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777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 pay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 pay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6777A KR20150136777A KR1020140064199A KR20140064199A KR20150136777A KR 20150136777 A KR20150136777 A KR 20150136777A KR 1020140064199 A KR1020140064199 A KR 1020140064199A KR 20140064199 A KR20140064199 A KR 20140064199A KR 20150136777 A KR20150136777 A KR 201501367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facility
- charging
- control module
- bil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비접촉 과금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장치는 유료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진입시 상기 시설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상기 단말에 과금하고,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 종료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는 과금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A non-contact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are disclosed. A noncontact b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using a paying facility; And charging the terminal with a chargeable maximum charge of the facility when the user enters the facili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ctivated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when the user uses the facility, And a billing control module for billing the differenc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단말을 이용한 결제 기술과 관련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ayment technolog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들어, 지하철 또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 이용시 현금이 아닌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의 전자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카드의 경우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위해 별도로 동전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교통수단의 종류에 관계 없이 하나의 전자 카드로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Recently,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subways or buses, electronic cards such as transportation cards and credit cards are used instead of cash. Such electronic cards are very convenient in that they do not need to prepare coins separately for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can be used with one electronic card regardless of the type of transportation means.
그러나 전자 카드의 경우 포인트-투-포인트 콘택트(Point-to-Point Contact) 방식으로서, 대중교통수단 이용시 탑승자가 직접 출입구에 마련된 단말기에 접촉하여 결제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특히 많은 수의 이용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는 출퇴근시간 등의 경우 혼잡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전자 카드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항상 전자 카드를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card, as a point-to-point contact metho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 passenger has to contact a terminal provided at a doorway and make settlement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means. In particular, And the commuting time when they were driven together at the same time. Further,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card system, the user always has to carry the electronic car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이용자가 대중교통수단을 탑승하는 것만으로도 과금이 가능한 비접촉 과금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noncontact billing technology capable of billing a user having a mobile terminal by simply carrying a public transporta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비접촉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의 부당한 요금 절감을 위한 악의적 전원 차단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malicious power cut-off in order to reduce unreasonable charges of a terminal in a contactless charging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료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진입시 상기 시설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상기 단말에 과금하고,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 종료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는 과금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using a paid facility; And charging the terminal with a chargeable maximum charge of the facility when the user enters the facili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ctivated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when the user uses the facility, A noncontact billing apparatus is provided that includes a billing control module for billing the difference.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단말 별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The billing control module may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nd may charge the terminals accor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의 맥어드레스 또는 유심(USIM)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or USIM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장치는, 상기 과금 제어 모듈과 연계하여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의 과금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과금 제어 모듈로 상기 단말의 과금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산 센터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ttlement center server that performs billing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billing control module in connection with the billing control module or provides information for charging the terminal to the billing control module .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요청 정보를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The billing control module may transmit to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billing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의 진입 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진입 시각, 진입 위치, 및 상기 시설의 식별 정보(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t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acility entry time, the entry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facility.
