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39362A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362A
KR20150139362A KR1020140067882A KR20140067882A KR20150139362A KR 20150139362 A KR20150139362 A KR 20150139362A KR 1020140067882 A KR1020140067882 A KR 1020140067882A KR 20140067882 A KR20140067882 A KR 20140067882A KR 20150139362 A KR20150139362 A KR 20150139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outdoor
room
target temperatur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3828B1 (en
Inventor
최동석
윤근영
김석우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82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82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o set an indoor target temperature by refl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step of det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set period; a step of calculating the average outdoor temperature using the detected outdoor temperature; a step of setting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using a detected and labeled average outdoor temperature; and a step of controlling a cooling/heating operation to allow the indoor temperature to reach a detected and labeled target temperature.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door temperature is optimally controlled by using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 적응 쾌적 모델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 설정 온도 제어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air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daptive comfort model.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냉매를 통하여 실내 공기의 열 에너지를 실외로 방출하거나 실외 공기의 열 에너지를 실내로 흡입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that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n indoor unit that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The indoo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Inhalation device.

실내기의 설정 온도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온열 쾌적을 유지하기 위한 값으로 결정된다. 기존의 실내 온열 쾌적 온도의 일반적인 기준은 실외의 온도 변화와 무관하게 고정된 값을 지니고 있었다. The set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is generally determined as a value for maintaining the user's warm comfort. The general standard of the conventional indoor thermal comfort temperature has a fixed value regardless of outdoor temperature change.

적응 쾌적 모델에 따르면 재실자의 쾌적 온도는 실외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한국의 경우 전날의 평균 실외온도가 30℃ 일 때 그 다음날 실내 쾌적 온도는 28℃에 해당한다. According to the adaptive comfort model, the pleasant temperature of the occupant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outdoor. For example, in Korea, when the average outdoor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is 30 ° C, the next day's indoor comfort temperature is 28 ° C.

그러나, 기존의 실내환경 기준은 25℃ 내외로 외기의 조건에 따른 변동이 없었으며, 이에 기존의 실내환경 기준을 이용하여 실내기의 설정온도를 설정하는 경우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existing indoor environmental standard ha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ambient conditions, such as about 25 ° C. Therefore, when setting the indoor temperature using the existing indoor environment standard, unnecessary energy is consum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 온도에 따라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최적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target temperature of a room is set according to an outdoor temperature and an indoor temperature is optimally controlled using the target temperatur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실외평균온도를 이용해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sensing an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lculating an outdoor average temperature using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또한,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using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may include calculating the exponential weight outdoor average temperature.

또한,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은, 전날의 실외평균온도와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에 가중지수를 적용해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may also include calculating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mean temperature by applying a weighted index to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and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또한,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에 더 큰 가중치를 적용해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also include calculating the exponentially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by applying a larger weight to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또한,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감지된 실외 온도에 가중 지수를 적용해 산출될 수 있다.Also,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a weighted index to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감지된 실외 온도에 가중 지수를 적용하는 것은, 과거의 외기온도일수록 더 작은 가중 지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pplying the weighting index to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may also include applying a smaller weighting index a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past is applied.

또한,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계수와 실외평균온도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may include calculating and setting the preset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and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또한,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습도계수와 실외평균온도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may include calculating and setting a preset number of humidity meters and an outdoor average temperature.

또한,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may include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또한,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실내의 목표 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계수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may include calculating and setting a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set in advance for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또한,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목표 온도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the target temperatur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는 냉방 모드, 난방 모드, 표준 모드, 에너지 절약 모드 및 쾌적 모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a cooling mode, a heating mode, a standard mode, an energy saving mode, and a comfortable mode.

또한,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실내에 실내기의 설치 위치를 판단하고,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실내의 목표 온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may determin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in the room and set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또한,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

또한,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and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

또한, 목표 온도 범위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may include at least one target section.

또한, 목표 구간은 표준 구간, 에너지 절약 구간 및 쾌적 구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target se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standard section, the energy saving section and the comfort s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개시된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실외의 온도 변화에 따라 실내기의 설정 온도를 최적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by optimally controlling the set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door.

또한, 실외의 온도 변화를 반영해 실내 온도를 설정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과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om temperature is set reflect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outdoor,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순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에 포함되는 실내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내기(200a) 각각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분배기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내기의 설치 위치의 구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외 온도에 따른 쾌적 온도의 변화 양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외 온도를 고려해 실내 목표 온도 설정 시 전력 소비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circulation proces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low of a control signal of an outdoor unit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trol signals of the indoor unit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rigerant flow of a multi-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trol signals of the indoor units 200a included in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low of a control signal of a distributor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vision of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indoor units.
1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comfortabl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1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power consumption when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utdoor temperature.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arrangem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at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ar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구성도 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실외 공간에 마련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기(100), 실내 공간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원격제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utdoor unit 100 installed in an outdoor space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outdoor air and a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unit (200).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400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400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0 from a user.

실외기(100)는 기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120),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0)와 실내기(200) 가운데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사방밸브(130), 난방 시에 실외 열교환기(120)로 안내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실외 팽창밸브(140), 액상 냉매가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100 includes a compressor 110 for compressing the gaseous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120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10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0,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40 that reduce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0 during heating and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40 that prevents the liquid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110, The accumulator 150 may include an accumulator 150,

실내기(200)는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210)와, 냉방 시 실내 열교환기(210)로 제공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실내 팽창밸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200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210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n indoor expansion valve 220 for reducing the refrigerant provid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 during the cooling.

이하, 공기조화기(10)의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서 냉매의 순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refrigerant in the cooling mode and the heat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 will be described.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냉매 순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circulation process of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가 냉방 모드인 경우 냉매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10)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30)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120)로 안내된다.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되며, 응축되는 동안 냉매는 실외 공기로 잠열을 방출한다. 응축된 냉매는 실내기(200)로 안내될 수 있다. 2, when the air conditioner 10 is in the cooling mode,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o a high pressure by the compressor 110 of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compressed by the four-way valve 130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0.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0, and the refrigerant releases latent heat to the outdoor air while being condensed. The condensed refrigerant can be led to the indoor unit 200.

실내기(200)로 안내된 냉매는 실내기(200)에 마련된 실내 팽창밸브(220)에서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증발된다. 증발되는 동안 냉매는 실내 공기로부터 잠열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냉방 모드 시에 공기조화기(10)는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indoor unit 200 is decompressed in the indoor expansion valve 220 provided in the indoor unit 200 and then evapo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 During evaporation, the refrigerant absorbs latent heat from the room air. In this manner, the air conditioner 10 can cool the indoor air by using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 in the cooling mode.

