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985A - System for providing u-health service for oda recipient countri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u-health service for oda recipient countr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0985A KR20160000985A KR1020140078400A KR20140078400A KR20160000985A KR 20160000985 A KR20160000985 A KR 20160000985A KR 1020140078400 A KR1020140078400 A KR 1020140078400A KR 20140078400 A KR20140078400 A KR 20140078400A KR 20160000985 A KR20160000985 A KR 201600009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al
- local
- hospital
- disease information
- ser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3240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V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 및 해외 병원용 시스템을 각각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및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의 질환 정보 및 진료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와, 질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과,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지역 의료기관의 담당자에게 제공하거나 자동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과,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지역 국립병원의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과,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해외 병원의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해외 병원용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원격진료를 활성화하여 보다 고급 의료지식을 가진 기관이 그렇지 못한 기관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health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 country that is an object of ODA,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connecting a system for a service user, a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a system for a local national hospital and a system for an overseas hospit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health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for measuring disease information, a wireless module mounted on the terminal, a gateway for data transmission, and a wireless module mounted thereon, A healthcare service user system for acquiring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ealthcare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the healthcare information to a person in charge of a local medical institution or automatically analyzing data to generate a medical treatment result, System, A local hospital system for acquiring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health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the disease information to a person in charge of a local national hospital to generate a medical treatment result; To generate the medical care result, thereby enabling the remote medical service to be provided to an institution having a higher level of medical knowledge to the non-medical institu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헬스 서비스(u-Health Servic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최근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이의 대중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원격지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응용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의 등장은 이러한 추세를 더욱 빠르게 진전시키고 있어서, 이제 원격지에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응용을 활용하는 일은 너무도 흔한 일상이 되었다.In recent years, applications using remote computing devices in various field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y. Recently, the emergence of mobile terminals has made this trend so fast that it has become common everyday to utilize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t a remote location.
현재 이러한 편리함은 의료 분야에도 접목되어, 유헬스(u-Health)라는 총칭으로 다양하게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원격지에서 의사가 환자와 컴퓨터를 통해 상호작용을 하는 원격 진료(tele-medicine)는 우리에게 새로운 저비용 고효율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개념 서비스로 다가오고 있다.Currently, such convenience is combined with the medical field, and u-Health (u-Health) is being developed variously as a collective term. Among them, telemedicine, where doctors interact with patients through computers, is coming to us as a new concept service that can provide us with new low-cost, high-efficiency medical services.
특히, 의료 환경이 열악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 제고가 시급하게 필요한 ODA 대상 국가 등에 의료기술 선진국의 보다 질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헬스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a u-health system to provide better quality healthcare services to developed countries in ODA countries that are in need of urgent improvement of quality of medical services due to poor medical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 환경이 열악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 제고가 시급한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DA countries in which the medical environment is poor and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s urg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 및 해외 병원용 시스템을 각각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및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의 질환 정보 및 진료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와, 질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와,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지역 의료기관의 담당자에게 제공하거나 자동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과,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지역 국립병원의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과,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해외 병원의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해외 병원용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health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country to be implemented in an ODA,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a system for a service user, a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A health service server configured to store disease information and a medical treatment result of the u-health service user, a disease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for measuring disease information, a wireless module mounted therein, and a gateway for data transmission, And a wireless module mounted thereon, and a system for the u-health service user, which acquires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service ser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person in charge at the local medical institution or automatically analyzes data to generate a medical care result The local medical institution A local hospital system for acquiring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the result to a person in charge of the local national hospital, and acquiring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the result to a person in charge of the overseas hospital to generate a medical care resul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개인 맞춤형 모델을 통해 만성질환자는 집에서 당뇨와 혈압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보건소로 전송하여 관리를 받을 수 있고, 또는 직접 진료소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만성질환 관리를 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health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the ODA target cou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with chronic disease can measure diabetes and blood pressure at home and transmit it to a health center for management, Or you can visit your clinic regularly to get chronic disease management.