상기 정산 센터 서버는, 수신된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며,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ttlement center server compares the received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with a pre-stored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black list, and if the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And the billing control module may receive the bill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billing charge from the billing center server and transmit the billing result to the terminal.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며,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module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authenticates the terminal by compar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And transmit the charg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charging fee to the terminal.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시설에 진입한 상기 단말로부터 전원 오프(OFF)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를 상기 정산 센터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module may store the power off event in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when a power off event is detected from the terminal entering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전회의 상기 시설 이용 중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록된 단말이 상기 시설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module may transmit a warning message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n which the power off event has been recorded during the previous use of the facility has entered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시설에 진입한 단말 중 기록된 전원 오프 이벤트의 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추가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module may charge an additional charge to th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terminal whose number of recorded power off events exceeds the set number of times of the terminals entering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시설의 현재 위치에서의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을 갱신할 수 있다.Wherein the billing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exists in the facility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exists, The fee can be renewed.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이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상기 실제 이용 요금을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billing control module may provide the updated actual usage fee to the terminal when the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is updated.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시설 이용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지막으로 계산된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에 따른 차액을 상기 단말로 반환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oes not exist in the facilit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illing control module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terminated the use of the facility and calculate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ast calculated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료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상기 유료 시설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시설의 과금 과능한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설 이용을 종료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는 결제부를 포함하는 정산 센터 서버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using a paid facility enters the paid facility, it compares the terminal information held by the user with a pre-stored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black list A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And if the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charging the terminal to charge the maximum charge of the facility, and if the terminal terminates the use of the facility, A settlement center server including a settlement unit for settlement of a difference amount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에서, 유료 시설로 진입하는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과금 제어 모듈에서,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의하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진입시 상기 시설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상기 단말에 과금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 종료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ransmitting, in a transmitter,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held by a user entering a paid facility; Charging the terminal with a chargeable maximum charge of the facility at the time of entering the facility by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ctiva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y the activation signal 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And in the billing control module, a non-contact charg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age amount of the facility by the user at the end of utilization of the facility by the user.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arging the maximum rate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정산 센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charging the maximum rate comprises: generating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billing request information to a settlement center server; And receiving the charg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charging rate from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and transmitting the charging charging result to the terminal.
상기 정산 센터 서버는, 수신된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The settlement center server compares the received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with a pre-stored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black list, and if the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Lt; RTI ID = 0.0 > a < / RTI > maximum charge.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는,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arging the maximum charge includes: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Authenticating the terminal by compar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charging the maximum rate to th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the charg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rate charging to the terminal.
상기 방법은,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시설에 진입한 상기 단말로부터 전원 오프(OFF)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감지된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를 정산 센터 서버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a power off event from the terminal entering the facility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harging the maximum charge; And recording the power off event detected in the billing control module to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전회의 상기 시설 이용 중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록된 단말이 상기 시설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module may transmit a warning message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n which the power off event has been recorded during the previous use of the facility has entered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시설에 진입한 단말 중 기록된 전원 오프 이벤트의 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추가 요금을 과금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module may charge an additional charge to th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terminal whose number of recorded power off events exceeds the set number of times of the terminals entering the facility.
상기 방법은,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시설의 현재 위치에서의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을 갱신하는 단계; 및 갱신된 상기 실제 이용 요금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harging the maximum charge,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in the facility by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Updating the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exists; And providing the updated actual usage fee to the terminal.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이용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지막으로 계산된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에 따른 차액을 상기 단말로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oes not exist in the facility,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terminated the usage, and returning the differenc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ast calculated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이용자가 대중교통수단을 탑승하는 것만으로도 과금이 가능하며, 과금을 위해 이용자가 별도의 액션을 취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결제 과정에서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user who carries the mobile terminal by simply carry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and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take a separate action in order to charge the user,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시간당 결제 처리 속도가 종래 방식에 비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바, 대중교통수단 등에서 요금 결제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e of settlement processing per hour is drastical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so that congestion caused by bill settlement in public transportation means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비접촉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의 부당한 요금 절감을 위해 악의적으로 단말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terminal from malicious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terminal in order to reduce the unfair rate of the terminal in the contact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에서 단말(110)의 탑승 시 요금 과금 과정(2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에서 단말(110)의 탑승 시 요금 과금 과정(3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에서 단말의 요금 갱신 및 차액 반환 과정(4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에서의 대중교통수단 요금 결제 과정(5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단말(110)의 대중교통수단(106) 탑승 후 악의적으로 전원을 오프 차단한 경우의 처리 과정(6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정산 센터 서버(7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ee update process and a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ublic transporta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re intended only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 of a term includes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the expression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은 소정의 유료 이용 시설(facility), 예를 들어 버스나 지하철, 전차, 택시 등의 대중교통수단에 탑승한 이용자(승객)이 소지한 단말과의 통신을 통하여 해당 승객의 상기 시설 이용 요금을 과금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시설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택시 또는 버스 등 차내에서 과금이 이루어지는 모든 종류의 대중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극장, 또는 유료 통행로 등 요금의 과금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대중교통시설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은 송신기(102) 및 과금 제어 모듈(104)을 포함한다.As shown, the
송신기(102)는 대중교통수단(106)의 입구 부근에 설치되며, 대중교통수단(106)에 승차하는 승객(108)이 소지한 단말(110)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단말(11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 승객(108)이 휴대 가능하며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WiFi) 등 차량 내에 구비된 과금 제어 모듈(104)과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즉, 상기 활성화 신호는 단말(110)에 구비한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모듈의 기능을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102)는 대중교통수단(106)의 입구 방향으로 상기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한 단말(110)은 단말 내에 구비된 무선 통신 수단을 활성화한다. 또한, 단말(110)은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단말(110) 내에 설치된 과금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말(110)을 진동 모드로 변환함으로써 벨소리 등에 의해 타 승객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erminal 110 receiving the activation signal activ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provid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110 can execute billing-related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terminal 110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ion signal, and can prevent the terminal 110 from interfering with other passengers by ringing or the like by converting the terminal 110 into the vibration mode.
