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29590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590A
KR20150129590A KR1020140091875A KR20140091875A KR20150129590A KR 20150129590 A KR20150129590 A KR 20150129590A KR 1020140091875 A KR1020140091875 A KR 1020140091875A KR 20140091875 A KR20140091875 A KR 20140091875A KR 20150129590 A KR20150129590 A KR 2015012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illumination frame
illumination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790B1 (ko
Inventor
김경현
이경호
박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2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79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내부에 상기 발광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발광 모듈을 감싸서 보호하는 조명 프레임; 상기 조명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판; 상기 조명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마그넷;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으로는 과거에 형광등 및 삼파장 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탁상용 등으로 사용되는 조명등인 스탠드라 불리는 조명 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전기 소모가 많은 형광등 및 삼파장 램프보다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엘이디’라고 한다.)를 이용하여 절전이 도모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엘이디는 다수의 캐리어(Carrier)가 전자인 N형 반도체 결정과 다수의 캐리어가 정공인 P형 반도체 결정이 서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는 광전변환 반도체 소자로서, PN 접합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 할 때에 발생하는 자연방출 광을 이용한 반도체 발광소자이다.
엘이디는 전기에너지를 광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므로 효율높고, 전력소비가 적으며, 신뢰성이 높고 상대적으로 응답성이 좋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가스나 필라멘트가 없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인 직류 점등방식의 채택으로 수명이 반영구적이면서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엘이디가 적용된 종래 조명기구로서의 엘이디 스탠드는 통상 책상 등에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부와, 받침대부 상면으로부터 수직 상향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부를 가지며, 포스트부의 상단에 회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엘이디 스탠드는 책상 등에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부를 포함하므로, 엘이디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책상을 차지하는 부피가 비교적 커서 책상공간을 비교적 많이 차지하여 공간 활용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책상 위에서 엘이디 스탠드를 이동시키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내부에 상기 발광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발광 모듈을 감싸서 보호하는 조명 프레임; 상기 조명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판; 상기 조명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마그넷;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발광 모듈; 내부에 상기 발광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발광 모듈을 감싸서 보호하는 조명 프레임; 상기 조명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판; 상기 조명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조명 프레임의 저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면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 프레임의 기울어짐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조명 프레임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의 온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장치를 책상 등에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부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책상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 활용 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조명 장치를 자성체로 이루어진 파티션이나 칠판 등에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조명 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 장치의 온오프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조명부를 상하로 회동시킴으로써 직관적으로 조명 장치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조명부를 틸팅시키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최대한 가까운 조명 영역까지 빛이 조사되며, 눈부심 방지 리브가 구비되므로, 조명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어 발생하는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힌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조명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도광판에서 일어나는 빛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힌지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는, 조명부(100)와, 상기 조명부(100)의 일측에 연결되며 파티션이나 기타 물체에 상기 조명 장치(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100)는, 발광 모듈(130)과, 내부에 상기 발광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발광 모듈을 감싸서 보호하는 조명 프레임(110)과,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내벽에 접촉되며 발광 모듈(130)이 안착되는 히트 싱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프레임(110)은, 상기 조명부(100)의 본체를 이룬다.