증발된 냉매는 실외기(100)로 안내되고, 실외기(100)의 어큐뮬레이터(150)에서 미쳐 증발되지 못한 액상 냉매와 증발된 기상 냉매로 분리된 후 기상 냉매가 압축기(110)로 제공된다. 압축기(110)로 안내된 냉매는 압축되고, 다시 사방밸브(130)로 제공됨으로써 상술한 냉매 순환을 반복할 수 있다.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guided to the outdoor unit 100 and separated into the liquid refrigerant that has not been evaporated in the accumulator 150 of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evaporated gaseous refrigerant, and then the gaseous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compressor 110.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compressor 110 is compressed and supplied to the four-way valve 130, there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refrigerant circulation.

요약하면, 냉방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0)는 실내기(200)에서 실내 공기의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실외기(100)에서 실외로 열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실내의 열에너지를 실외로 방출한다. In summary, in the cooling mode, the air conditioner 10 absorbs the thermal energy of the indoor air in the indoor unit 200 and releases the thermal energy in the room by discharging thermal energy outdoors in the outdoor unit 100.

공기조화기(10)의 난방 모드인 경우 냉매는 실외기(100)의 압축기(110)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실내기(200)로 안내된다. In the heat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o a high pressure by the compressor (110) of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guided to the indoor unit (200).

냉매는 실내기(200)에 마련된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응축된다. 응축되는 동안 냉매는 실내 공기로 잠열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난방 모드 시에 공기조화기(10)는 실내 열교환기(210)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220)에서 감압된 후 실외기(100)로 안내된다.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 provided in the indoor unit (200). During condensation, the refrigerant releases latent heat into the room air. In the heating mode, the air conditioner 10 can heat the indoor air using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 and the indoor air.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decompressed in the indoor expansion valve (220) and then guided to the outdoor unit (100).

실외기(100)로 안내된 냉매는 실외기(100)에 마련된 실외 팽창밸브(140)에서 감압된 후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증발된다. 증발된 냉매는 실외기(100)의 어큐뮬레이터(150)에서 미쳐 증발되지 못한 액상 냉매와 증발된 기상 냉매로 분리된 후 기상 냉매가 압축기(110)로 제공된다. 압축기(110)로 안내된 냉매는 압축되고, 다시 사방밸브(130)로 제공됨으로써 상술한 냉매 순환을 반복할 수 있다.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outdoor unit 100 is decompressed in the outdoor expansion valve 140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100 and then evaporat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0.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separated into a liquid refrigerant that has not been evaporated and evaporated in the accumulator 150 of the outdoor unit 100, and a gaseous refrigerant which is then supplied to the compressor 110.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compressor 110 is compressed and supplied to the four-way valve 130, there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refrigerant circulation.

요약하면, 난방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0)는 실외기(100)에서 실외 공기의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실내에서 실내기(200)에서 실내로 열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실외의 열에너지를 실내로 전달한다. In summary, in the heating mode, the air conditioner 10 absorbs the thermal energy of the outdoor air in the outdoor unit 100, and transfers the outdoor thermal energy to the room by discharging the thermal energy from the indoor unit 200 to the indoor.

이하, 공기조화기(10)에 포함된 구성들 사이의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low of signals between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 will be described.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 포함되는 실외기(100)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trol signals of the outdoor unit 10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0)에 대한 동작 명령을 받는 실외기 조작부(160),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실외기 표시부(165), 실외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기 온도검출부(170), 실외기(100)에 포함된 압축기(110)와 사방밸브(130)를 구동하는 실외기 구동부(175), 실외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외기 저장부(180), 공기조화기(10)에 포함된 실내기(200)와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부(185), 실내기(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외기 전원부(190), 실외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outdoor unit 100 includes an outdoor unit operation unit 160, an outdoor unit 100, or an air conditioner 10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or an administrator for the outdoor unit 100 or the air conditioner 10. [ An outdoor unit temperature detector 170 for det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an outdoor unit driver 175 for driving the compressor 110 and the four-way valve 130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0, An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unit 20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 and an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0. [ An outdoor unit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nfiguration, and an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0. [

실외기 조작부(160)는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외기 표시부(165)는 실외기(100) 또는 공기조화기(1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외기 조작부(160)와 실외기 표시부(165)는 실외기 조작부(160)와 실외기 표시부(165)를 일체화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button switch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outdoor unit 100 or the air conditioner 10, a membrane switch or a touch panel, 165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utdoor unit 100 or the air conditioner 10. In addition, the outdoor unit operation unit 160 and the outdoor unit display unit 165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TSP) in which the outdoor unit operation unit 160 and the outdoor unit display unit 165 are integrated.

실외기 온도검출부(170)는 실외기(100)가 위치하는 실외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실외기 온도검출부(17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170 senses the outdoor temperature where the outdoor unit 100 is located,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170 may include a thermistor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실외기 구동부(175)는 실외기 제어부(19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압축기(110), 사방밸브(130)를 구동한다. 특히, 실외기 구동부(175)는 압축기(110)를 구동하기 위하여 압축기(110) 모터(미도시)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driving unit 175 drives the compressor 110 and the four-way valve 13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In particular, the outdoor unit driving unit 175 may include an inverter for supplying a driving current to the compressor 110 (not shown) to drive the compressor 110.

실외기 저장부(180)는 실외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뿐만 아니라 실외기(1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D-RAM), S-램(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storage unit 180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magnetic disk or a solid-state disk for permanently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0, as well as an outdoor unit 100 And a volatile memory such as a D-RAM (D-RAM) or an S-RAM (S-RAM) for temporarily storing temporary data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course of operation.

실외기 통신부(185)는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실내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door unit 200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485.

실외기 전원부(190)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rectifying circuit for rectify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a smoothing circuit for removing ripples included in the rectified power supply, and the like.

실외기 제어부(195)는 실외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0.

