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윈도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으로 구분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유효 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 전극(30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감지 전극(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4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400)에 연결되는 회로 기판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판(100)은 이 위에 형성되는 감지 전극(300), 배선(400) 및 회로 기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강화 유리, 반강화 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광등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100)은 COC(Cyclic Olefin Copolymer), COP(Cyclic Olefin Polymer), 광등방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광등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커브드(curved) 또는 벤디드(bended)된 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도 플렉서블, 커브드 또는 벤디드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휴대가 용이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는 배선(400)이 형성된다. 상기 배선(400)은 상기 감지 전극(3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0)은 제 1 배선(410)과 제 2 배선(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되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0)은 유효 영역(AA)에 형성되는 감지 전극(30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0)은 투명 전도성 물질, 금속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400)은 상기 감지 전극(300)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선(400)과 연결되는 회로 기판이 더 위치할 수 있다.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는 외곽 더미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은 배선(400)과 이 배선(40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는 감지 전극(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전극(300)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 전극(30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 전극(300)은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또는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300)은 금속을 포함하여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 전극(300)은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상은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랜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무아레 현상이란, 주기적인 줄무늬가 겹쳐져서 생기는 무늬로, 이웃한 줄무늬들이 겹쳐지면서 줄무늬의 굵기가 굵어져 다른 줄무늬에 비해 도드라져 보이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아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성 패턴 형상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패턴은 개구부 및 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의 선폭이 0.1 ㎛ 내지 10 ㎛ 가 될 수 있다. 선폭이 0.1 ㎛ 이하인 전도성 패턴 선부는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다. 선폭이 10 ㎛ 이하일 경우, 감지 전극(300)의 패턴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의 선폭은 1 ㎛ 내지 7 ㎛ 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패턴 선부의 선폭은 2 ㎛ 내지 5 ㎛ 일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패턴의 개구부는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도성 패턴이 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 패턴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전도성 패턴 내에서 전도성 패턴 개구부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이 메쉬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감지 전극(30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300)의 저항을 낮출 수 있어, 대형 크기의 기판(1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이 휘어질 때, 감지 전극(300)의 물리적 손상 없이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터치 윈도우가 플렉서블(flexible) 터치 디바이스 또는 곡면형(curved) 터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윈도우의 벤딩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이 전도성 폴리머로 형성되는 경우, 투명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폴리머로 형성된 감지 전극(300)은 유연성을 가지며, 플렉서블 터치 디바이스 또는 곡면형 터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폴리머는 낮은 밀도를 가지는 물질로 가벼운 무게의 터치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는 제 1 감지 전극(340) 및 제 2 감지 전극(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은 상기 기판(100)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은 다수개의 제 1 전극부(310) 및 연결부(33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1 전극부(310)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제 1 전극부(310)는 상기 연결부(3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부(310)와 상기 연결부(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부(310)가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전극부(310)는 바(bar),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선형 H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은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배선(4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1 배선(4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은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0)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상기 제 2 전극부(320)가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전극부(320)는 바(bar),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선형 H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은 상기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0)가 제 2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0)는 연결도전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은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와 상기 제 2 배선(420)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와 상기 제 2 배선(420)은 연결도전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전층은 제 1 연결도전층(510) 및 제 2 연결도전층(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및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을 포함하는 연결도전층은 절연층(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의 제 2 전극부(320)를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상기 절연층(210)에 의해 노출된 제 2 감지 전극(350)의 제 2 전극부(320)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및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0)를 제 2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2 배선(420)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상기 절연층(210)에 의해 노출된 제 2 감지 전극(350)의 제 2 전극부(320) 및 제 2 배선(420)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및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 제 2 전극부(320) 및 제 2 배선(4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의 제 1 전극부(310) 및 연결부(3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1 전극부(310) 및 연결부(330)의 상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1 전극부(310) 및 연결부(330)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절연층(210)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연결도전층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상기 연결도전층이 서로 접하도록 하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제 2 감지 전극(35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을 노출하는 콘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1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제 2 감지 전극(350)의 교차 영역에만 형성되고, 다수개의 바(bar)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및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및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절연층(210)에 의해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수직 도전층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수직 방향의 통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의 수직 방향이란,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모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통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다수의 도전볼이 분포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일정 조건의 가열 또는 가압 공정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내고, 수평 방향으로 절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에 열 또는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에서 수직 방향의 통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수평 도전층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수평 방향의 통전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수직 방향으로만 도전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수평 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금속,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금속을 포함하여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상기 절연층(2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접하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의 일단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의 하나의 전극부(320)와 중첩되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의 타단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의 다른 하나의 전극부(320)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의 일단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과 중첩되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의 타단은 상기 제 2 배선(420)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이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됨으로써,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사이에 두고, 하나의 제 2 전극부(320) 및 상기 하나의 제 2 전극부(320)와 인접한 다른 제 2 전극부(320)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가열 또는 가압 공정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나의 제 2 전극부(320)와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다른 제 2 전극부(320)와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도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이 수평 방향으로 통전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제 2 전극부(320)와 다른 제 2 전극부(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과 상기 제 2 배선(420)도 각각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되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통전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UA)으로 구분되는 기판(100) 상에 제 1 전극부(310) 및 연결부(330)를 포함하는 제 1 감지 전극(340)과, 제 2 전극부(320)를 포함하는 제 2 감지 전극(350)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배선(410)과, 제 2 배선(42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상에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절연층(210)을 형성한다.
