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17U - Sticker book - Google Patents
Sticker boo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2317U KR20160002317U KR2020140009550U KR20140009550U KR20160002317U KR 20160002317 U KR20160002317 U KR 20160002317U KR 2020140009550 U KR2020140009550 U KR 2020140009550U KR 20140009550 U KR20140009550 U KR 20140009550U KR 20160002317 U KR20160002317 U KR 2016000231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icker
- shape
- base layer
- layer
- colo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282693 Cercopithe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COHYTHOBJLSHDF-UHFFFAOYSA-N Indigo Chemical compound N1C2=CC=CC=C2C(=O)C1=C1C(=O)C2=CC=CC=C2N1 COHYTHOBJLSH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스티커책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지는 베이스층 및 스티커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커층은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커층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다. 상기 제1 면은 최외곽 실선으로 정의되는 색칠 영역 및 상기 색칠 영역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색칠 영역을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면은 접착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한다. The disclosed sticker book includes a plurality of pages. The page includes a base layer and a sticky layer. The sticker layer is disposed on the base layer. The sticker layer ha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first surface includes a colored area defined by an outermost solid line, and a dividing lin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lored area and separating the colored area from the base layer. The second surface is adhesive and contacts the base lay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티커책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능동적인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스티커책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sticker book. More particularly, to a sticker book that can be used in an active form.
유아의 소근육을 발달시키고, 인지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창의성 등을 두루 키우기 위한 용도로 스티커가 사용되고 있다. 여러 개의 스티커들이 하나의 책으로 만들어져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Stickers are used for developing infants' small muscles and for developing cognitive ability, basic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Several stickers are made in one book and circulated on the market.
다만, 종래의 스티커책은 완성된 형태의 스티커를 단순히 분리한 후 부착하는 활동만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icker book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made only for the activity of attaching after separating the finished sticker.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만나는 복수의 선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색칠 영역을 포함하는 스티커를 포함하여 능동적인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스티커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icker book which can be used in an active form including a sticker including a coloring area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ne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책은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지는 베이스층 및 스티커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커층은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스티커층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다. 상기 제1 면은 최외곽 실선으로 정의되는 색칠 영역 및 상기 색칠 영역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색칠 영역을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면은 접착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한다.A sticker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ges. The page includes a base layer and a sticky layer. The sticker layer is disposed on the base layer. The sticker layer ha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first surface includes a colored area defined by an outermost solid line, and a dividing lin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lored area and separating the colored area from the base layer. The second surface is adhesive and contacts the base lay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색칠 영역은 서로 만나는 복수의 선들에 의해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ed areas may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ub-areas by a plurality of lines that meet with each oth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색칠 영역은 알파벳 형상, 동물 형상, 식물 형상, 사람 형상 및 사물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ing region may be any one of an alphabetical shape, an animal shape, a plant shape, a human shape, and an object shap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모조지 재질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ide may be an imitation materia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색연필로 채색이 용이한 마찰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rface may have friction that is easily colored with a colored pencil.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line may have a curved shape.
본 고안에 따른 스티커책은 사용자(예컨대, 유아)가 직접 색연필 등으로 색칠할 수 있는 색칠 영역을 포함하므로, 완성된 형태의 스티커를 단순히 분리한 후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스티커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커 놀이의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한 소근육 발달, 인지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창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sticker 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oring area in which a user (for example, an infant) can directly paint a colored pencil or the like, the user can directly complete the sticker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un of sticky play, thereby improving the fine musculature development, cognitive ability, basic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티커책을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스티커책의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색 연필을 이용하여 상기 도 3a의 색칠 영역을 색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색칠된 스티커를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icker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icker book of Fig. 1 is opened.
3A to 3D are plan views showing examples of pages of the sticker book of Fig.
FIG. 4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loring area of FIG. 3A using a color pencil.
