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658A -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1658A KR20150131658A KR1020140058643A KR20140058643A KR20150131658A KR 20150131658 A KR20150131658 A KR 20150131658A KR 1020140058643 A KR1020140058643 A KR 1020140058643A KR 20140058643 A KR20140058643 A KR 20140058643A KR 20150131658 A KR20150131658 A KR 201501316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polynomial
- data
- principal component
- component analys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0513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4297 night vi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5 output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5 classific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45 classification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95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47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7 quadratic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79 statistic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7 uniform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06V10/443—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 G06V10/446—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by matching or filtering using Haar-like filters, e.g. using integral image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8—Involving statistics of pixels or of feature values, e.g. histogram match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최적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에 따르면, 나이트 비전 카메라를 통하여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조명이 없는 환경에서도 얼굴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외란 값을 제거한 후에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의 두 방향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데이터 차원을 축소함으로써, 인식 속도 및 인식률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하되, FCM(Fuzzy C-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차분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항식의 차수와 클러스터의 수 및 퍼지화 계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출력 공간 내의 선형 판정 경계를 비선형 판정 경계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고, 최적화된 파라미터에서의 빠른 학습 수렴으로 인식 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최적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에서 단계 S200의 구체적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할-라이크 특징의 특징 추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적분 이미지 특징 추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히스토그램 평활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최적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에서 단계 S300의 구체적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2D)²PCA를 이용한 차원 축소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기존의 방사형 기저 함수 신경회로망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도시한 도면.
Parameter | Value | |
No. of generations | 60 | |
No. of populations | 40 | |
Search range | Polynomial type | 2~4 |
No. of clusters | 2~5 | |
Fuzzification Coefficient | 1.1~3.0 |
S200: 단계 S100에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외란 값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데이터 전처리 단계
S210: 할-라이크 특징(Haar-like feauture) 및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S220: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외란 값을 제거하는 단계
S221: 단계 S210에서 검출된 얼굴 영역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S222: 단계 S221에서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정규화하고 정규화 누적값을 계산하며 보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S223: 단계 S210에서 검출된 얼굴 영역 이미지의 화소 위치에 단계 S222에서 보정한 보정값을 적용한 새로운 출력을 매핑하는 단계
S300: 단계 S200에서 전처리된 데이터를,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의 두 방향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데이터 차원을 축소하는 단계
S310: 행렬로 표현되는 학습 이미지의 샘플들의 평균 이미지값을 도출하는 단계;
S320: 단계 S310에서 도출한 평균 이미지값을 이용하여 학습 이미지 샘플들의 이미지 열의 공분산 행렬을 도출하는 단계;
S330: 고유치 분석을 통하여 단계 S320에서 도출한 이미지 열의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과 이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S340: 단계 S330에서 도출한 고유값에 대하여 고유값이 큰 순서대로 d개의 고유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고유값에 대응되는 고유벡터를 가지는 변환 행렬을 생성하여 d만큼 데이터 차원을 줄인 이미지 열의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S350: 단계 S310에서 도출한 평균 이미지값을 이용하여 학습 이미지 샘플들의 이미지 행의 공분산 행렬을 도출하는 단계;
S360: 고유치 분석을 통하여 단계 S350에서 도출한 이미지 행의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과 이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S370: 단계 S360에서 도출한 고유값에 대하여 고유값이 큰 순서대로 d개의 고유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고유값에 대응되는 고유벡터를 가지는 변환 행렬을 생성하여 d만큼 데이터 차원을 줄인 이미지 행의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S380: 단계 S340 및 단계 S370에서 생성된 이미지 열 및 이미지 행의 벡터를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위한 전체 이미지를 도출하는 단계
S400: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차원이 축소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Claims (7)
- 조명이 없는 환경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1) 나이트 비전(Night Vision)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외란 값을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데이터 전처리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전처리된 데이터를,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2-Directional 2-Dimens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이하, ‘(2D)²PCA’라 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2차원 이미지의 두 방향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데이터 차원을 축소하는 단계; 및
(4)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Polynomial-based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s, 이하 ‘pRBFNNs’이라 함)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차원이 축소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2-1) 할-라이크 특징(Haar-like feauture) 및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2-2)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외란 값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2)는,
