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00908U - 여성구두용 보강편 - Google Patents

여성구두용 보강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908U
KR20160000908U KR2020140006585U KR20140006585U KR20160000908U KR 20160000908 U KR20160000908 U KR 20160000908U KR 2020140006585 U KR2020140006585 U KR 2020140006585U KR 20140006585 U KR20140006585 U KR 20140006585U KR 20160000908 U KR20160000908 U KR 201600009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piece
support piece
reinforcing
front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애정
Original Assignee
박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애정 filed Critical 박애정
Priority to KR2020140006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908U/ko
Publication of KR20160000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08U/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2Supports for the shank or arch of the up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하이힐형의 여성구두(10)에 구비된 중창(11)과 바닥재(12) 사이에 삽입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에 있어서, 상기 여성구두(10)의 바닥에 대응하여 아치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몸체부(110); 착용자의 뒷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구두굽(13)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공(121)이 형성된 후방지지편(120); 및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두 갈래로 분기되어 연장형성된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 중 상기 바닥재(12) 내에서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외측부분(O)으로 연장되는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상기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부분(I)으로 연장되는 내측 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여성구두용 보강편{Reinforcing Force For Women's Shoes}
본 고안은 여성구두용 보강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힐형의 여성구두에 구비된 중창과 바닥재 사이에 장착되어 구두를 장기간 착용하더라도 바닥재가 갈라지거나 구두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착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탱하여 균형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힐형의 여성구두에 삽입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구두의 바닥형상에 대응하여 절곡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두굽에 고정되는 후방편과, 상기 몸체로부터 양측으로 분기되어 전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전방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전방편 중 하나의 전방편은 구두의 외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전방편은 구두의 내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연장형성되었다.
한편, 통상적으로 한국인의 경우 신체 구조상 무게 중심을 발 바깥쪽에 두는 걸음걸이가 상당수를 차지하는데, 이 경우 보행간 신체의 하중이 구두의 외측에 대부분 실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여성구두용 보강편은 상기 두 개의 전방편이 동일한 길이와 두께로 연장형성됨에 따라 내측의 전방편보다 외측의 전방편에 가해지는 하중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구두의 착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외측의 전방편에 피로가 누적되어 전방편 자체의 강성 및 탄성이 약화되면서 구두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구두의 수명이 쉽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여성구두용 보강편은 표면에 본딩제가 도포되어 중창과 바닥재 사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보강편의 표면면적에 비례하는 접착성능이 발휘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보강편의 경우 표면면적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본딩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접착성능을 향상시키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하이힐과 같이 구두굽이 높은 여성구두의 경우 바닥이 아치 형상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상기 중창과 보강편 및 바닥재 사이에는 경사각이 존재하게 되는데, 구두의 착용기간이 길어지거나 구두가 습한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상기 중창과 보강편 사이 또는 보강편과 바닥재 사이에 습기가 침투되면서 본딩제에 의한 접착성능이 저하되어 중창이 보강편 상에서 하부로 슬라이딩되거나 보강편이 바닥재로부터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72313호(2008.11.28), 신발용 중창 및 허리쇠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강편의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두 개의 전방지지편 중 구두착용자의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외측부분으로 연장되는 외측 전방지지편은 내측부분으로 연장되는 내측전방지지편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는 구두의 외측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피로 누적에 따른 수명단축을 연장시킬 수 있어 구두의 착용기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여성구두용 보강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여성구두용 보강편은, 하이힐형의 여성구두(10)에 구비된 중창(11)과 바닥재(12) 사이에 삽입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에 있어서, 상기 여성구두(10)의 바닥에 대응하여 아치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몸체부(110); 착용자의 뒷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구두굽(13)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공(121)이 형성된 후방지지편(120); 및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두 갈래로 분기되어 