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361A -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6361A KR20150136361A KR1020140063761A KR20140063761A KR20150136361A KR 20150136361 A KR20150136361 A KR 20150136361A KR 1020140063761 A KR1020140063761 A KR 1020140063761A KR 20140063761 A KR20140063761 A KR 20140063761A KR 20150136361 A KR20150136361 A KR 201501363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case
- preform
- clamper
- conveying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2407 reform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은 설정크기 이하의 기하공차(진직도, 진원도 등)를 갖도록 중공형 원통체 형상의 모터 케이스가 정밀성형되어 품질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 구동시 모터 케이스와 로터 간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고,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단속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자동 이송되어 2차적으로 기하공차 교정성형되는 자동흐름생산 시스템의 제공으로 공정효율 증대와 생산성 향상이 도모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은 중공형 원통체 형상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단속적으로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와;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전방에 배치되고, 설정된 이동라인이 형성되어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로부터 단속적으로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이동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장치와; 이송장치의 이동라인 후단부에 배치되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공급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원형단면의 맨드릴과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금형이 구비되며, 맨드릴이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된 상태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금형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프레싱되도록 하는 교정용 프레스장치 및; 이송장치와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은 중공형 원통체 형상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단속적으로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와;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전방에 배치되고, 설정된 이동라인이 형성되어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로부터 단속적으로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이동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장치와; 이송장치의 이동라인 후단부에 배치되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공급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원형단면의 맨드릴과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금형이 구비되며, 맨드릴이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된 상태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금형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프레싱되도록 하는 교정용 프레스장치 및; 이송장치와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설정크기 이하의 기하공차(진직도, 진원도 등)를 갖도록 중공형 원통체 형상의 모터 케이스가 정밀성형되어 품질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 구동시 모터 케이스와 로터 간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고,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단속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자동 이송되어 2차적으로 기하공차 교정성형되는 자동흐름생산 시스템의 제공으로 공정효율 증대와 생산성 향상이 도모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제어기술의 보편화에 따라 모터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특히, 고정자로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회전자(전기자)로 코일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DC 모터는 기동 토크가 크고, 출력 효율이 양호하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어 자동차 및 각종 산업기계뿐만아니라 가전제품 및 완구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 1에서 보인 모터 케이스(1)는 DC 모터의 프레임내에서 자석을 고정하고, 플럭스(Flux)의 경로가 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는 부품이다. 물론, 이와 같은 모터 케이스(1)의 재질 및 형상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지지만, 모터 케이스(1)는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모터 케이스(1)는 평판의 플레이트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을 갖도록 프레스{특히, 블랭킹(blanking)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한 후, 이를 벤딩(vending){또는 라운딩(rounding)이라 한다}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사이징(sizing)하여 양단이 고정되고 진원으로 이루어지는 모터 케이스(1)를 형성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19972호 "치(齒)형끼워맞춤을 이용한 DC모터케이스"를 통해 블랭킹시 양단에 치(齒)형 구조를 형성하고, 벤딩시 이 치형구조에 의한 억지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벤딩 및 사이징 공정 후 발생되는 스프링백(springback)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양단을 용접할 필요없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모터 케이스의 제조를 위한 공정진행이 연속되지 않아 작업공수에 따른 작업인원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각 공정을 위한 기계설비가 별도로 이루어져 기계 및 부대설비에 필요한 소요면적이 크게 되며, 각 공정의 연결 및 진행이 작업자에 의해 진행되고 있어 생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0246호 "모터 케이스의 벤딩 및 사이징 공정을 위한 장치와, 그를 사용한 모터 케이스 자동 제조 시스템"을 안출하였다. 