예를 들어, 실외기 통신부(185)를 통하여 실내기(200)로부터 냉방 요청이 수신되면, 실외기 제어부(195)는 냉방 요청 수신 신호를 실내기(200)에 전송하기 위하여 실외기 통신부(185)를 제어하고, 압축기(110)가 가동되도록 실외기 구동부(175)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실외기 제어부(195)는 실외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단일의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신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 제어 동작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세서 등과 같이 특화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a request for cooling is received from the indoor unit 200 through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controls the outdoor unit communication unit 185 to transmit the cooling request reception signal to the indoor unit 200, And controls the outdoor unit driver 175 so that the compressor 110 is operated. The outdoor unit control unit 195 includes a single general processor that performs all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100,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that performs only opera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a processor that performs specialized operations, such as a control processor, which performs operations.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에 포함되는 실내기(200)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trol signals of the indoor unit 20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실내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0) 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실내기 조작부(225),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실내기 표시부(230),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기 온도검출부(235), 실내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내기 저장부(240), 공기조화기(10)에 포함된 실외기(100)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부(245), 실내기(20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내기 전원부(250), 실내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indoor unit 200 includes an indoor unit operation unit 225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0 from a user, an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0, An indoor unit storage unit 240 that stores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0, an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100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 An indoor unit power supply unit 250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0 and an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0. [

실내기 조작부(225)는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공기조화기(10)가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기(400)를 포함하는 경우, 실내기(200)의 실내기 조작부(225)는 실내기(2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만을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25 may include a button switch, a membrane switch, or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0. When the air conditioner 10 receives the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0 and display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0, the indoor unit operation unit 225 of the indoor unit 200, But may include only a power butt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door unit 200.

실내기 표시부(230)는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공기조화기(10)가 실내기(20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실내기(20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기(400)를 포함하는 경우,실내기(200)의 실내기 표시부(230)는 해당 실내기(200)의 전원 공급 여부 및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 엘이디 및 동작 표시 엘이디를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The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 light emitting diode panel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0. When the air conditioner 10 receives a command to operate the indoor unit 200 and display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0, A power indicator LED and an operation indicator LED that indicate whether the indoor unit 200 is powered or not.

실내기 온도검출부(235)는 실내기(200)가 위치하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실내기 온도검출부(235)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senses the room temperature where the indoor unit 200 is located,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The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may include a thermistor whose electrical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emperature.

실내기 저장부(240)는 실내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반도체 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뿐만 아니라 실내기(20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 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storage unit 240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magnetic disk and a semiconductor disk for permanently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0, And a volatile memory such as a D-RAM or an S-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실내기 통신부(245)는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실외기(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100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485.

실내기 전원부(250)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power supply unit 250 may include a rectifying circuit for rectifying external power, a smoothing circuit for removing ripples included in the rectified power, and the like.

실내기 제어부(255)는 실내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indoor unit controller 255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0.

예를 들어, 실내 온도가 냉방 목표 온도보다 높으면, 실내기 제어부(255)는 실외기(100)에 냉방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실내기 통신부(245)를 제어하고, 공기조화기(10)가 냉방 동작 중임을 표시하도록 실내기 표시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내기 제어부(255)는 실내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단일의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신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세서, 제어 동작과 관련된 연산만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세서 등과 같이 특화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cooling target temperature, the indoor unit controller 255 controls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 to transmit the cooling request signal to the outdoor unit 100, and determines that the air conditioner 10 is in the cooling operation So that the indoor unit display unit 230 can be controlled. The indoor unit control unit 255 may include a single general-purpose processor that performs all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0,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that performs only operation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a control processor And the like.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다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 및 그 신호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Thus,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Next, a configuration and a signal flow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냉매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refrigerant flow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는 실외 공간에 마련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기(100a), 실내 공간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내기(200a), 실외기(100a)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실내기(200a)로 분배하고 냉방 또는 난방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분배기(300a)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0a)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원격제어기(400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outdoor unit 100a provided in an outdoor space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outdoor air and a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indoor space, And a distributor 300a that distributes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a and outdoor units 100a to the indoor unit 200a and selectively performs cooling or heating.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400a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0a from a user.

실외기(100a)는 도 1의 실내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하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outdoor unit 100a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door unit 100 of FIG. 1,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1 will be omitted.

실내기(200a-1, 200a-2, 200a-3, 200a-n)는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210a-1, 210a-2, 210a-3, 210a-n), 냉방 시에 실내 열교환기(210a-1, 210a-2, 210a-3, 210a-n)로 제공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실내 팽창밸브(220a-1, 220a-2, 220a-3, 220a-n)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s 200a-1, 200a-2, 200a-3 and 200a-n include indoor heat exchangers 210a-1, 210a-2, 210a-3 and 210a-n for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indoor air and refrigerant, The indoor expansion valves 220a-1, 220a-2, 220a-3, and 220a-n for reducing th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rs 210a-1, 210a-2, 210a-3, .

분배기(300a)는 실외기(100a)와 실내기(200a) 사이에 마련되어 실외기(100a)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실내기(200a)로 안내하기 위한 냉매관과, 냉매관 상에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0a)의 운전 모드 즉,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냉방 밸브(310a-1, 310a-2, 310a-3, 310a-n)와 난방 밸브(320a-1, 320a-2, 320a-3, 320a-n)를 포함한다. The distributor 300a is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unit 100a and the indoor unit 200a and includes a refrigerant pipe for guiding the refrigerant provided from the outdoor unit 100a to the indoor unit 200a and a refrigerant pipe provided on the refrigerant pipe for connecting the air conditioner 10a The cooling valves 310a-1, 310a-2, 310a-3 and 310a-n and the heating valves 320a-1, 320a-2 and 320a- 3, 320a-n).

이하, 공기조화기(10a)의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서 냉매의 순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refrigerant in the cooling mode and the heat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a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a)가 냉방 모드인 경우 냉매는 실외기(100a)의 압축기(110a)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30a)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120a)로 안내된다.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20a)에서 응축되며, 응축되는 동안 냉매는 실외 공기로 잠열을 방출한다. 응축된 냉매는 분배기(300a)를 거쳐 선택적으로 실내기(200a)로 안내될 수 있다. 6, when the air conditioner 10a is in the cooling mode,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o a high pressure by the compressor 110a of the outdoor unit 100a, and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compressed by the four-way valve 130a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0a.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0a, and the refrigerant releases latent heat to the outdoor air while being condensed. The condensed refrigerant can be selectively guided to the indoor unit 200a via the distributor 300a.