과금 제어 모듈(104)은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의하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단말(1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승객(108)의 승차시 대중교통수단(106)의 이용 요금을 과금한다. 구체적으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승객(108)의 승차시 대중교통수단(106)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단말(110)에 과금하고, 승객(108)의 하차시 상기 승객(108)의 대중교통수단(106)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과금 제어 모듈(104)은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의하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단말(1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신호에 따라 단말(110)을 소지한 승객(108)이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예를 들어 단말(110)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이 과금 제어 모듈(104)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과 페어링(pairing)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The
또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단말(110)의 존재를 정기적으로 탐지하며, 상기 탐지 결과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단말(110)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110)을 소지한 승객(110)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의 실내 전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신호 전달 범위(112)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전달 범위(112) 내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이 하차한 것으로(다시 말해, 해당 단말을 소지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단말(110)이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로부터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단말(110)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단말(110)의 맥어드레스, 또는 유심(USIM) 정보 등이 될 수 있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erminal 110 is boarded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06,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장치(100)는 정산 센터 서버(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산 센터 서버(114)는 대중교통수단(106)과는 별도의 위치에 구비되며, 과금 제어 모듈(104)과 무선 통신망(116)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116)은 예를 들어 LTE망, 3G망, 와이브로망 등 이동중인 대중교통수단(106) 내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일 실시예에서, 정산 센터 서버(114)는 과금 제어 모듈(104)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110)의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로부터 해당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및 해당 단말(110)의 탑승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정산 센터 서버(114)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탑승 정보는, 단말(110) (및 이를 소지한 승객(108))의 대중교통수단(106) 탑승 시각, 탑승 위치, 및 대중교통수단(106)의 식별 정보(Vehicle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정산 센터 서버(114)는, 과금 제어 모듈(104)로부터 상기 과금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Black List)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110)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판단 결과 단말(110)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에 상기 대중교통수단(106)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이에 따른 과금 결과를 과금 제어 모듈(104)로 송신한다. 그러면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정산 센터 서버(114)로부터 수신된 상기 과금 결과를 단말(110)로 전송하고, 단말(110)은 이를 단말(11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billing reques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일 실시예에서, 정산 센터 서버(114)는 과금 제어 모듈(104)로 과금을 위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과금은 과금 제어 모듈(104)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정산 센터 서버(114)로부터 단말(110)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110)을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110)의 블랙리스트 포함 여부, 또는 이전 탑승 시의 전원 오프 이벤트 발생 여부 등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후 단말(110)의 인증이 완료되면,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에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이를 수신하여 단말(11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In one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이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단말(110)에 대한 최대 요금 과금이 완료된 이후, 과금 제어 모듈(104)은 기 설정된 주기 별로 대중교통수단(106)을 이용 중인 단말(110)의 실제 이용 요금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특정 대중교통수단의 기본 요금이 1000원, 최대 이용 요금이 2000이고, 최초 탑승 후 5 정거장이 지난 이후부터 한 정거장마다 100원씩의 추가 요금이 가산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대중교통수단(106)을 탑승한 단말의 실제 요금은 해당 단말의 이동 거리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이 탑승 후 6 정거장을 이동한 다음 하차하였다고 가정하면, 해당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은 1000원에 100원의 추가 요금을 가산한 1100원이 된다. 따라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 내에서 인식되는 각 단말 별로 실제 이동 거리(또는 정거장 수) 및 이에 따른 실제 요금을 계속 업데이트하여 두었다가, 해당 단말이 차량 내에서 인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계산된 실제 요금을 청구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최초 승차 시 최대 요금을 미리 청구하였으므로, 하차 시점에서는 미리 청구된 최대 요금과 실제 요금과의 차액을 반환하게 된다.After the maximum rate charging for the terminal 110 boar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06 is completed, the charging