상기 "모터 케이스의 벤딩 및 사이징 공정을 위한 장치와, 그를 사용한 모터 케이스 자동 제조 시스템"은 벤딩 공정과 사이징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공정을 위한 장치를 적용하여 프레스 공정, 벤딩 공정 및, 사이징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제조장치의 단순화를 통해 작업시간의 단축과 공정의 단축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조장치의 집약화를 통해 설비에 소요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연속적인 플레이트가 일련의 자동 공정을 통해 모터 케이스로 형성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에 따른 생산효율의 저하 및 불량율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여기서 모터 케이스가 설정크기 이하의 기하공차(진직도, 진원도 등)를 갖도록 정밀성형되지 않을 경우 모터 구동시 모터 케이스와 로터 간 간섭이 발생되어 모터와 모터 케이스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기하공차 교정을 위한 성형공정이 수행되지 않아 모터 케이스의 성형정밀도를 높이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19972호 "치(齒)형끼워맞춤을 이용한 DC모터케이스"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0246호 "모터 케이스의 벤딩 및 사이징 공정을 위한 장치와, 그를 사용한 모터 케이스 자동 제조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가공된 모터 케이스가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맨드릴과 금형을 갖는 교정용 프레스장치에 의해 설정크기 이하의 기하공차(진직도, 진원도 등)를 갖도록 정밀성형되어 품질향상이 도모되는 동시에 모터 구동시 모터 케이스와 로터 간 간섭이 방지되고,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단속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이송장치에 의해 자동 이송되어 교정용 프레스장치를 통해 2차적으로 기하공차 교정성형되는 자동흐름생산 시스템의 제공으로 공정효율 증대와 생산성 향상이 도모되는 새로운 형태의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중공형 원통체 형상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단속적으로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와;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전방에 배치되고, 설정된 이동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로부터 단속적으로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라인 후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공급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원형단면의 맨드릴과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금형이 구비되며, 상기 맨드릴이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된 상태의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상기 금형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프레싱되도록 하는 교정용 프레스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와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서 상기 이송장치는 설정길이의 제1이동라인을 형성시키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 후단부에 교차되게 설치되고, 설정길이의 제2이동라인을 형성시키는 제2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배출되는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의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보다 낮게 형성되는 상기 제1이송 컨베이이어의 선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슬라이딩 하강하여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로 단속 공급되는 슈트와;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와 제2이송 컨베이어의 교차 부위에 설치되고, 이동가능한 제1클램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 후단부로 이동한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제1공급장치와; 상기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금형 전방 부위에 설치되고, 이동가능한 제2클램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 후단부에 위치한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상기 금형의 분리되어 있는 상형과 하형 사이로 공급하는 제2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은 설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의 설정 지점에 적체되어 있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슈트 후단부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슈트로부터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예비성형품 배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센서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 검출시 상기 예비성형품 배출기를 구동시켜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의 외부 배출이 유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서 상기 검출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설치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적외선 센서이고, 상기 예비성형품 배출기는 상기 제1이동라인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배출용 실린더와; 상기 배출용 실린더의 로드(rod) 끝단부에 결합되는 푸쉬편과; 상기 배출용 실린더 반대편의 상기 제1이동라인 타측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 안내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서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의 직경(D)보다 작은 좌우 이격거리(d)로 배치되어 무한궤도 구조로 이동하는 한쌍의 체인을 구비하는 체인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상기 한쌍의 체인 사이에 놓이면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의 직경(D)보다 작은 전후 이격거리(d')로 배치되어 무한궤도 구조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서로 이웃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에 놓이면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서 상기 제1공급장치는 서로간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한쌍의 핑거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착탈가능하게 클램핑하게 되는 제1클램퍼와; 상기 제1클램퍼가 결합되는 로드(rod)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클램퍼용 실린더와; 상기 제1클램퍼용 실린더가 고정되는 제1이동블록과; 상기 제1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송레일과; 상기 제1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로드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이동블록이 상기 제1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1이동블록용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서 상기 제2공급장치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 후단부의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과 상기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금형에 놓인 모터 케이스 교정품을 착탈가능하게 클램핑하게 되는 한쌍의 제2클램퍼와; 상기 한쌍의 제2클램퍼가 결합되는 로드(rod)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와; 상기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가 결합되는 로드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와; 상기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가 고정되는 제2이동블록과; 상기 제2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송레일과; 상기 