실내기(200a)로 안내된 냉매는 실내기(200a)에 마련된 실내 팽창밸브(220a)에서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210a)에서 증발된다. 증발되는 동안 냉매는 실내 공기로부터 잠열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냉방 모드 시에 공기조화기(10a)는 실내 열교환기(210a)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된 냉매는 분배기(300a)에 마련된 냉방 밸브(310a)를 거쳐 실외기(100a)로 안내된다. 이후 냉매의 흐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refrigerant guided to the indoor unit 200a is decompressed in the indoor expansion valve 220a provided in the indoor unit 200a and evapo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a. During evaporation, the refrigerant absorbs latent heat from the room air. In this way, the air conditioner 10a can cool the room air by using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a. The evaporated refrigerant is guided to the outdoor unit 100a via the cooling valve 310a provided in the distributor 300a. Hereinafte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the same as or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공기조화기(10a)가 난방 모드인 경우 냉매는 실외기(100a)의 압축기(110a)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30a)에 의하여 분배기(300a)로 안내된다. 분배기(300a)에서 냉매는 분배기(300a)의 난방 밸브(320a)를 거쳐 선택적으로 실내기(200a)로 안내된다. When the air conditioner 10a is in the heating mode,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o a high pressure by the compressor 110a of the outdoor unit 100a, and the compressed refrigerant is guided to the distributor 300a by the four-way valve 130a. In the distributor 300a, the refrigerant is selectively guided to the indoor unit 200a via the heating valve 320a of the distributor 300a.

냉매는 실내기(200a)에 마련된 실내 열교환기(210a)에서 응축된다. 응축되는 동안 냉매는 실내 공기로 잠열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난방 모드 시에 공기조화기(10a)는 실내 열교환기(210a)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220a)에서 감압된 후 분배기(300a)를 거쳐 실외기(100a)로 안내된다. 이후 냉매의 흐름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a provided in the indoor unit 200a. During condensation, the refrigerant releases latent heat into the room air. In the heating mode, the air conditioner 10a can heat indoor air us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210a.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decompressed in the indoor expansion valve 220a and then guided to the outdoor unit 100a via the distributor 300a. Hereinafte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the same as or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하,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에 포함된 구성들 사이의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외기(100a)에 대한 제어 신호 흐름의 예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signals between the structures included in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of the control signal flow to the outdoor unit 100a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에 포함되는 실내기(200a) 각각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trol signals of each indoor unit 200a included in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실내기(200a)는 사용자로부터 실내기(200a) 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실내기 조작부(225a), 실내기(200a)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실내기 표시부(230a), 실내기(200a)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내기 저장부(240a), 공기조화기(10a)에 포함된 실외기(100a)와 통신하는 실내기 통신부(245a), 실내기(200a)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실내기 전원부(250a), 실내기(200a)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255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온도 검출부를 포함하지 않다는 점에서 도 3의 실내기(200a)와 차이가 있으며 실내기 조작부(225a), 실내기 표시부(230a), 실내기 저장부(240a), 실내기 통신부(245a), 실내기 전원부(250a) 및 실내기 제어부(255a)에 대한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7, the indoor unit 200a includes an indoor unit control unit 225a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indoor unit 200a from a user, an indoor unit display unit 230a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200a, an indoor unit 200a, The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a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100a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a and the indoor unit 200a that store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200a, An indoor unit power supply unit 250a for supplying power, and an indoor unit controller 255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indoor unit 200a. The indoor unit 200a is different from the indoor unit 200a of FIG. 3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 separate temperature detection unit and includes an indoor unit control unit 225a, an indoor unit display unit 230a, an indoor unit storage unit 240a, an indoor unit communication unit 245a, The indoor unit controller 250a and the indoor unit controller 255a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a)에 포함되는 분배기(300a)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trol signals of the distributor 300a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분배기(300a)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분배기(300a)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분배기 조작부(325a), 분배기(300a)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분배기 표시부(330a), 분배기(300a)에 포함된 난방 밸브 및 난방 밸브를 구동하는 분배기 구동부(335a), 분배기(300a)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배기 저장부(340a), 공기조화기(10a)에 포함된 실외기(100a), 실내기(200a)와 통신하는 분배기 저장부(345a), 분배기(300a)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배기 전원부(350a), 분배기(300a)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분배기 제어부(355a)를 포함한다. 8, the distributor 300a includes a distributor operating unit 325a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or the distributor 300a from a user or an administrator, a distributor display unit 330a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ibutor 300a, A distributor driving unit 335a for driving the heating valve and the heating valve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300a, a distributor storage unit 340a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or 300a, A distributor storage unit 345a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unit 200a, a distributor power supply unit 350a for supplying power to respective configurations included in the distributor 300a, and a distributor 300a, And a distributor control unit 355a.

분배기 조작부(325a)는 전원 입력 등의 분배기(300a)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배기 표시부(330a)는 분배기(300a)의 연결 상태 등의 분배기(300a)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분배기 조작부(325a) 또는 분배기 표시부(330a)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distributor operating unit 325a may include a button switch or a membrane switch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to the distributor 300a such as a power input. The distributor display unit 330a may include a distributor 300a,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 light emitting diode panel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300a. However, it may not include the distributor operating unit 325a or the distributor displaying unit 330a, as the case may be.

분배기 구동부(335a)는 분배기 제어부(355a)의 제어 신호에 따라 난방밸브 및 냉방밸브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난방밸브 및 냉방밸브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동 전류를 생성하여 난방밸브 및 냉방밸브에 제공한다. The distributor driver 335a drives the heating valve and the cooling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from the distributor controller 355a. Specifically, a driving current is generated to open and close the heating valve and the cooling valve, and provided to the heating valve and the cooling valve.

분배기 저장부(340a)는 분배기(300a)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반도체 디스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뿐만 아니라 분배기(300a)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ributor storage unit 340a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magnetic disk or a semiconductor disk for permanently storing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tributor 300a, as well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temporary And a volatile memory such as a D-RAM or an S-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분배기 저장부(345a)는 RS-485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실외기(100a) 및 실내기(200a)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ributor storage unit 345a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door unit 100a and the indoor unit 200a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485.

분배기 전원부(350a)는 외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에 포함된 리플을 제거하는 평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tributor power supply unit 350a may include a rectifying circuit for rectifying external power, a smoothing circuit for removing ripples included in the rectified power, and the like.

분배기 제어부(355a)는 분배기(300a)에 포함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distributor controller 355a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distributor 300a.

예를 들어, 분배기 저장부(345a)를 통하여 실외기(100a)로부터 제 3 냉방밸브에 대한 개방 요청이 수신되면 분배기 제어부(355a)는 실외기(100a)로 밸브 개방 요청 수신 신호를 실외기(100a)에 전송하도록 분배기 저장부(345a)를 제어하고, 제 3 냉방밸브를 개방하도록 분배기 구동부(335a)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open request for the third cooling valve is received from the outdoor unit 100a through the distributor storage unit 345a, the distributor control unit 355a transmits a valve opening request reception signal to the outdoor unit 100a The distributor driving unit 335a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distributor storage unit 345a to transfer and open the third cooling valve.

