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548A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fisheries and stock farm products and dry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fisheries and stock farm products and dry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4548A KR20150124548A KR1020140050981A KR20140050981A KR20150124548A KR 20150124548 A KR20150124548 A KR 20150124548A KR 1020140050981 A KR1020140050981 A KR 1020140050981A KR 20140050981 A KR20140050981 A KR 20140050981A KR 20150124548 A KR20150124548 A KR 201501245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agricultural
- housing
- panel
- microwave gen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1차적으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통하여 농수축산물을 애벌로 건조시킨 후, 2차적으로 면상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통하여 건조시키되, 복사열을 이용한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습필터를 이용하여 습기를 낮춘 후에 다시 농수축산물의 건조에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고품질로 건조시킬 수 있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구비되며 내측에 면상발열체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연통되되, 중간부에 제습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필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개폐밸브로 구성되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의 제2 개폐밸브 하부 중간에 결합되되, 중간부에 제1 개폐밸브가 결합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and a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using a microwave generator, drying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a second time, A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hich can be dried at a high quality while reducing energy by using the dehumidifying filter to lower the humidity by drying the radiant heat, and then drying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and drying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u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microwave generator on the inner side and a planar heating element on the inner side; A bypass pip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dehumidifying filter being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humidifying filter; And a discharge pip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of the bypass pipe and having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1차적으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통하여 농수축산물을 애벌로 건조시킨 후, 2차적으로 면상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통하여 건조시키되, 복사열을 이용한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제습필터를 이용하여 습기를 낮춘 후에 다시 농수축산물의 건조에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고품질로 건조시킬 수 있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and a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using a microwave generator, drying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a second time, A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hich can be dried at a high quality while reducing energy by using the dehumidifying filter to lower the humidity by drying the radiant heat, .
일반적으로 고추나 고가의 약재 및 약초 등과 같은 농작물 또는 건어물, 생선, 미역 등과 같은 수산물은 자연바람과 태양열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먼지나 이물질과 같은 비위생적인 물질들로 인한 오염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량으로 건조하기가 부적합하므로 통상 건조기를 사용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농작물을 대량으로 건조하고 있다.Generally,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crops such as red pepper, high-priced medicinal materials and herbal medicines, or aquatic products such as dried fish, fish and seaweed are dried by natural wind and solar heat, but the contamination due to unsanitary substances such as dust and foreign matter, And since it takes a long time to dry, it is unsuitable to dry in a large amount, so that a large amount of crops are usually dried in a limited space using a dryer.
따라서 농수축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건조기가 제안되어 있는데 온풍을 사용하는 건조기는 대부분 온풍을 강제 순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온풍 순환식 건조기의 일례로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00503호의 "농수산물 건조기" 가 있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dryers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and stockyards have been proposed. Most of the dryers using hot air have a structure for forcedly circulating warm air. Examples of such hot air circulating dryers are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6-0000503 There is a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er".
상기의 온풍 순환식 건조기는 농작물을 건조시키는 밀폐공간에서 농작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함께 공기를 단순히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온도만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건조효율이 높지 않고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warm air circulation type dryer is configured to heat the air with the moisture evaporated from the crops in a closed space for drying the crops to a high temperature to raise the temperature only in a high humidity state, .
즉, 종래의 건조기는 고온의 열을 농작물에 가함으로써 농작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농작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순환시킴으로써 건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dry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rops are damaged by applying heat of high temperature to the crops, and the drying time is long by circulating the water evaporated from the crops without discharging them to the outside.
