-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elt tensioning system
CN106534609A (zh) * 2016-12-28 2017-03-22 芜湖顺荣汽车部件有限公司 便携式三坐标扫描仪
JP6975439B2 (ja) * 2017-01-10 2021-12-0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JP6980564B2 (ja) * 2018-02-28 2021-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および記録装置
CN111919063B (zh) * 2018-03-27 2023-01-06 Lg电子株式会社 应用了自动打开结构的烹饪设备的开门速度的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3732B2 (ja) * 2001-02-21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100568151B1 (ko) * 2003-10-17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유닛 장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5254524B2 (ja) * 2004-11-17 2013-08-0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5382757B2 (ja) * 2007-08-01 2014-01-08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AT507697B1 (de) 2008-12-17 2011-12-15 Blum Gmbh Julius Möbelscharnier mit rotationsdämpfer
KR20130108883A (ko) 2012-03-26 2013-10-07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장치
JP6031864B2 (ja) * 2012-07-20 2016-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20160003483A (ko) * 2014-07-01 201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810A (ko) 2016-12-26 2017-02-14 경상남도 큰느타리버섯의 교배형 A4Bx 판별 PCR 프라이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9094B2 (en) 2017-01-17
US20160006899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3483A (ko)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77517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amper
JP5879891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22796B2 (en)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vey a document
CN103569728B (zh) 薄片体排出装置以及利用该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6311638B2 (ja) ヒンジ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5024887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4349004B (zh) 图像形成装置
CN101893830B (zh) 图像形成装置以及转印辊偏压系统
JP2011086988A (ja) 原稿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700569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694999B2 (en) Scann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33801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017324A1 (en) Sheet separation using pressing force
JP5038811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3037134B (zh) 图像读取设备
CN103324053A (zh) 图像形成设备
CN103359494A (zh) 片材载置装置以及具有该片材载置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2009051590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901811B2 (ja) シート載置装置
JP516255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18924A (ja) シート部材搬送装置とこれを用いた用紙供給装置及び原稿読取り装置
CN208079209U (zh) 原稿供给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2008285276A (ja) 原稿自動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063080A (ja) シート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