이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As described above, each configuration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이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 10a)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10, 1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9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제어 방법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410),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415), 실외평균온도를 이용해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420),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430) 및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43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410 of sensing an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 step 415 of calculating an outdoor average temperature using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Determining (420) a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us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determining (430)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a target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room temperature reaches a target temperature Gt; 435 < / RTI >

보다 상세하게, 먼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실외기 온도검출부(170)는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실외 온도 데이터를 수집한다(410).More specifically, a step of sensing the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set period of time is first performed.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or 170 collects outdoor temperature data for a preset period of time (410).

미리 설정된 기간은 일수 단위로 설정된 기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10) 내에 미리 프로그램화된 단위로 설정된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미리 설정된 기간은 일수 단위로 설정되며, 그 기간이 일주일로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predetermined period may include a period set in units of days, and may include a period set in advance in the air conditioner 10 in a programmed uni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redetermined period is set in units of days, and the period is set to one week.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실외 온도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되면,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415).When collection of the outdoor temperature data is complet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using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is performed (415).

실외 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과정은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은 전날의 실외평균온도와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에 가중지수를 적용해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지수 적용 시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에 더 큰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may include calculating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Calculating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mean temperature may include calculating the weighted exponent on the outdoor mean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and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mean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Here, when the weighted exponent is applied, a larger weight can be applied to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는 일주일동안 감지된 실외 온도에 가중 지수를 적용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중 지수 직용 시 과거의 실외온도일수록 더 작은 가중 지수를 적용할 수 있다.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can be calculated by applying a weighted index to the outdoor temperature sensed for a week. Here, when the weighted exponent is used, a smaller weighted index can be applied to the outdoor temperature of the past.

예를 들어, 실외평균온도 산출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수식 1 내지 수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calculation process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to (2).

수식 1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식 1은 일 예에 따른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과정이고, 수식 2는 일 예에 따른 당일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Equation 1 is a process of calculating an exponential weighted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according to an example, and Equation 2 is a process of calculating an exponential weighted mean outdoor temperature of the day according to an example.

수식 1에서 T_rm(n-1)은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2)은 이틀 전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3)은 삼일 전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4)는 사일 전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5)는 오일 전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6)은 육일 전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7)은 칠일 전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8)은 팔일 전의 실외평균온도이다. (N-1) is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T_e (n-2) is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two days before, T_e (N-7) is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before the fourth day, T_e (n-5) is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before the oil, T_e Temperature, and T_e (n-8) is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before eight days.

수식 1에서, 실외평균온도에 곱해진 1, 0.8. 0.6, 0.5, 0.4, 0.3 및 0.2은 각각 실외평균온도에 대한 가중 지수의 예로, 수식 1을 참조하면 과거의 실외평균온도일수록 더 낮은 가중 지수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과거의 실외평균온도일수록 현재의 실외평균온도를 예측하는데 더 낮은 영향을 가지기 때문이다.In Equation 1,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is multiplied by 1, 0.8. 0.6, 0.5, 0.4, 0.3, and 0.2 are examples of weighting indices for outdoor mean temperatures, respectively. Referring to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a lower weighting index is applied to the past outdoor average temperature. This is because the past outdoor average temperature has a lower impact on predicting the current outdoor average temperature.

수식 2에서 T_rm(n)은 당일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이고, T_e(n-1)은 전날의 실외평균온도이고, T_rm(n-1)은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이고, 1-α_rm , α_rm은 각각 전날의 실외평균온도와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의 가중 지수이다.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는 전날을 기준으로 그 전 일주일 동안의 외기평균온도가 가중 평균된 온도로 일주일 동안의 외기평균온도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α_rm은 1-α_rm 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N-1) is an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day, T_e (n-1) is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T_rm , and α_rm are weighting indices of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and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respectively.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is preferably the weighted averag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temperature during the previous week based on the previous day, and it is preferable that α_rm has a value larger than 1-α_rm so as to sufficiently reflect the outdoor temperature average temperature for one week.

수식 1 및 수식 2를 참조하면, 전날을 기준으로 이틀 전부터 팔일 전의 실외평균온도를 수식 1에 대입해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T_rm(n-1))를 산출할 수 있다. 수식 1로 부터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T_rm(n-1))가 산출되면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T_rm(n-1)) 및 전날의 실외평균온도(T_e(n-1))를 수식 2에 대입해 당일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T_rm(n))를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s (1) and (2),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T_rm (n-1)) of the previous day can be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before the eighth day from the previous two days into the equation (N-1)) of the previous day and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T_e (n-1)) of the previous day are calculated when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T_rm ) To the equation (2) to calculate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T_rm (n)) of the day.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가 산출되면, 산출된 실외평균온도를 이용해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420).When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is calculated using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a process of setting a target indoor temperature using the calcula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is performed (420).

실내의 목표 온도 설정 과정에서 공기조화기(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각각 다른 목표 온도 설정 모델이 적용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10)의 운전 모드는 냉방 모드, 난방 모드, 표준 모드, 에너지 절약 모드 및 쾌적 모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 1 온도계수, 제 2 온도 계수 및 습도 계수는 공기조화기(10)의 운전 모드에 따라 각각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수식 3 내지 8 외에 다른 수식이 적용될 수 있다. A different target temperature setting model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 is the cooling mode, the heating mode, the standard mode, Mode, and a comfortable mode. That is, the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and the humidity coefficient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 and other formulas other than the formulas 3 to 8 may be applied.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계수와 415 단계에서 산출된 전날의 실외평균온도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날의 실외평균온도는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T_rm(n-1))일 수 있다.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may include calculating and setting an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calculated in the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preset in step 415. Here,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may be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T_rm (n-1)).

실내의 목표 온도 설정 시 습도를 고려할 수 도 있으며, 습도를 고려할 경우 실내의 목표 온도 설정 과정은 미리 설정된 습도계수와 415 단계에서 산출된 전날의 실외평균온도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날의 실외평균온도는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T_rm(n-1))일 수 있다.In the case of considering the humidity, the target temperature setting process of the indoor unit may include calculating and setting the outdoor temperature average of the previous day calculated in the step 415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ygrometers. Here,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may be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T_rm (n-1)).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은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실내의 목표 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계수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may include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may include calculating and setting a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set in advance to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일 예에 따른, 실내의 목표 온도 및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수식 3 내지 수식 5로 나타낼 수 있다.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according to an example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to Equation 5.