아울러, 이러한 건조기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선반을 이용하여 소량의 피건조물을 나누어 담고 일일이 건조실에 옮겨 놓아야 하므로, 노령인구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촌의 현실을 고려할 때, 건조기가 대형인 경우에는 적재 및 배출 작업이 번거롭고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such a dryer needs to be divided into a small amount of laundry using a shelf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dryer and transferred to a drying room,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ural area occupies the majority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통하여 농수축산물을 애벌로 건조시킨 후, 2차적으로 면상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통하여 건조시키되, 면상발열체에 의해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다시 건조장치의 내부로 바이패스 시킬 때 제습필터에 의해 습기를 낮춘 후에 다시 농수축산물의 건조에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isture by using a dehumidifying filter and then use it to dry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to save energy and to improv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a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using the sam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마이크로파 발생기(101)가 구비되며 내측에 면상발열체가 구비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및 하부와 연통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제습필터(301), 상기 제습필터(30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 개폐밸브(302), 및 상기 제2개폐밸브(302)의 전방에 위치하는 팬(303)을 포함하는 바이패스관(300); 및 상기 바이패스관(300)의 제2 개폐밸브(302)와 팬(303) 사이에 결합되되, 중간부에 제1 개폐밸브(201)가 결합되는 배출관(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crowave oven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microwave generator on an inner side and an on-surface heating element on an inner side; A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 황토패널로 구성되는 측면패널 및 후면패널; 내측 표면에 면상발열체가 구비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측면 및 후면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comprises: a door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Side panels and back panels comprising loess panels; A lower panel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upper pane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anels and the rear pane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 및 후면패널은, 최외측으로부터 마감재, 유리섬유, 면상발열체 및 황토층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ide panels and the rear panel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material, the glass fiber, the surface heating element and the clay layer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outermost layer and lamin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은, 황토분말 90중량%와, 세라믹분말, 음이온석분말, 옥분말, 맥반석분말로 이루어진 첨가제 분말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첨가제 10중량%로 혼합되는 원재료 60중량%와, 알긴산, 석고, 녹말, 풀, 절단된 볏짚 중 어느 하나로 되는 접착제 30중량%와, 발포제로 되는 혼화제 10중량%를 100~200로 3~5시간동안 소성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lay layer comprises 60% by weight of a raw material mixed with 90% by weight of loess powder and 10% by weight of additives consisting of ceramic powder, anionite powder, jade powder and crushed stone powder, 30% by weight of an adhesive composed of one of alginic acid, gypsum, starch, grass and cut straw, and 10% by weight of an admixture as a foaming agent is baked at 100 to 200 for 3 to 5 hour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통하여 농수축산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킨 후 상기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는 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vacuum pump for primarily sucking moisture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discharging the moisture to the outside after primarily drying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 through the microwave generator.
본 발명에 의한 건조방법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농수산물을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1차적으로 건조시키고, 1차적으로 건조된 농수축산물을 복사열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건조시키되, 1차 건조과정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발생되는 고온 다습의 공기가 배출관(200)을 통하여 외기로 배출되며, 상기 복사열을 이용한 2차건조과정에서는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바이패스관(30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제습필터(301)를 통하여 수분이 낮추어진 후에 다시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되면서 복사열에 의해 농수축산물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stored in th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1차적으로 건조한 후에, 하우징(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과정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of making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의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에 의하면, 첫째, 1차적으로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통하여 농수축산물을 애벌로 건조시켜 농수축산물의 수분이 어느 정도 빠진 상태에서 2차적으로 면상발열체에 발생되는 복사열을 통하여 건조시켜 농수축산물을 건조시킴으로서 건조시간이 단축되어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drying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 using the same, first,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are dried avalanche through the microwave generator to remove the moisture of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s, By drying through the radiant heat and drying 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he dry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둘째, 2차 건조 시 발생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습도를 낮춘 후에 하우징으로 바이패스시켜 고온은 그대로 재활용하므로 면상발열체의 장시간 가동을 막을 수 있으므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전력소모를 줄이므로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generated in the second drying are lowered by using a filter and then bypassed to the housing, the high temperature is recycled as it is, so that the long time operation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can be prevented, shortening the drying time.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increased.
