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429A - A navigation function visually impaired Smart Stick system - Google Patents
A navigation function visually impaired Smart Stic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5429A KR20150145429A KR1020140074799A KR20140074799A KR20150145429A KR 20150145429 A KR20150145429 A KR 20150145429A KR 1020140074799 A KR1020140074799 A KR 1020140074799A KR 20140074799 A KR20140074799 A KR 20140074799A KR 20150145429 A KR20150145429 A KR 20150145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obstacle
- smart
- unit
- visually impai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 어플이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방향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되어서 장애물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통하여 장애물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는 스마트지팡이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을 구비하여서, 시각 장애인이 지팡이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ne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having a naviga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ane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having a navigation function, And a smart stick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composed of a smart stick that presents obstacle information and direction through a tactile signal, so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walk easily and safely using a stick.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은 눈의 장애로 인하여 사물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장애인을 칭한다.Generally, a blind person refers to a disabled person who can not accurately identify an object due to an eye disorder.
이상과 같은 시각장애인은 시각으로 사물의 파악이 어려워 터치에 의한 촉감으로 사물을 확인하여 보행할 수 있게 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항상 휴대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visually impaired person is always carrying a sti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grasp the object with the sigh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object by touching the touch and walk.
한편, 상기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보행하는 경우 장애물의 확인은 가능하나 가고자하는 방향의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아 특허공개 제2007-0089181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도로에 RFID를 설치하여서 길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맹인들을 위한 관리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walking using the above-mentioned blind staff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is possible to identify obstacles, but there is no guidance on the direction to go. Thus, as disclosed in JP-A 2007-0089181, A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맹인들을 위한 관리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시각장애인 안내시스템은 도로에 RFID를 모두 설치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시각장애인의 안내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guidance system such as the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people as described above is required to install all the RFIDs on the road, the cost is high and the guidance of the visually impaired is limited.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각장애인 안내시스템이 RFID를 도로에 설치하여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그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시각장애인의 동선이 한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ventional visually impaired person's guide system is installed with RFID on the roa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and the circulation line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limited.
즉,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어플이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방향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되어서 장애물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통하여 장애물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는 스마트지팡이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providing voice direction information to a user, a smart contact poin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o detect an obstacle and present obstacle information and direction through a tactile signal to the user It is equipped with smart stick system for the disabled.
따라서,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어플이 탑재된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되어서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통하여 장애물 정보와 방향을 안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이동과정에 있어 장애물을 용이하게 회피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can guide obstacle information and directions through a tactile signal to a user, so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easily avoid obstacles while moving.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주요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네비게이션 어플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촉감신호전달부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캐스터구름바퀴의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스마트 지팡이의 부분 단면 예시도.
도 6 과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있어 상향 장애물감지부의 동작 예시도.
도 8 과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있어 하향 장애물감지부의 동작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navig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tactile signal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llustration of a caster rolling whee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of a smart w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upward obstacle detection uni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ownward obstacle sensing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보행 이동 과정에 있어 용이하게 장애물을 회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easily avoid an obstacle in a gait movement process and move.
즉,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어플이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방향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되어서 장애물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통하여 장애물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는 스마트지팡이(20)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20)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navigation device that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0) having a navigation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and providing voice direction information to a user, and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o detect an obstacle and present the obstacle information and direction And a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탑재되는 네비게이션 어플은 사용자의 검색에 따라 음성검색에 의하여 위치검색이 이루어지는 검색창(31)과, 상기 검색창(31)의 검색에 따른 길 안내정보에 따라 GPS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정보를 휴대단말기(10)와 연결된 이어폰과 같은 음성전달장치(1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정보를 전달하고, 통신수단을 통하여 스마트지팡이(20)에 전송하는 안내맵창(3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The navig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그리고, 상기 스마트지팡이(20)는 지팡이몸체에 구비되어 휴대단말기(10)와 통신하는 지팡이제어부(21)와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지팡이몸체의 손잡이에 구비되는 촉감신호전달부(22), 지팡이몸체의 하부 측에 구비되는 장애물감지부, 지팡이몸체에 구비되는 전원부(24) 및 지팡이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캐스터구름바퀴(25)로 구성된 것이다.
