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43850A - 증점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증점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850A
KR20150143850A KR1020157033125A KR20157033125A KR20150143850A KR 20150143850 A KR20150143850 A KR 20150143850A KR 1020157033125 A KR1020157033125 A KR 1020157033125A KR 20157033125 A KR20157033125 A KR 20157033125A KR 20150143850 A KR20150143850 A KR 2015014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sodium
mass
acid
evalu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토 하야시
타케히사 이와마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85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7Cellul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4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4Hemi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과제] 증점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평균섬유직경(D)이 0.001 내지 100μm이며, 평균섬유직경(D)에 대한 평균섬유길이(L)의 비(L/D)가 5 내지 500인, 헤미셀룰로오스 및 비결정영역을 함유하는 셀룰로오스섬유, 및 전해질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증점성 조성물{THICKE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합에 의해 현저한 증점을 나타내는 일 없이, 다양한 전해질성의 첨가물에 의해 저점도를 유지한 채로 겔형성능을 나타내고, 용액의 pH에 상관없이 겔형성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 스프레이 분무가능하며, 우수한 유화안정제 작용도 나타내는 틱소트로피성을 갖는 증점성 조성물, 및 이것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 외용제, 피부보호제, 찰상피복제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는, 액상, 유액상, 겔상, 크림상, 스틱상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사용감의 향상이나 제품의 성상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증점제나 겔화제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화장료용의 수성의 증점·겔화제로는, 히알루론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등의 천연계 고분자,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고분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합성고분자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고, 각각의 목적이나 효과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료용의 증점·겔화제는, 주로 이용되고 있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비롯하여, 이온성인 것이 많고, 피부에 적용했을 때 땀 등의 전해질 등에 의해 화장료의 점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피부상으로부터 화장료가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땀 등의 전해질에 의해 도포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염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염기성 물질과 소수성 무수규산과 다가알코올을 함유하는 수성 겔상 화장료(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황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저결정성의 재생 셀룰로오스와 식물유래의 유분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겔상 화장료(특허문헌 2)가 제안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젤상 화장료를 무상(霧狀)으로 분무할 수 있는 틱소트로피성을 얻으려면, 평균중합도가 100 이하이고, 셀룰로오스 I형 결정성분의 분율이 0.1 이하이고, 또한, 셀룰로오스 II형 결정성분의 분율이 0.4 이하인 셀룰로오스 미립자가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식물유래의 셀룰로오스에 화학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얻어진 셀룰로오스 화이버와 다가알코올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의해, 높은 보습성이나 끈적임의 경감이 시도되고 있다(특허문헌 3).
한편, 다당류의 하이드록실기를 2군 내지 3군의 기에 의해 일정한 비율로 치환된 신규 다당유도체의 합성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4).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기, 플루오로알킬기, 설폰기를 도입하고, 다당유도체의 분자내 및 분자간의 자기조직화를 유발시킴으로써 저농도이고 또한 높은 점도를 나타내고, 또한 강산성기에 의한 내염성 부여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미생물계 고분자인 잔탄검은, 다른 증점제와 비교했을 때, 온도의존성이 적고, 넓은 pH영역에서 안정되고, 또한 내염성을 나타내는 반면, 그 일부의 특성에 기인하여, 미끈함이나 끈적임의 원인으로도 되어 제품의 사용감을 현저히 저해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사용감의 악화를 개선하기 위하여, 화학적으로 관능기 수식(修飾)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5).
일본특허 제2913514호 명세서 일본특허 제5002433호 명세서 일본특허공개 2012-193139호 공보 일본특허 제3954110호 명세서 일본특허공개 H11-302303호 명세서 일본특허공개 2000-72643호 명세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도 화장료용의 증점·겔화제로서, 그 성능 그리고 사용감 등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수성 겔상 화장료는, 도포시의 끈적임이나 도포성 등, 화장료로서의 원하는 물성을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황산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저결정성의 재생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특허문헌 2의 겔상 화장료에 있어서는, 타성분 배합이나 희석시에 특수한 교반기를 필요로 하는 등 번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나, 내열성이 낮은 것, 이온성 성분을 배합하면 분산성이 손상되고, 백탁이나 석출물 생성, 화장료가 분리되는 등, 내염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화학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얻어진 셀룰로오스화이버를 이용한 특허문헌 3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셀룰로오스화이버의 애스펙트비(L/D)가 높고, 섬유길이가 수십 내지 수천μm로 매우 긴 화이버이므로, 화장료에 배합하면 투명성이 손상됨과 함께, 그 단체로 이용하면 피부의 푸석함이나 뭉침을 유발하므로, 이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타성분을 배합할 필요가 있는 등, 처방의 번잡함이나 사용감에 문제가 있었다.
하이드록시기나 플루오로알킬기, 설폰기를 도입한 특허문헌 4의 다당유도체에서는, 높은 증점성과 내염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화장품이나 의약부외품 등으로의 사용에서는, 신규물질의 배합이 경원(敬遠)되는 것, 강산기를 도입하기 때문에 피부 등에의 자극성이 우려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내염성이나 pH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잔탄검을 화학적으로 수식한 특허문헌 5의 아세틸화잔탄검은, 사용감이 개선되어 있지만(특허문헌 6), 제조에 농황산이나 무수아세트산을 이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공업적인 수법에 의해 고도로 정제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제품중에 이들 원료가 잔존하는 경우,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우려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증점·겔화효과를 나타내는 증점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즉 증점성 조성물로서 종래부터 요구되는 특성으로서 내염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번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해질성의 첨가물에 의해 저점도를 유지한 채로 겔형성능을 나타내고, 또한 용액의 pH에 상관없이 겔형성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 스프레이 분무가능하며, 또한 우수한 유화안정제 작용도 나타내는 틱소트로피성을 갖는 증점성 조성물, 및 이것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 외용제, 피부보호제, 찰상피복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표면개질이나 가용화 처리 등의 화학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고압분쇄에 의해 미세처리하여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와 전해질성분을 포함하는 분산액, 더 나아가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분산액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섬유가 매체중에 용해되지 않고 고도로 분산됨으로써 증점작용을 나타내고, 내염성, 내열성은 물론, 투명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사용감이 좋고, 건조시의 끈적임을 억제할 수 있는 것, 더 나아가 유화안정제로서의 작용도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제1 관점으로서, 평균섬유직경(D)이 0.001 내지 100μm이며, 헤미셀룰로오스 및 비결정영역을 함유하는 셀룰로오스섬유, 및 전해질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2 관점으로서, 평균섬유직경(D)에 대한 평균섬유길이(L)의 비(L/D)가 5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3 관점으로서, 상기 전해질이, 수용액중 또는 극성용매중에 있어서, 양이온과 음이온에 전리하는 