셋째, 건조대상물이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건조가 가능하므로 장시간 건조시 발생할 수 있는 품질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Third, since the drying object can be dried without being exposed to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deterioration in quality that may occur during long-time drying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1의 상부패널, 측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구성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and shia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view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Fig. 5 is a modification of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anel, the side panel, and the rear panel of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and a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변형예이고, 도 6은 도 1의 상부패널, 측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구성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and shoem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ide view of Fig. 1, Fig. 5 is a modification of Fig. 4, and Fig. 6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anel, the side panel and the rear panel of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는, 전면부에는 도어(110)가 설치되고, 측면패널(130) 및 후면패널(140)은 황토패널로 구성되며, 하부패널(150)의 표면에는 면상발열체가 구비되는 하우징(100)이 구비된다. 1 to 6, the dry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marrow-shri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101)가 구비되어 농수축산물이 1차적으로 건조되고, 또한, 면상발열체가 구비되어 복사열에 의해 농수축산물이 2차적으로 건조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측면패널(130) 또는 전면패널에는 투시창(131)이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건조되는 농수축산물을 작업자가 관찰하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전면패널이 도어로 구성되어서 별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전면패널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상부패널(120) 일측에는 건조작업 시 사용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관(12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기관(121)의 중간에는 흡기관 밸브(122)가 구비되어 흡기관(121)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흡기관(121)은 후술할 바이패스관(300)의 하부와 최대한 원거리인 상부에 설치되어 흡기관(121)으로 유입된 차가운 공기가 하부로 하강하면서 전체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켜서 건조 효율을 증대시킨다.Further, an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그 내측 가장자리 영역에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160)과, 상기 각 프레임(160)에 고정되는 가이드(161) 및 상기 가이드(161)에 의해 지지되되, 하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건조판(16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판(162)에 농수축산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건조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The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및 하부와 연통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제습필터(301), 상기 제습필터(30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 개폐밸브(302), 및 상기 제2개폐밸브(302)의 전방에 위치하는 팬(303)으로 구성되는 바이패스관(300)을 구비된다. 바이패스관(300)은 팬(303)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고온다습한 공기를 빨아들여서, 제습필터(301)에서 습기를 제거하여 고온저습한 공기를 만든 후에, 이를 다시 하우징(100)의 상부로 유입시킨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300)와 하우징(100)의 상부 결합부분에는 팬(미도시)이 더 결합시켜서, 바이패스관(300)에서 유출되는 고온 저습한 공기를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 dehumidifying filter (301)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100) and positioned in the middle,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302) provided in front of the dehumidifying filter (301) And a
또한 제습필터(301))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히터(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히터로 인하여 습기가 제거되거나 제거될 공기에 열이 가해져서 제습효율 및 건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Further, a heat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in front of or behind the
한편, 상기 마이크로파(101)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외기로 배출되도록 하되, 중간부에 제1 개폐밸브(201)가 구비되는 배출관(200)이 바이패스관(300)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제2 개폐밸브(302)와 팬(303)의 사이에 배출관(200)이 구비된다. 이는 제2 개폐밸브(302)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해 제1 개폐밸브(201)도 폐쇄 및 개방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제2 개폐밸브(302)의 하부에 배출관(200)이 구비되는 것이다.A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300)의 전방인 하우징(100)과 근접한 영역에는 습도센서(305)가 구비된다. 따라서 바이패스관(30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게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전방과 후방은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한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한 하우징(100)에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농수축산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킨 후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형성되는 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배출하고 아울러 복사열에 의한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공펌프(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400)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선택적으로 설치가 되는 것이다. 진공펌프(400)는 바이패스관(300)에 연결시킬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바이패스관(300)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진공펌프(400)의 전방에는 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In the meantime, the
한편, 상기 배출관(200), 바이패스관(300) 및 진공펌프(400)는, 도면에 후면패널(140)에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은 상기 하부패널(150)을 제외한 후면패널(140), 하부패널(150) 및 상부패널(120)에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한편, 상기 습도센서(305), 제1 및 제2 개폐밸브(201, 302)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측면패널(130) 및 후면패널(140)을 구성하는 황토패널은, 최외측으로부터 마감재(401), 유리섬유(402), 면상발열체(403) 및 황토층(404)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lay panel constituting the
여기서 상기 황토분말 90중량%와, 세라믹분말, 음이온석분말, 옥분말, 맥반석분말로 이루어진 첨가제 분말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첨가제 10중량%로 혼합되는 원재료 60중량%와, 알긴산, 석고, 녹말, 풀, 절단된 볏짚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접착제 30중량%와, 발포제로 구성되는 혼화제 10중량%를 100~200로 3~5시간동안 소성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0 wt% of a raw material mixed with 90 wt% of the loess powder and 10 wt% of an additive powder made of ceramic powder, anion powder, jade powder, and elvan powder is mixed with 60 wt% of alginic acid, gypsum, , 30% by weight of an adhesive composed of any one of cut pieces of rice straw and 10% by weight of an admixture composed of a foaming agent for 100 hours to 200 hours for 3 to 5 hours.
이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건조작업 시 발생되는 수분이 상기 배출관(200)을 통하여 배출되지만 일부는 상기 황토층(404)으로 흡수된다. 이렇게 황토층(404)으로 흡수되는 수분은 상기 면상발열체(403)의 발열반응에 의해 증발된다.This is because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drying operation inside the
상기 면상발열체(403)는 탄소섬유 발열체로서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반응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유리섬유(402)는, 상기 면상발열체(403)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감재(401)가 고온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소성된 황토패널은 경화된 상태를 유지하며, 통상적으로 취급되더라도 파손되지 않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ed yellow soil panel remains in a hardened state and is not damaged even if it is handled normally.