제2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로드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이동블록이 상기 제2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2이동블록용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서 상기 교정용 프레스장치는 몸체프레임에 고정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가공된 반원형 단면의 교정홈을 갖는 하형과; 상기 하형 상측에 수직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가공된 반원형 단면의 교정홈을 갖는 상형과; 상기 상형을 수직이동시키는 상형 이송기구와; 상기 하형과 상형의 후방에 설치되는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전후이동하는 맨드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에 의하면,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가공된 모터 케이스가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맨드릴과 금형을 갖는 교정용 프레스장치에 의해 설정크기 이하의 기하공차(진직도, 진원도 등)를 갖도록 정밀성형되므로, 품질이 향상되고 모터 구동시 모터 케이스와 로터 간 간섭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단속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이송장치에 의해 자동 이송되어 교정용 프레스장치를 통해 2차적으로 기하공차 교정성형되는 자동흐름생산 시스템의 제공으로 공정효율이 증대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된 모터 케이스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의 전체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급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급장치를 이루는 제1클램퍼와 제1클램퍼용 실린더의 조립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와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센서와 예비성형품 배출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성형품 배출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센서와 예비성형품 배출기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의 전체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급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급장치를 이루는 제1클램퍼와 제1클램퍼용 실린더의 조립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와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센서와 예비성형품 배출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주요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성형품 배출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센서와 예비성형품 배출기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모터 케이스,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이송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공유압 실린더, 금형, 맨드릴, 적외선 센서, 발광소자, 수광소자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100)은 도 2에서와 같이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 이송장치(20), 교정용 프레스장치(30), 제어장치(40)를 포함한다.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는 도 1과 같은 중공형 원통체 형상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을 단속적으로 가공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로는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50246호 "모터 케이스의 벤딩 및 사이징 공정을 위한 장치와, 그를 사용한 모터 케이스 자동 제조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는 모터 케이스 자동 제조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전방으로 배출되는 배출구(11)가 설정높이 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송장치(20)는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정된 이동라인(20a)(20b)이 형성되어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로부터 단속적으로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이송장치(20)의 이동라인(20a)(20b)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는 슈트(chute)(21), 제1이송 컨베이어(22), 제2이송 컨베이어(23), 제1공급장치(24), 제2공급장치(25), 검출센서(50), 예비성형품 배출기(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슈트(21)는 도 3에서와 같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의 배출구(11)와, 배출구(11)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1이송 컨베이어(22)의 선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슬라이딩 하강하여 제1이송 컨베이어(22)로 단속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슈트(21)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하부 안내바(211)와, 서로 이격된 한쌍의 측방 안내바(212)로 이루어진다.
제1이송 컨베이어(22)는 설정길이의 제1이동라인(20a)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 컨베이어(22)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의 직경(D)보다 작은 좌우 이격거리(d)로 배치되어 무한궤도 구조로 이동하는 한쌍의 체인(221)을 구비하는 체인 컨베이어(22')로 이루어져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한쌍의 체인(221) 사이에 놓이면서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 컨베이어(22)는 한쌍의 체인(221)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되는 제1본체프레임(222)과 제1본체프레임(222)이 고정지지되는 다수의 제1지지대(223)를 포함하는데, 다수의 제1지지대(223)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고정프레임(224) 상면에 고정된다.
제2이송 컨베이어(23)는 설정길이의 제2이동라인(20b)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제1이송 컨베이어(22) 후단부에 교차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1이송 컨베이어(22)와 제2이송 컨베이어(23)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도 2의 "C"에서와 같이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의 배치방향 전환없이 제1이송 컨베이어(22)에서 제2이송 컨베이어(23)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 컨베이어(23)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의 직경(D)보다 작은 전후 이격거리(d')로 배치되어 무한궤도 구조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231)를 구비하는 롤러 컨베이어(23')로 이루어져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쌍의 롤러(231) 사이에 놓이면서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 컨베이어(23)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23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가 설치되는 제2본체프레임(232)과 제2본체프레임(232)이 고정지지되는 제2고정프레임(233)을 포함한다.
