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42431A - 균형 조절나사 - Google Patents

균형 조절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431A
KR20150142431A KR1020140071270A KR20140071270A KR20150142431A KR 20150142431 A KR20150142431 A KR 20150142431A KR 1020140071270 A KR1020140071270 A KR 1020140071270A KR 20140071270 A KR20140071270 A KR 20140071270A KR 20150142431 A KR20150142431 A KR 20150142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le
bolt fastening
base plate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삼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삼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삼,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삼
Priority to KR102014007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431A/ko
Publication of KR2015014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83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with an externally threaded sleeve around the neck or the head of the screw-threaded element for adjustably fastening a plate or frame or the like to a fixed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구조물이나 산업용기계 등을 설치할 때 프레임 상부에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평이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균형 조절나사에 관한 것이다.
즉 외경에 수나사(12)를 형성한 원통형의 나사본체(11)의 내경으로 연통공(13)과 작업공간(14)을 형성하되 작업공간 상부에 렌치홈(15)을 형성한 높이조정나사(10)와;
원통형의 조절본체(21) 내경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볼트체결구(22)와 볼트체결공간(23)을 단턱(24)으로 구분하여 구성한 위치조절구(20)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작업공간(14) 내에 볼트체결구(22)가 하부에 구성하도록 위치조절구(20)를 삽입하여 구성하되 위치조절구(20)가 작업공간(14)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균형 조절나사{ADJUSTMENT SCREW FOR BALANCE}
본 발명은 균형 조절나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구조물이나 산업용기계 등을 설치할때 프레임 상부에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평이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균형 조절나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구조물이나 산업용기계의 프레임 상부에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레벨링블럭(Leveling Block)과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레벨을 정확히 조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레벨링 블럭을 필요로 하며 각 부분의 높이에 따라 일일이 적합한 블럭을 찾아서 사용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위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일 예로 선출원 된 공개실용신안 실1984-0000411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이 신설된 앵커볼트(1)가 관통되는 관통공(2)이 뚫어진 조정볼트(3)에 협지고정너트(4)를 나사맞춤하여 피설치물 기대(5)의 소정부위에 뚫어진 나사공(6)에 나사맞춤하되 그 하단은 앵커볼트(1)에 끼워진 받침판(7)에 맞닿음 시키고, 상기 관통공(2)을 통해 돌출된 앵커볼트(1)의 나사부(8)가 고정너트(9)를 체결하여서 된 높이조정나사(10)를 구성하여 앵커볼트를 조정볼트에 관삽하여 1개부위에서 조정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그 조정이 정확하게 되고 작업이 간편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앵커볼트를 바닥에 고정하여 프레임 자체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구조물이나 기계자체의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근래에는 구조물이나 기계장치의 프레임 상부에 구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평행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일 예로 선등록 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58683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의 삽입공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하단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갖춰진 제 1 조절부와, 상기 나사부의 상단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갖춰진 제 2 조절부와, 설치 바닥면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우케이스의 높이 조절용 래그 볼트를 구성하여 래그 볼트의 선단에 조절 키이를 하나 더 구비하도록 개조함으로써 쇼우케이스의 높이를 더욱 편리하고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고정 프레임에 베이스를 고정하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한 구조이므로 프레임에 베이스플레이트를 견고히 고정하면서 수평과 높낮이를 한꺼번에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각종 조절나사를 생산하는 생산업체나 각종 구조물이나 기계장치를 생산하는 사용업체에서는 이를 해결할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KR 공개실용신안 20-1984-0000411 KR 등록실용신안 20-0158683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외경에 수나사를 형성한 원통형의 높이조정나사 내부에 장공의 체결공을 형성한 위치조절구를 내장하여 구성한 균형 조절나사를 베이스플레이트에 체결하여 높이조정나사의 끝단면이 프레임 상단면에 밀착하여 프레임과 베이스플레이트의 거리가 유지하도록 하여 통상의 일반구조물이나 산업용기계 등의 프레임 상부에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높이와 수평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균형 조절나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다수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자동화 라인장치나, 이동이 요구되는 정밀기계장치 등과 같이 프레임 상부에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높이와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도로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경에 수나사(12)를 형성한 원통형의 나사본체(11)의 내경으로 연통공(13)과 작업공간(14)을 형성하되 작업공간 상부에 렌치홈(15)을 형성한 높이조정나사(10)와;
원통형의 조절본체(21) 내경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볼트체결구(22)와 볼트체결공간(23)을 단턱(24)으로 구분하여 구성한 위치조절구(20)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작업공간(14) 내에 볼트체결구(22)가 하부에 구성하도록 위치조절구(20)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위치조절구(20)가 작업공간(14)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형 조절나사는 통상의 일반구조물이나 산업용기계 등의 프레임 상부에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높이와 수평을 정밀하고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구조이다.