연장형성된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 중 상기 바닥재(12) 내에서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외측부분(O)으로 연장되는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상기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부분(I)으로 연장되는 내측 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전방지지편(130)과 후방지지편(120) 사이의 양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지지편(14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상기 내측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거나 강도가 보강된 보강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또는, 보강지지편(1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편(15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접착편(150)에는 상하로 개구된 접착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또는, 보강지지편(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상부 마찰돌기(161)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하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하부 마찰돌기(16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마찰돌기(161)는 상향 융기되되 노출된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융기되고, 상기 하부 마찰돌기(162)는 하향 융기되되 노출된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융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여성구두용 보강편에 의하면,
첫째, 보강편(100)의 몸체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 중 상기 바닥재(12) 내에서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외측부분(O)으로 연장되는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상기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부분(I)으로 연장되는 내측 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걸음걸이의 특성상 큰 하중이 가해지는 여성구두(10)의 외측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피로 누적에 따른 외측 전방지지편(131)의 수명단축을 연장시킬 수 있어 구두의 착용기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몸체부(110) 상에서 전방지지편(130)과 후방지지편(120) 사이의 양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지지편(140)이 마련됨으로써, 구두(10)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흐트러지더라도 보강편(100) 및 구두(10)가 뒤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또는 보강지지편(140)에는 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편(15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본딩제가 도포될 수 있는 보강편(100)의 전체 표면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각 접착편(150)에는 상하로 개구된 접착공(151)이 형성됨으로써 접착편(150)을 중심으로 하부면의 본딩제와 상부면의 본딩제가 상기 접착공(151)을 통해 접촉되면서 경화될 수 있으므로 접착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또는 보강지지편(140)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상부 마찰돌기(161)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하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하부 마찰돌기(162)가 형성되어, 본딩제에 의한 접착성능이 저하되더라도 상기 상부 마찰돌기(161)와 중창(11)의 하부면이 상호 마찰되고 상기 하부 마찰돌기(162)와 바닥재(12)의 상부면이 상호 마찰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접착성능이 저하되면서 중창(11)이나 보강편(100)이 전방으로 밀리면서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성구두용 보강편이 여성구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성구두용 보강편이 중창과 바닥재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착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찰돌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성구두용 보강편(100)은, 하이힐형의 여성구두(10)에 구비된 중창(11)과 바닥재(12) 사이에 삽입되어 구두(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구두(10)의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구조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후방지지편(120) 및 전방지지편(1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편(100)의 바디를 형성하는 베이스로서, 구두(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강성 및 탄성을 가지며, 구두굽(13)에서부터 앞 부분의 발바닥까지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구두(10)의 바닥에 대응하여 아치형상으로 절곡된 판재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는 바닥재(12)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바닥재(12)의 폭 또는 구두(10)의 바닥폭을 고려한 소정의 폭을 가지며, 구두굽(13)의 높이와 형태에 따라 아치형의 절곡된 정도를 달리한다.
또한,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이나 복합강화섬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와 같이 몸체부(110)의 중앙에는 몸체부(110)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보강리브(170)가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몸체부(110)가 길이방향으로 휘는 정도를 감소시킨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110) 상에서 전방지지편(130)과 후방지지편(120) 사이의 양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지지편(140)이 마련되어, 구두착용자의 무게중심에 관계없이 구두(10)의 뒤틀림 즉, 몸체부(110)에 가해지는 불균형의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두(10)에 가해지는 구두착용자의 무게중심이 흐트러지더라도 보강편(100) 및 구두(10)가 뒤틀어져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편(120)은, 보강편(100)이 구두(10)의 후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재로서, 바닥재(12) 상에서 구두착용자의 