물질인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4 관점으로서, 상기 전해질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아연,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인산이수소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황산나트륨, 글루코사민염산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수소이Na·이수화물,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아스코르브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2-인산마그네슘, 유산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 라우릴아스파라긴산나트륨, 하이프로멜로스, 카보머, 폴리아크릴산, 키토산, 잔탄검,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제3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5 관점으로서, 상기 셀룰로오스섬유의 평균섬유직경(D)이 0.001 내지 0.05μm이며, 평균섬유직경(D)에 대한 평균섬유길이(L)의 비(L/D)가 5 내지 500인 셀룰로오스섬유를 포함하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6 관점으로서, 상기 셀룰로오스섬유가, 크래프트 펄프법에 의해 처리된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7 관점으로서, 상기 셀룰로오스섬유가, 크래프트 펄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8 관점으로서, 상기 전해질을, 셀룰로오스섬유 1질량부에 대하여 0.0001질량부 내지 3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제1 관점 내지 제7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9 관점으로서, 화장료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첨가제인 제1 관점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0 관점으로서, 화장료를 분무시켜 이용하는 화장품의 화장료에 첨가되는 첨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 내지 제9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1 관점으로서, 틱소트로피성을 나타내는 제1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2 관점으로서 1질량%의 셀룰로오스섬유 및 0.01질량%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을 한 경우에, 25℃, 2시간의 정치에 의해, 동적 변위 0.5deg, 주파수 1Hz에서, 콘플레이트로 측정한 동적 점성률(η')이, 25℃, 0시간의 η'의 값에 대하여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관점 내지 제11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3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12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제14 관점으로서 수성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13 관점에 기재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제15 관점으로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디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가알코올을 상기 셀룰로오스섬유 1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내지 100질량부의 비율로 추가로 함유하는 제13 관점 또는 제14 관점에 기재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제16 관점으로서, 오일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13 관점 내지 제1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제17 관점으로서,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제13 관점 내지 제16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제18 관점으로서, 유액형태에 있는 제16 관점 또는 제17 관점에 기재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제19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12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 그리고 피부에 대한 사용감, 내열성이 우수하며, 번잡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틱소트로피성의 내염성 증점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전해질성분이나 오일성분, 다가알코올을 배합해도 높은 증점효과나 유화안정제효과를 유지하고, 또한 용액의 pH에 상관없이 겔의 형성이 가능하며, 게다가 무상 분무도 가능하게 하는, 증점성 조성물 및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 그리고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에 따른 각 평가액의 음차진동식 점도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31, 실시예 32, 비교예 20 및 비교예 25에 따른 각 평가액의 틱소트로피성의 평가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은, 화학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고압분쇄에 의해 미세화한 셀룰로오스섬유를 사용하고, 전해질성분의 배합에 의해, 넓은 pH영역에 있어서 틱소트로피성이 높은 증점효과를 나타내고, 더 나아가 오일성분 등의 성분을 간편한 방법으로 고도로 분산안정화할 수 있는 유화안정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내는 점에 큰 특징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료는, 종래 제안된 셀룰로오스화이버에 비해, 애스펙트비(L/D)가 5 내지 500과 같은 비교적 짧은 셀룰로오스섬유를 사용하였으므로, 배합한 경우에, 특히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도포시의 신장 및 사용감이 좋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넓은 pH영역에 있어서 높은 내염성 증점효과 및 유화안정제 효과를 나타내고, 건조시의 끈적임이 억제되고, 사용시에 무상으로 분무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증점성 조성물>
[셀룰로오스 원료]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섬유의 원료는, 예를 들어, 목재, 죽, 마, 황마, 양마, 코튼, 농작물·식물잔사 등 식물유래의 셀룰로오스, 또는 박테리아셀룰로오스, 조초(汐草)(Cladophora), 회색식물(Glaucocystis), 발로니아, 멍게셀룰로오스 등, 미생물산생 혹은 동물산생의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식물유래의 셀룰로오스는 마이크로피브릴이라 불리는 매우 얇은 섬유가 다시 묶음이 되어 피브릴, 라멜라, 섬유세포와 단계적으로 고차구조를 형성하는 것에 반해, 박테리아셀룰로오스는 균세포로부터 분비된 셀룰로오스의 마이크로피브릴이, 그대로의 굵기로 미세한 망목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식물유래, 미생물산생 혹은 동물산생과 같은 천연유래의 셀룰로오스의 결정질은, 셀룰로오스 I형 결정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화도는 셀룰로오스원에 따라 크게 상이하다. 식물유래의 셀룰로오스는,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을 불순물로서 함유하여 고차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것을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정제펄프의 결정화도는 80% 미만이다. 이에 대하여, 조초나 박테리아셀룰로오스, 회색식물, 멍게셀룰로오스를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정제펄프에서는 결정화도가 80% 이상으로 높은 결정성을 갖는다.
식물유래 셀룰로오스는, 광엽수유래 셀룰로오스와 침엽수유래 셀룰로오스로 대별되는데, 수분산액의 보존안정성을 고려하면 광엽수유래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섬유의 원료로는, 바람직하게는, 결정화도 80% 미만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그 예로는, 목재, 죽, 마, 면, 황마, 양마, 농작물·식물잔사 등 식물유래의 셀룰로오스, 또는 조초(Cladophora), 회색식물(glaucocystis), 발로니아, 멍게셀룰로오스 등 미생물산생 혹은 동물산생의 셀룰로오스를 크래프트 펄프법으로 처리한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래프트 펄프, 면셀룰로오스, 린터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 분쇄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이들 셀룰로오스원료를 분쇄한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한다. 셀룰로오스원료의 분쇄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후술하는 섬유직경·섬유길이까지 미세화하려면, 고압 호모디나이저, 그라인더(석구), 혹은 비즈밀 등의 매체교반밀과 같은, 강한 전단력이 얻어지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고압 호모디나이저를 이용하여 미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5-270891호 공보에 개시된 습식분쇄법을 이용하여 미세화(분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원료를 분산시킨 분산액을, 한쌍의 노즐로부터 고압으로 각각 분사하여 충돌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원료를 분쇄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스타버스트 시스템(Sugino Machine Limited제의 고압분쇄장치)을 이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고압 호모디나이저를 이용하여 셀룰로오스원료를 미세화(분쇄화)할 때, 미세화나 균질화의 정도는, 고압 호모디나이저의 초고압 챔버로 압송하는 압력과, 초고압 챔버에 통과시키는 횟수(처리횟수), 및 수분산액중의 셀룰로오스농도에 의존하는 것이 된다.
압송압력(처리압력)은, 통상, 50 내지 250MPa이며,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45MPa이다. 압송압력이 50MPa 미만인 경우에는, 셀룰로오스의 미세화가 불충분해져, 미세화에 의해 기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미세화처리시의 수분산액중의 셀룰로오스농도는 0.1질량% 내지 30질량%, 바람직하게는 1질량% 내지 10질량%이다. 수분산액중의 셀룰로오스농도가 0.1질량% 미만이면 생산성이 현저하게 낮고, 30질량%보다 높은 농도이면 분쇄효율이 낮아, 원하는 셀룰로오스섬유를 얻을 수 없다.