그런데 상기한 황토패널의 경우 소성온도를 100~200 이상으로 올려 더 높은 온도로 소성할 경우 면상발열체(403)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어 필히 100~200로 3~5시간 동안 소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황토패널을 얻을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loess panel, when the firing temperature is increased to 100 to 200 or more and fired at a higher temperature, the fired
또한, 상기한 황토층(404)은,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칼리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효소들로 조성되어 농수축산물 건조 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The above-described
특히, 축열작용에 따른 에너지 절약 및 단열효과와 습도조절 능력이 뛰어나고, 탁월한 흡착력으로 냄새를 제거하며, 우수한 항균성으로 곰팡이 등의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Particularly, it plays an role of suppressing the growth of bacteria such as fungi by excellent energy saving, heat insulation effect and humidity control ability due to heat storage action, excellent smell by excellent adsorption power, and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y.
또한, 상기한 황토층(404)의 경우 수분이 흡수면적을 높이기 위해 통공 또는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건조장치 설치 규모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clayey
한편, 상기 하부패널(150)까지 황토패널로 구성하게 되면 농수축산물 건조 시 발생되는 수분이 바닥으로 떨어져 황토패널이 손상되는 등의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측면 및 후면패널(120. 130)만 황토패널로 구성함으로써 농수축산물의 효율적인 건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게다가 건조장치가 구동 시 예상치 못한 정전 또는 단선이 되더라도 이미 하우징(100)의 내측은 고온으로 형성 되어있고, 이러한 고온의 열기를 황토패널이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황토패널의 복사열에 의해 수리 시 까지 농수축산물을 원활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drying apparatus is driven, unexpected power failure or disconnection occurs, the inside of the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프레임(160)과 가이드(161)의 구성 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벨트(171)가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컨베이어(170)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the
이 경우에는 상기 벨트(171)의 상부에 건조시킬 농수축산물을 올려놓은 뒤, 상기 이송컨베이어(170)를 작동시켜 밸트(171)를 일정길이 만큼 이동시키면서 벨트(171)의 전체적인 영역에 농수축산물을 올려놓아 건조시키는 것이다. The conveying
따라서 상기한 도 3 및 도 4의 구조에서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하우징일 때 프레임(160) 및 가이드(161)를 이용하는 것이고, 비교적 규모가 큰 하우징일 때는 도 5의 구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3 and 4,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농수축산물 건조장치의 작동상태 및 농수축산물의 건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and a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ill be described.
우선 작업자는 상기 건조판(162) 또는 벨트(171)의 상부에 건조시킬 대상물을 올려놓은 후 도어(110)를 닫아 하우징(100)을 폐쇄시킨 뒤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구동시키게 된다. 동시에 상기 팬(303)도 구동되면서 1차적으로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바이패스관(300)의 하부영역 및 배출관(200)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 개폐밸브(201)는 개방된 상태이고, 제2 개폐밸브(302) 폐쇄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흡기관 밸브(122)도 개방되어 외기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The operator first places the object to be dried on the drying
이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 하우징(100)의 내부의 습도가 40~50% 이하가 되면 배출관(200)의 습도센서(305)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를 동작시키게 되고, 동시에 제1 개폐밸브(201)는 개방된 폐쇄되고, 제2 개폐밸브(302)는 개방되어 고온의 공기는 바이패스관(300)을 통하여 다시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파 발생기(101)의 구동은 멈추게 되고, 측면, 후면 및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면상발열체가 구동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of the
이때 상기 바이패스관(30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제습필터(301)를 통과하면서 다시 한 번 수분이 제거되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흡기관 밸브(122)도 폐쇄되어 상기 바이패스관(300)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따라서 고온의 저습한 공기가 다시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순환하게 되면서 면상발열체에 의해 공기를 데우는 시간 및 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ir circulates back to the inside of the
여기서 상기한 마이크로파 발생기(101)에 의해서 습도를 40~50% 정도로만 제습한 뒤 구동을 멈추고, 면상발열체를 가동시키는 것은, 마이크로파 발생기(101) 만을 이용하여 제습할 경우 농수축산물이 타버릴 수 있기 때문에 1차적으로 즉 애벌로 농수축산물의 건조를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건조한 뒤 면상발열체를 통하여 서서히 농수축산물을 건조시켜 보다 양질의 건조물을 얻기 위한 것이다.The dehumidification of the moisture by the
또한 면상발열체에 의한 건조를 먼저 실시할 경우에는 습도가 너무 높게 되어서 제습필터에 무리가 가해져서 건조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1차 건조하고, 복사열을 이용하여 2차 건조하는 것이 중요하다.In addition, when the drying by the surface heating element is performed first, the humidity becomes too high, and the drying ability may be lowered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dehumidifying filter. Therefore, Tea drying is important.