또한, 의료기관 맞춤형 모델을 통해 의료기관 간에 원격진료를 활성화하여 보다 고급 의료지식을 가진 기관이 그렇지 못한 기관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역 보건소와 현지 국립병원간의 원격진료 및 국경을 넘어서는 차원에서의 원격협진 및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customized model of medical institutions, telemedicine among medical institutions can be activated, so that institutions with more advanced medical knowledge can provide medical services to those that do not. Telemedicine and support across remote borders and across borders can be achieved between local health centers and local hospitals.
그리고, 현지에서도 전문가의 협진을 의뢰하여 보다 빠르고 저렴하게 이러한 서비스를 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k for the cooperation of the experts in the field so that the service can be obtained more quickly and inexpensive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 및 유헬스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 및 유헬스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 해외 병원용 시스템 및 유헬스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ealth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a u-health service user, a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and a u-health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u-health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a system for a local hospital, and a healthcare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u-health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local hospital system, an overseas hospital system, and a u-health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u-health ser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U-health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n ODA target cou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 영역(10), 지역 의료기관(20), 지역 국립병원(30), 해외 병원(40),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 및 유헬스 센터(200)들 간에서 수행되는 유헬스 서비스 전 과정을 나타낸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ilk health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 해외 병원용 시스템(40) 및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 간의 상호관계에 의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은 재택 환자, 지역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일반 환자 등 유헬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나 일반인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의 지역 의료기관은 보건소 또는 1/2차 의료기관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The U-health
먼저,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을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 및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구성도로서,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 및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과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은, 질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11)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12)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예컨대, 홈 게이트웨이, 핸드폰 등)(13)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11)에서 측정된 질환 정보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을 통하여 게이트웨이(13)까지 전송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는, 메시지 수신부(111)와 송신부(112)를 포함하는 통신부(110) 및 질환 정보 데이터베이스(121)와 진료 결과 데이터베이스(122)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1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u
또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은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의사, 간호사 등 담당자에게 제공하거나, 자동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담당자 호출 및 자동 진료 결과 생성 등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1),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22), 의료 서비스 요청부(23) 및 진료 결과 제공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환자가 유헬스 서비스의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식은,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11)를 사용하여 자신의 질환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여 의료 전문가로부터 질환에 대해 모니터링 또는 피드백을 받는 방법(이하, '재택형 질환 관리 모델'이라 한다), 또는 환자가 지역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지역 의료기관에 구비된 혈액 검사기 등 만성질환 및 급성 전염병을 검사할 수 있는 기기를 이용하여 혈압과 혈당 수치를 등록하고,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질환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방법(이하, '지역 의료기관형 질환 관리 모델'이라 한다)이 있다.In a system in which a patient uses a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in a u-health service, the disease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1 is used to measure the disease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transmitted to the u-health
이때, '재택형 질환 관리 모델' 및 '지역 의료기관형 질환 관리 모델'은 모두 필요시 상위 의료기관 예컨대,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으로의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여 질환에 대해 모니터링 또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ome-based disease management model' and the 'local medical institution-type disease management model' may request monitoring of the disease or provide feedback to the upper medical institution, for example, a
먼저, '재택형 질환 관리 모델'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at-home disease management mode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DA 대상 국가를 위한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재택형 질환 관리 모델'에 있어서, 환자는 혈압, 혈당, 체중 등과 같은 자신의 질환 정보를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11)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11)는 질환 정보의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한 질환 정보를 무선 모듈(12, 14)을 통해 헬스 게이트웨이(예컨대, 홈 게이트웨이, 핸드폰 등)(13)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13)에서는 무선 모듈(14)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2, in the 'home based disease management model' of the U-health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11)에서 측정한 질환 정보를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까지 전송 처리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11)에서 측정한 질환 정보를 전송할 때 모든 메시지에 대해 서로 응답 명령어(Respond Command)가 발생하고, 요청(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는 보통 10초 이내에 발생한다. 요청(Request) 메시지를 발생한 기기(Device)는 10초 이내에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요청(Request) 메시지를 다시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서 3번까지 반복하고, 3번을 반복하여서도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해당 프레임의 전송을 중단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 전송이 중단되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해당 사실을 알리고, 요청(Request) 프레임에 오류(Checksum Error)가 있다면 해당 요청(Request) 메시지를 받은 기기(Device)가 해당 프레임을 무시하도록 한다. 이때, 해당 프레임의 전송을 중단함과 동시에 중단 처리 이벤트를 후술하는 메시지 수신부(111)로 전송하여 오류 처리 메시지를 발생시킨다.The disease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1 transmits the disea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sease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11 to the u
