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849A - Supercooling apparatus for liquid beverage - Google Patents
Supercooling apparatus for liquid beve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4849A KR20150134849A KR1020140062196A KR20140062196A KR20150134849A KR 20150134849 A KR20150134849 A KR 20150134849A KR 1020140062196 A KR1020140062196 A KR 1020140062196A KR 20140062196 A KR20140062196 A KR 20140062196A KR 20150134849 A KR20150134849 A KR 201501348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chamber
- fan
- evaporator
- air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호 음료나 주류 등의 액체 음료를 액상인 상태로 응고점 이하로 과냉각시키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냉각실의 일측에 설치되며 냉각실의 공기를 과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증발기의 일측에 설치되며 증발기를 거쳐 과냉각된 냉기를 냉각실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가 제공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beverage / liquid cooling apparatus for supercooling a liquid beverage such as a beverage or a liquor in a liquid state to a freezing point or low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ooling chamber; An evapora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oling chamber for subcooling air in the cooling chamber; And a blowing fa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and supplying the cool air, which is supercooled through the evaporator, to the cooling cha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호 음료나 주류 등의 액체 음료를 액상인 상태로 응고점 이하로 과냉각시키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beverage / cooling device for supercooling a liquid beverage such as a beverage or a liquor in a liquid state to a freezing point or lower.
냉장고의 등장 이후로, 좀 더 시원하면서도 맛있는 음료를 맛보기 위한 사람들의 욕구는, 음료를 얼려서 아이스크림의 형태로 즐기기에 이르렀고, 더 나아가 음료와 아이스크림의 중간 형태로서 얼음 알갱이들과 음료를 섞어 슬러시(slushie)로 즐기는 것에까지 이르렀다.Since the advent of the refrigerator, the desire of people to enjoy a cooler and tasty drink has come to be enjoyed in the form of ice-cream by freezing the beverage, and furthermore, as an intermediate form of beverage and ice cream, a mixture of ice granules and beverage, ) To enjoy it.
이러한 슬러시는 얼음을 분쇄하여 음료수와 혼합하여 만드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슬러시는 얼음 알갱이가 매우 커서 먹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래의 음료가 희석되어 맛이 변질되는 문제가 있어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These slushes are made by crushing ice and mixing it with beverages. The resulting slush is not only inconvenient to eat because of its very large pellets of ice, but also has the problem that the original beverage is diluted and the taste is deteriorated over time.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not enough to make.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먹기에 부담스럽지 않게 균일하고 고운 빙정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희석의 염려가 없도록, 음료 자체를 동결되지 않은 상태로 그 빙점 이하로 과냉각시킨 후, 그 과냉각된 음료에 빙핵을 가하거나 충격이나 진동을 가하여 동결시킴으로써 슬러시를 만드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such people, the beverage itself is subcooled below its freezing point so that there is no risk of dilution even though it is composed of uniform and fine ice crystal particles that are not burdensome to eat, A method of making a slush is known by adding ice to the beverage or by applying shock or vibration to freeze it.
그런데, 이러한 슬러시를 제조할 때에는, 음료를 빙점 이하에서 동결되지 않는 상태로 과냉각시켜야 하고, 또한 그러한 과냉각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However, when producing such a slush, it is necessary to supercool the beverage in a state where it is not frozen at a freezing point or lower, and to maintain such supercooled state continuously.
일반적으로, 물은 1기압 하에서 영하의 온도가 되면 얼음으로 상변화가 일어나는데, 때에 따라서는 상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과냉각수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과냉각 상태는 얼음 상태일 때보다 더 높은 자유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불안정하다. 여기서 자유에너지란 어떤 화학 반응이 계속 진행할 때 유효한 일을 하는 에너지를 말하는데, 열역학 제2 법칙에 의해 모든 계는 에너지 수준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자유에너지의 관점에서도 화학 변화는 자유에너지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Generally, water undergoes a phase change to ice when the temperature is sub-zero below 1 atm, sometimes without phase change, but in the form of supercooled water. This supercooling state is relatively unstable because it has a higher free energy than in the ice state. Here, free energy refers to the energy that is effective when a chemical reaction continues. Since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has the property of moving from the higher energy side to the lower energy side, The free energy is going to decrease.