한편, 진공펌프(4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애벌 건조를 한 이후에, 건조기 내부의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진공펌프(400)를 이용하여 진공상태로 만들고, 그 다음으로 상기된 면상발열체를 이용하여 건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진공펌프(400)에 의한 진공의 정도는 완전 진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건조기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정도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know.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하우징 101 : 마이크로파 발생기
110 : 도어 120 : 상부패널
121 : 흡기관 130 : 측면패널
131 : 투시창 140 : 후면패널
150 : 하부패널 160 : 프레임
161 : 가이드 162 : 건조판
170 : 이송컨베이어 171 : 밸트
200 : 배출관 201 : 제1 개폐밸브
305 : 습도센서 300 : 바이패스관
301 : 제습필터 302 : 제2 개폐밸브
303 : 팬 400 : 진공펌프100: housing 101: microwave generator
110: door 120: upper panel
121: intake tube 130: side panel
131: viewing window 140: rear panel
150: lower panel 160: frame
161: Guide 162: Dry plate
170: conveying conveyor 171: belt
200: discharge pipe 201: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305: Humidity sensor 300: Bypass pipe
301: dehumidification filter 302: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303: Fan 400: Vacuum pump
Claims (7)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 및 하부와 연통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제습필터(301), 상기 제습필터(301)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 개폐밸브(302), 및 상기 제2개폐밸브(302)의 전방에 위치하는 팬(303)을 포함하는 바이패스관(300); 및
상기 바이패스관(300)의 제2 개폐밸브(302)와 팬(303) 사이에 결합되되, 중간부에 제1 개폐밸브(201)가 결합되는 배출관(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A housing 100 having a microwave generator 101 on the inner side and an on-plane heating element on the inner side;
A dehumidifying filter 301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100 and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housing 100;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302 provided in front of the dehumidifying filter 301; A bypass pipe 300 including a fan 303 positioned in front of the bypass pipe 300; And
And a discharge pipe 200 coupled between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302 of the bypass pipe 300 and the fan 303 and having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01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하우징(100)은,
전면부에 설치되는 도어(110);
황토패널로 구성되는 측면패널(130) 및 후면패널(140);
내측 표면에 면상발열체가 구비되는 하부패널(150) 및
상기 측면 및 후면패널(130, 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패널(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100)
A door 110 installed on the front portion;
A side panel 130 and a back panel 140 constituted by a loess panel;
A lower panel 150 provided with an area heating element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panel (12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and rear panels (130, 140).
상기 측면패널(130) 및 후면패널(140)은,
최외측으로부터 마감재(401), 유리섬유(402), 면상발열체(403) 및 황토층(404)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panels 130 and the rear panel 140 may be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material (401), the glass fiber (402), the surface heating element (403) and the loess layer (404)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laminated from the outermost side.
상기 황토층(404)은,
황토분말 90중량%와, 세라믹분말, 음이온석분말, 옥분말, 맥반석분말로 이루어진 첨가제 분말 재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첨가제 10중량%로 혼합되는 원재료 60중량%와,
알긴산, 석고, 녹말, 풀, 절단된 볏짚 중 어느 하나로 되는 접착제 30중량%와,
발포제로 되는 혼화제 10중량%를 혼합시킨 후에,
100~200로 3~5시간동안 소성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loess layer (404)
60 wt% of a raw material mixed with 90 wt% of loess powder and 10 wt% of additives consisting of ceramic powder, anion powder, jade powder and additive powder made of elvan powder,
30 wt% of an adhesive composed of alginic acid, gypsum, starch, grass, and cut rice straw,
After mixing 10 wt% of an admixture as a foaming agent,
To 100 to 200 for 3 to 5 hours.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농수축산물을 1차적으로 건조시킨 후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형성되는 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진공펌프(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housing 100,
Further comprising a vacuum pump (400) for primarily drying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 through the microwave generator (101) and sucking the moisture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Drying device.