상기와 같이 헬스 게이트웨이(13)에서 전송되는 질환 정보 메시지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메시지 수신부(111)가 수신한다. 여기서, 메시지 수신부(111)는 수신된 질환 정보 메시지에 대해 위에서 살펴본 전송오류 검출 로직을 사용하여 질환 정보 메시지를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 그 결과 성공적으로 수신된 메시지만을 질환 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disease info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health gateway 13 is received by the
그리고, 메시지 수신부(111)가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환자의 질환 정보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송신부(112)를 통해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1)에 전송된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21)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으로부터 질환 정보를 수신받거나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으로 진료 결과를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망에 접속하는 수단이다.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통신 인터페이스부(21)로 환자의 질환 정보가 수신되면,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22)는 수신된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의사, 간호사 등 담당자의 요청 입력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의료 서비스 요청부(23)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When 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그 다음, 의료 서비스 요청부(23)는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22)로부터 전달되는 환자의 질환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담당자 호출이 필요한 경우 담당자의 단말기로 의료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담당자가 직접 진료 결과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진료 결과를 생성한다.Then, the medical
이때, 의료 서비스 요청부(23)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필요 시 상위 의료기관 예컨대,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으로 의료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위 의료기관의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아래 도 3에서 설명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medical
이를 위해 상기 의료 서비스 요청부(23)는 각 환자별 또는 질환별 분석 기준, 담당자 호출 기준, 상위 의료기관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요청 기준 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자동으로 진료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분석 결과별 진료 결과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medical
한편, 의료 서비스 요청부(23)는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진료 결과 또는 자동으로 생성한 진료 결과 정보를 진료 결과 제공부(24)로 전달하고, 진료 결과 제공부(24)는 의료 서비스 요청부(23)로부터 전달된 진료 결과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medical
상기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21)에서 전송되는 진료 결과 메시지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메시지 수신부(111)가 수신한다. 여기서, 메시지 수신부(111)는 수신된 진료 결과 메시지에 대해 위에서 살펴본 전송오류 검출 로직을 사용하여 진료 결과 메시지를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 그 결과 성공적으로 수신된 메시지만을 진료 결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진료 결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진료 결과를 메시지 송신부(112)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care resul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다음으로, 상기 '지역 의료기관형 질환 관리 모델'의 동작 방식은, 환자가 지역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지역 의료기관에 구비된 혈액 검사기 등 만성질환 및 급성 전염병을 검사할 수 있는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를 통해 혈압, 혈당, 체중 등과 같은 자신의 질환 정보를 측정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재택형 질환 관리 모델'과 동일하다.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mode of the 'local medical institution type disease management model' is a system in which a patient visits a local medical institution and diagnoses a chronic disease and acut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a blood testing machine provided in a local medical institution through a disease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Is equivalent to the 'at-home disease management model' except that the patient's own disease information such as blood glucose, weight, and the like is measure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을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 및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구성도로서,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 및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과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은, 상기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 의료 서비스 요청부(23)의 원격 진료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으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지역 국립병원의 의사 등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원격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1),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32), 의료 서비스 요청부(33) 및 진료 결과 제공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이때,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20)과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은 원격통신 장비(코덱 및 TV 거치대, LCD TV, 원격 진료 랙 및 유니트, PC, 모니터, 조명 장치, 장비 인터페이스, 전력 장치, Hub, 마우스, 키보드, 스피커, 의료 장비 인터페이스 : USB, RS-232C, RCA 등 기기 인터페이스. 이의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통신 인터페이스부(31)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질환 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질환 정보를 수신받거나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으로 원격 진료 결과를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망에 접속하는 수단이다.The
통신 인터페이스부(31)로 환자의 질환 정보가 수신되면,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32)는 수신된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의사 등 담당자의 요청 입력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의료 서비스 요청부(33)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When 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그 다음, 의료 서비스 요청부(33)는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32)로부터 전달되는 환자의 질환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지역 국립병원 담당자의 단말기로 원격 진료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거나, 필요 시 다른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 및/또는 해외 병원용 시스템(40)으로 원격 협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른 지역 국립병원 및/또는 해외 의료기관의 원격 협진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도 있다. 지역 국립병원과 해외 병원 간의 원격 협진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아래 도 4에서 설명된다.Then, the medical