특히 높이조절나사 내부에 유지되어 회전하는 장공의 체결구를 형성한 위치조절구로 인해 각각 별도로 구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프레임에 형성한 암나사와 탭의 중심거리가 일치하지 않아도 위치조절구를 회전시켜서 장공의 볼트체결구의 내에서 체결볼트를 이동하여 탭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서로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나 수평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각도가 큰 베이스플레이트에 적용할 경우 그 사용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는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균형 조절나사의 평면 및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위치조절구의 평면 및 단면 구성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위치조절구의 회전위치에 따른 평면 및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베이스플레이트를 프레임에 체결하기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베이플레이트를 프레임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체결나사의 체결위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써, (가)는 체결 중심이 다른 상태를 도시한 체결전 단면 구성도 이고 (나)는 체결위치를 설정하여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7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경에 수나사(12)를 형성한 원통형의 나사본체(11)의 내경으로 연통공(13)과 작업공간(14)을 형성하되 작업공간 상부에 렌치홈(15)을 형성한 높이조정나사(10)와;
원통형의 조절본체(21) 내경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볼트체결구(22)와 볼트체결공간(23)을 단턱(24)으로 구분하여 구성한 위치조절구(20)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작업공간(14) 내에 볼트체결구(22)가 하부에 구성하도록 위치조절구(20)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균형 조절나사(1)에 관한 것이다.
이때, 위치조절구(20)가 작업공간(14)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에 수나사(12)를 형성한 원통형의 나사본체(11)의 내경으로 연통공(13)과 작업공간(14)을 형성하되 작업공간 상부에 렌치홈(15)을 형성한 높이조정나사(10)와, 원통형의 조절본체(21) 내경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볼트체결구(22)와 볼트체결공간(23)을 단턱(24)으로 구분하여 구성한 위치조절구(20)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정나사(10)의 작업공간(14)에 위치조절구(20)를 삽입하되 볼트체결구(22)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위치조절구(20)가 작업공간(14)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균형 조절나사(1)의 용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구조물이나 산업용기계를 구성하는 프레임(3) 상부에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2)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다수의 프레임(3)에 하나의 넓은 베이스플레이트(2)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사용하는 구성품으로 특히 산업용기계에 적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2)는 상부에 로버트와 같은 정밀 장비가 장착고정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면적이 넓을 수록 정밀한 수평과 높이조절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장소와 환경에 따라 신속하게 설치하고 변경할 필요가 있어 현대와 같이 초정밀을 요구하는 정밀기계에서는 필히 사용하게 되는 구성요소 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원 발명의 균형 조절나사(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에 암나사(2a)를 형성하고 그 하부의 프레임(3)에 탭(3a)을 형성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정나사(10)를 암나사(2a)에 체결하여 베이스플레이트(2)를 프레임(3)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체결볼트(4)로 균형 조절나사(1)를 프레임(3)에 고정하여 프레임(3) 상부에 베이스플레이트(2)를 장착고정하면서 베이스플레이트(2)의 수평과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2)의 암나사(2a)에 균형 조절나사(1)를 체결할때, 높이조정나사(10)의 중심 상부에 형성한 렌치홈(15)에 렌치(도면 미도시)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서 체결하거나 풀리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균형 조절나사(1)의 상부 끝단이 베이스플레이트(2)의 암나사(2a)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도 균형 조절나사(1)를 조작하는데 아무른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균형 조절나사(1)의 높이가 베이스플레이트(2)의 두께보다 낮을 경우 베이스플레이트(2) 상부로 균형 조절나사(1)가 노출되지 않아 베이스플레이트(2) 상부에 장착하고자하는 구성품을 구성할 때, 균형 조절나사(1)로 인한 방해요인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균형 조절나사(1)의 높이는 적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2)에 따라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에서 가공 공차나 수평정도에 따라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4)의 중심이 프레임(3)에 형성한 탭(3a)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불일치거리(t)로 인해 조립이 불가할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높이조정나사(10)의 위치조절구(20) 내부에 형성하는 볼트체결구(22)와 볼트체결공간(23)을 장공으로 형성하면서 단턱(24)에 의해 볼트체결구(22)와 볼트체결공간(23)을 구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7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구(20)를 회전시켜서 장공의 볼트체결구(22)의 장공길이 만큼의 여유거리(t2)를 형성하여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체결볼트(4)의 볼트머리가 볼트체결공간(23)에 유지하면서 단턱(24)에 의해 견고히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정나사(10) 하부에 형성하는 체결공(13)의 지름이 상기 위치조절구(20)의 하부에 장공으로 형성하는 볼트체결구(22)의 장공의 전체길이 보다 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균형 조절나사(1)를 장착시킨 산업용기계의 사용도중 또는 위치이동에 따른 보정이 필요할 경우 체결볼트(4)를 조금만 회전하여 단턱(24)에서의 압력을 해지하는 작업만으로 균형 조절나사(1)를 용이하게 회전시켜서 베이스플레이트(2)의 높이와 수평여부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나 조립성으로 인해 체결나사의 치수변경에도 위치조절구(20)의 교체만으로도 균형 조절나사(1)의 사용이 용이한 구성이므로 조립적용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편리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도면 미설명부호 6은 와셔(washer)임.
이상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적용함으로써, 정밀한 고가 장비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요소요소에 신속히 적용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저가의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밀산업기계에 필히 적용하여 사용되어야할 발명인 것이다.
1: 균형 조절나사 2: 베이스플레이트
3: 프레임 4: 체결볼트
10: 높이조절나사 11: 나사본체
12: 수나사 13: 연통공
14: 작업공간 15: 렌치홈
20: 위치조절구 22: 볼트체결구
23: 볼트체결공간 24: 단턱