구체적으로, 과금 제어 모듈(104)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상기 단말(11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판단 결과 단말(110)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의 현재 위치에서의 상기 단말(110)의 실제 이용 요금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구비된 GPS 등의 위치 측정 장치로부터 대중교통수단(106)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단말(110)의 실제 이용 요금을 갱신할 수 있다. 요금이 갱신되면, 과금 제어 모듈(104)은 갱신된 상기 실제 이용 요금을 단말(110)로 제공함으로써 현재 위치에 따른 실시간 과금액을 승객(108)에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한편, 실시예에 따라 과금이 과금 제어 모듈(104)에서 이루어지지 않거나 하는 경우에는 과금 제어 모듈(104)에서 단말 별 실제 이용 요금을 직접 계산하지 않고, 이동 거리 (또는 이동한 정거장 수) 만을 기록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billing is not performed in the charging
한편, 만약 상기 판단 결과 단말(110)이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승객(108)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지막으로 계산된 단말(110)의 실제 이용 요금에 따른 차액을 상기 단말(110)로 반환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접적으로 단말(110)의 하차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교통수단(106) 내에서 더 이상 단말(110)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를 단말(110)의 하차로 간주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10 does not exist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06, the charging
구체적으로, 대중교통수단(106) 내에서 단말(110)이 더 이상 인식되지 않는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정산 센터 서버(114)로 단말(110)의 요금 정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정산 센터 서버(114)로 단말(110)의 마지막으로 인식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산 센터 서버(114)는 수신된 상기 마지막 위치 정보 및 기 수신된 승차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단말(110)의 실제 탑승 요금을 계산한 뒤, 기 과금된 최대 요금과 실제 탑승 요금간의 차액을 단말(110)로 반할 수 있다. The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의 마지막으로 인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단말(110)의 실제 요금을 정산 센터 서버(114)로 전송하고, 이에 따른 요금 정산(차액 반환)을 과금 제어 모듈(104)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과금 제어 모듈(104) 자체에서 단말(110)의 과금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과금 제어 모듈(104)에서 상기 실제 요금 계산 및 상기 차액 반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상기와 같이 차액의 정산이 완료되면, 단말(110)은 정산 센터 서버(114) 등으로부터 수신한 정산 완료 메시지에 따라 정산 완료 여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단말(110)은 이미 대중교통수단(106)에서 하차한 이후이므로, 상기 정산 완료 메시지는 별도의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단말(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단말(110)은 기 실행된 과금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단말(110)을 진동 모드에서 원래 상태로 환원한다.When the settlement of the difference amount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10 displays on the screen whether or not the settlement has been completed according to the settlement comple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은 별도의 센싱 모듈(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모듈(118)은 대중교통수단(106)의 입구측에 설치되며, 입구를 통해 탑승하는 승객(108)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금 제어 모듈(104)은 센싱 모듈(118)에서 승객(108) 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승객이 소지한 단말(110)을 통한 과금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대중교통수단(106)으로 탑승한 승객의 숫자와 과금이 완료된 단말의 숫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중교통수단(106)의 운전석(120) 등에 설치된 별도의 모니터링 모듈(122)을 통하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경우 단말(110)의 승차 시점에서 최대 요금이 과금되고, 이후 단말(110)의 실제 이동 거리에 따라 차액이 정산되도록 구성되는 바, 악의적인 승객의 경우 탑승 직후 단말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단말(110)이 마치 하차한 것처럼 가장하여 실제 이용 요금에 따른 차액보다 많은 금액을 환불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금 제어 모듈(104)은 상기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상기 단말(110)로부터 전원 오프(OFF)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를 정산 센터 서버(114)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charge is charged at the time of riding the terminal 110, and then the difference is settled according to the actual travel distance of the terminal 110, The terminal 110 may be turned off as soon as the terminal 110 is turned off and the terminal 110 may be refunded more tha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ctual usage fe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에 설치된 과금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단말(110)로부터 전원 버튼 누름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과금 제어 모듈(104)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버튼 누름 감지 이후 실제로 해당 단말(110)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 사용자에 의해 단말(110)의 전원이 강제적으로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단말(110)이 인식되지 않은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110)이 정류장이 아닌 곳에서 하차하거나, 또는 대중교통수단(106)이 움직이는 도중 하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도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정상적인 하차가 아닌 전원 오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만약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단말(110)에 대한 조회 결과 이전 회의 대중교통수단(106) 이용 중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록된 단말(110)이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해당 단말(110)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는 악의적으로 전원을 끈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나, 실제로 단말(110)의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전원 오프 이벤트의 회수가 기준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의 배터리를 잘 확인하라는 메시지만을 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110 on which the power off event is recorded during the previous us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06 is boarded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06 as a result of inquiry about the terminal 110 boar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06 The