제1공급장치(24)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제1이송 컨베이어(22)와 제2이송 컨베이어(23)의 교차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가능한 제1클램퍼(241)가 구비되어 제1이송 컨베이어(22) 후단부로 이동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을 제2이송 컨베이어(23)로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급장치(24)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클램퍼(241), 제1클램퍼용 실린더(242), 제1이동블록(243), 제1이송레일(244), 제1이동블록용 실린더(24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클램퍼(241)는 서로간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한쌍의 핑거(2411)가 구비되어 도 6의 (a)에서와 같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을 착탈가능하게 클램핑하게 된다. 핑거(2411)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플라스틱 소재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클램퍼용 실린더(242)는 제1클램퍼(241)가 결합되는 로드(rod)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제1클램퍼용 실린더(242)의 로드에 고정된 제1연결편(246)과 제1클램퍼(241)의 본체에 고정된 제2연결편(247)이 서로 결합되면서 제1클램퍼(241)가 제1클램퍼용 실린더(242)의 로드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클램퍼용 실린더(242)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제1클램퍼(241)를 수직이동시키게 된다. 제1이동블록(243)은 제1클램퍼용 실린더(242)가 고정되는 블록이다. 제1이송레일(244)은 제1이송 컨베이어(22)의 제1이동라인(20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제1이동블록(243)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이송레일(244)은 제1고정프레임(224)의 상면에 고정된 다수의 제1고정대(249)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판(248)에 설치된다. 제1이동블록용 실린더(245)는 제1이동블록(243)이 결합되는 로드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고정판(248)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1이동블록용 실린더(245)는 도 5에서와 같이 로드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제1이동블록(243)이 제1이송레일(244)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제1클램퍼(241)의 수평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제2공급장치(25)는 도 2에서와 같이 교정용 프레스장치(30)의 금형(31) 전방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가능한 제2클램퍼(251)가 구비되어 제2이송 컨베이어(23) 후단부에 위치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을 금형(31)의 분리되어 있는 상형(31b)과 하형(31a) 사이로 공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25)는 도 7의 (a)와 (b)에서와 같이 한쌍의 제2클램퍼(251),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253), 제2이동블록(254), 제2이송레일(255), 제2이동블록용 실린더(256)를 포함한다.
한쌍의 제2클램퍼(251)는 도 8의 (a)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제2이송 컨베이어(23) 후단부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과, 교정용 프레스장치(30)의 금형(31)에 놓인 모터 케이스 교정품(2)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클램핑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b)에서와 같이 일측 제2클램퍼(251)에 의해 클램핑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는 이동하여 교정용 프레스장치(30)의 금형(31)에 놓이게 되고, 타측 제2클램퍼(251)에 의해 클램핑된 모터 케이스 교정품(2)은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제2클램퍼(251)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클램퍼(251)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과 모터 케이스 교정품(2)의 원통체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형 요홈(2511)이 형성되 하부면을 갖는 블록형 전자석체(25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블록형 전자석체(251')는 온(ON) 동작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과 모터 케이스 교정품(2)을 클램핑하게 되고, 오프(OFF) 동작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과 모터 케이스 교정품(2)을 언클램핑하게 된다.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는 한쌍의 제2클램퍼(251)가 결합되는 로드(rod)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는 로드 끝단에 고정되는 연결편(2521)을 매개로 제2클램퍼(251)와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25)는 수평 고정판(257)에 고정되는 한쌍의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 양측으로 지지봉(258)이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연결편(2521)에 고정되고, 각 지지봉(258)은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 양측에 고정된 지지봉 고정블록(259)에 관통삽입되어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의 로드 전후진시 연결편(2521)과 일체로 이동하면서 연결편(2521)의 이동을 안정화시킨다. 이와 같은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는 제2클램퍼(251)의 전후진 수평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253)는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가 결합되는 로드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25)는 한쌍의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252)가 고정된 수평 고정판(257) 하측에 한쌍의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253)가 이격 배치되어 한쌍의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253)이 로드가 수평 고정판(257) 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253)는 제2클램퍼(251)의 상하 수직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제2이동블록(254)은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253)가 고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장치(25)는 한쌍의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253) 하측에 제2이동블록(254)이 배치되도록 한다. 제2이송레일(255)은 제2이송 컨베이어(23)의 제2이동라인(20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제2이송 컨베이어(23)의 후단부와 교정용 프레스장치(30)의 금형(31) 사이에서 제2이송 컨베이어(23)의 후단부와 교정용 프레스장치(30)의 금형(31)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이송레일(255)에 제2이동블록(254)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이동블록용 실린더(256)는 제2이동블록(254)이 결합되는 로드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로드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제2이동블록(254)이 제2이송레일(255)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제2클램퍼(251)의 좌우 수평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검출센서(5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설정위치에 설치되어 제1이송 컨베이어(22)의 설정 지점에 적체되어 있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을 검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센서(50)로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설치되는 발광소자(50a)와 수광소자(50b)로 이루어진 적외선 센서(50')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검출센서(50)는 슈트(21)로부터 제1이송 컨베이어(22)로 연속 공급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제2이송 컨베이어(23)로 전달되지 못하고 도 11에서와 같이 제1이송 컨베이어(22)의 제1이동라인(20a) 상에 적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게 된다.