상기 발광 모듈(130)은 판 형상의 기판부(131)와, 상기 기판부(131)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132)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132)는 엘이디 패키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표면 실장형(SMT) 엘이디 패키지 또는 칩온보드 형(COB) 엘이디 패키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100)는, 고정부(200)와 연결되는 부분인 회전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조명부(100)에 연결되는 부분인 부분인 피봇체(210)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80)와 상기 피봇체(210)를 피봇 스크루(300)가 동시에 관통하여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부(100)는, 힌지 작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tilting)작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조명 프레임(110)이 상하로 회동 가능한 관절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회전부(180)와 상기 피봇체(210) 및 이를 관통하는 피봇 스크루(300)을 통칭하여 힌지부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0)는, 벽면 등에 직접 부착되는 부분인 부착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면(22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착면(220)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고정부(200)의 내부에 마그넷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의 자력으로 인하여, 상기 조명 장치(10)가 자성체의 재질로 형성된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 장치(10)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파티션, 칠판, 벽 또는 천장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조명부(1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명 장치(10)는, 상기 고정부(200)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조명부(10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넷은 상기 회전부(180) 또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되거나, 상기 회전부(180) 또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 전체가 마그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조명부(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조명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의 조명부(100)는, 상기 조명부(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을 형성하는 조명 프레임(110)과, 상기 발광 모듈이 안착되는 히트 싱크(120)와, 상기 발광 모듈(130)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광판(150)과, 상기 도광판(150)의 상측에 위치하는 반사 부재(160)와, 상기 도광판(150)의 하측에 위치하는 투광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프레임(110)은, 외주면에 방열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돕는 히트 싱크(heat sink)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명 프레임(110)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부(100)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과 히트 싱크(120)가 동시에 히트 싱크 역할을 수행하는 이중 히트 싱크 구조를 이룬다. 상기 히트 싱크(120)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내벽에 접촉하므로, 상기 조명 프레임(110)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 히트 싱크 구조에 의하여 방열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프레임(110)은,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타측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조사된 빛을 가이드 하는 눈부심 방지 리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 리브(112)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명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 프레임(110)과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 리브(112)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 리브(112)는,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빛이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눈에 비치지 않도록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출사되는 빛을 아래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120)는, 다수의 방열핀(121)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히트 싱크(120)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aluminum) 또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소재로 성형될 수 있고, 열교환 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방열핀(12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방열핀(121)은 상기 히트 싱크(120)가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발광 모듈(13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은,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 리브(115) 및 상기 히트 싱크(1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150)은, 상기 도광판(150)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조사된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 면광원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광판(15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PMMA(polymethyl meta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계열, PET(polyethylene terephthlate), PC(poly carbonate), COC(cycloolefin copolymer) 및 PEN(polyethylene naphthalate)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은, 상기 반사 부재(160)의 하면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도광판(150)의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발생하는 빛은, 상기 도광판(150)으로 입사된 후, 반사 및 굴절과정을 거쳐 상기 투광판(140) 영역으로 조사된다.
상기 반사 부재(160)는, 상기 도광판(150)의 상면으로 입사된 빛을 반사시켜 아래로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0)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160)는 예를 들어, PET, PC, PVC 레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도광판(150)에서 일어나는 빛의 이동 경로에 관해서는 도 9에서 상술한다.
상기 투광판(140)은,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홈(113)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판(140)은, 상기 도광판(150)에서 확산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며, 상기 조명부(100)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의 조명부(100)에는, 상기 발광 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내부의 일측에 수용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190) 또는 건전지(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0)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 내부의 힌지부 부근의 빈 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만 수용될 수도 있으며, 양측 모두에 수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배터리(19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조명 프레임(110) 내부의 타 공간이나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조명 프레임(110)에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일 측면에 상기 배터리(190)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1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116)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19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단자(116)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후면부 등으로 변경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00) 내부에, 충전 가능한 배터리(190) 또는 건전지(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조명 장치(10)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명부(100)에는, 상기 발광 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190)를 대신하여 콘센트(도시되지 않음) 또는 충전용 USB 단자(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아래에서 바라본 조명 장치의 모습이고, 도 7 및 도 8은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은 조명부(100)가 점등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8은 조명부(100)가 아래로 회동되어 소등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프레임(110)은, 상기 발광 모듈(13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171)와, 밝기 조절부(173) 및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저면에 장착되는 센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 및 밝기 조절부(173)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측면부(117)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밝기 조절부(173)는, 상기 발광 모듈(13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밝기 조절부(173)에 의한 밝기 제어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WM 디밍 [전원을 제어하는 주파수의 폭을 가변함으로 전류량 조절], 0-10 방식[제로텐 방식으로 제어선의 전압을 0v에서 10v까지 가변시켜 LED를 제어하는 방식], 트라이악 제어(일반 조광기로 조절되는 방식 - 과거 백열등 제어방식으로 하나의 조광기로 와트수가 제한적이여서 여러 개의 전력제어 불가능)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10)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 모듈(130)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대신에, 상기 조명 프레임(110)을 상하 방향으로 틸팅 작동함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틸팅 제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틸팅 동작에 의한 점등 또는 소등 제어는, 상기 센서(175)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센서(175)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또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75)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기울어짐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광 모듈(13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는 상기 조명 장치(10)의 제어부로 전송되어 상기 발광 모듈(13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모듈(130)이 점등된 상태에서(도 7 참조), 상기 조명 프레임(110)이 상기 고정부(200)의 부착면(220)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각도(a) 미만이 되도록 회동 시키면(도 8 참조), 상기 센서(175)에서 위치 관계를 감지하여 소등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센서(175)에서 전달된 소등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130)이 소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각도(a)를 “소등 각도” 또는 “제 1 설정 각도”라 한다.
