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33379A - 단로기 - Google Patents

단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379A
KR20150133379A KR1020140059884A KR20140059884A KR20150133379A KR 20150133379 A KR20150133379 A KR 20150133379A KR 1020140059884 A KR1020140059884 A KR 1020140059884A KR 20140059884 A KR20140059884 A KR 20140059884A KR 20150133379 A KR20150133379 A KR 20150133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movable
contactor
condu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138B1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3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단로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는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원의 한 극에 연결되는 가동도체를 포함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접촉자가 이동하여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촉자가 구비되며 전원의 다른 극에 연결되는 고정도체를 포함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촉자는 상기 가동접촉자가 바르게 정렬되어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도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본 발명은 가스절연개폐장치 등에 구비되는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접촉자가 이동하여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접촉자가 고정도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단로기는 가스절연개폐장치 등에 구비된다.
그리고, 단로기는 가스절연개폐장치 등에 구비된 다른 차단기 또는 개폐기가 차단상태일 때, 즉 무부하전류 상태일 때, 단순히 선로의 점검 또는 수리 등을 위한 회로의 격리 또는 접속 변경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단로기는 전원의 한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도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촉자와, 전원의 다른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도체에 구비되며 가동접촉자가 이동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접촉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원의 통전이 필요할 때에는 가동접촉자를 이동유닛에 의해서 가동도체로부터 이동시켜서 고정접촉자에 접촉되도록 한다.
종래, 단로기의 고정접촉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서 고정도체에 고정되었다.
따라서, 고정접촉자를 고정도체에 고정할 때,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제대로 정렬하지 않으면, 가동접촉자가 고정도체에 제대로 접촉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파티클이 발생하였고 단시간의 전류 성능에 악영향을 미쳤다.
또한,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에 제대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는 때에도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로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단로기에 포함되는 고정접촉자를 고정도체에 구비하도록 할 때나 가동접촉자의 이동시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단로기의 작동시 파티클이 발생하거나 단시간의 전류 성능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단로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단로기는 가동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원의 한 극에 연결되는 가동도체를 포함하는 가동부; 및 가동접촉자가 이동하여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구비되며 전원의 다른 극에 연결되는 고정도체를 포함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고정접촉자는 가동접촉자가 바르게 정렬되어 접촉되도록 고정도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도체에는 고정접촉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고정접촉자와 삽입구멍 사이에는 소정 간극이 형성될 수 잇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에는 고정접촉자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스냅 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에는 고정접촉자와 고정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부재는 고정접촉자와 다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접부재에는 고정접촉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가동접촉자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삽입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접촉자가 이동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접촉자가 고정도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접촉자를 고정도체에 구비하도록 할 때나 가동접촉자의 이동시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로기의 작동시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단시간의 전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의 접점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4과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2의 확대도와 같은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단로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의 접점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4과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2의 확대도와 같은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로기(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200)와,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200)는 가동접촉자(210)와, 가동접촉자(2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원(도시되지 않음)의 한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도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도체(22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도체(220)의 이동구멍(221)에 가동접촉자(2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동도체(220)에는 가동접촉자(220)가 이동구멍(221)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유닛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동접촉자(220)가 이동구멍(221)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회전가능한 축(도시되지 않음)과, 일측은 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축에 연결되며 타측은 가동접촉자(220)에 연결되는 로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가동접촉자(220)는 이동유닛에 의해서 이동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고정부(300)에 포함되며 전원의 다른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도체(320)에 구비된 고정접촉자(31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의 한 극과 다른 극이 연결되어 통전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220)가 고정접촉자(310)로부터 분리되어 고정접촉자(310)에 접촉되지 않으면, 전원의 한 극과 다른 극이 연결되지 않아서 통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절연개폐장치 등에 구비된 다른 차단기 또는 개폐기가 차단상태일 때, 즉 무부하전류 상태일 때, 단순히 선로의 점검 또는 수리 등을 위한 회로의 격리 또는 접속 변경에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고정접촉자(310)와, 고정접촉자(310)가 구비되며 가동도체(220)가 연결되는 전원의 한 극이 아닌, 전원의 다른 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도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의 고정접촉자(310)에는 가동접촉자(210)가 이동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되거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도체(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의 한 극과 고정도체(320)가 연결되는 전원의 다른 극이 통전되거나 통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고정접촉자(3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접촉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210)의 일단부가 고정접촉자(310)의 삽입접촉부(311)에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가동접촉자(210)가 고정접촉자(310)에 접촉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면접촉 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고정접촉자(310)는 가동접촉자(210)가 바르게 정렬되어 접촉되도록 고정도체(3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가동접촉자(210)와 제대로 정렬이 안 된 상태에서 고정접촉자(310)를 고정도체(320)에 구비되도록 한 경우에는, 가동접촉자(210)와 제대로 정렬되도록 고정접촉자(310)를 고정도체(320)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210)의 중심이 고정접촉자(310)의 중심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도록 가동접촉자(210)가 이동하는 경우에, 가동접촉자(210)가 고정접촉자(310)에 접촉하여 고정접촉자(310)가 약간 위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가동접촉자(210)의 중심이 고정접촉자(310)의 중심과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접촉자(210)가 고정접촉자(310)의 삽입접촉부(311)에 바르게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접촉자(310)를 고정도체(320)에 구비하도록 할 때나 가동접촉자(210)의 이동시 가동접촉자(210)와 고정접촉자(310)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단로기(100)의 작동시 파티클이 발생하거나 단시간의 전류 성능이 악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접촉자(310)의 이동을 위해서, 고정도체(320)에는 고정접촉자(3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삽입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310)와 삽입구멍(321) 사이에는 소정 간극(D)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접촉자(310)는 고정도체(320)의 삽입구멍(321) 내에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 등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210)가 고정접촉자(310)의 삽입구멍(311)에 바르게 정렬되어 삽입되며 접촉될 수 있다.
고정접촉자(310)와 삽입구멍(321) 사이에 형성된 간극(D)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동접촉자(210)가 고정접촉자(310)의 삽입구멍(311)에 바르게 정렬되어 삽입되며 접촉될 수 있는 크기라면 어떠한 크기라도 가능하다.
고정도체(320)의 삽입구멍(321),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321)의 개방된 측에는 지지부재(3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22)에 의해서 고정접촉자(310)가 고정도체(320)의 삽입구멍(321)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322)는, 예컨대 스냅 링일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32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정도체(320)의 삽입구멍(321)에 구비되어 고정접촉자(310)가 삽입구멍(321)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구멍(321),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321)의 폐쇄된 측에는 접점부재(3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점부재(323)에 의해서 고정접촉자(310)와 고정도체(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접점부재(323)의 일부는 삽입구멍(321)을 이루는 고정도체(320)의 부분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점부재(323)는 고정접촉자(310)와 다점 접촉될 수 있다.
고정접촉자(310)와 다점 접촉될 수 있도록, 접점부재(323)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23a)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32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323a)가 될 접점부재(323)의 각 부분의 일부를 절단한 후 위로 구부리는 방법으로 접점부재(323)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322)가 고정접촉자(310)를 지지하는 힘에 의해서 고정접촉자(310)가 접점부재(323)의 접촉부(323a)를 누르게 되어 접점부재(323)가 고정접촉자(310)와 신뢰성 있게 다점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접점부재(323)에 접촉부(323a)가 형성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정접촉자(310)에 다점 접촉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로기를 사용하면, 단로기에 포함되는 고정접촉자를 고정도체에 구비하도록 할 때나 가동접촉자의 이동시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으며, 단로기의 작동시 파티클이 발생하거나 단시간의 전류 성능이 악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단로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단로기 200 : 가동부
210 : 가동접촉자 220 : 가동도체
221 : 이동구멍 300 :고정부
310 : 고정접촉자 311 : 삽입접촉부
320 : 고정도체 321 : 삽입구멍
322 : 지지부재 323 : 접점부재
323a : 접촉부 D : 간극