예비성형품 배출기(6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슈트(21) 후단부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슈트(21)로부터 제1이송 컨베이어(22)로 공급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예비성형품 배출기(60)는 검출센서(50)로부터 슈트(21)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예비성형품 배출기(60)는 검출센서(50)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 검출시 제어장치(40)에 의해 구동되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의 외부 배출이 유도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성형품 배출기(60)는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배출용 실린더(61), 푸쉬편(62), 배출 안내판(6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배출용 실린더(61)는 제1이동라인(20a) 일측 지점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배출용 실린더(61) 일측으로 안내봉(64)이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푸쉬편(62)에 고정되고, 안내봉(64)은 배출용 실린더(61) 일측에 고정된 안내봉 고정블록(65)에 관통삽입되어 배출용 실린더(61)의 로드 전후진시 푸쉬편(62)과 일체로 이동하면서 푸쉬편(62)의 이동을 안정화시킨다. 여기서 배출용 실린더(61)는 제1이송 컨베이어(22)의 측면에 고정브래킷(66)에 의해 고정된다. 푸쉬편(62)은 배출용 실린더(61)의 로드(rod) 끝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제1이송 컨베이어(22)의 제1이동라인(20a)을 따라 이동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을 배출 안내판(63) 측으로 밀어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쉬편(62)은 제1이동라인(20a)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고정단(62a)과 제1이동라인(20a)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푸쉬단(62b)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푸쉬편(62)의 이동에 의해 배출되고 있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 후측에서 제1이동라인(20a)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도 푸쉬편(62)의 경사진 푸쉬단(62b)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출 안내판(63)은 배출용 실린더(61) 반대편의 제1이동라인(20a) 타측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은 배출 안내판(63)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교정용 프레스장치(30)는 이송장치(20)의 이동라인(20a)(20b) 후단부에 배치되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공급되는 것으로, 도 13에서와 같이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원형단면의 맨드릴(32)과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금형(3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교정용 프레스장치(30)는 도 14에서와 같이 맨드릴(32)이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된 상태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금형(31)의 상형(31b)과 하형(31a) 사이에서 프레싱되면서 설정크기 이하의 기하공차(진직도, 진원도 등)를 갖는 모터 케이스 교정품(2)으로 정밀성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프레스장치(30)는 몸체프레임에 고정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가공된 반원형 단면의 교정홈(311)을 갖는 하형(31a),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가공된 반원형 단면의 교정홈(311)을 가지는 것으로 하형(31a) 상측에 수직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상형(31b), 상형(31b)을 수직이동시키는 상형 이송기구(34), 하형(31a)과 상형(31b)의 후방에 설치되는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33),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33)의 로드에 결합되어 전후이동하는 맨드릴(3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형(31a)은 교정홈(311) 양측으로 안내홈(313)을 형성하고, 상형(31b)은 안내홈(313)에 대응하는 안내돌기(312)를 형성하는데, 이는 상형(31b) 하강시 안내돌기(312)가 안내홈(313)에 끼워지면서 하형(31a)과 상형(31b)이 정확하게 맞물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모터 케이스 교정품(2)으로 정밀성형된다.