뒷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구두굽(13)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공(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후방지지편(120)은 나사공(121)과 구두굽(13)을 연속관통하는 체결나사(14)에 의해 구두(10)의 후부 위치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편(130)은, 구두(10)의 전방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연장부재로서, 바닥재(12) 상에서 상기 구두착용자의 앞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몸체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두 갈래로 분기되어 연장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 중 상기 바닥재(12) 내에서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외측부분(O)으로 연장되는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상기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부분(I)으로 연장되는 내측 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외측 전방지지편(131)과 내측전방지지편(132)이 바닥재(12)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형태로 연장되거나 지그재그 또는 웨이브형태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 전방지지편(131)이 내측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신체구조상 무게중심을 발 바깥쪽에 두는 걸음걸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는 구두(10)의 외측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피로 누적에 따른 수명단축을 연장시킬 수 있어 구두(10)의 착용기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측 전방지지편(131)과 내측전방지지편(132)이 동일한 길이로 연장형성된 경우, 구두(10)의 착용 초기에는 각 지지편(131,132)이 양호한 강성과 탄성을 유지하여 제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구두(10)의 착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되는 외측 전방지지편(131)이 상기 내측전방지지편(132)보다 가해지는 피로강도가 크고 누적되는 피로양도 많기 때문에 재질이 갖는 강성과 탄성이 더 빨리 감소되면서 제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 경우 내측전방지지편(132)은 제기능을 구현할 수 있더라도 외측 전방지지편(131)이 제기능을 구현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제대로 지지되지 못해 쉽게 구두(10)가 뒤틀리거나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구두(10)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외측 전방지지편(131)이 내측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연장형성되면, 외측 전방지지편(131)에 가해지는 하중이 외측 전방지지편(131)의 전체 범위로 분산될 뿐만 아니라 작용되는 피로도 외측 전방지지편(131)의 전체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착용기간이 길어지더라도 피로 누적에 따라 외측 전방지지편(131)의 강성 및 탄성이 감소되는 시기를 늦출 수 있게 되어 구두(10)의 수명을 전체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점에서 상기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내측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거나 강도가 보강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측 전방지지편(131)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피로누적을 분산시켜 강성 및 탄성이 감소되는 시기를 더욱 늦출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편(100)은, 표면면적을 증대시켜 접착성능이 향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및 보강지지편(140)에는 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편(15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착편(150)이 갖는 표면적만큼 보강편(100)의 전체적인 표면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중창(11)과 바닥재(12) 사이에서 본딩제가 도포될 수 있는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접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접착편(150)에는 상하로 개구된 접착공(151)이 형성되어 접착편(150)을 중심으로 하부면의 본딩제와 상부면의 본딩제가 상기 접착공(151)을 통해 접촉되면서 경화될 수 있으므로 접착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접착공(151) 내에서 경화된 본딩제가 중창(11)과 바닥재(12) 사이에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기둥역할을 하기 때문에 접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편(100)은,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및 보강지지편(140)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상부 마찰돌기(161)가 형성되고, 각 하부면 또는 일부 부재의 하부면에는 하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하부 마찰돌기(162)가 형성되어 중창(11)과 바닥재(12) 사이에서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하이힐과 같이 구두굽(13)이 높은 여성구두(10)의 경우 바닥이 아치 형상으로 절곡형성됨에 따라 상기 중창(11)과 보강편(100) 및 바닥재(12) 사이에는 경사각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경우 구두(10)의 착용기간이 길어지거나 구두(10)가 습한환경에 장기간 노출되게 되면 중창(11)과 보강편(100) 사이 또는 보강편(100)과 바닥재(12) 사이의 접착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 마찰돌기(161)가 보강지지편(140)의 상부면 일부 또는 전체에 분산배치된 경우 중창(11)과 보강편(100) 사이에 마찰력이 더욱 증대되어 상기 경사각에 의해 보강편(100) 상에서 중창(11)이 슬라이딩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마찰돌기(162)가 보강편(100)의 하부면 일부 또는 전체에 분산배치된 경우 보강편(100)과 바닥재(12) 사이에 마찰력이 더욱 증대되어 상기 경사각에 의해 바닥재(12) 상에서 보강편(100)이 슬라이딩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마찰돌기(161)는 상향 융기되되 노출된 단부가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융기되고, 상기 하부 마찰돌기(162)는 하향 융기되되 노출된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융기되어 중창(11) 및 바닥재(12) 간의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편(100)에 각 마찰돌기(161,162)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돌출편이 경사지게 돌출된 가압금형을 갖는 프레스로 상기 보강지지편(140)의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각 마찰돌기(161,162)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여성구두 11...중창