한편, 의료 서비스 요청부(33)는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진료 결과를 진료 결과 제공부(34)로 전달하고, 진료 결과 제공부(34)는 의료 서비스 요청부(33)로부터 전달된 진료 결과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medical
상기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31)에서 전송되는 진료 결과 메시지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메시지 수신부(111)가 수신한다. 여기서, 메시지 수신부(111)는 수신된 진료 결과 메시지에 대해 위에서 살펴본 전송오류 검출 로직을 사용하여 진료 결과 메시지를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 그 결과 성공적으로 수신된 메시지만을 진료 결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진료 결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진료 결과를 메시지 송신부(112)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The
살펴본 바와 같이, 도 3의 지역 의료기관과 지역 국립병원 간의 원격 진료는 지역 간의 거리가 상당하거나 교통의 제한 등으로 인해 지역 국립병원으로의 방문이 어려운 경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모델로서, 만성 성인병 관리 대상자 중 지역 의료기관 수준에서 관리할 수 없는 환자들이 주 대상이며 지역에 만연한 급성 전염병 환자들과 같이 보다 상위 의료기관에서 빠른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도 유용한 유헬스 서비스 시스템이라 할 것이다.As can be seen, the telemedicine between the regional medical institution and the local national hospital in FIG. 3 is a model that can be performed on patients who are unable to visit the local national hospital becaus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lities or the traffic restriction, It is a useful u-health service system even in cases where patients who can not be managed at the level of local medical institutions among the subjects of chronic adult diseases management are the main targets and rapid measures should be taken at higher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those in acute infectious diseases which are prevalent in the region.
마지막으로,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을 해외 병원용 시스템(40)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nally, 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 해외 병원용 시스템(40) 및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구성도로서,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 및 해외 병원용 시스템(40)과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4 is a block diagram of a
해외 병원용 시스템(40)은, 상기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30)의 의료 서비스 요청부(33)의 원격 협진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해외 병원의 의사 등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원격 협진 결과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41),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42), 의료 서비스 요청부(43) 및 진료 결과 제공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이때, 해외 병원용 시스템(40)은 원격통신 장비(코덱 및 TV 거치대, LCD TV, 원격 진료 랙 및 유니트, PC, 모니터, 조명 장치, 장비 인터페이스, 전력 장치, Hub, 마우스, 키보드, 스피커, 의료 장비 인터페이스 : USB, RS-232C, RCA 등 기기 인터페이스. 이의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통신 인터페이스부(41)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질환 정보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질환 정보를 수신받거나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으로 원격 진료 결과를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망에 접속하는 수단이다.The
통신 인터페이스부(41)로 환자의 질환 정보가 수신되면,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42)는 수신된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의사 등 담당자의 요청 입력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의료 서비스 요청부(33)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When 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그 다음, 의료 서비스 요청부(43)는 해외 병원 담당자의 단말기로 원격 협진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원격 협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Then, the medical
한편, 의료 서비스 요청부(43)는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협진 결과를 진료 결과 제공부(44)로 전달하고, 진료 결과 제공부(44)는 의료 서비스 요청부(43)로부터 전달된 진료 결과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41)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medical
상기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41)에서 전송되는 진료 결과 메시지는 유헬스 서비스 서버(100)의 메시지 수신부(111)가 수신한다. 여기서, 메시지 수신부(111)는 수신된 진료 결과 메시지에 대해 위에서 살펴본 전송오류 검출 로직을 사용하여 진료 결과 메시지를 정확하게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 그 결과 성공적으로 수신된 메시지만을 진료 결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진료 결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진료 결과를 메시지 송신부(112)를 통해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care resul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살펴본 바와 같이, 도 4의 지역 국립병원과 해외 병원 간의 원격 협진 모델은 보다 높은 의료 기술 수준을 갖는 해외의 의료 기술을 원격 협진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서는 화상 진료 뿐 아니라, 원격 협진 더 나아가 수술 시 필요한 내용들에 대한 지원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원격 협진을 진행하고 위급 상황일 경우에는 핫라인을 통해 진료 및 수술에 대한 원격 진료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llaboration model between the regional hospital and the overseas hospital in FIG. 4 can be provided through remote collaboration with overseas medical technology having a higher level of medical technology. These services will include not only burn treatment, but also remote coordination as well as support for the surgical need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provide telemedicin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provide telemedicine for medical treatment and surgery through a hotline in case of emergency.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 11 :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
13 : 게이트웨이 20 :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
21 : 통신 인터페이스부 22 :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
23 : 의료 서비스 요청부 24 : 진료 결과 제공부
30 :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 31 : 통신 인터페이스부
32 :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 33 : 의료 서비스 요청부
34 : 진료 결과 제공부 40 : 해외 병원용 시스템
41 : 통신 인터페이스부 42 :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
43 : 의료 서비스 요청부 44 : 진료 결과 제공부
100 : 유헬스 서비스 서버 110 : 통신부
120 : 데이터베이스10: U-health service user system 11: disease information measurement terminal
13: Gateway 20: System for local medical institutions
21: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2: patient condition monitoring unit
23: medical service request section 24: medical treatment result providing service