즉, 이처럼 물이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되지 않고 과냉각 상태로 있는 것을 열역학적으로 준안정 상태에 있다고 하는데, 불안정하지도 않지만 안정한 상태도 아니어서 외란(disturbance)이 가해질 경우 곧바로 좀 더 안정한 상태인 얼음의 상태로 상변화, 즉 동결되어 버린다. 이러한 이유로,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In other words, it is said that the water is in a quasi-stable state in which the water is not frozen at a subzero temperature but is in a supercooled state. It is not unstable but is not a stable state, so that when disturbance is applied, , That is, frozen. 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the supercooled state.
빙점을 기준으로 동결되지 않고 과냉각된 상태로 존재하는 온도의 범위를 과냉각도로서 정의하면, 실제에 있어서 물을 비롯한 음료들의 과냉각도는 이론적인 것과는 달리 매우 작다. 즉, 음료의 과냉각 상태가 유지되는 온도 범위는 매우 작고, 어느 정도 낮은 온도에서 곧바로 얼어버리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When the range of the supercooled state is defined as the supercooled degree without being frozen on the basis of the freezing point, in reality, the supercooling degree of beverages including water is very small, which is theoretical. That is, the temperature range in which the supercooled state of the beverage is maintained is very small, and it is empirically known that it freezes immediately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이와 같은 이유로, 일반적인 냉장고에서 음료를 과냉각하여 슬러시 음료를 만드는 것은 매우 힘든데, 왜냐하면 음료마다 제각각 그 성분에 따라 과냉각도가 다르고, 그 과냉각도를 알아낸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냉장고에서는 냉기의 공급이 일정치 않아 실내의 온도 변화 폭이 매우 커서 작은 과냉각도를 갖는 음료의 과냉각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 slush beverage by subcooling a beverage in a general refrigerator, because even if the supercooling degree differs according to each ingredient of each beverage and the degree of supercooling is obtained, Is so large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upercooled state of the beverage having a small supercooling degre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의 과냉각 상태를 안정적으로 구현하고 유지하기 위해, 음료를 보관하는 공간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실현시킬 수 있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beverage and cooling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n optimal state of a space for storing beverages in order to stably implement and maintain a supercooled state of bever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각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과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거쳐 과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refrigerator comprising: a body having a cooling chamber formed therein; A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opening / closing the cooling chamber; An evaporato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chamber for subcooling air in the cooling chamber; And a blowing fan installed on a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and supplying a cool air, which is supercooled through the evaporator, to the cooling cha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냉각실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덕트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덕트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증발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증발기 팬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ct fram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chamber so that at least one inlet port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bove the duct frame, An evaporator fan motor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덕트 프레임의 후단과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의 하부에 상기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duct frame and the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and the blowing fan may be installed below the spacing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은,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팬프레임과, 상기 팬프레임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블레이드팬과, 상기 팬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fan includes a fan frame coupled to the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fan-shaped fan A blade fan, and a driving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an frame and rotating the blade fa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팬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팬의 상측과 후방을 덮도록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frame may include a guide plate that is gently bent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lade fan.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팬은, 한 쌍의 원판과, 상기 한 쌍의 원판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fan may include a pair of discs and a plurality of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discs.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송풍팬은, 상기 블레이드팬의 외곽을 감싸고 일측에 송풍구가 형성되는 루버와, 상기 팬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fan further includes a louver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de fan and has a tuyer at one side thereof, and a rotation motor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fan frame to rotate the louver .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냉기의 풍향 조절을 위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otor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cool air.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각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과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거쳐 과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body having a cooling chamber formed therein; A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opening / closing the cooling chamber; An evaporato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chamber for subcooling air in the cooling chamber; And a blowing fan installed on a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and supplying a cool air, which is supercooled through the evaporator, to the cooling chamber.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에 의하면, 음료를 빙점 이하로 동결시키지 않고 과냉각할 수 있으며, 냉각실 전체에 과냉각된 냉기를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음료의 과냉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iquid beverage supercoo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an be supercooled without freezing below the freezing point, and the supercooled state of the beverage can be stably maintained by uniformly supplying the supercooled cool air to the entire cooling chamber.