Claims (2)

  1. 외경에 수나사(12)를 형성한 원통형의 나사본체(11)의 내경으로 연통공(13)과 작업공간(14)을 형성하되 작업공간 상부에 렌치홈(15)을 형성한 높이조정나사(10)와;
    원통형의 조절본체(21) 내경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볼트체결구(22)를 구성한 위치조절구(20)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작업공간(14) 내에 위치조절구(20)를 삽입하되 위치조절구(20)가 작업공간(14)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조절나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구(20)를 원통형의 조절본체(21) 내경에 장공으로 형성되는 볼트체결구(22) 상부를 확장하여 단턱(24)으로 구분하는 볼트체결공간(2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조절나사.
KR1020140071270A 2014-06-12 2014-06-12 균형 조절나사 Ceased KR20150142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70A KR20150142431A (ko) 2014-06-12 2014-06-12 균형 조절나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70A KR20150142431A (ko) 2014-06-12 2014-06-12 균형 조절나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31A true KR20150142431A (ko) 2015-12-22

Family

ID=550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270A Ceased KR20150142431A (ko) 2014-06-12 2014-06-12 균형 조절나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4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411A (ko) 1981-07-03 1984-02-22 앙리쥐 자전거용 기어변속장치의 제어장치
KR200158683Y1 (ko) 1997-11-26 1999-10-15 배길성 쇼우케이스의 높이 조절용 래그 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411A (ko) 1981-07-03 1984-02-22 앙리쥐 자전거용 기어변속장치의 제어장치
KR200158683Y1 (ko) 1997-11-26 1999-10-15 배길성 쇼우케이스의 높이 조절용 래그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800B1 (en) Cam positioning of machinery system
CN102144118A (zh) 可水平和垂直调节的支座
KR20180124999A (ko) 설치 장치
US20170120405A1 (en) Rotating axis supporting device
KR20150142431A (ko) 균형 조절나사
CN204673376U (zh) 一种楔形调整机构
KR20080048748A (ko) 무빙 지그
CN103231234B (zh) 紧固件自动拧紧机用工装
KR20080055216A (ko) 가공장비의 수평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평 조절 방법
KR20060075912A (ko) 볼와셔를 이용한 기계 레벨 조정 장치
CN102720735A (zh) 组合式定位销结构
CN101885082A (zh) 一种钻模
CN203743156U (zh) 一种用于dns设备平衡调节的垫脚螺栓
US9810252B2 (en) Lower member fixing device and fluid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101540580B1 (ko) 공정 장치용 지지 구조
CN109861443B (zh) 发电机组安装调整装置
US10271453B1 (en) Chassis rail stabilizer
KR100458432B1 (ko) 레벨링 장치
CN104500521A (zh) 一种使用沉头螺钉的面板与柜体连接结构
EP4358794B1 (en) Supporting device for furniture
CN204505853U (zh) 一步式工作平台限向调节装置
JP2015166274A (ja) スクリュージャッキ
JP2015010338A (ja) 手摺支持具の取付構造
KR20140056236A (ko) 보링 가공 장치
KR20130128721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