12...바닥재 100...여성구두용 보강편
110...몸체부 120...후방지지편
130...전방지지편 131...외측 전방지지편
132...내측전방지지편 140...보강지지편
150...접착편 161...상부 마찰돌기
162...하부 마찰돌기

Claims (6)

  1. 하이힐형의 여성구두(10)에 구비된 중창(11)과 바닥재(12) 사이에 삽입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에 있어서,
    상기 여성구두(10)의 바닥에 대응하여 아치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몸체부(110);
    착용자의 뒷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구두굽(13)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공(121)이 형성된 후방지지편(120); 및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두 갈래로 분기되어 연장형성된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전방지지편(130) 중 상기 바닥재(12) 내에서 상기 착용자의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외측부분(O)으로 연장되는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상기 앞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의 내측부분(I)으로 연장되는 내측 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전방지지편(130)과 후방지지편(120) 사이의 양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보강지지편(14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전방지지편(131)은, 상기 내측전방지지편(132)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거나 강도가 보강된 보강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또는, 보강지지편(1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착편(150)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접착편(150)에는 상하로 개구된 접착공(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 전방지지편(130), 후방지지편(120) 또는, 보강지지편(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상부 마찰돌기(161)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하향으로 뾰족하게 융기된 하부 마찰돌기(1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찰돌기(161)는 상향 융기되되 노출된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융기되고, 상기 하부 마찰돌기(162)는 하향 융기되되 노출된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융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구두용 보강편.
KR2020140006585U 2014-09-05 2014-09-05 여성구두용 보강편 Abandoned KR201600009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85U KR20160000908U (ko) 2014-09-05 2014-09-05 여성구두용 보강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85U KR20160000908U (ko) 2014-09-05 2014-09-05 여성구두용 보강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08U true KR20160000908U (ko) 2016-03-16

Family

ID=5564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585U Abandoned KR20160000908U (ko) 2014-09-05 2014-09-05 여성구두용 보강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90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199A (ko) * 2018-09-12 2020-03-20 박종회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KR2022007701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나일핸드 러버 스트링을 이용한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및 신발물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199A (ko) * 2018-09-12 2020-03-20 박종회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KR2022007701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나일핸드 러버 스트링을 이용한 신발물품의 보강방법 및 신발물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202B2 (en)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nonlinear bending stiffness
US10721992B2 (en) Sole structure for a flexible shoe
CN107028275B (zh) 用于鞋类物品的包括中心支撑结构的鞋底组件
EP2611326B1 (en)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with plural cushioning members
US10485295B2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longitudinal tension member and non-linear bending stiffness
EP3275330B1 (en) Shoe having stabilizer
US20100251568A1 (en) Footwear insert
RU2671062C2 (ru) Туфля
CN103167812B (zh)
HK1255240A1 (en) Midsole, sole assembly and footwear for walking and running
EP2883469B1 (en) Structure of high-heeled shoe
KR101964266B1 (ko) 신발용 밑창
US20150264998A1 (en) Sole structure for biomechanical control
JP7550846B2 (ja) ソール及び履物
US9380828B2 (en) Structure of athletic shoe
EP2883470B1 (en) Structure of platform shoe
KR20160000908U (ko) 여성구두용 보강편
US20070062065A1 (en) Shoe sole with energy return plate
US20150157085A1 (en) Structure of platform shoe
KR101038052B1 (ko) 신발 바닥의 구조
KR20140003454U (ko) 여성 구두 중창용 보강편
KR101475881B1 (ko) 전방의 굽힘이 용이한 신발
US20150351496A1 (en) In-Shoe Support Device For Heeled Shoes
KR101078394B1 (ko) 여성 구두 중창용 보강편
EP2883468B1 (en) Structure of athletic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9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10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