또한, 필요시에는 과냉각된 냉기를 냉각실의 특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냉각실의 국부적인 온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necessary, the supercooled cool air is concentratedly su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cooling cha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cope with a local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ing cha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루버가 구비되는 블레이드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구성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beverage supercoo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liquid beverage super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liquid beverage supercool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lade fan with louv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It does not mean anything.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characteristics.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의 측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liquid beverage super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beverage super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t; RTI ID = 0.0 > liquid < / RTI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이하, '과냉각 장치')(100)는, 내부에 냉각실(210)이 형성되는 몸체(200)와, 냉각실(210)을 개폐하는 도어(300)와, 냉각실(210)의 공기를 과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400)와, 증발기(400)에 의해 과냉각된 냉기를 냉각실(210)로 공급하는 송풍팬(500)을 포함한다.1 to 3, a liquid
몸체(2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과 길이 및 높이 등의 규격과 외관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몸체(200)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내부에는 열전달 방지를 위한 단열재(220)가 충진되며, 몸체(200)의 전면 상단에는 냉각실(210) 온도 설정을 위한 입력부(230)가 구비된다.The
몸체(200) 내부의 공간부는 분리판(240)에 의해 상하 분리되며, 분리판(240) 상부의 공간부는 쥬스나 주류 또는 커피 등의 액체 음료를 과냉각시키거나 과냉각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각실(210)로서 기능한다. The space portion inside the
분리판(240) 하부의 공간부는 압축기(620)와 응축기(630) 등 냉각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600)을 이루며, 기계실(600)의 전방에는 복수 개의 관통홈(611)이 형성된 기계실 커버(610)가 결합되어 기계실(600)을 외부로부터 폐쇄한다. 이때, 응축기(63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기계실(600)의 공기는, 응축기(630) 후방에 설치되는 응축기 팬모터(640)에 의해 기계실 커버(610)의 관통홈(6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space portion under the
한편, 냉각실(210)의 양쪽 측벽에는 복수 개의 선반(211)을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선반(211) 설치시 선반(211)의 양단이 냉각실(210) 양쪽 측벽의 지지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선반(211)을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설치함으로써 냉각실(210)을 상하 다단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On both sides of the
액체 음료는 용기에 담긴 상태로 선반(211) 상에 적재되어 보관되며, 선반(211) 상부와 하부의 냉기가 서로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선반(211)은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그릴(grill)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iquid beverage is stored on the
냉각실(2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냉각실(210)의 전방에 냉각실(210)을 개폐하는 도어(300)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몸체(200)의 일측에 도어(300)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드 이동 방식의 도어에 의해 냉각실(210)을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
냉각실(210)의 상단에는 증발기(400)를 설치하기 위한 덕트 플레이트(410)가 결합된다. 덕트 플레이트(410)는 바닥판(411)과, 바닥판(411) 양측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412)을 포함한다. 덕트 플레이트(410)의 바닥판(411)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413)가 관통 형성되며, 증발기(400)는 바닥판(411) 상측에 설치되어 유입구(413)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증발기(400)의 전방에는 유입구(413)를 사이에 두고 증발기(400)와 대향하도록 증발기 팬모터(420)가 설치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증발기 팬모터(420) 작동시, 냉각실(210)의 공기가 바닥판(411)의 유입구(413)를 통해 덕트 플레이트(410) 내부로 유입되며, 증발기 팬모터(420)에 의해 증발기(4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400)에 열을 빼앗기고 과냉각된다.When the