상기 노출된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노출된 제 2 배선(420)과 접하도록 상기 절연층(210) 상에 제 1 연결도전층(51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상에 제 2 연결도전층(5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배선(420)과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이후, 가열 또는 가압 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경화하고,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은 수평 방향으로 통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의 제 2 전극부(3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과 상기 제 2 배선(4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되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통전되어,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의 제 2 전극부(3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과 상기 제 2 배선(4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조 방법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과 상기 제 2 배선(420)은 인쇄 공정을 통해 연결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은(Ag) 페이스트의 인쇄 공정으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과 상기 제 2 배선(4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었다. 이때, 은 페이스트 등으로 인쇄 공정 시 기판(100) 전면을 가열할 필요가 있었다. 이로 인해, 기판(100)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PET와 같은 열변형에 약한 기재로 형성된 기판(100)은 가열온도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 또는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과 상기 제 2 배선(42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에만 가열 또는 가압이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즉, 기판(100) 전면을 가열 또는 가압할 필요가 없으며, 부분적으로 가열 또는 가압함으로써, 기판(100)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 또는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의 얼라인 공차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은 열 또는 압력을 인가하는 영역에서 수직 방향으로 통전되고, 수평 방향으로 절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0)이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접하더라도,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어야 하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상기 감지 전극(300) 및 배선(400)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배치된 커버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제 2 감지 전극(350), 제 1 배선(410) 및 제 2 배선(420) 등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는 투명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명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유효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으로 구분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상에는 감지 전극(301)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는 배선(401)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401)에 연결되는 회로 기판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1)는 제 1 감지 전극(340) 및 제 2 감지 전극(3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은 상기 기판(100)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은 다수개의 제 1 전극부(310) 및 제 1 연결부(33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1 전극부(310)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제 1 전극부(310)는 상기 제 1 연결부(3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부(310)와 상기 제 1 연결부(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은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1) 및 제 2 연결부(322)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1)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제 2 전극부(321)는 상기 제 2 연결부(32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부(321)와 상기 제 2 연결부(3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부(310) 및 제 2 전극부(321)가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전극부(310) 및 제 2 전극부(321)는 바(bar),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선형 H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사이에는 절연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기판(100) 상에 제 1 감지 전극(34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상에 상기 절연층(211)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211) 상에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이 형성된 기판(100)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의 하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형성되는 배선(401)은 상기 감지 전극(301)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1)은 제 1 배선(410)과 제 2 배선(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1)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되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1)은 유효 영역(AA)에 형성되는 감지 전극(30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1)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401)은 투명 전도성 물질, 금속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401)은 상기 감지 전극(301)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된 제 1 배선(410)은 상기 유효 영역(AA)에 형성된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배선(410)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형성된 제 2 배선(421)은 상기 유효 영역(AA)에 형성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배선(421)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및 상기 제 1 배선(410)과 동일층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배선(421)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선(421)과 상기 절연층(211) 상에 형성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은 연결도전층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전층은 제 1 연결도전층(511) 및 제 2 연결도전층(5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 및 제 2 연결도전층(521)을 포함하는 연결도전층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 상에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절연층(211) 상에 형성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과 상기 제 2 배선(421)에 접하도록 제 1 연결도전층(5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의 제 2 전극부(32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 상에 제 2 연결도전층(5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 및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 제 2 감지 전극(351) 및 제 2 배선(421)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제 2 배선(421)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제 2 배선(421)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배선(421)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 및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또는 상기 제 2 배선(4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 및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절연층(211)에 의해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수직 도전층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수직 방향의 통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의 수직 방향이란,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모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통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수직 방향으로 통전되고, 수평 방향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이방성 도전 필름(ACF)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다수의 도전볼이 분포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일정 조건의 가열 또는 가압 공정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내고, 수평 방향으로 