(2-2-1) 상기 단계 (2-1)에서 검출된 얼굴 영역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2-2-2)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 (2-2-1)에서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정규화하고 정규화 누적값을 계산하며 보정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G: 영상의 밝기, N: 영상의 크기, H(i): 정규화 누적값, h(i): 보정 값)
(2-2-3) 상기 단계 (2-1)에서 검출된 얼굴 영역 이미지의 화소 위치에 상기 단계 (2-2-2)에서 보정한 보정값을 적용한 새로운 출력을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ASM(Active shape Model)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3-1) 행렬로 표현되는 학습 이미지의 샘플들의 평균 이미지값을 도출하는 단계;
(3-2) 상기 단계 (3-1)에서 도출한 평균 이미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 이미지 샘플들의 이미지 열의 공분산 행렬을 도출하는 단계;
(3-3) 고유치 분석을 통하여 상기 단계 (3-2)에서 도출한 이미지 열의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과 이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3-4) 상기 단계 (3-3)에서 도출한 고유값에 대하여 고유값이 큰 순서대로 d개의 고유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고유값에 대응되는 고유벡터를 가지는 변환 행렬을 생성하여 d만큼 데이터 차원을 줄인 이미지 열의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3-5) 상기 단계 (3-1)에서 도출한 평균 이미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 이미지 샘플들의 이미지 행의 공분산 행렬을 도출하는 단계;
(3-6) 고유치 분석을 통하여 상기 단계 (3-5)에서 도출한 이미지 행의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과 이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3-7) 상기 단계 (3-6)에서 도출한 고유값에 대하여 고유값이 큰 순서대로 d개의 고유치를 선택하고, 선택한 고유값에 대응되는 고유벡터를 가지는 변환 행렬을 생성하여 d만큼 데이터 차원을 줄인 이미지 행의 벡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3-8) 상기 단계 (3-4) 및 단계 (3-7)에서 생성된 이미지 열 및 이미지 행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얼굴 인식을 위한 전체 이미지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pRBFNNs는,
조건부, 결론부, 추론부로 분리되어 기능적 모듈로 동작하되, 상기 조건부의 활성함수로는 FCM(Fuzzy C-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상기 결론부의 연결 가중치는 다항식으로 확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차분 진화(Differential Evolution, D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다항식의 차수와 클러스터의 수 및 퍼지화 계수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643A KR101658528B1 (ko) | 2014-05-15 | 2014-05-15 |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643A KR101658528B1 (ko) | 2014-05-15 | 2014-05-15 |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1658A true KR20150131658A (ko) | 2015-11-25 |
KR101658528B1 KR101658528B1 (ko) | 2016-09-23 |
Family
ID=5484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86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58528B1 (ko) | 2014-05-15 | 2014-05-15 |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52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85873A (zh) * | 2017-05-30 | 2018-12-11 | 株式会社途伟尼 | 化妆品推荐方法、存储有程序的记录介质、为实现其的计算机程序以及化妆品推荐系统 |
CN113673143A (zh) * | 2020-05-15 | 2021-11-19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存储器、生化需氧量软测量方法、系统和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6412B1 (ko) | 2016-12-22 | 2018-08-07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적응적 운전자 얼굴 촬영 환경 제어 방법 및 장치 |
-
2014
- 2014-05-15 KR KR1020140058643A patent/KR10165852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2D PCA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 RBFNNs 기반 나이트비전 얼굴인식 시뮬레이터 설계, Proceedings of KIIS Fall Conference 2013 Vol 23 No 2* * |
ASM알고리즘과 하이브리드 전처리 기법을 이용한 최적화된 RBFNNs 패턴분류기 기반 나이트비전 얼굴인식 시뮬레이터 구현, 2013년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CICS ‘13) 논문집*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85873A (zh) * | 2017-05-30 | 2018-12-11 | 株式会社途伟尼 | 化妆品推荐方法、存储有程序的记录介质、为实现其的计算机程序以及化妆品推荐系统 |
CN113673143A (zh) * | 2020-05-15 | 2021-11-19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存储器、生化需氧量软测量方法、系统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8528B1 (ko) | 2016-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4181B1 (ko) | 하이브리드 방식의 영상 데이터 전처리 기법 및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얼굴 인식 방법 | |
KR101254177B1 (ko) | 방사형 기저 함수 신경회로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 인식 시스템 | |
US7587064B2 (en) | Active learning system for object fingerprinting | |
KR102138657B1 (ko) | 계층적 협업 표현 기반 분류를 통한 강인한 얼굴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
CN108268859A (zh) | 一种基于深度学习的人脸表情识别方法 | |
KR101433472B1 (ko) | 상황 인식 기반의 객체 검출, 인식 및 추적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101749268B1 (ko) | 포즈 추정 기반 포즈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방법 | |
KR101589149B1 (ko) | Rbfnn 패턴 분류기와 객체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한 얼굴 인식-얼굴 추적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 |
CN107463917B (zh) | 一种基于改进的ltp与二维双向pca融合的人脸特征提取方法 | |
CN110110668B (zh) | 一种基于反馈权重卷积神经网络和胶囊神经网络的步态识别方法 | |
JP2004078959A (ja) | 人工神経網を利用した顔認識法及びその装置 | |
CN101965729A (zh) | 动态物件分类 | |
KR101631694B1 (ko) | HOG-PCA 특징과 RBFNNs 패턴분류기를 이용한 보행자 검출 방법 | |
KR101687217B1 (ko) | 인터벌 타입-2 rbf 신경회로망 기반 ct 기법을 이용한 강인한 얼굴 인식 패턴 분류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 |
Shen et al. | Learning high-level concepts by training a deep network on eye fixations | |
Kumar et al. | Normalizing flow based feature synthesis for outlier-aware object detection | |
Al-Dabbas et al. | Two proposed models for face recognition: achieving high accuracy and spe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1658528B1 (ko) | 2방향 2차원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및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기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야간 얼굴 인식 방법 | |
Bailly et al. | Boosting feature selection for neural network based regression | |
López-Rubio | Probabilistic self-organizing maps for continuous data | |
Aria et al. | Generalized cooccurrence matrix to classify IRS-1D images using neural network | |
Deng et al. | View-invariant gait recognition based on deterministic learning and knowledge fusion | |
Harakannanavar et al. | Face recognition based on SWT, DCT and LTP | |
KR102684915B1 (ko) | 공변량 조건을 이용한 보행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
Kumar et al. | Pixel-based skin color classifier: A revie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