수식 3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식 4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식 5Equation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식 3은 일 예에 따른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며, 수식 4 및 수식 5는 일 예에 따른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수식 4는 일 예에 따른 실내의 상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며, 수식 5는 일 예에 따른 실내의 하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Equation (3) is a process for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according to an example, and Equations (4) and (5) are processes for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range in the room according to an example. Equation (4) is a process for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of an upper limit value of a room according to an example. Equation (5) is a process for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of a lower limit value according to an example.

수식 3에서 T_com(n)은 실내의 목표 온도이고, T_rm(n)은 당일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이고, A 및 B는 제 1 온도계수의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A 및 B를 포함하는 제 1 온도계수는 운전 모드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In Equation 3, T_com (n) is the target indoor temperature, T_rm (n) is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day, and A and B are examples of the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including A and B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수식 4에서 T_com(n),max는 실내의 상한치 목표 온도이고, T_com(n)은 실내의 목표 온도이고, C는 제 2 온도계수의 예이다. 수식 5에서 T_com(n),min은 실내의 하한치 목표 온도이고, T_com(n)은 실내의 목표 온도이고, C는 제 2 온도계수의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C를 포함하는 제 2 온도계수는 운전 모드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In Equation 4, T_com (n), max is the indoor upper limit target temperature, T_com (n) is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and C is an exampl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In Equation 5, T_com (n), min is the lower limit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T_com (n) is the target indoor temperature, and C is an exampl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including C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수식 3을 참조하면, 당일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가 산출되면(수식 2 참조) 이를 제 1 온도 계수와 연산해 실내 목표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3, when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day is calculated (see Equation 2), it can be calculated by the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to set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수식 4 및 수식 5를 참조하면, 실내 목표 온도가 설정되면 설정된 실내 목표 온도에 제 2 온도계수 C를 더하는 연산 과정을 통해 실내의 상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제 2 온도계수 C를 빼는 연산 과정을 통해 실내의 하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Equations (4) and (5) can set an indoor upper limit value target temperature by a calculation process of adding a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C to a set indoor target temperature when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is set, and subtracting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C The lower limit target temperature can be set.

다른 예에 따른, 실내의 목표 온도 및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수식 6 내지 수식 8로 나타낼 수 있다.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may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6) to (8).

수식 6 Equation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수식 7Equation 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수식 8Equation 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수식 6은 일 예에 따른 실외 온도와 함께 실외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며, 수식 7 및 수식 8는 일 예에 따른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수식 7은 일 예에 따른 실내의 상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며, 수식 8는 일 예에 따른 실내의 하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Equation (6) is a process for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the outdoor humidity together with the outdoor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xample. Equations (7) and (8) are processes for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humidity. Equation (7) is a process for setting an upper limit target temperature of a room according to an example. Equation (8) is a process for setting a lower limit target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xample.

수식 6에서 T'_com(n)은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목표 온도이고, T_rm(n)은 당일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이고, RH_current는 실외의 상대 습도이고, A', B'은 제 1 온도계수의 예 이고, C'은 습도계수의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A', B' 및 C'은 운전 모드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T_rm (n) is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day, RH_current is the outdoor relative humidity, and A 'and B' are the outdoor temperature of the first thermometer Is an example of a number, and C 'is an example of a hygrometer number. As described above, A ', B' and C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수식 7에서 T'_com(n),max는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상한치 목표 온도이고, T'_com(n)은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목표 온도이고, D'은 제 2 온도계수의 예이다. 수식 8에서 T'_com(n),min은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하한치 목표 온도이고, T_com(n)은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목표 온도이고, D'은 제 2 온도계수의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D'은 운전 모드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In Equation 7, T'_com (n), max is the upper limit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humidity, T'_com (n) is the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humidity, and D 'is an exampl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In Equation 8, T'_com (n), min is the lower limit target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humidity, T_com (n) is the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humidity, and D 'is an exampl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As described above, D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수식 6을 참조하면, 당일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가 산출되면(수식 2 참조) 이를 제 1 온도 계수 A' 및 B'과 연산하고, 상대 습도를 습도계수 C'과 연산해 실내 목표 온도(T'_com(n))를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6, when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day is calculated (see Equation 2), it is calculated with the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s A 'and B', and the relative humidity is calculated with the hygrometer number C ' '_com (n)).

수식 7 및 수식 8을 참조하면, 실내 목표 온도(T'_com(n))가 설정되면 설정된 실내 목표 온도(T'_com(n))에 제 2 온도계수 D'을 더하는 연산 과정을 통해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상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제 2 온도계수 D'을 빼는 연산 과정을 통해 습도를 고려한 실내의 하한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s (7) and (8), when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T'_com (n) is set, the humidity is increased through the calculation process of adding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D 'to the set indoor target temperature T'_com It is possible to set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room in consideration and to set the lower limit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the humidity through the calculation process of subtracting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D '.

목표 온도가 설정되면, 실내기 온도검출부(235)에서 실내 온도가 검출된다(425).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set, the indoor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425).

실내 온도가 검출되면,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430).When the room temperature is detected,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may be performed (430).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조화기(10)의 운전 제어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the ope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air conditioner 10 may be terminated.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조화기(10)의 냉난방 운전 제어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435). 보다 상세하게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냉방 운전 모드로 운전 제어될 수 있으며,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난방 운전 모드로 운전 제어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om temperature has not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air conditioner 10 may be performed (435). More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om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in the cooling operation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om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in the heating operation mode.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조화기(10)의 운전 제어 과정이 종료될 수 있으며,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조화기(10)의 냉난방 운전 제어 과정이 수행된다. 이하,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관련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어하는 과정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the ope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air conditioner 10 may be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om temperature has not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A control process is performed. Hereinafter,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and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are not repeated.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 구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목표 온도 범위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목표 구간은 표준 구간, 에너지 절약 구간 및 쾌적 구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interval. That is,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one target section, and the target se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standard section, the energy-saving section, and the comfort section.