또한, 상기 부착면(220)과 조명 프레임(110)가 이루는 각도란, 상기 부착면(220)과 조명 프레임(110)가 이루는 각도 중에 작은 각을 지칭한다. 이때 상기 힌지부(300)가 각의 꼭지점이 된다.
상기 조명 프레임(110)이 아래 방향으로 최대한 회동된 경우에 상기 발광 모듈(130)이 소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등 각도는, 하나의 값이 아닌 각도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프레임(110)과 부착면(220)이 이루는 각도가 소등 각도 범위 내에 들어오면 상기 발광 모듈(130)이 소등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명 프레임(110)을 상측으로 일정 각도를 초과하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발광 모듈(130)이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각도를 “점등 각도” 또는 “제 2 설정 각도”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설정 각도를 90도로 설정한 후, 상기 조명 프레임(110)와 상기 부착면(220)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발광 모듈(130)이 점등된다.
상기 제 1 설정 각도와 제 2 설정 각도는 동일한 각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과 고정부(200)가 이루는 각도가 기준 각도 미만이 되도록 회동하면 소등되고, 기준 각도를 초과하도록 회동되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프레임(110)와 상기 부착면(220)이 이루는 각도를 세분화하여 각도의 크기에 따라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 프레임(110)와 상기 부착면(220)이 이루는 각도를 다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130)의 밝기가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모듈(130)은, 상기 틸팅 제어뿐만 아니라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에 의해서도 점등 및 소등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틸팅 제어와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제어 간의 우선 순위가 문제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에 의한 점등 및 소등 제어를 상기 틸팅 제어와 구분하여 “온오프 제어”라 이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관성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틸팅 제어가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에 의한 제어에 우선하도록 알고리즘을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 모듈(130)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에 의해 점등 되어 상기 온오프 제어가 활성화 되더라도, 상기 틸팅 제어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하면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모듈(130)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171)에 의해 소등된 이후에, 상기 조명 프레임(110)이 아래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 프레임(11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발광 모듈(130)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것과 달리 상기 틸팅 제어가 온오프 제어에 우선하지 않도록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센서(175)는,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저면 대신 상기 고정부(20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 프레임(110) 및 고정부(200) 모두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200)의 전면이란, 상기 부착면(220)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상기 조명 프레임(110)의 틸팅에 의한 점등 및 소등 제어는, 사용자 편의적이며,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도광판에서 일어나는 빛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100)에 구비되는 도광판(150)은, 상기 반사 부재(16)에 인접하는 상면부(151)와, 상기 상면부(151)이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1 측면부(152)와, 상기 상면부(151)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2 측면부(153) 및 상기 제 1 측면부(152) 및 제 2 측면부(153)의 하단을 연결하는 저면부(1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5)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32)로부터 상기 도광판(150)의 제 2 측면부(153)를 향하여 조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150)의 상면부(151)에서 반사 및 굴절하여 상기 저면부(154) 쪽으로 이동 경로가 변경된다. 상세히, 상기 상면부(151)에 부딪혀서 반사되는 빛은 상기 저면부(154)에 부딪혀서 굴절된 다음, 상기 투광판(140) 쪽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151)에서 굴절에 의하여 투과하는 빛은 상기 반사 부재(160)에서 반사되어 상기 도광판(150) 내부로 다시 조사된다. 