그러나, 이와 달리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단말(110)의 기록된 전원 오프 이벤트의 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해당 단말(110)로 소정의 추가 요금을 과금함으로써 단말(110)의 악의적인 대중교통수단(106)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요금 및 상기 기준치는 대중교통수단(106)의 요금 정책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However, if the number of recorded power-off events of the terminal 110 on board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106 exceeds the preset numbe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에서 단말(110)의 탑승 시 요금 과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200)이다.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는 정산 센터 서버(114)에서 과금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FIG. 2 is a
단계 202에서, 송신기(102)는 대중교통수단(106)의 입구를 통하여 승차하는 승객(108)이 소지한 단말(110)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Wake-up signal)를 송신한다.In
단계 204에서, 단말(110)은 상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의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Active mode)로 전환한다. 이후 단계 206에서, 단말(110)은 기 설치된 과금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말(110)을 진동 모드로 변환한다.In
단계 208에서, 단말(110)은 과금을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과금 제어 모듈(104)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단말(110)의 맥어드레스, 또는 유심(USIM) 정보 등이 될 수 있다.In
단계 210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및 해당 단말(110)의 탑승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 212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생성된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정산 센터 서버(114)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탑승 정보는, 단말(110) 의 대중교통수단(106) 탑승 시각, 탑승 위치, 및 대중교통수단(106)의 식별 정보(Vehicle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단계 214에서, 정산 센터 서버(114)는 수신된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Black List)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110)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만약 상기 판단 결과 단말(110)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216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에 상기 대중교통수단(106)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단계 218에서 이에 따른 과금 결과를 과금 제어 모듈(104)로 송신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110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the
단계 220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정산 센터 서버(114)로부터 수신된 상기 과금 결과를 단말(110)로 전송하고, 단계 222에서 단말(110)은 이를 단말(11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In
한편, 만약 상기 214 단계의 판단 결과 단말(110)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전술한 모니터링 모듈(122) 등으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에서 단말(110)의 탑승 시 요금 과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00)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과금 제어 모듈(104)에서 과금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다.FIG. 3 is a
단계 302에서, 송신기(102)는 대중교통수단(106)의 입구를 통하여 승차하는 승객(108)이 소지한 단말(110)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신호(Wake-up signal)를 송신한다.In
단계 304에서, 단말(110)은 상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의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Active mode)로 전환한다. 이후 단계 306에서, 단말(110)은 기 설치된 과금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말(110)을 진동 모드로 변환한다.In
단계 308에서, 단말(110)은 과금을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과금 제어 모듈(104)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단말(110)의 맥어드레스, 또는 유심(USIM) 정보 등이 될 수 있다.In
단계 310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및 해당 단말(110)의 탑승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정보를 생성한다.In
단계 312에서 정산 센터 서버(114) 단말(110)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과금 제어 모듈(104)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110)의 블랙리스트 포함 여부, 또는 이전 탑승 시의 전원 오프 이벤트 발생 여부 등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And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of the
단계 314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에 따라 단말(110)을 인증하고, 이후 단계 316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인증이 완료된 단말(110)에 최대 요금을 과금한다.In
단계 318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단말(110)로 전송하고, 단계 320에서 단말(110)은 이를 수신하여 단말(11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In
한편, 만약 상기 314 단계의 인증 결과 단말(110)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거나 하는 이유로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과금 제어 모듈(104)은 전술한 모니터링 모듈(122) 등으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uthentication fails due to the reason that the terminal 110 is included in the black list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i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과금 시스템(100)에서 단말의 요금 갱신 및 차액 반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00)이다.FIG. 4 is a