제어장치(40)는 이송장치(20), 교정용 프레스장치(30), 예비성형품 배출기(6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100)은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가공된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맨드릴(32)과 금형(31)을 갖는 교정용 프레스장치(30)에 의해 설정크기 이하의 기하공차(진직도, 진원도 등)를 갖도록 정밀성형되어 품질향상이 도모되는 동시에 모터 구동시 모터 케이스와 로터 간 간섭이 방지되고,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10)에 의해 1차적으로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단속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1)이 이송장치(20)에 의해 자동 이송되어 교정용 프레스장치(30)를 통해 2차적으로 기하공차 교정성형되는 자동흐름생산 시스템의 제공으로 공정효율 증대와 생산성 향상이 도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
2 : 모터 케이스 교정품
10 :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11 : 배출구
20 : 이송장치 20a : 제1이동라인
20b : 제2이동라인 21 : 슈트
211 : 하부 안내바 212 : 측방 안내바
22 : 제1이송 컨베이어 22' : 체인 컨베이어
221 : 체인 222 : 제1본체프레임
223 : 제1지지대 224 : 제1고정프레임
23 : 제2이송 컨베이어 23' : 롤러 컨베이어
231 : 롤러 232 : 제2본체프레임
233 : 제2고정프레임 24 : 제1공급장치
241 : 제1클램퍼 2411 : 핑거
242 : 제1클램퍼용 실린더 243 : 제1이동블록
244 : 제1이송레일 245 : 제1이동블록용 실린더
246 : 제1연결편 247 : 제2연결편
248 : 고정판 249 : 제1고정대
25 : 제2공급장치 251 : 제2클램퍼
251' : 블록형 전자석체 2511 : 반원형 요홈
252 :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 2521 : 연결편
253 :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 254 : 제2이동블록
255 : 제2이송레일 256 : 제2이동블록용 실린더
257 : 수평 고정판 258 : 지지봉
259 : 지지봉 고정블록 30 : 교정용 프레스장치
31 : 금형 31a : 하형
31b : 상형 311 : 교정홈
312 : 안내돌기 313 : 안내홈
32 : 맨드릴 33 :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
34 : 상형 이송기구 40 : 제어장치
50 : 검출센서 50' : 적외선 센서
50a : 발광소자 50b : 수광소자
60 : 예비성형품 배출기 61 : 배출용 실린더
62 : 푸쉬편 62a : 고정단
62b : 푸쉬단 63 : 배출 안내판
64 : 안내봉 65 : 안내봉 고정블록
66 : 고정브래킷 100 : 모터 케이스 정밀성형장치
10 :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11 : 배출구
20 : 이송장치 20a : 제1이동라인
20b : 제2이동라인 21 : 슈트
211 : 하부 안내바 212 : 측방 안내바
22 : 제1이송 컨베이어 22' : 체인 컨베이어
221 : 체인 222 : 제1본체프레임
223 : 제1지지대 224 : 제1고정프레임
23 : 제2이송 컨베이어 23' : 롤러 컨베이어
231 : 롤러 232 : 제2본체프레임
233 : 제2고정프레임 24 : 제1공급장치
241 : 제1클램퍼 2411 : 핑거
242 : 제1클램퍼용 실린더 243 : 제1이동블록
244 : 제1이송레일 245 : 제1이동블록용 실린더
246 : 제1연결편 247 : 제2연결편
248 : 고정판 249 : 제1고정대
25 : 제2공급장치 251 : 제2클램퍼
251' : 블록형 전자석체 2511 : 반원형 요홈
252 :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 2521 : 연결편
253 :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 254 : 제2이동블록
255 : 제2이송레일 256 : 제2이동블록용 실린더
257 : 수평 고정판 258 : 지지봉
259 : 지지봉 고정블록 30 : 교정용 프레스장치
31 : 금형 31a : 하형
31b : 상형 311 : 교정홈
312 : 안내돌기 313 : 안내홈
32 : 맨드릴 33 :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
34 : 상형 이송기구 40 : 제어장치
50 : 검출센서 50' : 적외선 센서
50a : 발광소자 50b : 수광소자
60 : 예비성형품 배출기 61 : 배출용 실린더
62 : 푸쉬편 62a : 고정단
62b : 푸쉬단 63 : 배출 안내판
64 : 안내봉 65 : 안내봉 고정블록
66 : 고정브래킷 100 : 모터 케이스 정밀성형장치
Claims (8)
- 중공형 원통체 형상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단속적으로 가공되어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와;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 전방에 배치되고, 설정된 이동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로부터 단속적으로 배출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이동라인 후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공급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원형단면의 맨드릴과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금형이 구비되며, 상기 맨드릴이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된 상태의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상기 금형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프레싱되도록 하는 교정용 프레스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와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설정길이의 