한편, 상기 도광판(150)의 상면에는 톱니 형태의 프리즘 패턴(155)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리즘 패턴(155)은, 상면부(151)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151)로부터 상기 제 2 측면부(153)로 갈수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함몰되는 경사부(157)와, 상기 경사부(157)의 단부에서 수직 상승하거나 상기 제 2 측면부(153)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단턱부(15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150)의 저면부(154)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광 유닛(25)이 위치하는 상기 제 1 측면부(152)로부터 상기 제 2 측면부(153)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측면부(152)의 두께가 상기 제 2 측면부(153)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저면부(154)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리즘 패턴(155)에서 반사되어 상기 저면부(154)를 통과하는 빛은 사용자가 위치한 조명 영역으로 방향성을 가지고 굴절된다.
상기 프리즘 패턴(155)이 상기 상면부(151)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광 소자(132)로부터 램버시안 형태로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경사부(157)에 부딪혀서 전반사(total reflection) 또는 굴절된다.
상세히, 상기 경사부(157)에 부딪혀서 전반사되는 빛은 상기 저면부(154)를 통과하면서 사용자 쪽으로 굴절되어 조명 영역에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57)에서 굴절되는 빛은 상기 제 2 측면부(153) 쪽으로 인접하는 프리즘 패턴(155)의 경사부(157)에 부딪힌다. 그리고, 상기 인접하는 프리즘 패턴(155)의 경사부(157)에 부딪힌 빛은 반사되어 상기 저면부(154)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저면부(154)에서 굴절되어 사용자 쪽의 조명 영역으로 조사된다. 상기 경사부(157)와 수평선이 이루는 패턴각(pattern angle)은 20°~ 70°범위 내에서 균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패턴 마다 패턴각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리즘 패턴(155)을 통과하여 상기 저면부(154)에 부딪히는 빛은 상기 저면부(154)를 통과하면서 굴절되고, 상기 발광 소자(132)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저면부(154)에 직접 부딪히는 빛은 전반사 또는 굴절된다. 상기 저면부(154)에서 전반사되는 빛은 상기 제 2 측면부(153) 쪽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154)의 경사각이 작아질수록 멀리까지 빛이 확산된다.
반대로 상기 저면부(154)의 경사각이 커질수록 사용자에 가까운 조명 영역으로 빛이 조사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 유닛(20)을 사용자의 눈높이 방향으로 상향 틸팅하지 않고도 최대한 사용자에 가까운 조명 영역으로 빛이 조사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조명 유닛(20)을 틸팅시키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최대한 가까운 조명 영역까지 빛이 조사되므로, 조명 유닛(2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조사되어 발생하는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상기 저면부(154)의 경사각이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명 유닛(20)의 전후 방향 길이, 즉 상기 제 1 측면부(152)에서 제 2 측면부(153)에 이르는 전후 방향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저면부(154)의 경사각을 작게 가져가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조명 유닛(20)의 전후 방향이 짧으면서 조명 유닛(20)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상기 저면부(154)의 경사각을 크게 가져가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명 유닛(20)이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사용자의 책상의 전단부에 직립하게 세워지는 전면 파티션에 장착되어, 조명 유닛(20)과 사용자가 요구하는 조명 영역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150)의 저면부(154) 경사각이 크게 설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눈부심 방지 리브(112)에 의해서도 상기 발광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광판(140)을 통과한 빛 중에서 상기 제 2 측면부(153)에 근접한 영역의 경사부(157)에서 반사된 빛은 상기 투광판(140)을 통과한 후 눈부심 방지 리브(112)에 반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광판(140)을 통과한 빛이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눈에 비치지 않도록 조절하여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11)

  1.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내부에 정의되고, 상기 발광 모듈을 감싸서 보호하는 조명 프레임;
    상기 조명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판;
    상기 조명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조명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발광 모듈;
    내부에 상기 발광 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발광 모듈을 감싸서 보호하는 조명 프레임;
    상기 조명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투광판;