FIG. 4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sticker of FIG. 4A is separated from the base layer.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a sticker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책(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티커책(100)을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티커책(100)은 일반적인 책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스티커책(100)은 표지 및 상기 표지 내의 복수의 페이지들(P)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표지가 상기 표지 내의 페이지들(P)보다 약간 크기가 큰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지는 상기 표지 내의 페이지들(P)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1 and 2, the cover is shown as being slightly larger than the pages P in the cov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ver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pages P in the cover.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스티커책(100)이 양장 제본된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스티커책(100)의 제본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티커책(100)은 무선 제본될 수 있고, 스프링 제본될 수 있으며, 유니바인더를 이용하여 열 제본될 수 있다. Although FIGS. 1 and 2 illustrate the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스티커책(100)의 페이지(P)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A to 3D are plan views showing examples of pages P of the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페이지(P)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는 스티커층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커층은 최외곽 실선(OL)으로 정의되는 색칠 영역 및 분리선(DL)을 포함하는 제1 면 및 접착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하는 제2 면을 가진다. 도 3a는 상기 제1 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으로 상기 도 3a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제2 면은 전체적으로 접착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층의 크기는 상기 스티커층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the page P includes a base layer and a sticky layer disposed on the base layer. The sticker layer has a first surface including a coloring area defined by an outermost solid line OL and a separation line DL, and a second surface having adhesiveness and contacting the base layer. Figure 3a shows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and is not shown in Figure 3a. The second surface is entirely adhesive and is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The size of the base layer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sticky layer.
상기 최외곽 실선(OL)은 폐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상기 색칠 영역으로 정의하게 된다. The outermost solid line OL is formed as a closed curve, and an area surrounded by the closed curve is defined as the colored area.
상기 분리선(DL)은 상기 최외곽 실선(OL)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분리선(DL)에 의해 하나의 스티커가 정의된다. 도 3a에서 상기 분리선(DL)은 상기 스티커를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평면도 상에서 상기 분리선(DL)은 실선으로 보인다. The separation line DL may surround the outermost solid line OL. One sticker is defined by the separation line DL. In FIG. 3A, the separating line DL is shown as a dotted line to show the property of separating the sticker from the base layer, but the separating line DL is shown as a solid line on an actual plan view.
도 3a에서 첫 번째 스티커는 알파벳 A와 유사한 최외곽 실선(OL)을 가진다. 상기 첫 번째 스티커는 알파벳 A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 원숭이와 같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는 상기 첫 번째 스티커와 이웃하여 알파벳 B와 유사한 최외곽 실선을 갖는 두 번째 스티커가 더 도시되어 있다. 3A, the first sticker has an outermost solid line OL similar to the letter A, The first sticker has a shape similar to the alphabet A and shows a shape similar to a monkey. 3A shows a second sticker having an outermost solid line similar to the letter B adjacent to the first sticker.
상기 색칠 영역은 서로 만나는 복수의 선들에 의해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사용자(예컨대, 유아)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들을 각각 다른 색으로 색칠하거나 또는 같은 색으로 색칠하는 방식으로 색칠 놀이를 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영역들은 균일한 크기를 갖지 않는다. 상기 서브 영역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coloring reg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regions by a plurality of lines that meet with each other. The user (for example, an infant) can play the coloring game in such a manner that the plurality of subareas are painted with different colors or painted with the same color. The sub-regions do not have a uniform size. The sub-areas may have at least two different sizes.
예를 들어, 상기 최외곽 실선(OL) 및 상기 색칠 영역 내의 복수의 선들은 검정색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최외곽 실선(OL) 및 상기 색칠 영역 내의 복수의 선들은 진한 회색, 남색, 파란색, 빨간색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최외곽 실선(OL) 및 상기 색칠 영역 내의 복수의 선들은 색칠 영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선들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보다 어두운 색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most solid line OL and the plurality of lines in the coloring area may be black. Alternatively, the outermost solid line OL and the plurality of lines in the coloring area may be one of dark gray, indigo blue, blue, and red. The outermost solid line OL and the plurality of lines in the coloring area may have a darker color than the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lines are not arranged in the coloring area.
예를 들어, 상기 색칠 영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선들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백색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최외곽 실선(OL) 및 상기 색칠 영역 내의 복수의 선들은 연한 회색, 미색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색칠 영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선들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종이의 색과 동일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rea where the plurality of lines are not arranged in the coloring area may be white. Alternatively, the outermost solid line OL and the plurality of lines in the coloring area may be either light gray or off-white. The area where the plurality of lines are not arranged in the coloring area may be the same as the color of the paper.
상기 색칠 영역은 유아용 색칠 놀이에 적합하도록, 알파벳 형상, 동물 형상, 식물 형상, 사람 형상 및 사물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The coloring area may have any one of an alphabetical shape, an animal shape, a plant shape, a human shape, and an object shape so as to be suitable for a coloring game for infants.
예를 들어, 상기 색칠 영역은 상기 최외곽 실선(OL) 이외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만나는 선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로 만나는 복수의 선들은 서로 교차하여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만나는 선들은 직선 및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외곽 실선(OL) 내의 상기 색칠 영역에는 또 다른 내부 폐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폐곡선은 삼각형, 사각형, 동그라미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loring region may have at least two mutually intersecting lines other than the outermost solid line OL. The plurality of lines meeting each other can cross each other. The lines that meet each other may include straight lines and curved lines. The coloring area in the outermost solid line OL may include another internal closed curve. The inner closed curve may have a shape such as a triangle, a square, or a circle.