제1이동라인을 형성시키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 후단부에 교차되게 설치되고, 설정길이의 제2이동라인을 형성시키는 제2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배출되는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의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보다 낮게 형성되는 상기 제1이송 컨베이이어의 선단부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 케이스 성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슬라이딩 하강하여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로 단속 공급되는 슈트와;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와 제2이송 컨베이어의 교차 부위에 설치되고, 이동가능한 제1클램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 후단부로 이동한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제1공급장치와;
상기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금형 전방 부위에 설치되고, 이동가능한 제2클램퍼가 구비되어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 후단부에 위치한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상기 금형의 분리되어 있는 상형과 하형 사이로 공급하는 제2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설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의 설정 지점에 적체되어 있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슈트 후단부로부터 설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슈트로부터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예비성형품 배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센서의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 검출시 상기 예비성형품 배출기를 구동시켜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의 외부 배출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설치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적외선 센서이고,
상기 예비성형품 배출기는 상기 제1이동라인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배출용 실린더와; 상기 배출용 실린더의 로드(rod) 끝단부에 결합되는 푸쉬편과; 상기 배출용 실린더 반대편의 상기 제1이동라인 타측 지점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출 안내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의 직경(D)보다 작은 좌우 이격거리(d)로 배치되어 무한궤도 구조로 이동하는 한쌍의 체인을 구비하는 체인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상기 한쌍의 체인 사이에 놓이면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의 직경(D)보다 작은 전후 이격거리(d')로 배치되어 무한궤도 구조로 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이 서로 이웃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에 놓이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장치는 서로간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한쌍의 핑거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을 착탈가능하게 클램핑하게 되는 제1클램퍼와;
상기 제1클램퍼가 결합되는 로드(rod)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클램퍼용 실린더와;
상기 제1클램퍼용 실린더가 고정되는 제1이동블록과;
상기 제1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이송레일과;
상기 제1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로드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이동블록이 상기 제1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1이동블록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장치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 후단부의 상기 모터 케이스 예비성형품과 상기 교정용 프레스장치의 금형에 놓인 모터 케이스 교정품을 착탈가능하게 클램핑하게 되는 한쌍의 제2클램퍼와;
상기 한쌍의 제2클램퍼가 결합되는 로드(rod)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와;
상기 제2클램퍼용 수평실린더가 결합되는 로드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와;
상기 제2클램퍼용 수직실린더가 고정되는 제2이동블록과;
상기 제2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송레일과;
상기 제2이동블록이 결합되는 로드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이동블록이 상기 제2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제2이동블록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용 프레스장치는 몸체프레임에 고정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가공된 반원형 단면의 교정홈을 갖는 하형과;