미세화(분쇄화)의 처리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분산액중의 셀룰로오스농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농도가 0.1 내지 1질량%인 경우에는 처리횟수는 10 내지 100회 정도일 때 충분히 미세화되고, 1 내지 10질량%에서는 10 내지 1000회이며,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1000회이다. 또한, 30질량%를 초과하는 고농도인 경우는, 수천회 이상의 처리횟수가 필요해지게 되거나, 취급에 지장을 초래하는 정도까지 고점도화가 진행되므로, 공업적 관점에서 비현실적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셀룰로오스섬유의 평균섬유직경(D)은, 0.001 내지 1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5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μm인 것이다. 평균섬유직경이 0.001μm 미만이면, 셀룰로오스섬유가 지나치게 미세함으로 인해 첨가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즉, 이것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특성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셀룰로오스섬유의 애스펙트비(L/D)는, 평균섬유길이/평균섬유직경으로 얻어지고, 5 내지 5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이다. 애스펙트비가 5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로서 액중에서의 분산성이 결여되고, 건조시의 피막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5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길이가 매우 커지는 것을 의미하는 점에서, 투명성의 저하로 이어지고, 더 나아가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투명감이나 사용감의 저하, 뭉침의 발생 등을 유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의 평균섬유직경(D)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하였다. 우선 Okenshoji Co., Ltd.제 콜로디온 지지막을 JEOL Ltd.제 Ion Cleaner(JIC-410)로 3분간 친수화처리를 실시하고, 제조예에 있어서 제작한 셀룰로오스분산액(초순수로 희석)을 수적 적하하고, 실온 건조하였다. 이것을 Hitachi, Ltd.제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H-8000)(10,000배)으로 가속전압 200kV로 관찰하고, 얻어진 화상을 이용하여, 표본수: 200 내지 250개의 셀룰로오스섬유에 대하여 하나하나의 섬유직경을 계측하고, 그 수평균값을 평균섬유직경(D)으로 하였다.
또한, 평균섬유길이(L)는, 제조예에 있어서 제작한 셀룰로오스 분산액을 디메틸설폭시드(DMSO)에 의해 400체적배로 희석하여, 셀룰로오스를 분산시키고, 미리 농황산을 이용하여 표면을 친수화처리한 실리콘웨이퍼상에 캐스트하고, 110℃에서 1시간 건조시켜 시료로 하였다. 얻어진 시료의 JEOL Ltd.제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JSM-7400F)(10,000배)으로 관찰한 화상을 이용하여, 표본수: 150 내지 250개의 셀룰로오스섬유에 대하여 하나하나의 섬유길이를 계측하고, 그 수평균값을 평균섬유길이(L)로 하였다.
[전해질성분]
전해질성분은, 무기 또는 유기의 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 저분자 화합물일 수도 있고, 고분자 화합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이고 또한 피부에 대하여 자극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용제, 특히 화장품이나 외용의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중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을 폭넓게 들 수 있다.
전해질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질량을 기준으로서 0.001 내지 3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해질은 수용액중 또는 극성용매에 있어서 양이온과 음이온에 전리하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기염 혹은 유기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염의 예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마그네슘,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황산칼륨, 황산나트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아연, 황산알루미늄, 인산칼륨, 인산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또는 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염 또한 저분자 화합물의 예로는 글리시리진산디칼륨염 등의 글리시리진산염; 아미노카프론산, 구연산, 살리실산, 유산, 글리콜산, 주석산 등의 α-하이드록시산염; 세린, 글리신,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트라넥사민산, 라이신, 트레오닌, 알라닌, 티로신, 발린, 류신, 프롤린, 아르기닌, 트레오닌, 시스테인,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글루타민산, 피롤리돈카르본산 등의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칼륨, 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나트륨,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칼슘, 아스코르브산황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황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황산칼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2-O-α-D-글루코피라노실-L-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글루코사민, 데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비타민B13, 비오틴, 판토텐산, 나이아신, 엽산, 이노시톨, 카르니틴, 티아민, 티아민디설파이드, 푸르설티아민, 디세티아민(dicethiamine), 비스부티티아민, 비스벤티아민, 벤포티아민, 티아민모노포스페이트디설파이드, 시코티아민(cycotiamine), 옥토티아민, 프로설티아민 등의 비타민류; 그 외,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삼나트륨,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사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아데노신-3'-5'-환상일인산, 아데노신일인산, 아데노신이인산, 아데노신삼인산 및 이들의 염류; 지방산비누(라우르산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스테아린산나트륨 등), 라우릴황산칼륨, 알킬황산트리에탄올아민에테르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류;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류;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하이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아실메틸타우린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류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염 또한 고분자 화합물의 예로는 히알루론산, 젤란검, 탈아실화젤란검, 람산검, 듀탄검(diutangum), 잔탄검, 카라기난, 잔탄검, 헥수론산, 후코이단, 펙틴, 펙틴산, 펙티닌산, 헤파란황산, 헤파린, 헤파리틴황산,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황산, 데르마탄황산, 람난황산 및 그 염,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알긴산 유도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 나트륨 등의 염,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유도체, 키토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및 그 나트륨염 등의 염,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폴리쿼터늄-10 등의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7 등의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22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9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메타아크릴산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47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산메틸·염화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공중합체, 염화메타크릴산콜린에스테르 중합체, 양이온화덱스트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화다당류,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쿼터늄-51 등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의 중합체 및 메타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과의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아연,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인산이수소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황산나트륨, 글루코사민염산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수소이Na·이수화물,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아스코르브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2-인산마그네슘, 유산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 라우릴아스파라긴산나트륨, 하이프로멜로스, 카보머, 폴리아크릴산, 키토산, 잔탄검,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성이란, 25℃의 순수에 적어도 0.1질량% 용해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극성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시드,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물과 혼합하여, 또는 상이한 극성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등에 배합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극성용매로서 바람직한 것은 알코올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이다.
[다가알코올]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다가알코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량평균분자량: 1,500 이하), 트리메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량평균분자량: 1,500 이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중합도 3을 초과하는 폴리글리세린, 1,3-부탄디올, 3-메틸-1,3-부탄디올, 1,3-부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1,11-운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1,13-트리데칸디올, 1,14-테트라데칸디올, 1,15-펜타데칸디올, 1,16-헥사데칸디올, 1,17-헵타데칸디올, 1,18-옥타데칸디올, 1,19-노나데칸디올, 1,20-이코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1,2-도데칸디올, 1,2-테트라데칸디올, 1,2-헥사데칸디올, 1,2-옥타데칸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또는 디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알코올은, 상기 셀룰로오스섬유 1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내지 1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내지 20질량부의 배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증점성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틱소트로피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증점성 조성물은, 예를 들어, 1질량%의 셀룰로오스섬유 및 0.01질량%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을 한 경우에, 25℃, 2시간의 정치에 의해, 동적 변위 0.5deg, 주파수 1Hz에서, 콘플레이트로 측정한 동적 점성률(η')이, 25℃, 0시간의 η'의 값에 대하여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상기 증점성 조성물은, 화장료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첨가제, 이른바 증점용 첨가제로서 호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은, 특히 화장료를 분무시켜 이용하는 화장품의 화장료에 첨가되는 첨가제, 이른바 스프레이화장료용 첨가제로서 호적하고, 배합함으로써, 스프레이의 확산이 우수하고, 사용감이나 전연성(展延性)을 개선한다고 하는 분무성능이 우수한 화장료 스프레이로 할 수 있다.