30: local hospital system 31: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2: patient condition monitoring unit 33: medical service requesting unit
34: Outcome of medical treatment Offering 40: Overseas hospital system
41: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2: patient condition monitoring unit
43: Medical service request section 44:
100: U-health service server 110:
120: Database
Claims (4)
질환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질환 정보 측정 단말기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와 그에 탑재된 무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유헬스 서비스 이용자용 시스템;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지역 의료기관의 담당자에게 제공하거나 자동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지역 국립병원의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질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해외 병원의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진료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해외 병원용 시스템
을 포함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health service server configured to include a database for storing disease information and medical treatment results of a user of a medical service user, a communication unit connecting a system for a service user, a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a system for a local national hospital, and a system for an overseas hospital, respectively;
A system for a healthcare service user comprising a disease information measuring terminal for measuring disease information, a wireless module mounted on the terminal, a gateway for data transmission, and a wireless module mounted thereon;
A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that acquires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 health service ser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a person in charge of a local medical institution or automatically analyzes data to generate a medical care result;
A local hospital system for acquiring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the result to a person in charge of a local hospital;
The system for overseas hospitals, which acquires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health service server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a person in charge of the overseas hospital to generate a medical care resul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상기 지역 의료기관용 시스템은,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 정보를 수신받거나 진료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수신된 상기 질환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지역 의료기관 담당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의료 서비스 요청부로 전달하는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
상기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되는 질환 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진료 결과를 생성하거나 지역 의료기관 담당자의 단말기로 의료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지역 의료기관 담당자로부터 입력받은 진료 결과 정보를 진료 결과 제공부로 제공하거나, 지역 국립병원 담당자 호출이 필요한 경우 상기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으로 원격 진료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의료 서비스 요청부;
상기 의료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진료 결과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진료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or a local medical institution,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u-health service server for receiving disease information or transmitting a medical treatment result;
A patient state monitoring unit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the diseas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or outputting the disease information to a screen of the medical service request unit at the request of a local medical institution representative;
The medical condition monitoring unit analyzes the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 medical care resul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r transmits a medical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local medical consulting person, A medical service requesting unit for providing the medical treatment result information to the medical care result providing unit or transmitting a telemedicine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local hospital system when the local medical personnel call is required;
And transmitting the medical car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dical service requesting unit to the u-health servic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es:
상기 지역 국립병원용 시스템은,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 정보를 수신받거나 진료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수신된 상기 질환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지역 국립병원 담당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의료 서비스 요청부로 전달하는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
상기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되는 질환 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지역 국립병원 담당자의 단말기로 의료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지역 국립병원 담당자로부터 입력받은 진료 결과 정보를 진료 결과 제공부로 제공하거나, 해외 병원 원격 협진이 필요한 경우 상기 해외 병원용 시스템으로 원격 협진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의료 서비스 요청부;
상기 의료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진료 결과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진료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or a local national hospital,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u-health service server for receiving disease information or transmitting a medical treatment result;
A patient condition monitoring unit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the diseas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or outputting the disease information to a screen of a medical service request unit at the request of a local hospital manager;
A medical service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of a local hospital manager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and the medical care resul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l hospital personnel is referred to a medical care A medical service requesting unit for providing a remote cooperative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system for overseas hospitals when the remote cooperative work of the overseas hospital is required;