The
상기 촉감신호전달부(22)는 사용자에게 진동촉감으로 이동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상,하,좌,우 및 전,후진 촉감버튼(22a)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tactile
상기 촉감버튼(22a)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b)에 의하여 돌출 동작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The
상기 장애물감지부는 지팡이몸체의 중앙부측에 구비되어 상향 경사 및 상향 계단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상향장애물감지부(23a)와 지팡이몸체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하향장애물감지부(23b)로 구성된 것이다.The obstacle sensing unit includes a upward
상기 상향장애물감지부(23a)와 하향장애물감지부(23b)는 감지를 위한 적외선 또는 레이져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The upward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어플이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음성 방향정보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되어서 장애물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통하여 장애물 정보와 방향을 제시하는 스마트지팡이(20)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20) 시스템을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단말기(10)에 탑재되는 네비게이션 어플을 실행하여 검색창(31)이 오픈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wirelessly connected to the
그리고, 상기 검색창(31)에 찾아가고자하는 지명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게 되면, 지도와 함께 이동정보가 제공되는 안내맵창(32)이 실행되게 된다.Then, when the name information to be searched for in the
상기 안내맵창(32)의 실행과정에 있어 음성정보는 휴대단말기(10)와 연결된 이어폰과 같은 음성전달장치(1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통신수단을 통하여 스마트지팡이(20)에 이동정보가 전송되는 것이다.
The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상기 휴대단말기(10)를 통하여 이동정보를 전달받은 스마트지팡이(20)의 지팡이제어부(21)는 촉감신호전달부(22)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전달된 이동정보를 진동에 의한 촉감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전달된 촉감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cane control unit 21 of th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과정에 있어 장애물감지부의 상향장애물감지부(23a)는 상향 경사면 또는 상향 계단을 감지하여서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movement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upward obstacle sensing
또한 장애물감지부의 하향장애물감지부(23b)에 의한 하향 경사면 및 하향 계단의 감지시도 이를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전달하여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spond by sensing a downward inclined surface and a downward step by the downward
그리고, 지팡이몸체의 하부에 캐스터구름바퀴(25)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팡이몸체의 하단과 지면이 구름 접촉되어 그 이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When the
10 : 휴대단말기
11 : 음성전달장치
20 : 스마트지팡이
21 : 지팡이제어부
22 : 촉감신호전달부
22a : 촉감버튼
22b: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23a: 상향장애물감지부
23b: 하향장애물감지부
24 : 전원부
25 : 캐스터구름바퀴
31 : 검색창
32 : 안내맵창10: portable terminal 11: voice transmission device
20: Smart Staff
21: cane control unit
22:
22a:
23a: Upward
24:
25: caster rolling wheels
31: Search box
32: Information display window
Claims (3)
상기 휴대단말기(10)에 탑재되는 네비게이션 어플은 사용자의 검색에 따라 음성검색에 의하여 위치검색이 이루어지는 검색창(31)과, 상기 검색창(31)의 검색에 따른 길안내정보에 따라 GPS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정보를 휴대단말기(10)와 연결된 이어폰과 같은 음성전달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정보를 전달하고, 통신수단을 통하여 스마트지팡이(20)에 전송하는 안내맵창(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지팡이(20)는 지팡이몸체에 구비되어 휴대단말기(10)와 통신하는 지팡이제어부(21)와 사용자에게 촉감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지팡이몸체의 손잡이에 구비되는 촉감신호전달부(22), 지팡이몸체의 하부 측에 구비되는 장애물감지부, 지팡이몸체에 구비되는 전원부(24) 및 지팡이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캐스터구름바퀴(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
A mobile terminal 10 that is provided with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provides voice direction information to a user and a smart wand 20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 to detect obstacles and present obstacle information and directions through a touch signal to the user A smart cane system 20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navig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 search window 31 in which a location search is performed by voice search according to a search of a user and a GPS And a guidance map window 32 for confirm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ransmitting the movement information to the user via the voice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ransmitting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smart wand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mart cane 20 includes a cane control unit 21 provided in the cane body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 a tactile signal transmission unit 22 provided on the handle of the can body for transmitting a tactile signal to the user, And a caster rolling wheel (25)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nd body. The intelligent cane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having a navigation function, comprising: .
상기 촉감신호전달부(22)는 사용자에게 진동촉감으로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게 상,하,좌,우 및 전,후진 촉감버튼(22a)으로 구성되고,
상기 촉감버튼(22a)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2b)에 의하여 돌출 동작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tactile signal transfer unit 22 is constituted by upper, lower, left, right and front and back tactile touch buttons 22a so that the user can guide the moving direction by the vibration tactile sense,
Wherein the tactile button (22a) is protruded by a solenoid actuator (22b).