예를 들어, 상기 색칠 영역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만나는 선들을 통해 적어도 4개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구획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loring region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four sub-regions through at least two mutually intersecting lines.
상기 스티커층의 제1 면은 모조지 재질일 수 있다. 모조지는 사전적으로 질이 강하고 질기며 윤택이 나는 서양식 종이를 일컫는다. 본 고안에서 모조지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출판 업계, 제지 업계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of the sticker layer may be a fake material. Mojo is a Western-style paper that is prescriptively vigorous, vaginal and moi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the embroidery pattern is not limited to a dictionary meaning but can be interpreted as being widely used and understood in the publishing industry, paper industry, and the like.
상기 스티커층의 제1 면은 색연필로 채색이 용이한 마찰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커층의 제1 면은 색연필이 고르게 색칠되지 않을 정도로 광택을 갖지는 않는다. The first surface of the sticker layer has friction which is easily colored with a colored pencil. For example, the first side of the sticker layer is not glossy to such an extent that the colored pencil is not evenly colored.
예를 들어, 상기 최외곽 실선(OL)은 곡선 형태를 갖는다. 상기 분리선(DL)은 상기 최외곽 실선(OL)을 둘러싸며, 곡선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최외곽 실선(OL)으로부터 상기 분리선(DL)까지의 간격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most solid line OL has a curved shape. The separation line DL surrounds the outermost solid line OL and has a curved shape. For example, the interval from the outermost solid line OL to the separation line DL may be uniformly formed as a whole.
도 3a에는 알파벳 A의 형상(또는 그를 응용한 사람, 사물, 동물 등의 형상)으로부터 알파벳 M의 형상(또는 그를 응용한 사람, 사물, 동물 등의 형상)을 갖는 스티커들을 포함하는 페이지가 예시되었다. 도 3b에는 알파벳 N의 형상(또는 그를 응용한 사람, 사물, 동물 등의 형상)으로부터 알파벳 Z의 형상(또는 그를 응용한 사람, 사물, 동물 등의 형상)을 갖는 스티커들을 포함하는 페이지가 예시되었다. 도 3c에는 여러 동물의 형상을 갖는 스티커들을 포함하는 페이지가 예시되었다. 도 3d에는 사람이 여러 스포츠를 즐기는 형상을 갖는 스티커들을 포함하는 페이지가 예시되었다. 3A shows a page including stickers having the shape of the letter M (or a shape of a person, an object, an animal, etc. applying the letter M) from the shape of the letter A (or the shape of a person, an object, . 3B shows a page including stickers having the shape of the alphabet Z (or a shape of a person, an object, an animal, etc. applying the shape of the alphabet Z) from the shape of the alphabet N (or the shape of a person, . Figure 3c illustrates a page containing stickers having the shape of several animals. FIG. 3D illustrates a page including stickers having a shape in which a person enjoys various sports.
도 4a는 색 연필을 이용하여 상기 도 3a의 색칠 영역을 색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색칠된 스티커를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4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loring area of FIG. 3A using a color pencil. FIG. 4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sticker of FIG. 4A is separated from the base layer. FIG.
도 1 내지 4b를 참조하면, 도 4a에는 사용자가 색연필을 이용하여 상기 최외곽 실선(OL)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색칠 영역을 색칠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원숭이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은 황토색 색연필로 색칠된 것을 예시하였고, 원숭이의 눈 주변에 해당하는 부분은 검정색 색연필로 색칠되고 있는 것을 예시하였다. Referring to FIGS. 1 to 4B, FIG. 4A shows a user painting a coloring area defined by the outermost solid line OL using a colored pencil.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ody of the monkey was painted with an ocher color pencil, and the area around the eye of a monkey was painted with a black color pencil.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색칠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나만의 스티커가 완성된다. 상기 사용자의 스티커가 완성되면, 상기 분리선(DL)을 따라 상기 스티커를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When the coloring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user's own sticker is completed. When the sticker of the user is completed, the sticker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layer along the separation line DL.