Claims (8)

  1. 가동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원의 한 극에 연결되는 가동도체를 포함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접촉자가 이동하여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촉자가 구비되며 전원의 다른 극에 연결되는 고정도체를 포함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촉자는 상기 가동접촉자가 바르게 정렬되어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도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단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도체에는 상기 고정접촉자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삽입구멍 사이에는 소정 간극이 형성되는 단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에는 상기 고정접촉자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단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스냅 링인 단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에는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점부재가 구비되는 단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재는 상기 고정접촉자와 다점 접촉되는 단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접부재에는 상기 고정접촉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복수개 형성된 단로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에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삽입접촉부가 형성된 단로기.







KR1020140059884A 2014-05-19 2014-05-19 단로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0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84A KR101605138B1 (ko) 2014-05-19 2014-05-19 단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84A KR101605138B1 (ko) 2014-05-19 2014-05-19 단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379A true KR20150133379A (ko) 2015-11-30
KR101605138B1 KR101605138B1 (ko) 2016-04-04

Family

ID=5486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8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5138B1 (ko) 2014-05-19 2014-05-19 단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1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134Y1 (ko) 2002-07-10 2002-10-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지개폐기의 핑거시스템
JP5225167B2 (ja) 2009-03-23 2013-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断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138B1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134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CA2796376C (en) Electric power switch
US10381186B2 (en) High voltage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device with magnetic arc deflection assembly
CN102568882A (zh) 具有电弧断开屏蔽件的断开装置
CN107622922B (zh) 振动限制装置以及包括所述振动限制装置的设备
US10770255B2 (en) Self-resetting current limiter
JPWO2011111086A1 (ja) 電力用遮断器
KR101605138B1 (ko) 단로기
US20140246298A1 (en) High voltage switching device
KR101704989B1 (ko)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KR20110130914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단로기
JP6953329B2 (ja) 開閉器
KR101874447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접속재
CN107452549B (zh) 继电器
KR101121913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통전부의 패킹 어셈블리
CN105408977A (zh) 力的传送装置
CN215644154U (zh) 用于开关设备的弧触头装置和开关设备
CN209708929U (zh) 低压断路器的触头系统
KR20240142356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10115546B2 (en) Electrical tripout device integrating a circuit breaker and an isolator
TW202228174A (zh) 開關器及氣體絕緣開關裝置
KR200475885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5375857B2 (ja) ガス遮断器
WO2013121626A1 (ja) スイッチギヤ
KR20160062160A (ko) 스위칭 기기의 스위치 폴을 위한 연결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