과냉각된 냉기는 증발기(400)의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플레이트(410)의 바닥판(411) 후단과 냉각실(210)의 후면벽(21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213)을 통해 냉각실(210)로 유입된다.The supercooled cool air moves to the rear of the
이때, 이격공간(213)의 하부에는 송풍팬(500)이 설치되며, 이 송풍팬(500)은 냉각실(210)로 유입되는 과냉각된 냉기를 밀어내서 냉각실(210)의 전체 영역으로 고르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증발기(400)를 거쳐 과냉각된 냉기가 별도의 덕트를 통하지 않고 송풍팬(500)을 통해 냉각실(210)로 직접 뿌려지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a blow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500)은 냉각실(210)의 후면벽(212)에 결합되는 팬프레임(510)과, 팬프레임(510)의 전방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팬(520), 및 블레이드팬(5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0)를 포함한다.4, the blowing
여기서, 팬프레임(510)은 냉각실(210)의 후면벽(212)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511)와,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양단에 전방으로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512)와, 블레이드팬(520)의 상측과 후방을 덮도록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513)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513)는 양측이 지지 플레이트(51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The
블레이드팬(5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팬 모듈(5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팬 모듈(521)은 한 쌍의 원판(522)과, 한 쌍의 원판(522)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523)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블레이드팬 모듈(521)이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블레이드팬(520)을 구성할 수 있다.The
블레이드팬(520) 양단의 원판(522)은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 플레이트(512)의 일측에는 회전축과 함께 블레이드팬(5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30)가 설치된다.The
복수 개의 블레이드(523)는 양단이 원판(522)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비스듬하게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530) 작동에 의한 회전축 회전시 블레이드팬(520)이 축회전하면서 냉기를 블레이드팬(52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낸다.The plurality of
이때, 블레이드팬(520)의 상측과 후방은 가이드 플레이트(513)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블레이드팬(520)에서 생성되는 바람은 가이드 플레이트(513)에 의해 안내되어 블레이드팬(520)의 전방과 하측 사이 구간을 통해 송풍된다. 즉, 증발기(400)를 통해 과냉각된 냉기가 냉각실(210)의 후면벽 상단에 설치된 블레이드팬(520)에 의해 냉각실(210) 전체 영역으로 고르게 공급되는 것이다.Since the upper and the rear of the
도 2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냉기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각실(210)의 공기는 덕트 플레이트(410) 바닥판(411)의 유입구(413)를 통해 덕트 플레이트(410) 상부로 유입되며, 증발기 팬모터(420)가 유입된 공기를 증발기(400)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The overall flow of cold ai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air in the
증발기(4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400)에 열을 빼앗긴 공기는 과냉각되며, 과냉각된 냉기는 증발기(400) 후방의 이격공간(213)을 통해 냉각실(210)로 유입된다. 이때, 송풍팬(500)은 과냉각된 냉기를 냉각실(210) 전체 영역으로 고르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모터(530)의 작동에 의해 블레이드팬(520)이 축회전하면서 블레이드팬(520)의 개방 구간(전방과 하측 사이 구간)을 통해 냉기를 밀어낸다.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증발기(400)가 냉각실(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냉각실(210) 하단에 유입구(413)가 형성된 덕트 플레이트(410)가 결합되고, 덕트 플레이트(410)의 저면 또는 그 하부에 증발기(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증발기(400)를 통과한 냉기는 증발기 팬모터(420)에 의해 덕트 플레이트(410) 후단과 냉각실(210) 후면벽 사이의 이격공간(213)을 통과하여 냉각실(210)로 유입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이 경우, 기계실(600)은 증발기(400) 설치 공간의 일측, 예컨대 증발기(400) 설치 공간의 하부에 격벽으로 구획 형성된 별도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500)은 덕트 플레이트(410)의 상부에 이격하여 냉각실(210)의 후면벽에 설치되며, 가이드 플레이트(513)는 블레이드팬(520)의 하측과 후방을 덮도록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어 냉기를 전방과 상측 사이 구간으로 밀어내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루버가 구비되는 블레이드팬의 단면도이며, 굵은 화살표는 냉기의 유동 방향을 가리킨다.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lade fan equipped with a lou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ld arrows indicate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 air.
