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88U -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2488U KR20160002488U KR2020150000100U KR20150000100U KR20160002488U KR 20160002488 U KR20160002488 U KR 20160002488U KR 2020150000100 U KR2020150000100 U KR 2020150000100U KR 20150000100 U KR20150000100 U KR 20150000100U KR 20160002488 U KR20160002488 U KR 2016000248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electrode
- sterilizing
- raw water
- electrod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원수로부터 제균물질이 포함된 제균수를 생성하기 위해 원수를 전기분해시킬 경우, 살균수 생성장치에 전원을 인가시 수질에 적합한 임의의 전류값을 전극에 공급시킴에 따라 전극모듈을 보호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뚜껑에 구비되는 PCB;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대향되는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PCB와 상기 전극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극모듈;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뚜껑에 구비되는 PCB;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대향되는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PCB와 상기 전극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극모듈;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살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수를 전기분해시켜 제균물질이 포함된 제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정화하고 살균하는데 전기 분해가 이용되면서 전극의 성분으로 티타늄과 백금 화합물을 이용한 전극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성분의 전극으로 효율을 일정 이상 올리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살균수 생성장치에 전원을 인가시 원수 수질과 대응되게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테이블의 지정값으로 전극모듈 구동을 제어할 경우, 전극에 인가되는 초기 전류값이 낮는 경우에도 원수의 전도도가 높으면 전극에 과전류가 인가되어 전극이 파손될 수 있다. 전극모듈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마이컴 등에 의한 복잡한 제어가 요구되며 원가비용 상승을 초래하여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특허출원 10-2011-0052193호에 살균수 생성장치의 살균수 생성 제어방법 및 비데의 살균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원수로부터 제균물질이 포함된 제균수를 생성하기 위해원수를 전기분해시킬 경우, 원수에 따라 전극에 공급되는 과전류로 인해 전극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전극모듈을 보호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PCB와 전극 일체형 전극모듈을 형성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는
원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뚜껑에 구비되는 PCB;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대향되는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PCB와 상기 전극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극모듈;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수와 전극판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의 단면적 대비 살균수의 추출 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조에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의 단면적 대비 최대한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판의 양면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의 일방향성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원수로부터 제균물질이 포함된 제균수를 생성하기 위해 원수를 전기분해시킬 경우, 살균수 생성장치에 전원을 인가시 수질에 적합한 임의의 전류값을 전극에 공급시킴에 따라 전극모듈을 보호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경제성 및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PCB와 전극 일체형 전극모듈을 형성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되고, 원수의 다양한 조건에서도 전극모듈의 복잡한 제어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전극모듈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구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신뢰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을 분리시킨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변형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을 분리시킨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는
원수(일 예로서 수돗물, 지하수 등을 말함)를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에 의해 전기분해시켜 살균수(살균작용을 하게 되는 살균물질이 포함되는 살균수를 생성하게 됨)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 및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되는 수조(12);
상기 수조(12)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뚜껑(21)에 구비되는 PCB(16);
상기 수조(12)에 구비되어 대향되는 양극전극(일 예로서, 루테늄(ruthenium)재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음)(13) 및 음극전극(일 예로서, 티타늄(titanium)재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음)(14)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판(20)과, 상기 전극판(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PCB(16)와 상기 전극판(2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극모듈(17);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을 격리시켜 전기적으로 절연(絶緣)시키는 절연체(18)(일 예로서, 상기 음극전극(14)의 이음벽(14b)과 양극전극(13)의 격벽(13b)을 격리시킴);를 구비한다.
상기 원수와 전극판(20)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단면적 대비 살균수의 추출 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유입구(10)를 통해 상기 수조(12)에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구(12)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단면적 대비 최대한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판(20)은 "ㄹ"자 단면 형상의 양극전극(13) 및 "ㄷ"자 단면 형상의 음극전극(14)의 조합에 의해 상기 전극판(20)의 양면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의 일방향성 이동통로(19)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구(10)를 통해 상기 수조(12)에 유입되는 수돗물 등의 원수는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전극판(20)에 의해 형성되는 일방향성 이동통로(19)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원수는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전극판(20)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살균수로 변환된다.