단계 402 및 단계 404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시간 간격은 과금 제어 모듈(104)에서 각 단말들의 요금을 갱신하기 위한 주기로서, 대중교통수단(106)의 이동 속도, 정류장 간격, 탑승 가능한 단말 수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30초에서 1분 사이의 값이 상기 시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만약 상기 404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설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경우, 단계 406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단말(11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로 기 설정된 존재 확인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110)로부터 상기 존재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단말(110)이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만약 상기 406 단계의 판단 결과 단말(110)이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408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위치한 GPS 모듈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이후 단계 410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획득된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110)의 대중교통수단(106) 이용 요금을 갱신하고, 단계 412에서 갱신된 요금을 단말(110)로 제공한다.Thereafter, in
한편, 만약 상기 406 단계의 판단 결과 단말(110)이 대중교통수단(106)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414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지막으로 갱신된 단말(110)의 요금과 기 과금된 최대 요금과의 차액을 정산한다. 이후 단계 416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요금 정산 결과를 단말(102)에 제공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수단 요금 결제 과정을 단말(110)의 관점에서 기술한 흐름도(500)이다.FIG. 5 is a
단계 502 및 504에서, 단말(110)은 무선 통신 기능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던 중, 탑승한 대중교통수단(106)에 구비된 송신기(102)로부터 활성화 신호(Wake-up signal)을 수신한다. In
단계 506에서, 단말(110)은 수신된 상기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In
단계 508에서, 단말(110)은 단말(110)은 기 설치된 과금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말(110)을 진동 모드로 변환한다.In
단계 510에서, 단말(110)은 과금을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과금 제어 모듈(104)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단말(110)의 맥어드레스, 또는 유심(USIM) 정보 등이 될 수 있다.In
단계 512에서, 단말(110)은 과금 제어 모듈(104)로부터 대중교통수단(106)의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수신하고, 단계 514에서 수신된 상기 과금 결과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In
단계 516에서, 단말(110)은 과금 제어 모듈(104)로부터 요금 갱신 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만약 상기 516단계에서 상기 요금 갱신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계 518에서 단말(110)은 수신된 갱신 요금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If the rate update information is received in
단계 520에서, 단말(110)은 대중교통수단(106) 하차에 따라 정산 센터 서버(114)로부터 요금 정산 결과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만약 상기 520 단계에서 상기 요금 정산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단계 522에서 단말(110)은 상기 요금 정산 결과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If the charge settlement result is received in
단계 524에서, 단말(110)은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재차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과금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한 뒤, 단말(110)을 진동 모드에서 원래 모드로 환원한다.
In
도 6은 단말(110)의 대중교통수단(106) 탑승 후 악의적으로 전원을 오프 차단한 경우의 처리 과정(6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단계 602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단말(110)의 전원 오프 이벤트를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단말(110)의 전원 오프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한 전원 오프 이벤트 감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단계 604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감지된 전원 오프 이벤트를 정산 센터 서버에 통지하여 이를 기록한다.In
단계 606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대중교통수단(106)에 탑승한 단말(110)에 대한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만약 상기 606 단계의 판단 결과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록된 단말이 탑승한 경우, 단계 608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해당 단말의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준 회수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만약 상기 608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단말의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준 회수 이내인 경우, 단계 610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해당 단말(110)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다.If it is determined in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608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단말의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준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단계 612에서 과금 제어 모듈(104)은 해당 단말(110)로 소정의 추가 요금을 과금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정산 센터 서버(7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산 센터 서버(700)는 판단부(702) 및 결제부(704)를 포함한다.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판단부(702)는 유료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상기 유료 시설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
결제부(704)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시설의 과금 과능한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설 이용을 종료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한다.