<화장료>
본 발명은, 상기 증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도 대상으로 하고, 이 화장료에는, 수성성분, 오일성분, 계면활성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화장수(로션), 유액, 크림, 겔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용제도, 본 발명의 대상이며, 상기 화장료와 동일한 각종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성성분]
상기 수성성분으로는, 물, 알코올,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상기 물은, 통상,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탈이온수, 순수, 정제수, 천연수, 온천수, 해양심층수, 또는 식물 등의 수증기 증류에 의해 얻어지는 수증기 증류수(방향증류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물에 자유롭게 용해되는 수용성 알코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1 내지 6의 알코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2-프로판올 또는 i-부탄올이며,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2-프로판올이다.
[오일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 사용가능한 오일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올리브유, 호호바유, 피마자유, 대두유, 미유(米油), 미배아유, 야자유, 팜유, 카카오유, 메도폼유, 시어버터, 티트리유,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올리브스쿠알렌 등의 식물유래의 유지류; 스쿠알렌, 밍크유, 거북이유 등의 동물유래의 유지류; 밀랍, 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라놀린 등의 납류; 유동파라핀, 바세린, 파라핀왁스 등의 탄화수소류;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린산, cis-11-에이코센산 등의 지방산류; 라우릴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알코올류;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올레산부틸, 2-에틸헥실글리세라이드, 고급지방산 옥틸도데실(스테아린산옥틸도데실 등) 등의 합성에스테르류 및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오일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질량 기준 0.01 내지 99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화장료로 사용가능한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및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과 같은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 및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사과산과 같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폴리글리세릴, 모노올레산폴리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폴리글리세릴과 같은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모노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폴리글리세릴, 모노올레산폴리글리세릴, 및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와 같은 폴리글리세린지방산류;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40(HCO-4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50(HCO-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60(HCO-60), 및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80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와 같은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폴리소르베이트2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폴리소르베이트60),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폴리소르베이트80), 및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20)솔비탄과 같은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모노야자유지방산글리세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알킬글루코시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와 같은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라우릴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 및 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과 같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질량을 기준으로서 0.001 내지 2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또한,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 및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에는, 셀룰로오스섬유, 전해질성분, 다가알코올, 오일성분, 계면활성제와 함께, 다른 성분재료로서, 기능성 첨가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수렴제, 살균·항균제, 미백제, 자외선흡수제, 보습제, 세포부활제, 소염·항알레르기제, 항산화·활성산소제거제, 유지류, 납류, 탄화수소류, 지방산류, 에스테르류, 항료, 유기미립자, 무기미립자, 소취제, 유기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이종 이상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낸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내용 및 처리순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낸 구체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평균섬유직경(D) 및 평균섬유길이(L)의 측정]
상기 서술한 [0020]에 기재된 순서에 따라, TEM화상 및 SEM화상으로부터 하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의 평균섬유직경(D) 및 평균섬유길이(L)를 구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애스펙트비(L/D)를 구하였다.
[제조예 1: 미결정(微結晶) 셀룰로오스유래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
시판의 미결정 셀룰로오스(Funakoshi Co., Ltd.제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 Funacel 분말 II) 15질량부에 순수 1,000질량부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Sugino Machine Limited제 고압분쇄장치(스타버스트 시스템)를 이용하여, 200MPa로 300회 분쇄처리를 행하고, 미결정 셀룰로오스유래의 셀룰로오스섬유의 수분산액(MC)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샬레에 덜어내고, 110℃에서 5시간 건조를 행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잔사의 양을 측정하여, 분산액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중의 셀룰로오스농도(고형분농도)는, 1.2질량%였다.
[제조예 2: 펄프유래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
시판의 크래프트 펄프(Kokusai Pulp&Paper Co., Ltd.제 LBKP D-8, 고형분 46질량%) 32.6질량부에 순수 350질량부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Sugino Machine Limited제 고압분쇄장치(스타버스트 시스템)를 이용하여, 245MPa로 315회 분쇄처리를 행하고, 펄프유래의 셀룰로오스섬유의 수분산액(PC)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샬레에 덜어내고, 110℃에서 5시간 건조를 행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잔사의 양을 측정하여, 분산액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중의 셀룰로오스농도(고형분농도)는, 1.7질량%였다.
[제조예 3: 다가알코올 수용액중에서의 펄프유래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
시판의 크래프트 펄프(Kokusai Pulp&Paper Co., Ltd.제 LBKP D-8, 고형분 46질량%) 40질량부에 순수 370질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질량부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Sugino Machine Limited제 고압분쇄장치(스타버스트 시스템)를 이용하여, 245MPa로 202회 분쇄처리를 행하고, 펄프유래의 셀룰로오스섬유의 분산액(PCB)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을 0.45마이크로미터의 멤브레인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이어서 100질량부의 순수를 이용하여 2회 수세한 후, 시트상으로 된 셀룰로오스섬유를 샬레에 옮기고, 110℃에서 2시간 건조시켰다. 필름상으로서 얻어진 건조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분산액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중의 셀룰로오스농도(고형분농도)는, 2.4질량%였다.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에 대하여, 평균섬유직경(D) 및 평균섬유길이(L)를 상기 서술한 순서에 따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 그리고 평균섬유직경(D) 및 평균섬유길이(L)로부터 구한 애스펙트비(L/D)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제조예 4: 펄프유래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
시판의 크래프트 펄프(Kokusai Pulp&Paper Co., Ltd.제 LBKP D-8, 고형분 46질량%) 2.2질량부를 순수 12.8질량부에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Masuko Sangyo Co.,Ltd.제 석구식 마쇄기(Super Masscolloider)를 이용하여, 지석을 #16, 46, 80과 차례로 교환하면서 1500rpm, 접촉운전으로 9회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펄프슬러리를 샬레에 덜어내고, 110℃에서 5시간 건조를 행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잔사의 양을 측정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중의 셀룰로오스농도(고형분농도)는, 3.5질량%였다. 이어서, 상기 서술한 펄프슬러리를 순수에 의해 1질량%로 희석하고, Yoshida Kikai Co., Ltd.제 습식미립화 장치(NanoVater)에 투입하고, 노즐직경 0.14mm, 200MPa의 조건으로 50회, 100회, 150회 처리를 행한 것을 제작하여, 펄프유래의 셀룰로오스섬유의 수분산액(각각 PC1, 2, 3)을 얻었다.