표준 구간은 에너지 절약 구간과 쾌적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이다. 에너지 절약 구간은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온도가 가장 높게 제어되는 구간으로 실내 온도를 가능한 한 높게 유지할 경우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는 바 이를 에너지 절약 구간으로 정의한다. 쾌적 구간은 목표 온도 범위 내에서 온도가 가장 낮게 제어되는 구간으로 실내 온도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할 경우 사용자가 느끼는 쾌적감이 향상되므로 이를 쾌적 구간으로 정의한다.The standard section is a section located between the energy saving section and the comfort section. The energy saving sec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to be the highest within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The energy saving section is defined as an energy saving section in which energy can be saved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maintained as high as possible. The comfort zone is a zon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to be the lowest within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maintained as low as possible, the comfort zone sensed by the user is improved.

냉난방 운전 제어 과정 수행 후 다시 실내기 온도검출부(235)를 통해 실내 온도를 검출하고,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425, 430).After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control process is performed, the indoor temperature is detected through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ion unit 23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temperature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the process can be terminated (Steps 425 and 430).

이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공기조화기(10)의 제어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widely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change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an ordinary technician.

다음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실내기(200a)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제어 방법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510),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515), 복수의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520),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525) 및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5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includ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a includes a step 510 of sensing an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 step 520 of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a, a step 525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and a step of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room temperatur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Step 530 may be included.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510) 및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515)는 도 9의 410 및 415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하 도 9의 410 및 415 단계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ep 510 of det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set period and the step 515 of calculat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using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eps 410 and 415 of FIG. 9, The description that is the same as the step is omitted.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수행 후, 실내기(200a)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520). 실내기(200a)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은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별도로 수행될 수 있으나,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과정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may be performed (520).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may be performed separate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is stored in advance, this process may not be performed.

멀티형 공기조화기(10a)는 복수의 실내기(200a)를 포함하며 각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에 따라 실내의 목표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실내의 목표 온도 설정 과정에 적용되는 모델 선정 시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본 과정의 존재 의의가 있다.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include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a, and it is necessary to set a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indoor unit 200a. It is preferable to consid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when selecting a model to be applied to the indoor temperature target setting process.

도 11은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의 구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artitioning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a)가 넓은 공간에 걸쳐 설치될 경우,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에 따라 실내 공간의 온도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간의 바깥쪽 구간인 외주부(S1)는 실내 공간의 안쪽 구간인 내주부(S2)에 비해 창문(610)의 개폐, 블라인드(615)의 설치 유무 등의 외부적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바, 외주부(S1)와 내주부(S2)를 구분해 실내 온도를 조절할 경우 일괄적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비해 에너지 절약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indoor unit 200a is installed over a wide space,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For exampl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S1, which is an outer section of the inner space, can be easi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opening / closing of the window 610 and the presence / absence of the blind 615 compar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S2,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dividing the outer peripheral part S1 and the inner peripheral part S2, the energy saving and the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door temperature is collectively controlled.

이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200a)의 위치 판단 과정은, 실내기(200a)가 외주부(S1)에 위치하는지 내주부(S2)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목표 온도 설정을 위한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의 구분은, 외주부(S1)와 내주부(S2)로 구분하는 것 외에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구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indoor unit 200a is locat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S1 or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S2. The divis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for setting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is not limited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S1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S2 but also includes a wide range It should be understood.

실내기(200a)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되면,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is performed, a process of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200a may be performed.

본 실시 예의 실내의 목표 온도 설정 과정에서는, 공기조화기(10a)의 운전 모드와 함께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목표 온도 설정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 1 온도계수, 제 2 온도 계수 및 습도 계수는 각각 공기조화기(10a)의 운전 모드 및 실내기(200a)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In the target temperature setting process of the indoor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ent target temperature setting model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a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That is, the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the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and the humidity coefficien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0a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200a.

실내의 목표 온도 설정 과정은 전술한 도 9의 420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in the roo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the step 420 of FIG. 9, and a duplic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각 실내기(200a)의 목표 온도가 설정되면, 설정된 목표 온도에 따라 각 실내기(200a)의 냉/난방 운전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실내 온도를 피드백 받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target temperature of each indoor unit 200a is set,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of each indoor unit 200a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 target temperature.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the control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nd may not include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indoor temperature by feedback.

이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a)의 제어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1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change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typical engineer.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실외 온도에 따라 실내 목표 온도를 설정할 경우 거둘 수 있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ffect of setting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실외 온도에 따른 쾌적 온도의 변화 양상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3은 실외 온도를 고려해 실내 목표 온도 설정 시 전력 소비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 1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comfortabl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and FIG. 1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power consumption when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utdoor temperature.

도 12의 가로축은 월 평균 실외 온도를 의미하고 도 12의 세로축은 쾌적 온도를 의미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월 평균 실외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끼는 실내 온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monthly averag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vertical axis of FIG. 12 represents the comfortable temperature. 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as the monthly average outdoor temperature increases, the room temperature at which the user feels comfortable is also increased.

즉, 실외 온도에 따라 실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일괄적으로 실내 온도를 특정 온도로 조절하는 경우에 비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That is, by controlling the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the energy can be sa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room temperature is controlled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a batch.

도 13의 그래프 1은 실외 온도가35 ℃인 경우 실내 온도 변화에 따른 전력소비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그래프 2는 실외 온도가 31 ℃인 경우 실내 온도 변화에 따른 전력소비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그래프 3은 실외 온도가 27 ℃인 경우 실내 온도 변화에 따른 전력소비량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그래프 4는 그래프 1 내지 3의 평균 양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Graph 1 of FIG. 1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room temperature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35 ° C, and a graph 2 shows a change in power consumption with changes in room temperature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31 ° C A graph 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 room temperature change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27 ° C, and a graph 4 is a graph showing an average pattern of the graphs 1 to 3.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외 온도에서 실내 목표 온도를 높게 설정할 경우 소비되는 전력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그래프 4를 참조하면 실내 온도를 4 ℃ 높게 설정할 경우 소비 전력이 31 %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13,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when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is set high at each outdoor temperature is reduced. In particular, referring to Graph 4,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set to 4 ° C, , Respectively.

요약하면, 도 12과 같이 실외 온도를 고려해 실내 목표 온도를 높게 설정할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In summary, when the indoor target temperature is set high in consideration of the outdoor temperature as shown in FIG. 12,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s shown in FIG.

지금까지, 적응 쾌적모델을 적용한 공기조화기(10, 10a)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공기조화기(10, 10a)의 제어 방법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Up to now,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s 10, 10a to which the adaptive comfort model is applied has been describe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s 10 and 10a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broadly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range within which the ordinary engineer can easily carry out the control.