If the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on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local data file, a local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that are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media such as ROMs,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2: 송신기
104: 과금 제어 모듈
106: 대중교통수단
108: 승객
110: 단말
112: 과금 제어 모듈의 신호 전달 범위
114: 정산 센터 서버
116: 무선 통신망
118: 센싱 모듈
120: 운전석
122: 모니터링 모듈102: Transmitter
104: Charging control module
106: Public transportation
108: Passenger
110: terminal
112: Signal transfer range of charge control module
114: Settlement center server
116: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8: sensing module
120:
122: Monitoring module
Claims (25)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진입시 상기 시설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상기 단말에 과금하고,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 종료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는 과금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using a paid facility; And
Wherein the user charges a maximum chargeable charge of the facility when the user enters the facili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with the communication function activated and charges the terminal with the difference in charge based on the usage amount of the facility by the user And a charging control module for charging the non-contact charging module.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단말 별 과금을 수행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nd charges the terminals accor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의 맥어드레스 또는 유심(USIM)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C address or USIM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과금 제어 모듈과 연계하여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의 과금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과금 제어 모듈로 상기 단말의 과금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산 센터 서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ttlement center server that performs billing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billing control module in association with the billing control module or provides billing control module with information for billing the terminal, .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요청 정보를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 송신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illing control module transmits to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billing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단말의 진입 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진입 시각, 진입 위치, 및 상기 시설의 식별 정보(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acility entry time, the entry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the facility.
상기 정산 센터 서버는, 수신된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며,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compares the received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with a pre-stored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black list, and if the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To charge the maximum charge,
And the billing control module receives the bill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billing charge from the billing center server and transmits the billing result to the terminal.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며,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and compares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uthenticate the terminal,
And charges the maximum rate to th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and transmits the charg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rate charging to the terminal.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시설에 진입한 상기 단말로부터 전원 오프(OFF)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를 상기 정산 센터 서버에 저장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stores the power off event in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when a power off event is detected from the terminal entering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전회의 상기 시설 이용 중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록된 단말이 상기 시설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on which the power off event has been recorded during the previous use of the facility enters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시설에 진입한 단말 중 기록된 전원 오프 이벤트의 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추가 요금을 과금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charges an additional charge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terminal whose number of recorded power off events exceeds the set number of times of the terminals entering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시설의 현재 위치에서의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을 갱신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erminal exists in the facility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updates the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exists.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이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상기 실제 이용 요금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illing control module provides the updated actual usage fee to the terminal when the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is updated.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시설 이용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지막으로 계산된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에 따른 차액을 상기 단말로 반환하는, 비접촉 과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oes not exist in the facilit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illing control module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terminated the use of the facility and calculate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ast calculated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시설의 과금 과능한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시설 이용을 종료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는 결제부를 포함하는 정산 센터 서버.
A judging unit compa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held by the user with a pre-stored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black list, when the user using the paid facility enters the fee-based facility;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the terminal charges the maximum chargeable rate of the facility, and if the terminal terminates the use of the facility, And a settlement center server for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과금 제어 모듈에서,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의하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진입시 상기 시설의 과금 가능한 최대 요금을 상기 단말에 과금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 종료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시설 이용량에 따른 차액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Transmitting, in a transmitter, an activation signal for activ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carried by a user entering a paid facility;
Charging the terminal with a chargeable maximum charge of the facility at the time of entering the facility by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ctiva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y the activation signal 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And
And charging th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usage amount of the facility by the user at the end of utilization of the facility by the user in the billing control module.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charging the maximum charge further comprises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진입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정산 센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charging the maximum rate comprises:
Generating billing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billing request information to a settlement center server; And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from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an account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charge and transmitting the charge result to the terminal.