[제조예 5: 펄프유래 셀룰로오스섬유의 제조]
제조예 4에서, Masuko Sangyo Co.,Ltd.제 석구식 마쇄기(Super Masscolloider)를 이용하여 얻어진 1질량% 펄프슬러리를 Sugino Machine Limited제 고압분쇄장치(스타버스트 시스템)를 이용하여, 245MPa에서 30회, 50회, 100회, 200회, 300회 분쇄처리를 행한 것을 제작하고, 펄프유래의 셀룰로오스섬유의 수분산액(각각 PC4, 5, 6, 7, 8)을 얻었다. 300회 처리한 분산액(PC-8)을 샬레에 덜어내고, 110℃에서 5시간 건조를 행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잔사의 양을 측정하여, 분산액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수중의 셀룰로오스농도(고형분농도)는, 0.62질량%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상기 서술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 그리고 각종 증점성분을 이용하여, 표 2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우선,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MC, PC 및 범용의 증점성 성분(결정 셀룰로오스), 카보머, 잔탄검)에 대하여 각각, 1질량% 수분산액, 또는 수용액을 조제(카보머만 0.1질량%)하고, 그리고 0.01질량%가 되도록 염화나트륨을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이어서, 이들 수분산액 또는 수용액에 대하여, 0.1규정(規定) 염산 또는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3 내지 11이 되도록 조정하고, 총량을 3g으로서 스크류관(Maruemu corparation제 No.2)에 넣어 밀봉한 후, 볼텍스교반을 30초간 행함으로써 균질화하였다.
또한, 결정 셀룰로오스(비교예2)는, DKS Co. Ltd.제 셀로디누4M(셀룰로오스함유율 4질량%)을 정제수에 의해 1.5질량%에 희석하고, Mizuho Industrial Co.,Ltd.제 호모믹서(LR-1A)로 5000rpm, 1시간 교반한 것을 평가액에 이용하였다.
[평가액의 상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각 평가액을 하루 정치한 후에, 유리제 용기의 상하를 반전시켰을 때의 평가액의 상태를, 시각판정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평가기준>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어도 액면이 흔들리지 않는다.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면 액면이 흔들린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고, 유동성을 보인다.
[표 2]
Figure pct00002

또한 표 2에 나타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셀룰로오스섬유 PC: 제조예 2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
셀룰로오스섬유 MC: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
결정 셀룰로오스: DKS Co. Ltd.제 셀로디누4M
카보머: ITO Inc.제 Carbopol940
잔탄검: Sansho Co., Ltd.제 KETROL CG-SFT
[실시예 2 및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
상기 서술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 그리고 각종 증점성분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우선,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MC(비교예 5) 또는 PC(실시예 2)와 범용의 증점성 성분(결정 셀룰로오스(비교예 6), 카보머(비교예 7), 잔탄검(비교예 8))에 대하여 각각, 농도가 1질량%(카보머만 0.1질량%)가 되도록 소정량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그리고 염화나트륨을 평가액 총량에 대하여 0.01질량% 내지 10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볼텍스교반을 30초간 행함으로써 균질화하였다. 또한, 카보머(비교예 7)는, 0.1규정 또는 1.0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중화를 실시하고, pH7로 조정한 것을 평가액에 이용하였다.
[점도]
실시예 2 및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의 각 평가액을 이용하여, 25℃ 조건하, 음차진동식 점도측정(SV-1A, A&D Company Ltd.)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1에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24 및 비교예 9 내지 비교예 18]
상기 서술한 제조예 1 또는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 및 각종 첨가물을 이용하여, 표 3에 나타낸 조성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우선, 평가액 총량에 대하여, 1,3-BG(1,3-부틸렌글리콜)가 6.7질량%가 되도록 첨가한 제조예 1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MC, 또는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PCB의 셀룰로오스농도가 0.8질량%(1,3-BG 6.7질량% 함유)가 되도록 소정량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그리고 표 3에 기재된 각종 첨가물을 평가액 총량에 대하여 0.01질량% 내지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총량을 3g으로 하여 스크류관(Maruemu corparation제 No.2)에 넣어 밀봉한 후, 볼텍스교반을 30초간 행함으로써 균질화하였다.
[시각판정]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24 및 비교예 9 내지 비교예 18의 각 평가액을 하루 정치한 후에, 유리제 용기의 상하를 반전시켰을 때의 평가액의 상태를, 시각판정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평가기준>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어도 액면이 흔들리지 않는다.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면 액면이 흔들린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았으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고, 유동성도 변화가 없다.
[표 3]
Figure pct00003

또한 표 3에 나타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염화나트륨: Kanto Chemical Co., Inc.제
염화칼륨: Kanto Chemical Co., Inc.제
염화아연: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염화칼슘: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염화마그네슘: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인산이수소나트륨: Junsei Chemical Co.,Ltd.제
탄산수소나트륨: Kanto Chemical Co., Inc.제
아황산나트륨: Junsei Chemical Co.,Ltd.제
황산나트륨: Junsei Chemical Co.,Ltd.제
글루코사민염산염: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글리시리진산디칼륨: PINOA Co., Ltd.제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수소이나트륨·이수화물: Junsei Chemical Co.,Ltd.제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Kanto Chemical Co., Inc.제
아스코르브산나트륨: Junsei Chemical Co.,Ltd.제
L-아스코르브산-2-인산Mg: ITO Inc.제 APM
유산나트륨(50%수용액): Junsei Chemical Co.,Ltd.제
도데실벤젠설폰산Na: Kanto Chemical Co., Inc.제
라우릴황산나트륨: Junsei Chemical Co.,Ltd.제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Kao Corporation제 AMPHITOL 20AB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Kao Corporation제 AMPHITOL 20HD
라우릴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 Kao Corporation제 AMPHITOL 20BS
라우릴아스파라긴산나트륨: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제 AminoFormer FLDS-L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TOHO Chemical Industry Co., Ltd.제 Pegnol O-2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Nikko Chemicals Co., Ltd.제 HCO-60
피로글루타민산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Nihon Emulsion Co., Ltd.제 PYROTER GPI-2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Kanto Chemical Co., Inc.제 Tween60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Kanto Chemical Co., Inc.제 Tween40
[실시예 25 내지 실시예 30 및 비교예 19]
상기 서술한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PC, 및 각종 첨가물을 이용하여, 표 4에 나타낸 조성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우선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PC의 셀룰로오스농도가 1.0질량%가 되도록 소정량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그리고 표 4에 기재된 각종 첨가물을 평가액 총량에 대하여 0.01질량% 내지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총량을 3g으로서 스크류관(Maruemu corparation제 No.2)에 넣어 밀봉한 후, 볼텍스교반을 30초간 행함으로써 균질화하였다.
[시각판정]
실시예 25 내지 실시예 30 및 비교예 19의 각 평가액을 하루 정치한 후에, 유리제 용기의 상하를 반전시켰을 때의 평가액의 상태를, 시각판정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평가기준>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어도 액면이 흔들리지 않는다.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면 액면이 흔들린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았으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고, 유동성도 변화가 없다.