상기 장애물감지부는 지팡이몸체의 중앙부측에 구비되어 상향 경사 및 상향 계단을 감지할 수 있게 구성된 상향장애물감지부(23a)와 지팡이몸체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하향장애물감지부(23b)로 구성되고,
상기 상향장애물감지부(23a)와 하향장애물감지부(23b)는 감지를 위한 적외선 또는 레이져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obstacle detecting unit includes a upward obstacle detecting unit 23a provided on the center side of the can body to detect the upward inclination and the upward step and a downward obstacle detecting unit 23b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n body,
The upward obstacle sensing unit 23a and the downward obstacle sensing unit 23b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one of infrared light or laser for sensing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Smart wand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with the navigation function that featur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4799A KR20150145429A (en) | 2014-06-19 | 2014-06-19 | A navigation function visually impaired Smart Stick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4799A KR20150145429A (en) | 2014-06-19 | 2014-06-19 | A navigation function visually impaired Smart Stick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5429A true KR20150145429A (en) | 2015-12-30 |
Family
ID=5508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4799A Withdrawn KR20150145429A (en) | 2014-06-19 | 2014-06-19 | A navigation function visually impaired Smart Stick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45429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1805A (en) | 2018-02-23 | 2019-09-02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ane for the Blind using Beacon and IR communication |
KR20190101789A (en) | 2018-02-23 | 2019-09-02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ane for the Blind |
KR20190133887A (en) * | 2018-05-24 | 2019-12-04 | 배대호 | Wearable aids for the visually impaired |
KR102136383B1 (en) * | 2019-01-28 | 2020-08-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ane to guide the road |
KR20210028315A (en) * | 2019-09-03 | 2021-03-12 |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 Guide device for blind people using electronic stick and smartpho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9181A (en) | 2004-12-10 | 2007-08-30 | 로렌스 케이츠 |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
-
2014
- 2014-06-19 KR KR1020140074799A patent/KR20150145429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9181A (en) | 2004-12-10 | 2007-08-30 | 로렌스 케이츠 |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1805A (en) | 2018-02-23 | 2019-09-02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ane for the Blind using Beacon and IR communication |
KR20190101789A (en) | 2018-02-23 | 2019-09-02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ane for the Blind |
KR20190133887A (en) * | 2018-05-24 | 2019-12-04 | 배대호 | Wearable aids for the visually impaired |
KR102136383B1 (en) * | 2019-01-28 | 2020-08-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Cane to guide the road |
KR20210028315A (en) * | 2019-09-03 | 2021-03-12 |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 Guide device for blind people using electronic stick and smartp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8582B1 (en) | A stick for the blind | |
KR20150145429A (en) | A navigation function visually impaired Smart Stick system | |
KR101715472B1 (en) | Smart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blind and Smart walking assistance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841531B1 (en) |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using nfc | |
KR101709683B1 (en) | System for user oriented autonomous shopping cart by non-contact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shopping cart using the same | |
KR20110003102A (en) | Route guidance system using RF Beacon | |
JP2023540554A (en) | Mobility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movement | |
KR20180013353A (en) | Wearab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blind | |
Ilag et al. | Design review of smart stick for the blind equipped with obstacl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1847764B1 (en) | Information gather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 |
Hersh et al. | Mobility: an overview | |
KR20160088983A (en) | Object Sensing Glove For Vision Impared People | |
Akram et al. |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novel wearable assistiv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 |
KR102097795B1 (en) | The smart braille cane for blind person | |
Srinivas et al. | Smart Blind stick connected system using Arduino | |
KR20170035738A (en) | The Walking Assistive Device | |
Kalaivani et al. | An Artificial Eye for Blind People | |
KR102279982B1 (en) | Walking stick for blind person | |
KR20180092103A (en) | A Robot Dog for a Person Having a Impaired Eyesight | |
KR20140003391U (en) | GPS Navigation Shoes for blind | |
CN103750985A (en) | Blind-guide shoe | |
KR101856700B1 (en) | Stick of using blind person and system for detecting product using the same | |
KR20210025248A (en) | User responsive smart sidewalk system | |
Yusro et al. | Concept and design of SEES (Smart Environment Explorer Stick)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mobility assistance | |
KR20190097906A (en) | Waiking staff for visually handicapp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