도 4b에는 상기 색칠이 완료된 원숭이 스티커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된 후의 상기 페이지(P)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폐곡선으로 정의된 스티커들을 각각 다른 모습으로 색칠하여 자신만의 스티커를 완성할 수 있고, 각각의 스티커들을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여 원하는 곳에 붙이는 방식으로 스티커 놀이를 할 수 있다. Figure 4b shows the appearance of the page P after the coloring monkey sticker has been separated from the base layer. In this way, the user can paint his / her own stickers by coloring the stickers defined as closed curves in different shapes, and can separate the stickers from the base layer and attach them to desired places.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예컨대 유아)는 복수의 서브 구획을 갖는 색칠 영역을 색칠하면서 소근육 발달, 미술적 감각 발달,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칠 영역을 색칠하여 완성한 자신만의 스티커를 가질 수 있으므로, 놀이 의욕 및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을 통해 사용자는 소근육 발달, 인지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창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for example, an infant) can develop small-muscle development, artistic sensation development, and creativity while coloring a painted area having a plurality of sub-compartments.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have his / her own sticker completed by coloring the coloring area, it is possible to inspire the desire for play and learning.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urther enhancing the user's fine-motor development, cognitive ability, basic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본 고안에 따른 스티커책은 유아 소근육 발달, 인지 능력, 기초 학습 능력, 창의성 향상 등을 위한 유아 교육 산업에 사용될 수 있다.The sticker 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ile fine musculature, cognitive ability, basic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0: 스티커책
P: 페이지
OL: 최외곽 실선
DL: 분리선 100: Sticker Book
P: Page
OL: Outermost solid line
DL: Separation line
Claims (6)
상기 페이지는
베이스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며, 최외곽 실선으로 정의되는 색칠 영역 및 상기 색칠 영역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색칠 영역을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선을 포함하는 제1 면 및 접착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하는 제2 면을 갖는 스티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커책.A plurality of pages,
The page
A base layer; And
A first surface disposed on the base layer and including a colored area defined by an outermost solid line and a separating lin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lored area and separating the colored area from the base layer; A sticker layer having a second side contacting the layer.
The sticker boo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viding line has a curved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550U KR20160002317U (en) | 2014-12-24 | 2014-12-24 | Sticker boo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550U KR20160002317U (en) | 2014-12-24 | 2014-12-24 | Sticker boo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2317U true KR20160002317U (en) | 2016-07-04 |
Family
ID=5649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9550U Ceased KR20160002317U (en) | 2014-12-24 | 2014-12-24 | Sticker boo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2317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3481B1 (en) | 2018-04-25 | 2019-09-20 | 임승만 | Variable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
-
2014
- 2014-12-24 KR KR2020140009550U patent/KR20160002317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3481B1 (en) | 2018-04-25 | 2019-09-20 | 임승만 | Variable Stopper Apparatus For Window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03218A1 (en) | Methods, motifs, and kits for emergent pattern games and workshops for individuals, collaborators, and teams | |
US11439861B1 (en) | Sensory tool for self regulation, fine motor dexterity, and grip strengthening and method of using same | |
KR20160002317U (en) | Sticker book | |
JP3197267U (en) | Voice light interactive learning board | |
KR200491679Y1 (en) | Coloring palette aid | |
RU114415U1 (en) | DEVICE FOR THE DEVELOPMENT OF SMALL MOTORITY AND ORAL SPEECH | |
US20160297229A1 (en) | Interactive entertaining pages or book with slits therein and a flat paper figure | |
JP3048738U (en) | Character learning panel set | |
KR200397831Y1 (en) | Stencil for children | |
CN206470711U (en) | A kind of mouse used for children | |
KR100825375B1 (en) | Sketchbook | |
Day | Slow Art Day | |
KR200397019Y1 (en) | Scratch sheet | |
KR200332281Y1 (en) | Educational material for Early Children | |
Akimjaková |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 AND ELEMENTARY PEDAGOGY TEACHERS AT THE JURAJ PÁLEŠ INSTITUTE IN PF CU IN LEVOČA | |
CN205194114U (en) | Quick-effect painting basic skills practice card | |
Crețu | PLAYDOUGH DRAWING IN ACTIVITIE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STUDENTS, A CREATIVE NON-FORMAL METHOD | |
JP3123190U (en) | Book with animation effects | |
Cook et al. | Fine motor skills | |
JPH0652707U (en) | Manicure | |
KR100503621B1 (en) | Educational material for Early Children | |
RU41260U1 (en) | DEVELOPING BOOK FOR CHILDREN | |
Zolzaya | Early Childhood Drawing and Drawing Skills Survey (2-3 Years) | |
RU2378710C1 (en) | Method of developing creativity of students | |
TWM500962U (en) | Sound and light interactive learning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2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22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8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6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