[표 4]
Figure pct00004

또한 표 4에 나타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하이프로멜로스: Shin-Etsu Chemical Co., Ltd.제 METOLOSE 60SH
폴리아크릴산: Aldrich제
키토산: ACROS제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KIMICA Corporation제 KIMILOID HV
잔탄검: Sansho Co., Ltd.제 KETROL CG-SFT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AS ONE Corporation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Nippon Soda Co., Ltd.제 HPC SSL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2 및 비교예 20 내지 비교예 25]
상기 서술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 그리고 각종 증점성분을 이용하여, 표 5에 나타낸 조성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우선, 표 5에 나타낸 조성이 되도록,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2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MC, 또는 PC, 또는 범용의 증점성 성분(결정 셀룰로오스, 카보머, 잔탄검), 그리고, 보습제로서 다가알코올 및 유산나트륨, 청량제로서 에탄올, 정제수를 배합하고, 총량을 3g으로 하여 스크류관(Maruemu corparation제 No.2)에 넣어 밀봉한 후, 볼텍스교반을 30초간 행함으로써 균질화하였다. 또한, 결정 셀룰로오스(비교예23)는, DKS Co. Ltd.제 셀로디누4M(셀룰로오스함유율 4질량%)을 정제수에 의해 1.5질량%에 희석하고, Mizuho Industrial Co.,Ltd.제 호모믹서(LR-1A)로 5000rpm, 1시간 교반한 것을 평가액에 이용하였다. 또한, 카보머(비교예 24)는, 카보머를 다가알코올 및 이온교환수에 용해한 후, 0.1규정 또는 1.0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중화를 실시한 것을 평가액으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31에서 조제한 평가액을 하룻밤 정치하여 겔화시킨 후, 볼텍스에 의해 30초간 격렬하게 교반함으로써, 졸상태로 한 것을 실시예 32의 평가액으로 하였다.
[시각판정]
실시예 31 및 비교예 20 내지 비교예 25의 각 평가액을 하루 정치한 후에, 유리제 용기의 상하를 반전시켰을 때의 평가액의 상태를, 시각판정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평가기준>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어도 액면이 흔들리지 않는다.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면 액면이 흔들린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았으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고, 유동성도 변화가 없다.
[점도]
실시예 31 및 비교예 20 내지 비교예 25의 각 평가액을 이용하여, 25℃ 조건하, 음차진동식 점도측정(SV-1A, A&D Company Ltd.)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스프레이 시험]
실시예 31 및 비교예 20 내지 비교예 25의 각 평가액을 스프레이바이알(Maruemu corparation제 No.2)에 주입하고, 각 평가액을 유리기판에 대하여 3.5cm의 거리로부터 1회 분무하고, 유리기판에 부착된 미스트의 확산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평가기준>
미스트 확산
○: 풀콘형(원형전체면) 분무로 직경 4 내지 2cm
×: 솔리드형(직진형) 분무로 직경 2cm 이하, 또는 분무불능
또한 표 5에 나타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셀룰로오스섬유 PC: 제조예 2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
셀룰로오스섬유 MC: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
결정 셀룰로오스: DKS Co. Ltd.제 셀로디누4M
카보머: ITO Inc.제 Carbopol940
잔탄검: Sansho Co., Ltd.제 KETROL CG-SFT
1,3-BG: ITO Inc.제 1,3-부틸렌글리콜
유산나트륨: Junsei Chemical Co.,Ltd.제 의약부외품 원료규격 유산나트륨용액 50%
에탄올: Kanto Chemical Co., Inc.제 에탄올
[틱소트로피성 평가]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2 그리고 비교예 20 및 비교예 25의 각 평가액을 이용하여, UBM사제 rheometer 「Rheosol-G1000형」의 시료챔버내에 조제직후의 평가액을 세트하고, 평가액의 농도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용 후드를 장착한 콘플레이트를 이용하여, 25℃ 조건하, 동적 변위를 0.5deg로 설정하고, 로터를 주파수 1Hz로 진동시켰을 때의 동적 점성률(η')을 소정시간마다 기록하였다. 측정하는 동안에는, 로터의 진동을 정지시키고, 샘플을 정치상태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6 및 도 2에 함께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05

[표 6]
Figure pct00006

[실시예 33 및 비교예 26 내지 비교예 30]
표 7에 나타낸 조성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우선, 표 7에 나타낸 조성이 되도록, 올리브유 및 Pegnol O-20을 첨가하고, 볼텍스교반을 30초간 균질화시킨 후, 1,3-부틸렌글리콜, 유산나트륨, 유화안정제 성분으로서 제조예 1 또는 제조예 2에서 제작한 셀룰로오스섬유MC 또는 PC, 및 정제수를 첨가하고, 총량을 3g으로 하여 스크류관(Maruemu corparation제 No.2)에 넣어 밀봉한 후, 볼텍스교반을 30초간 행함으로써 균질화하였다. 비교예용으로서, 표 7 중 범용 증점성 성분(결정 셀룰로오스, 카보머, 잔탄검)을 이용하여,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가액을 제작하였다. 또한, 결정 셀룰로오스(비교예 27)는, DKS Co. Ltd.제 셀로디누4M(셀룰로오스함유율 4질량%)을 정제수에 의해 1.5질량%에 희석하고, Mizuho Industrial Co.,Ltd.제 호모믹서(LR-1A)로 5000rpm, 1시간 교반한 것을 평가액에 이용하였다. 또한, 카르복시비닐폴리머(카보머, 비교예 29)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용해후, 1.0 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중화를 실시하고, 사용하였다.
[시각판정]
실시예 33 및 비교예 26 내지 비교예 30의 각 평가액을 하루 정치한 후에, 유리제 용기의 상하를 반전시켰을 때의 평가액의 상태를, 시각판정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기준>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어도 액면이 흔들리지 않는다.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면 액면이 흔들린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았으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고, 유동성도 변화가 없다.
[점도]
실시예 33 및 비교예 26 내지 비교예 30의 각 평가액을 이용하여, 25℃ 조건하, 음차진동식 점도측정(SV-1A, A&D Company Ltd.)을 실시하였다.
[유화액 외관]
실시예 33 및 비교예 26 내지 비교예 30의 평가액을 50℃의 항온조에 1개월간 보존했을 때의 경시 안정성(균일성)을, 시각판정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기준>
균일성
○: 외관의 변화가 전혀 없고 겔화되어 있고, 이액이나 분리 등은 관찰되지 않는다.
△: 외관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이액이나 분리 등이 관찰되지 않으나, 유동성을 나타낸다.
×: 이액이나 분리가 보인다.
이들 평가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 중에서 사용한 각 성분은, 하기와 같다.
셀룰로오스섬유 PC: 제조예 2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
셀룰로오스섬유 MC: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
결정 셀룰로오스: DKS Co. Ltd.제 셀로디누4M
카보머: ITO Inc.제 Carbopol940
잔탄검: Sansho Co., Ltd.제 KETROL CG-SFT
1,3-BG: ITO Inc.제 1,3-부틸렌글리콜
올리브유: Junsei Chemical Co.,Ltd. 의약부외품 원료규격 올리브유
Pegnol: TOHO Chemical Industry Co., Ltd. Pegnol O-20
유산나트륨: Junsei Chemical Co.,Ltd.제 의약부외품 원료규격 유산나트륨용액 50%
[표 7]
Figure pct00007

[실시예 34 내지 실시예 36]
상기 서술한 제조예 4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하여, 표 8에 나타낸 조성의 실시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액은, 셀룰로오스섬유의 수분산액 100질량부에 1질량% 유산나트륨 수용액 1질량부 첨가하고, 볼텍스교반을 행하는 것으로 인해 균질화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실시예 37 내지 실시예 46]
상기 서술한 제조예 5에서 조제한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하여, 표 9에 나타낸 조성의 실시예의 평가액을 조제하였다. 평가액은, 0.5질량% 및 0.6질량%에 순수를 첨가하여 균질화한 셀룰로오스섬유의 수분산액 100질량부에, 1질량% 유산나트륨 수용액을 0.5질량부 또는 0.6질량부 첨가하여, 볼텍스교반을 행하는 것으로 인해 균질화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시각판정]
실시예 34 내지 실시예 46의 각 평가액을 하루 정치한 후에, 유리제 용기의 상하를 반전시켰을 때의 평가액의 상태를, 시각판정에 의해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의 결과를 표 8 및 표 9에 나타낸다.