절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에 열 또는 압력이 가해지는 영역에서 수직 방향의 통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수평 도전층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수평 방향의 통전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수직 방향으로만 도전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수평 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금속,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금속을 포함하여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이 인접하여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접하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다수개의 바(bar)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의 일단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0)과 중첩되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0)의 타단은 상기 제 2 배선(420)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이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됨으로써,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은 가열 또는 가압 공정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과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배선(421)과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도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이 수평 방향으로 통전됨에 따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과 상기 제 2 배선(421)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UA)으로 구분되는 기판(100) 상에 제 1 전극부(310) 및 연결부(330)를 포함하는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배선(410)과, 제 2 배선(42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상에 절연층(211)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211)은 상기 제 2 배선(421)을 노출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211) 상에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감지 전극(351)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이 인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접하도록 제 1 연결도전층(51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 상에 제 2 연결도전층(52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은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배선(421)과 중첩되도록 형성한다.
이후, 가열 또는 가압 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을 경화하고,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12)은 수평 방향으로 통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과 상기 제 2 배선(4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통전되고,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통전되어,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과 상기 제 2 배선(4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조 방법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과 상기 제 2 배선(421)은 은(Ag) 페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인쇄 공정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이때, 인쇄 공정 시 기판(100) 전면을 가열할 필요가 있었고, 기판(100)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PET와 같은 열변형에 약한 기재로 형성된 기판(100)은 가열온도에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 및 상기 제 2 연결도전층(521)과 상기 제 2 배선(421)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연결도전층(511)에만 가열 또는 가압이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즉, 기판(100) 전면을 가열 또는 가압할 필요가 없으며, 부분적으로 가열 또는 가압함으로써, 기판(100)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 2 감지 전극(351)을 절연층(211) 상에 형성하여, 유효 영역(AA)에서 별도의 연결도전층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51)이 동일층에서 형성될 때 필요했던 연결도전층을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도전층의 미스 얼라인(miss align)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상기 감지 전극(301) 및 배선(401)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배치된 커버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40), 제 2 감지 전극(351), 제 1 배선(410) 및 제 2 배선(421) 등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는 투명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명접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 패널(90) 및 터치 윈도우(10,2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윈도우(10,2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윈도우(10,20)와 동일하다.
즉, 도면 상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20)만 도시하였으나, 상기 터치 윈도우(10,20)는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광이 투과되는 유효 영역 및 광이 투과되지 않는 비유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90)과 터치 윈도우(10,20) 사이에는 접착층(50)이 배치된다. 상기 접착층(50)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의 일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5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또는 광학용 투명 수지(OCR)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90)과 터치 윈도우(10,20)를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감지 전극(340) 및 제 2 감지 전극(350) 등이 형성된 기판(100)이 터치 윈도우(10)의 커버 기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50)은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 1 감지 전극(340) 및 제 2 감지 전극(350) 등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20)는 별도의 커버 기판(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기판(600)과 기판(100) 사이에는 투명 접착층(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50)은 상기 기판(100)의 배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90)은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면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은 세트 커버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트 커버는 하부 커버, 서포트 메인 및 상부 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 서포트 메인 및 하부 커버는 서로 조립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커버 부착 필름이 상부 커버 및 터치 패널과 접착하여 상기 터치 패널을 상기 상부 커버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적녹청(RGB)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상부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하부기판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를 하부기판에 형성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를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적(R), 녹(G) 및 청(B)색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백색(W) 발광 다이오드(LED)들로 구성된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이하, 발광패키지라 한다)과, 발광패키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전원패턴들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광패키지로부터 공급되는 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배면에 배치되어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도광판 전방(상측)에 배치되어 집광 및 확산 기능을 하는 광학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9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은 기판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9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Electric Paper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및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등을 구성하는 표시 패널(90)일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10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이동식 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은 이동식 단말기 이외에도 터치 윈도우가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의 차량용 터치, 네비게이션, 노트북 및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의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