1차적으로 건조된 농수축산물을 복사열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건조시키되,
1차 건조과정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발생되는 고온 다습의 공기가 배출관(200)을 통하여 외기로 배출되며,
상기 복사열을 이용한 2차 건조과정에서는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바이패스관(30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제습필터(301)를 통하여 수분이 낮추어진 후에 다시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되면서 복사열에 의해 농수축산물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Th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contained in the housing 100 are primarily dried through the microwave generator 101,
The primary dryness of the agro-food and beverage is secondarily dried using radiant heat,
In the first drying process, hot and humid air generated through the microwave generator 10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discharge pipe 200,
In the second drying process using the radiant heat, the moisture is reduced through the dehumidifying filter (301) installed in the middle part of the bypass pipe (300) (100), and the concentrated water is dried by the radiant heat while being circulated, thereby drying the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product.
마이크로파 발생기(101)를 통하여 1차적으로 건조한 후에, 하우징(1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과정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를 이용한 농수축산물 건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ocess for mak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o be in a vacuum state after the first drying through the microwave generator (101) is added to the method for drying agricultural and marine lif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0981A KR20150124548A (en) | 2014-04-28 | 2014-04-28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fisheries and stock farm products and dry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0981A KR20150124548A (en) | 2014-04-28 | 2014-04-28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fisheries and stock farm products and drying method thereof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747U Division KR200483659Y1 (en) | 2016-05-19 | 2016-05-19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and stock farm produc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548A true KR20150124548A (en) | 2015-11-06 |
Family
ID=5460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0981A Withdrawn KR20150124548A (en) | 2014-04-28 | 2014-04-28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fisheries and stock farm products and dry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24548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268B1 (en) | 2016-03-31 | 2016-11-07 | 유준모 | Drying apparatus with red clay ball |
KR20200046416A (en) * | 2018-10-24 | 2020-05-07 | 주식회사 한진보일러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
CN111780544A (en) * | 2020-06-14 | 2020-10-16 | 石门县嘉丰商贸有限公司 | Gypsum model drying device for architectural design |
CN112696913A (en) * | 2020-12-29 | 2021-04-23 | 杭州美奇餐饮服务有限公司 | Drying device for dehydrated vegetables based on air separation blanking technology |
KR102539456B1 (en) * | 2022-12-08 | 2023-06-05 | 원용돌 | Natural dry system for agro-fishery products |
-
2014
- 2014-04-28 KR KR1020140050981A patent/KR2015012454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268B1 (en) | 2016-03-31 | 2016-11-07 | 유준모 | Drying apparatus with red clay ball |
KR20200046416A (en) * | 2018-10-24 | 2020-05-07 | 주식회사 한진보일러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
CN111780544A (en) * | 2020-06-14 | 2020-10-16 | 石门县嘉丰商贸有限公司 | Gypsum model drying device for architectural design |
CN112696913A (en) * | 2020-12-29 | 2021-04-23 | 杭州美奇餐饮服务有限公司 | Drying device for dehydrated vegetables based on air separation blanking technology |
KR102539456B1 (en) * | 2022-12-08 | 2023-06-05 | 원용돌 | Natural dry system for agro-fishery produc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3659Y1 (en)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and stock farm products | |
KR20150124548A (en)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e, fisheries and stock farm products and drying method thereof | |
KR100799345B1 (en) | Bulk Type Infrared Dryer | |
CN201096446Y (en) | Continuous type microwave material drying-machine | |
CN103749670A (en) | High-efficiency energy-saving grain drying machine and drying method | |
KR101585563B1 (en) | decompression drying machine using near-infrared ray | |
KR101878643B1 (en) | Mineral heat drying divice and mineral heat drying method | |
KR101516669B1 (en)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products | |
CN106524674A (en) | Agricultural drying system and drying process thereof | |
KR101682238B1 (en) | Rice processing method | |
KR200414638Y1 (en) | Bulk Type Far Infrared Dryer | |
KR101738070B1 (en) | Power saving drying machine | |
KR101452161B1 (en) | Drying method for agricultural products using drier of agricultural products | |
CN104351929B (en) | For the convertible drying machine that vegetables and fruits are dried | |
KR101260829B1 (en) | Continuous circulating air drying system | |
KR20080089531A (en) | Agricultural products dryer | |
KR20170004622A (en) | Drye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 |
KR101347078B1 (en) | An 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s | |
CN205641910U (en) | Drying cabinet with dual cycle wind channel | |
KR101612481B1 (en) | Far infrared ray dryers | |
CN105076386A (en) | Continuous type small-size grain dryer | |
CN110260624B (en) | Energy-saving air source heat pump dryer | |
CN203789021U (en) | High-efficiency and energy-saving grain drying machine | |
CN205156512U (en) | Vacuum drying machine | |
CN219890082U (en) | Jet dr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C1205 |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 ||
WICV |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