<평가기준>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어도 액면이 흔들리지 않는다.
○: 평가액이 겔화되고, 진동을 주면 액면이 흔들린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았으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 평가액은 겔화되지 않고, 유동성도 변화가 없다.
[표 8]
Figure pct00008

[표 9]
Figure pct00009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PC)를 배합한 실시예 1은, 평가액의 pH에 상관없이 증점성을 나타내고, 겔을 형성하였다. 한편,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MC)나 결정 셀룰로오스, 카보머,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증점성분을 배합한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에서는, 평가액의 pH에 무관하게 증점효과가 보이지 않고 유동성을 나타내거나, 평가액의 pH가 중성부근에서만 겔화하는 결과가 얻어지고, 산성 또는 염기성에 있어서는 유동성을 나타내고, 평가액의 pH변화에 대하여 증점성능의 안정성이 뒤떨어진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PC)를 배합한 실시예 2에서는, 평가액의 염화나트륨농도가 증가함과 함께 점도가 증가하는 결과가 얻어지고, 염화나트륨농도가 0.1질량% 내지 10질량%에서는, 내염성을 나타낸 잔탄검과 동일한 점도를 나타내고, 안정된 증점성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MC)나 결정 셀룰로오스, 카보머로 이루어진 증점성분을 배합한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에서는, 평가액의 염화나트륨농도에 무관하게, 증점효과가 보이지 않고 유동성을 나타내거나, 염화나트륨농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점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고, 염농도에 대한 증점성능의 안정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3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PCB)를 배합한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24는, 다양한 전해질성의 첨가물의 농도증가에 의해 평가액이 증점되고, 겔을 형성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전해질성의 첨가물을 첨가한 비교예 9 내지 비교예 13에서는, 첨가물의 농도에 상관없이, 평가액의 유동성에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MC)를 배합한 비교예 14 내지 비교예 18에서는, 전해질성의 첨가물을 첨가한 경우에도, 평가액의 유동성에 변화는 보이지 않고, 첨가물에 의한 증점성능 또는 겔화의 제어가 어렵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PC)를 배합한 실시예 25 내지 실시예 30은, 다양한 전해질성의 고분자량 첨가물의 농도증가에 의해 평가액이 증점되고, 겔을 형성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전해질성의 고분자량 첨가물을 첨가한 비교예 19에서는, 첨가물의 농도에 상관없이, 평가액의 유동성에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표 6 및 도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PC)를 배합한 실시예 31은, 평가액 조제직후로부터 동적 점성률이 경시적으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31의 평가액을 하룻밤 정치하고 겔을 형성시킨 후, 격렬하게 교반함으로써 얻은 실시예 32의 평가액도, 동적 점성률이 경시적으로 증가하고, 실시예 31의 평가액은 반복하여 액상태로부터 겔상태로 변화하는 틱소트로피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0에서는, 경시적인 동적 점성률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일정하며, 틱소트로피성은 보이지 않고, 또한 겔화하는 모습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잔탄검을 배합한 비교예 25에서는, 경시적인 동적 점성률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일정하며, 틱소트로피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표 5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PC)를 배합한 실시예 31은, 저점도를 유지한 채로 겔화성능을 나타내고, 틱소트로피성을 나타내는 것이 시사되고, 나아가 스프레이성도 우수하였다. 한편,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MC)를 배합한 비교예 21, 및 결정 셀룰로오스를 배합한 비교예 22에서는, 평가액은 저점도이고, 겔화는 보이지 않고, 증점성능이나 겔화의 제어가 어렵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분산처리를 실시한 결정 셀룰로오스를 배합한 비교예 23에서는, 평가액의 점도가 현저히 증가하고, 겔을 형성하고, 스프레이도 가능하였으나, 특수한 분산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어, 범용성도 결여된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카보머,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범용의 증점성분을 배합한 비교예 24 내지 비교예 25에서는, 높은 점도를 나타내지만 유동성을 나타내거나, 스프레이분무가 어렵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져, 취급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표 7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PC)를 배합한 실시예 33은, 저점도를 유지한 채로 겔화성능을 나타내고, 틱소트로피성을 나타내는 것이 시사되고, 나아가 유화안정제 작용도 우수하였다. 한편,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셀룰로오스섬유(MC)를 배합한 비교예 26, 및 결정 셀룰로오스를 배합한 비교예 27에서는, 평가액은 저점도이고, 겔화는 보이지 않고, 유화안정제 작용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분산처리를 실시한 결정 셀룰로오스를 배합한 비교예 28에서는, 평가액의 점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겔을 형성하였으나, 유액에 이액을 발생시키고, 유화안정제 작용이 뒤떨어지며, 또한 특수한 분산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어, 범용성이 결여된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카보머,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범용의 증점성분을 배합한 비교예 29 내지 비교예 30에서는, 높은 점도를 나타내지만 유동성을 나타내고, 장기적인 유액의 안정성에 우려가 남는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표 8 및 표 9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4 또는 제조예 5에 의해 얻어진, 습식미립자화 처리 또는 고압분쇄처리의 횟수가 상이한 셀룰로오스섬유(PC1 내지 PC8)와 유산나트륨을 배합한 실시예 34 내지 실시예 46의 평가액은, 모두 양호한 겔화성능을 나타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은, 배합에 의해 현저한 증점을 나타내지 않고, 다양한 전해질성의 첨가물에 의해 저점도를 유지한 채로 겔형성능을 나타내고, 용액의 pH에 상관없이 겔형성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 스프레이 분무가능하며, 우수한 유화안정제 작용을 나타내는 증점성 조성물, 및 이를 배합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감이 우수한 외용제나 피부보호제, 찰상피복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평균섬유직경(D)이 0.001 내지 100μm이며, 헤미셀룰로오스 및 비결정영역을 함유하는 셀룰로오스섬유, 및 전해질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섬유직경(D)에 대한 평균섬유길이(L)의 비(L/D)가 5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점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이, 수용액중 또는 극성용매중에 있어서, 양이온과 음이온에 전리하는 물질인 증점성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아연,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인산이수소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황산나트륨, 글루코사민염산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수소이Na·이수화물,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아스코르브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2-인산마그네슘, 유산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 라우릴아스파라긴산나트륨, 하이프로멜로스, 카보머, 폴리아크릴산, 키토산, 잔탄검,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인 증점성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섬유의 평균섬유직경(D)이 0.001 내지 0.05μm이며, 평균섬유직경(D)에 대한 평균섬유길이(L)의 비(L/D)가 5 내지 500인 셀룰로오스섬유를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섬유가, 크래프트 펄프법에 의해 처리된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점성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섬유가, 크래프트 펄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점성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을, 셀룰로오스섬유 1질량부에 대하여 0.0001질량부 내지 30질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첨가제인 증점성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를 분무시켜 이용하는 화장품의 화장료에 첨가되는 첨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점성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틱소트로피성을 나타내는 증점성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질량%의 셀룰로오스섬유 및 0.01질량%의 전해질을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을 한 경우에, 25℃, 2시간의 정치에 의해, 동적 변위 0.5deg, 주파수 1Hz에서, 콘플레이트로 측정한 동적 점성률(η')이, 25℃, 0시간의 η'의 값에 대하여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점성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14. 제13항에 있어서,
    수성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화장료.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디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다가알코올을 상기 셀룰로오스섬유 1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내지 100질량부의 비율로 추가로 함유하는 화장료.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화장료.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화장료.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유액형태에 있는 화장료.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용제.