도어(300) 개방 등으로 인해 냉각실(210)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온도가 상승하는 등 냉각실(210) 전체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일부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냉기를 급송하여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When the entire temperature of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500')은, 냉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루버(louver)(540)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blowing fan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블레이드팬(520)의 외곽을 감싸는 원통 형태의 루버(540)가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512) 사이에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블레이드팬(5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0)와 대향하여, 루버(5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미도시)가 지지 플레이트(512)의 타측에 설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아울러, 루버(540)의 일측에는 냉기를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보내기 위한 송풍구(541)가 관통 형성되고, 루버(540)의 타측에는 블레이드팬(520)의 전방과 하측 사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개구부(542)가 형성된다. The
도 5는 블레이드팬(520)의 전방과 하측 사이 영역에 루버(540)의 개구부(542)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블레이드팬(520)은 개구부(542)를 통해 전술한 실시예처럼 블레이드팬(520)의 전방과 하측 사이 영역으로 냉기를 밀어낸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6은 회전모터 작동에 의해 루버(540)가 회전하여, 송풍구(541)가 블레이드팬(520)의 전방과 하측 사이 영역의 일 지점에 위치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이때, 블레이드팬(520)은 송풍구(541)가 향하는 일 방향으로 냉기를 밀어내며, 냉각실(210)의 일측이 집중적으로 냉각된다.At this time, the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모터에 의해 루버(54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냉기를 집중적으로 보낼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 동안 회전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되도록 하여, 송풍구(541)가 블레이드팬(520)의 하측과 전방 사이 영역을 왕복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냉각실(210) 전체 영역을 고르게 냉각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otating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냉각실(210)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냉각실(2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710)가 구비된다. 또한, 도어(300) 개폐시 외부 공기의 유입 또는 냉기의 외부 유출에 따른 온도 변화를 제어하기 위해 도어(300)의 일측에 개폐센서(7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uniformly and stab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ling
제어부(700)는 온도센서(710)와 개폐센서(720) 등 각종 센서에서 검출되는 값을 근거로 하여, 압축기(620), 증발기 팬모터(420), 응축기 팬모터(640), 구동모터(530), 및 회전모터(550) 등 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냉각실(210) 내부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The
일 예로서, 제어부(700)는 온도센서(710)로 검출한 냉각실(210) 온도가 사전에 미리 설정한 온도 범위가 되도록 압축기(620)나 증발기 팬모터(420), 구동모터(530) 등을 제어한다. 즉, 냉각실(210) 내 온도가 입력부(230) 등에 의해 입력된 설정 온도보다 높아지면, 압축기(620)와 증발기 팬모터(420) 등을 온(ON)하고, 냉각실(210) 내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아지면 압축기(620)와 증발기 팬모터(420) 등을 오프(OFF)함으로써 냉각실(210) 내 온도를 일정 온도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The
다른 예로서, 제어부(700)는 개폐센서(720)에 의해 도어(300)가 열린 것이 검출되면, 압축기(620)와 증발기 팬모터(420) 등을 오프(OFF)하여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어(300)가 닫힌 것이 검출되면, 압축기(620)와 증발기 팬모터(420) 등을 온(ON)하는 한편 회전모터(550)를 작동시켜 루버(540)를 회전시킴으로써, 온도 변화 폭이 큰 냉각실(210) 내 도어(300) 인접 영역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도어(300) 개방시 회전모터(550)를 작동시켜 냉각실(210)의 전방부 영역을 집중적으로 냉각함으로써 냉각실(210) 내 온도변화를 최소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 과냉각 장치 200 : 몸체
210 : 냉각실 211 : 선반
300 : 도어 400 : 증발기
410 : 덕트 플레이트 413 : 유입구
420 : 증발기 팬모터 500,500' : 송풍팬
510 : 팬프레임 520 : 블레이드팬
530 : 구동모터 540 : 루버
600 : 기계실 700 : 제어부100: supercooling device 200: body
210: cooling chamber 211: shelf
300: Door 400: Evaporator
410: duct plate 413: inlet
420: evaporator fan motor 500,500 ': blowing fan
510: fan frame 520: blade fan
530: drive motor 540: louver
600: Machine room 700: Control part
Claims (9)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각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과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거쳐 과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A body having a cooling chamber formed therein;
A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opening / closing the cooling chamber;
An evaporato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chamber for subcooling air in the cooling chamber; And
And a blowing fan installed on a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for supplying the cooling air, which is supercooled through the evaporator, to the cooling chamber.
상기 냉각실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덕트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덕트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증발기와 대향하도록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증발기 팬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ct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chamber and the duct fram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oling chamber and the evapora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uct frame and the evaporato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Wherein an evaporator fan motor is installed.
상기 덕트 프레임의 후단과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의 하부에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spacing space is formed between a rear end of the duct frame and a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and the blowing fan is installed below the spacing space.
상기 송풍팬은,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팬프레임과, 상기 팬프레임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블레이드팬과, 상기 팬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an frame includes a fan frame coupled to the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cylindrical blade fan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an frame so as to be axially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drive motor installed to rotate the blade fan.