And transmitting the medical car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dical service requesting unit to the u-health servic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es:
상기 해외 병원용 시스템은,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질환 정보를 수신받거나 진료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 수신된 상기 질환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해외 병원 담당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의료 서비스 요청부로 전달하는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
상기 환자 상태 모니터링부로부터 전달되는 질환 정보에 대해 상기 해외 병원 담당자의 단말기로 의료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해외 병원 담당자로부터 입력받은 진료 결과 정보를 진료 결과 제공부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요청부;
상기 의료 서비스 요청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진료 결과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유헬스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진료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헬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verseas hospital system,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u-health service server for receiving disease information or transmitting a medical treatment result;
A patient condition monitoring unit for outputting the diseas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utomatically or at the request of a foreign hospital operator or transmitting the disease information to a medical service request unit;
A medical service requesting unit for sending a medical service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overseas hospital manager for the disea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tient condition monitoring unit and providing the medical care resul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verseas hospital manager to the medical care result provid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medical care resul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dical service requesting unit to the u-health servic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400A KR20160000985A (en) | 2014-06-25 | 2014-06-25 | System for providing u-health service for oda recipient countr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8400A KR20160000985A (en) | 2014-06-25 | 2014-06-25 | System for providing u-health service for oda recipient countri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985A true KR20160000985A (en) | 2016-01-06 |
Family
ID=5516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8400A Ceased KR20160000985A (en) | 2014-06-25 | 2014-06-25 | System for providing u-health service for oda recipient countr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0985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5720A (en) * | 2022-01-27 | 2023-08-03 |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 Remote Pati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KR20230120738A (en) * | 2022-02-10 | 2023-08-17 |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ng medical treatment in the nation-to-n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9881A (en) | 2009-03-04 | 2010-09-1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and home health helper service |
-
2014
- 2014-06-25 KR KR1020140078400A patent/KR20160000985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9881A (en) | 2009-03-04 | 2010-09-1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and home health helper ser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5720A (en) * | 2022-01-27 | 2023-08-03 |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 Remote Pati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KR20230120738A (en) * | 2022-02-10 | 2023-08-17 | 주식회사 비플러스헬스케어 |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ng medical treatment in the nation-to-n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168893B (en) | Platform independent real-time medical data display system | |
Thangada et al. | The emerging role of mobile-health applications in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 |
US977306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setup of a remote patient care environment | |
JP520318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medical data | |
US7439856B2 (en) | Health care patient status event processing and reporting | |
US20160302666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al-time virtual medical examinations | |
KR101051263B1 (en) | Home Telehealth Home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hronic Patients | |
US2015014920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encounter and status assessment using parallel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aths | |
Jiménez-Fernández et al. | 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patient telemonitoring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 |
US20080167534A1 (en) |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for collecting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method thereof | |
JP6416112B2 (en) | Monitor defibrillator teletherapy server | |
JP2015512175A (en) | Medical devic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US20150066523A1 (en) |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 |
US20130183923A1 (en) | Field nurse notification | |
Aliakbarpoor et al. | Designing a HL7 compatible personal health record for mobile devices | |
US20150363565A1 (en) | Monitor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ing mobile terminal | |
CN103040527A (en) | Informatization monitor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 |
CN103902846A (en) | Human body management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 |
CN102090930B (en) | Residential health care service management device | |
KR10116743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nd terminal, program recording medium | |
CN203276282U (en) | Telemedicine Information System | |
Triantafyllidis et al. | Development and usability of a personalized sensor-based system for pervasive healthcare | |
KR20210135400A (en) | System for managing health care | |
KR20160000985A (en) | System for providing u-health service for oda recipient countries | |
KR20160086123A (en) | Apparatus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Provi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