10, 10a : 공기조화기
100, 100a : 실외기
110, 110a : 압축기
120, 120a : 실외 열교환기
130, 130a : 사방밸브
140, 140a : 실외 팽창밸브
150, 150a : 어큐뮬레이터
170 : 실외기 온도검출부
200, 200a : 실내기
210, 210a : 실내 열교환기
220, 220a : 실내 팽창밸브
235 : 실내기 온도검출부
300a : 분배기
400, 400a : 원격제어기
10, 10a: air conditioner
100, 100a: outdoor unit
110, 110a: compressor
120, 120a: outdoor heat exchanger
130, 130a: Four-way valve
140, 140a: outdoor expansion valve
150, 150a: accumulator
170: out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200, 200a: indoor unit
210, 210a: an indoor heat exchanger
220, 220a: Indoor expansion valve
235: indoor unit temperature detection unit
300a: distributor
400, 400a: remote controller

Claims (17)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실외평균온도를 이용해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Sensing an outdoor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lculating an outdoor average temperature using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Setting a target indoor temperature us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And
And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한 실외 온도를 이용해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using the detected outdoor temperature comprises:
And calculating an exponentially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은,
전날의 실외평균온도와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에 가중지수를 적용해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culating of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may be performed by,
Calculating an exponentially weighting outdoor average temperature by applying a weighting index to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and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에 더 큰 가중치를 적용해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calculating of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may be performed by,
And calculating an exponentially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by applying a larger weight to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날의 지수가중치 실외평균온도는,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감지된 실외 온도에 가중 지수를 적용해 산출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exponential weighted outdoor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vious day is
And calculating a weighting index to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ed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실외 온도에 가중 지수를 적용하는 것은,
과거의 외기온도일수록 더 작은 가중 지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pplying a weighting factor to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may include: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pplying a smaller weighting factor to the outside air temperature in the pas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제 1 온도 계수와 상기 실외평균온도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includes:
And calculating and setting a preset first temperature coefficient and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습도계수와 상기 실외평균온도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includes:
And calculating and setting a preset number of hygrometers and the outdoor average tempera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includes:
And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2 온도계수를 연산해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of the room may be performed by,
And calculating and setting a second temperature coefficient set in advance to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목표 온도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Wherein the target temperature is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는 냉방 모드, 난방 모드, 표준 모드, 에너지 절약 모드 및 쾌적 모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oling mode, a heating mode, a standard mode, an energy saving mode, and a comfortable m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에 실내기의 설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실내의 목표 온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includes:
Determin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door unit in the room, and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of the room differently according to an installed position of the indoor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실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room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실내의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냉난방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trolling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room has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and controlling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 범위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구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arget temperature range includes at least one target section.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구간은 표준 구간, 에너지 절약 구간 및 쾌적 구간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target section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a standard section, an energy saving section, and a comfort section.
KR1020140067882A 2014-06-03 2014-06-0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ctive KR102243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82A KR102243828B1 (en) 2014-06-03 2014-06-0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82A KR102243828B1 (en) 2014-06-03 2014-06-0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362A true KR20150139362A (en) 2015-12-11
KR102243828B1 KR102243828B1 (en) 2021-04-23

Family

ID=5502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82A Active KR102243828B1 (en) 2014-06-03 2014-06-0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82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1974A (en) * 2016-12-30 2017-06-06 山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One grow tobacco balance between thermostatic constant wet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EP3217110A1 (en) * 2016-02-18 2017-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WO2018031052A1 (en) * 2016-08-09 2018-02-15 Johnson Solid State, Llc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KR20180087813A (en)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524742A (en) * 2020-12-11 2021-03-1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Adjusting method,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655388A (en) * 2021-08-11 2021-11-16 苏州领湃新能源科技有限公司 Self-discharge monitoring and production control method of lithium ion batter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895A (en) * 1992-11-13 1994-06-22 이대원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ers
KR100187217B1 (en) * 1994-12-23 1999-05-01 김광호 Operation controller and method of air conditioner
JP2008232532A (en) * 2007-03-20 2008-10-02 Toshiba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90067743A (en) *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2057826A (en) * 2010-09-06 2012-03-22 Sharp Corp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KR101134988B1 (en) * 2011-08-24 2012-04-09 (주)와이앤지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ystem air-conditioner using motion detecting sensor
JP2012193945A (en) * 2011-02-28 2012-10-11 Sharp Corp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895A (en) * 1992-11-13 1994-06-22 이대원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ers
KR100187217B1 (en) * 1994-12-23 1999-05-01 김광호 Operation controller and method of air conditioner
JP2008232532A (en) * 2007-03-20 2008-10-02 Toshiba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90067743A (en) *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2057826A (en) * 2010-09-06 2012-03-22 Sharp Corp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JP2012193945A (en) * 2011-02-28 2012-10-11 Sharp Corp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134988B1 (en) * 2011-08-24 2012-04-09 (주)와이앤지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ystem air-conditioner using motion detecting sens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7110A1 (en) * 2016-02-18 2017-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10119720B2 (en) 2016-02-18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WO2018031052A1 (en) * 2016-08-09 2018-02-15 Johnson Solid State, Llc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CN106801974A (en) * 2016-12-30 2017-06-06 山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One grow tobacco balance between thermostatic constant wet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KR20180087813A (en)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524742A (en) * 2020-12-11 2021-03-1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Adjusting method,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3655388A (en) * 2021-08-11 2021-11-16 苏州领湃新能源科技有限公司 Self-discharge monitoring and production control method of lithium ion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828B1 (en)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84230B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fort temperature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or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24382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79926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ooling of buildings
JP6125104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19505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mand of multi-air conditioner
CA2678827C (en) Transition temperature adjustment user interfaces
JP5404556B2 (en)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nd refrigeration device control device
KR101649658B1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facility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cilities
US2009028166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20247748A1 (en) Air control system
KR20190002790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 of air conditioner
JP2013545071A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KR20170103562A (e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ing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42669A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facility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cilities
KR101929195B1 (en) Building control apparatus based on load prediction based on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CN105511272A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facil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220170659A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ir conditioner, and machine learning device
KR20120096722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298323B2 (en) Temperature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apparatus
CA305831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dicting energy usage
KR102032811B1 (en) Appratus and method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using removed heat capacity of refrigerator
JPH1194327A (en)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US20210096555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s of operation having a learning event
US20240318863A1 (en) Automated sweat prevention for climate control systems
JP2002228226A (en) Air conditioning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6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