상기 하형 상측에 수직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설정된 기하공차로 가공된 가공된 반원형 단면의 교정홈을 갖는 상형과;
상기 상형을 수직이동시키는 상형 이송기구와;
상기 하형과 상형의 후방에 설치되는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맨드릴 이송용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전후이동하는 맨드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761A KR20150136361A (ko) | 2014-05-27 | 2014-05-27 |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761A KR20150136361A (ko) | 2014-05-27 | 2014-05-27 |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6361A true KR20150136361A (ko) | 2015-12-07 |
Family
ID=5487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3761A KR20150136361A (ko) | 2014-05-27 | 2014-05-27 |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6361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861A (ko) * | 2016-10-13 | 2018-04-23 | 주식회사전우정밀 | 롤링공법과 이송공법을 연동한 롤링시스템 |
US10050522B2 (en) | 2015-02-15 | 2018-08-14 | Skyworks Solutions, Inc. | Interleaved dual output charge pump |
CN111585408A (zh) * | 2020-05-18 | 2020-08-25 | 南通大德电机有限公司 | 一种电机机壳组装设备的出料缓冲装置 |
CN111735394A (zh) * | 2020-07-27 | 2020-10-02 | 南京帝鼎数控科技有限公司 | 一种测量板材尺寸的结构 |
CN112589704A (zh) * | 2020-12-03 | 2021-04-02 | 宁波旭升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机壳体加工夹具 |
CN115276349A (zh) * | 2022-08-24 | 2022-11-01 | 南通慧晶机械科技有限公司 | 一种不锈钢电机壳体加工设备及工艺 |
-
2014
- 2014-05-27 KR KR1020140063761A patent/KR20150136361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50522B2 (en) | 2015-02-15 | 2018-08-14 | Skyworks Solutions, Inc. | Interleaved dual output charge pump |
US10523115B2 (en) | 2015-02-15 | 2019-12-31 | Skyworks Solutions, Inc. | Dual output charge pump |
KR20180040861A (ko) * | 2016-10-13 | 2018-04-23 | 주식회사전우정밀 | 롤링공법과 이송공법을 연동한 롤링시스템 |
CN111585408A (zh) * | 2020-05-18 | 2020-08-25 | 南通大德电机有限公司 | 一种电机机壳组装设备的出料缓冲装置 |
CN111735394A (zh) * | 2020-07-27 | 2020-10-02 | 南京帝鼎数控科技有限公司 | 一种测量板材尺寸的结构 |
CN112589704A (zh) * | 2020-12-03 | 2021-04-02 | 宁波旭升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机壳体加工夹具 |
CN115276349A (zh) * | 2022-08-24 | 2022-11-01 | 南通慧晶机械科技有限公司 | 一种不锈钢电机壳体加工设备及工艺 |
CN115276349B (zh) * | 2022-08-24 | 2023-10-10 | 南通慧晶机械科技有限公司 | 一种不锈钢电机壳体加工设备及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36361A (ko) | 모터 케이스의 사이징 인-아웃공급장치와 공정개선을 위한 자동흐름시스템 | |
JP6516288B2 (ja) | インモールド成形システム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 |
JP5869660B2 (ja) | 搬送装置 | |
KR101658454B1 (ko) | 봉재 자동 정렬 및 공급 장치 | |
CN105880639A (zh) | 一种管类双头倒角机 | |
KR100943532B1 (ko) | 철근 절단 및 절곡기의 4헤드-철근자동이송장치 | |
KR101263297B1 (ko) | 떠블헤드 와이어 밴딩머신 | |
JP2016132034A (ja) | スタックへの搬入積層装置 | |
KR20160147414A (ko) | 나사삽입장치 | |
CN110980223B (zh) | 一种继电器脚位自动整形机 | |
CN105856536A (zh) | 塑料吹瓶机自动分距进坯机构 | |
CA3121978C (en) | Multi-conveyor belt based insertion mechanism for pocketed coil springs | |
KR20160064822A (ko) | 광학렌즈의 컷팅장치 | |
KR101487166B1 (ko) | 텐덤 프레스 가공 시스템 및 금형교환방법 | |
US8376346B2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tacks composed of printed sheets | |
CN104646583A (zh) | 一种自动油压成型机械 | |
CN204471904U (zh) | 一种塑料套管成型装置 | |
CN205984504U (zh) | 活塞环自动退磁机 | |
JP6689228B2 (ja) | 角缶自動製造ライン用パネリング加工装置 | |
JP2020097490A (ja) | 成形される製品を前進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CN107771108A (zh) | 多工位往复式模具辊轧成形机器以及模坯图案化方法 | |
KR20150009279A (ko) | 몰딩 공급장치 | |
KR20170002832A (ko) | 사출성형품의 디버링 장치 | |
KR101665868B1 (ko) |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 |
CN109037107B (zh) | 一种半导体框架用打弯排片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