상기 팬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팬의 상측과 후방을 덮도록 완만하게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an frame includes a guide plate that is gently bent so as to cover an upper side and a rear side of the blade fan.
상기 블레이드팬은, 한 쌍의 원판과, 상기 한 쌍의 원판 사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lade fan includes a pair of discs and a plurality of bla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discs.
상기 송풍팬은, 상기 블레이드팬의 외곽을 감싸고 일측에 송풍구가 형성되는 루버와, 상기 팬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lowing fan further comprises a louver that surrounds an outer periphery of the blade fan and has a tuye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rotation motor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fan frame to rotate the louver.
상기 냉기의 풍향 조절을 위해 상기 회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ry motor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cool air.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각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의 공기를 과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냉각실의 후면벽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거쳐 과냉각된 냉기를 상기 냉각실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액체 음료 과냉각 장치.
A body having a cooling chamber formed therein;
A do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opening / closing the cooling chamber;
An evaporato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chamber for subcooling air in the cooling chamber; And
And a blowing fan installed on a rear wall of the cooling chamber for supplying the cooling air, which is supercooled through the evaporator, to the cooling chamb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2196A KR20150134849A (en) | 2014-05-23 | 2014-05-23 | Supercooling apparatus for liquid beverage |
PCT/KR2015/005147 WO2015178719A1 (en) | 2014-05-23 | 2015-05-22 | Liquid beverage supercool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2196A KR20150134849A (en) | 2014-05-23 | 2014-05-23 | Supercooling apparatus for liquid bever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4849A true KR20150134849A (en) | 2015-12-02 |
Family
ID=5455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2196A Ceased KR20150134849A (en) | 2014-05-23 | 2014-05-23 | Supercooling apparatus for liquid beverag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4849A (en) |
WO (1) | WO201517871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5510B1 (en) * | 2019-06-24 | 2019-11-15 | 박지용 | Supercooling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5316Y1 (en) * | 1991-11-19 | 1994-08-10 | 우진전기공업 주식회사 | Electric car indoor air circulator |
KR19980062983U (en) * | 1997-04-10 | 1998-11-16 | 배순훈 | Cross flow fan for refrigerator |
EP1878986A1 (en) * | 2005-04-27 | 2008-01-16 | Fukushima Kogyo Co., Ltd. | Refrigerator |
-
2014
- 2014-05-23 KR KR1020140062196A patent/KR20150134849A/en not_active Ceased
-
2015
- 2015-05-22 WO PCT/KR2015/005147 patent/WO20151787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78719A1 (en) | 2015-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21035B2 (en) | Clear ice making appliance and method of same | |
JP4499437B2 (en) | Refrigerator with ice maker | |
JP5178642B2 (en) | refrigerator | |
US809996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ting air within an icemak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 |
CN104896828B (en) | Refrigerator | |
EP3786548B1 (en) | Ice-making machine and refrigerator | |
JP2007212053A (en) | Refrigerator | |
JP2001041624A (en) | Ice maker and deep freez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JP6628886B2 (en) | refrigerator | |
KR100846890B1 (en) | Ice Making System and Ice Making Method | |
KR20150134849A (en) | Supercooling apparatus for liquid beverage | |
CN101131277B (en) | Refrigerated air supply apparatus for drawer type cold storage container of refrigerator | |
JP6028216B2 (en) | refrigerator | |
JP6970429B2 (en) | refrigerator | |
US7559211B2 (en) | Air tower with heat trap compartment for top mount freezer refrigerator | |
CN103913032A (en) | Refrigerator | |
KR101637816B1 (en) | Supercooled freezerpe variable type | |
RU2766371C1 (en) | Apparatus for accelerated (shock) freezing of food products | |
JP3243724U (en) | Fluffy shaved ice production equipment | |
CN101131278A (en) | Refrigerated air supply apparatus for drawer type cold storage container of refrigerator | |
JP2018077036A (en) | Damper device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 |
KR100700540B1 (en) | Quick icemaker for refrigerator | |
JP3983565B2 (en) | Refrigerator | |
JP3139266U (en) | Air outlet structure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s | |
JP2001133092A (en) | Ice-making fresh water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2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7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5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