KR1020157033125A 2013-04-22 2014-04-22 증점성 조성물 Ceased KR201501438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9702 2013-04-22
JP2013089702 2013-04-22
PCT/JP2014/061338 WO2014175289A1 (ja) 2013-04-22 2014-04-22 増粘性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850A true KR20150143850A (ko) 2015-12-23

Family

ID=5179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125A Ceased KR20150143850A (ko) 2013-04-22 2014-04-22 증점성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60074289A1 (ko)
EP (1) EP2990028B1 (ko)
JP (1) JP6439937B2 (ko)
KR (1) KR20150143850A (ko)
WO (1) WO20141752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08A (ko) * 2019-10-28 2021-05-07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39781B1 (ko) * 2022-03-22 2022-09-02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034A1 (ja) * 2012-12-04 2014-06-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添加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US20160325011A1 (en) * 2013-12-25 2016-11-10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Aqueous dispersion for solidifying serum and blood
JP6592704B2 (ja) * 2015-04-21 2019-10-23 サンノプコ株式会社 粉末粘弾性調整剤
JP6758805B2 (ja) * 2015-08-04 2020-09-2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化粧料
JP2017048142A (ja) * 2015-09-01 2017-03-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化粧料
CA2997023C (en) 2015-08-04 2021-02-16 Oji Holdings Corporation Cosmetic thickeners comprising microfibrous cellulose and a water-soluble polymer with improved properties
JP6462051B2 (ja) * 2017-06-29 2019-01-30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化学修飾セルロース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220699A1 (ja) * 2018-05-17 2019-1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体貼付用膜
EP3942942B1 (en) * 2019-03-22 2024-04-24 Mizkan Holdings Co., Ltd. Food structure-strengthening agent, food material containing structure-strengthening agent, food prepared by hardening food material, and method for improving taste and physical properties of fo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33A (ja) 1991-06-24 1993-01-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基準電圧発生回路
JP2913514B2 (ja) 1990-08-29 1999-06-28 株式会社コーセー 水性ゲル状化粧料
JPH11302303A (ja) 1998-04-17 1999-11-02 Shiseido Co Ltd アセチル化キサンタンガムの製造方法
JP2000072643A (ja) 1998-08-25 2000-03-07 Shiseido Co Ltd 化粧料
JP3954110B2 (ja) 1996-09-27 2007-08-08 花王株式会社 新規多糖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12193139A (ja) 2011-03-16 2012-10-11 Daicel Corp 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381A (en) * 1980-10-31 1983-03-29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Suspensions containing microfibrillated cellulose
JP2005270891A (ja) 2004-03-26 2005-10-06 Tetsuo Kondo 多糖類の湿式粉砕方法
WO2006062089A1 (ja) * 2004-12-06 2006-06-15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高分散性セルロース複合体と多糖類からなる組成物
JP2008106178A (ja) * 2006-10-26 2008-05-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水溶性高分子乾燥組成物
JP2009062332A (ja) * 2007-09-07 2009-03-26 Asahi Kasei Chemicals Corp 微細繊維状セルロース及び/又はその複合体を含む香粧品組成物
JP5002433B2 (ja) 2007-11-27 2012-08-15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5269513B2 (ja) * 2008-07-31 2013-08-21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スプレー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プレー噴霧装置
EP2526922B1 (en) * 2010-01-22 2018-10-03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Viscous composition
WO2014088034A1 (ja) * 2012-12-04 2014-06-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用添加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3514B2 (ja) 1990-08-29 1999-06-28 株式会社コーセー 水性ゲル状化粧料
JPH052433A (ja) 1991-06-24 1993-01-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基準電圧発生回路
JP3954110B2 (ja) 1996-09-27 2007-08-08 花王株式会社 新規多糖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H11302303A (ja) 1998-04-17 1999-11-02 Shiseido Co Ltd アセチル化キサンタンガムの製造方法
JP2000072643A (ja) 1998-08-25 2000-03-07 Shiseido Co Ltd 化粧料
JP2012193139A (ja) 2011-03-16 2012-10-11 Daicel Corp 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208A (ko) * 2019-10-28 2021-05-07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39781B1 (ko) * 2022-03-22 2022-09-02 한국콜마주식회사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0028A1 (en) 2016-03-02
US20160074289A1 (en) 2016-03-17
WO2014175289A1 (ja) 2014-10-30
US20190053988A1 (en) 2019-02-21
EP2990028A4 (en) 2016-10-12
JP6439937B2 (ja) 2018-12-19
JPWO2014175289A1 (ja) 2017-02-23
EP2990028B1 (en) 201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3850A (ko) 증점성 조성물
US10010490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llulose fibers with small fiber diameter and comparatively small aspect ratio
JP5989227B2 (ja) 皮膚用ジェル状組成物
JP2017222594A (ja) 水中油型乳化外用剤組成物
KR101256819B1 (ko)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96A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조성물
KR20090057044A (ko) 사용감이 좋은 유화 조성물
JP2021098655A (ja) 皮膚外用組成物
JP6453665B2 (ja) 洗浄剤組成物
KR102506839B1 (ko) 분사용 젤타입 화장료 조성물
US8728448B2 (en) Use of agglomerated hydroxyethylcellulose in pharmaceutical, personal care and household care applications
JP6334508B2 (ja) 粘性洗浄剤組成物
JP2010018645A (ja) 後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該後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を用いるエアゾール製品
JP2008230994A (ja) 化粧料
CN116407456A (zh) 化妆品组合物
JP2008230995A (ja) 化粧料
KR102778327B1 (ko) 재분산 가능한 2층 화장료
JP2014152206A (ja) 水系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829585B1 (ko) 기포 조밀도 및 기포 탄력성 향상용 첨가제 조성물 및 피부 세정용 조성물
US20240189209A1 (en) Additive composition for improving bubble density and bubble elasticity and composition for skin cleansing
JP2022179845A (ja) ミスト化粧料
JP2024153258A (ja) ゲル状組成物
HK1168277A (en) Hair cosmetic
US20140148407A1 (en) Aqueous g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