즉, 원수 중에 치아염소산이온, 염소 및 다른 살균이온과 자유 라디칼 등 살균작용을 하게 되는 살균물질(산화성 혼합물질)이 생성되며, 이러한 살균물질이 포함된 살균수에 의해 원수를 살균처리하게 된다(즉 원수 중에 잔류되는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세균을 살균 또는 소멸시켜 살균처리함을 말함). 살균처리된 살균수는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수조(12)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전극판(20)에 지정된 시간동안 전압을 인가시켜(이때 상기 PCB(16)에 의해 상기 전극판(20)에 기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지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원수와 전극판(20)의 상호 접촉에 의해 원수를 전기분해시키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0)를 통해 상기 수조(12)에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음극전극(14)의 격벽(14a)과 이와 대향되는 양극전극(13)의 격벽(13a)에 의해 형성되는 제1통로(21)를 따라 화살표시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통로(21)를 따라 이동되는 원수는 상기 음극전극(14)의 중간에 형성되는 이음벽(14b)에 의해 방향전환된 후, 상기 양극전극(13)의 격벽(13a)과 이와 대향되는 음극전극(14)의 격벽(14c)에 의해 형성되는 제2통로(22)를 따라 화살표시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통로(22)를 따라 이동되는 원수는 상기 양극전극(13)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음벽(13b)에 의해 방향전환된 후, 상기 음극전극(14)의 격벽(14c)과 이와 대향되는 양극전양(13)의 격벽(13c)에 의해 형성되는 제3통로(23)를 따라 화살표시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3통로(23)를 따라 이동되는 원수는 상기 수조(12)에 의해 방향전환된 후, 상기 음극전극(14)의 격벽(14a)과 이와 대향되는 양극전극(13)의 격벽(13d)에 의해 형성되는 제4통로(24)를 따라 화살표시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4통로(24)를 따라 이동된 살균수는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수조(12)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0)를 통해 상기 수조(12)에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통로(21) - 제2통로(22) - 제3통로(23)- 제4통로(24)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에, 상기 원수와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전극판(20)이 상호 접촉되므로 전기분해되어 살균처리된 후,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수조(12)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조(12)에 유입된 원수가 지그재그 타입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2,3,4통로(21,22,23,24)를 일방향으로 차례대로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단면적 대비 원수의 유로를 최대한 길게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의 변형예는, 상기 유입구(10) 및 배출구(11)가 형성되는 수조(12) 내부에 양극전극(13)(일 예로서, 루테늄(ruthenium)재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음) 및 음극전극(일 예로서, 티타늄(titanium)재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음)(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의 단면적 대비 원수의 유로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여 살균수의 추출 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양극전극(13) 및 음극전극(14)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판(20)을 겹치지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시켜 일방향성 이동통로(19)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유입구
11; 배출구
12; 수조
13; 양극전극
14; 음극전극
16; PCB
17; 전극모듈
18; 절연체
19; 이동통로
20; 전극판
11; 배출구
12; 수조
13; 양극전극
14; 음극전극
16; PCB
17; 전극모듈
18; 절연체
19; 이동통로
20; 전극판
Claims (2)
- 원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뚜껑에 구비되는 PCB;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대향되는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PCB와 상기 전극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극모듈;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와 전극판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의 단면적 대비 살균수의 추출 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조에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유로를 상기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의 단면적 대비 최대한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판의 양면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의 일방향성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100U KR20160002488U (ko) | 2015-01-07 | 2015-01-07 |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0100U KR20160002488U (ko) | 2015-01-07 | 2015-01-07 |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488U true KR20160002488U (ko) | 2016-07-15 |
Family
ID=5649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0100U Ceased KR20160002488U (ko) | 2015-01-07 | 2015-01-07 |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2488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7460B1 (ko) * | 2018-05-17 | 2018-09-07 | 이태동 | 고농도의 살균수 제조가 가능한 살균수 제조장치 |
KR20210146622A (ko) * | 2020-05-27 | 2021-12-06 | 김정남 | 격막식 및 무격막식 전기분해공간이 일체화된 하이브리드 차아염소산수 겸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pH의 차아염소산수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제조하는 방법 |
CN114604941A (zh) * | 2022-01-19 | 2022-06-10 | 郭力 | 一种浸泡式电极抑菌装置 |
-
2015
- 2015-01-07 KR KR2020150000100U patent/KR20160002488U/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7460B1 (ko) * | 2018-05-17 | 2018-09-07 | 이태동 | 고농도의 살균수 제조가 가능한 살균수 제조장치 |
KR20210146622A (ko) * | 2020-05-27 | 2021-12-06 | 김정남 | 격막식 및 무격막식 전기분해공간이 일체화된 하이브리드 차아염소산수 겸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pH의 차아염소산수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제조하는 방법 |
CN114604941A (zh) * | 2022-01-19 | 2022-06-10 | 郭力 | 一种浸泡式电极抑菌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84295B2 (en) | Electrolytic cell for ozone generation | |
US8540860B2 (en) | Unit for producing sterilized water, cartridge comprising the unit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the cartridge | |
US20070017801A1 (en) | High electric field electrolysis cell | |
US20080156642A1 (en) | System for the Disinfection of Low-Conductivity Liquids | |
KR100756662B1 (ko) | 순간 살균수 생성장치 | |
KR100359480B1 (ko) | 살균소독기능이 부가된 수칫솔 장치 | |
KR20160002488U (ko) |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 | |
JP5210455B1 (ja) | 洗浄水生成装置 | |
KR20060007369A (ko) | 고전기장 전해 전지 | |
KR100634760B1 (ko) |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 |
KR20120133517A (ko) | 살균수 생성 장치의 살균수 생성 제어 방법 및 비데의 살균 제어 방법 | |
KR100802364B1 (ko) | 조립식 전극세트 | |
JP2005270788A (ja) | 流水浄化装置 | |
KR20130076174A (ko) | 전기분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살균수기 | |
KR101695854B1 (ko) | 살균수 순간 제조장치 | |
JP2003034889A (ja) | 強電解水生成装置の電解方法 | |
JP5210456B1 (ja) | 洗浄水生成装置 | |
KR102114355B1 (ko) | 차아염소산수와 수소기체를 생성하는 장치 | |
KR100607868B1 (ko) | 전기분해 발생 코어가 병렬 연결되어 있는 오존발생기 | |
JP2003245671A (ja) | 電解水生成装置 | |
CN212375401U (zh) | 不分腔电解生成有效氯的空间消毒机 | |
KR100776638B1 (ko) | 금속 이온화 경향차를 이용한 족욕기 | |
KR200436024Y1 (ko) | 금속 이온화 경향차를 이용한 족욕기 | |
KR101758878B1 (ko) | 감전 방지형 수산기 발생장치 | |
JP5116793B2 (ja) | 活性酸素種生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10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202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