    상기 조명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조명 프레임의 저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면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 프레임의 기울어짐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조명 프레임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의 온오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프레임과 상기 고정부가 이루는 각도가 제 1 설정 각도 미만이면 상기 발광 모듈이 소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프레임과 상기 고정부가 이루는 각도가 제 2 설정 각도를 초과하면 상기 발광 모듈이 점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각도와 상기 제2 설정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프레임에는, 상기 조명 프레임의 타측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발광 모듈에서 조사된 빛을 가이드 하는 눈부심 방지 리브;가 포함되는 조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 리브는, 상기 조명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프레임 내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게 상기 발광 모듈에 장착되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조명 프레임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조명 프레임의 내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40091875A 2014-05-12 2014-07-21 조명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32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348 2014-05-12
KR20140056348 2014-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590A true KR20150129590A (ko) 2015-11-20
KR101632790B1 KR101632790B1 (ko) 2016-06-22

Family

ID=5484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8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2790B1 (ko) 2014-05-12 2014-07-2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2248A1 (zh) * 2016-11-07 2018-05-11 深圳市康铭盛科技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应急灯
KR20190054492A (ko) * 2017-11-13 2019-05-22 김민지 도광판 스탠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33B1 (ko) * 2008-12-31 2009-05-21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JP2009238432A (ja) * 2008-03-26 2009-10-15 Daiwa Seiko Inc 角度センサ−付ライト
KR101388077B1 (ko) * 2012-11-14 2014-04-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교통 환경 적응식 터널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8432A (ja) * 2008-03-26 2009-10-15 Daiwa Seiko Inc 角度センサ−付ライト
KR100898933B1 (ko) * 2008-12-31 2009-05-21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KR101388077B1 (ko) * 2012-11-14 2014-04-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교통 환경 적응식 터널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2248A1 (zh) * 2016-11-07 2018-05-11 深圳市康铭盛科技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应急灯
KR20190054492A (ko) * 2017-11-13 2019-05-22 김민지 도광판 스탠드
CN111356874A (zh) * 2017-11-13 2020-06-30 金玟知 导光板台灯
CN111356874B (zh) * 2017-11-13 2022-08-26 金玟知 导光板台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790B1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966B2 (en) Lighting fixture
KR20090116822A (ko) 발광 다이오드 기반 조명 시스템
KR101215381B1 (ko) 조명 장치
KR101440476B1 (ko) 광학소자 및 상기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발광장치
KR101055543B1 (ko) 조명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EP2495587B1 (en) Lens for shaping the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of LED's and lighting device
CN215764857U (zh) 光电模组及应用所述光电模组的led灯具
KR200449070Y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101894905B1 (ko) 조명 램프
KR101866812B1 (ko) 간접조명 방식의 led 조명장치
KR101632790B1 (ko) 조명 장치
US20130242566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JP2008159554A (ja) 発光照明器具
KR101020623B1 (ko) 엘이디 등기구
KR200459122Y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KR101032885B1 (ko) 자전거 조명장치
CN212056945U (zh) 照明灯具
KR20110000897A (ko) 엘이디 조명등
KR101167043B1 (ko) 다중 리플렉터를 구비한 엘이디 전구
KR20110098023A (ko) 엘이디 광원 집광장치
KR20150128203A (ko) 조명 장치
KR101951661B1 (ko) 조명 장치
KR101414653B1 (ko) 조명장치
KR101436090B1 (ko)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52689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