상기 정산 센터 서버는, 수신된 상기 과금 요청 정보를 기 저장된 블랙리스트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compares the received charging request information with a pre-stored black lis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included in the black list, and if the terminal is not included in the black list, And charging said maximum charge to said non-contact charging means.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는,
정산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고, 상기 최대 요금 과금에 따른 과금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charging the maximum rate comprises: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Authenticating the terminal by compar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arging the maximum rate to the terminal when authentication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the charging result according to the maximum rate charging to the terminal.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상기 시설에 진입한 상기 단말로부터 전원 오프(OFF)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감지된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를 정산 센터 서버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harging the maximum charge,
Detecting, 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a power off event from the terminal entering the facility;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 the billing control module, recording the detected power off event to the settlement center server.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전회의 상기 시설 이용 중 상기 전원 오프 이벤트가 기록된 단말이 상기 시설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transmits a warning message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n which the power off event has been recorded during the previous use of the facility enters the facility.
상기 과금 제어 모듈은, 상기 시설에 진입한 단말 중 기록된 전원 오프 이벤트의 회수가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로 추가 요금을 과금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module charges an additional charge to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terminal whose number of recorded power off events exceeds the set number of times of the terminals entering the facility.
상기 최대 요금을 과금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과금 제어 모듈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시설의 현재 위치에서의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을 갱신하는 단계; 및
갱신된 상기 실제 이용 요금을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harging the maximum charge,
Determining, by the charging control modul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exists in the facility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pdating the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exists; And
And providing the updated actual usage fee to the terminal.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시설 내에 상기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이용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지막으로 계산된 상기 단말의 실제 이용 요금에 따른 차액을 상기 단말로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과금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oes not exist in the facility,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terminated the usage, and returning the differenc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last calculated actual usage fee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Contactless charg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4199A KR20150136777A (en) | 2014-05-28 | 2014-05-28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 pay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4199A KR20150136777A (en) | 2014-05-28 | 2014-05-28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 pay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6777A true KR20150136777A (en) | 2015-12-08 |
Family
ID=5487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4199A Ceased KR20150136777A (en) | 2014-05-28 | 2014-05-28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 pay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6777A (en) |
-
2014
- 2014-05-28 KR KR1020140064199A patent/KR20150136777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78831B2 (en) | Connected toll pass | |
US9576306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or billing an individual in a vehicle | |
KR101761368B1 (en) | System for automatic parking fee payment | |
CN105389866A (en) |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access control system | |
CA2822333C (en) | Method for electronically processing a traffic offense and onboard-unit therefor | |
EP3335198A1 (en) | Mobile wireless payment and access | |
KR10153984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 |
KR20170115073A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ccess control system | |
US20210350341A1 (en) | Method for collecting transportation fare with location-based mobile onetime tickets | |
CN111462368A (en) | Subway station entering and exiting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computer equipment | |
KR20160084338A (en) | Intelligent public transpot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 |
JP3616050B2 (en) | Parking fee billing system | |
KR101853019B1 (en) | Traffic Fare Payment Method by Using Smart Terminal with Traffic card application and System thereof | |
KR20160105200A (en) | Public transport payment device and a method using a beacon | |
JP2013008294A (en) |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 therefor | |
KR20150076527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taceless payment system using the terminal and payment method thereof | |
KR20120087338A (en) | System And Method, Operating Control Center, and Portable Device For Automobile Insurance | |
KR20150076528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taceless payment system using the terminal and payment method thereof | |
KR20070080364A (en) | Taxi fare 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
KR20130104253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settling an toll account using an mobile phone | |
JP5932558B2 (en) | Station service system, automatic ticket gate and central management server | |
KR20160146467A (en) |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toll payment ser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
KR102271369B1 (en) | Traffic charge server and method for calculating traffic charge thereby | |
KR2015013677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 payment | |
KR101540362B1 (en) | System for high-pas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BU, and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9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