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098A -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 Google Patents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9098A KR20150119098A KR1020157024638A KR20157024638A KR20150119098A KR 20150119098 A KR20150119098 A KR 20150119098A KR 1020157024638 A KR1020157024638 A KR 1020157024638A KR 20157024638 A KR20157024638 A KR 20157024638A KR 20150119098 A KR20150119098 A KR 201501190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ular element
- hole
- tubular
- opening
- bi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CNQCVBJFEGMYDW-UHFFFAOYSA-N lawrencium atom Chemical compound [Lr] CNQCVBJFEGMYD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ORQBXQOJMQIAOY-UHFFFAOYSA-N nobelium Chemical compound [No] ORQBXQOJMQIA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44C11/002—Ornamental chains composed of pearl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개시된 것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용 장식용 부품(300)이다. 장식용 부품(300)은 장식용 부품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꿰이도록 하는 관통구를 갖고 있고, 상기 관통구는 관통구 축(304)을 정의한다. 장식용 부품은 자립형 하우징의 제1 면의 제1 개구(351)과 자립형 하우징의 제2 면의 제2 개구(352)를 포함하는 관통구(350)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301); 및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인서트 조립체(302, 303)을 포함한다.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관통구를 갖는 제1 관형요소(302)와 상기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일부분을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303)로부터 조립된다. 제1 관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 내부에 확보하도록 구성되어있다.Described are decorative parts 300 for bracelets and / or necklaces. The decorative part 300 has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decorative part is threaded into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the through-hole defining the through-hole axis 304. The decorative part comprises a self-supporting housing (301) having a through-hole (350) including a first opening (351) of a first sid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and a second opening (352) of a second sid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And an insert assembly (302, 303)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tand-alone housing. The insert assembly is assembled from a first tubular element (302) having a through-hol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hole of the decorative part and a securing element (303) for frictionally securing a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 The first tubular element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ecuring element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decorativ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걸이 또는 팔찌를 위한 장식용 부품, 그러한 장식용 부품을 포함하는 목걸이 또는 팔찌, 장식용 부품,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 내부에 고정요소를 확보하기 위한 관형요소를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corative parts for necklaces or bracelets, necklaces or bracelets comprising such decorative parts, decorative par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ubular element for securing a fastening element within a through-hole of a decorative part.
팔찌와 목걸이 같은 장신구는 종종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식용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신부(예를 들어, 체인(chain), 와이어(wire), 실)에 꿰여있는 구슬) 모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슬들이 팔찌나 목걸이의 바닥에 함께 뭉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목걸이나 팔찌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정지 방법이 함께 제공되는 장식용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 방법은 선행 기술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Ornaments such as bracelets and necklaces are often composed of decorative parts that can move freely. (For example, a bead stitched on a chain (eg, a chain, a wire, a thread)). To prevent all freely movable beads from being bundled together on the bottom of a bracelet or necklace, A decorative part provided with a stopping method configured to fix the bracelet may be used. Such a stopping method is known in various forms from the prior art.
정지 방법의 변형 선행 기술의 예는 보석이 연신부 상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내부의 탄성체와 함께 생산되는 US 2003/0154742에 개시되어 있다. 유사한 해결방법은 보석 그 자체가 내부 직경이 연신부의 외부 직경보다 살짝 작은 유연한 탄성 튜브(tube)와 함께 제공되어 상기 보석이 상기 연신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US 2002/0148250에 개시되어 있다.
Modification of the Stopping Method An example of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US 2003/0154742, which is produced with an inner elastic body configured to provide a friction force on the stretch. A similar solution is disclosed in US 2002/0148250, in which the jewel itself is provided with a flexible resilient tube whose inner diamet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longate, so that the jewel can be secured to the elongate.
US 206/0277945는 적어도 두개의 캡(caps)을 포함하고, 한편으로는 그들의 말단(feet)이 장식 케이스 요소인 그들의 두부(heads) 사이에 고정되도록 조립하는 수단들을 포함하고, 또 다른 편으로는 연결부 상 각각의 연결고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그들의 말단의 교차점 고정 수단들을 포함하는 부품들의 세트로 형성된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목걸이 또는 팔찌를 개시하고 있다.
US 206/0277945 includes means for assembling to include at least two caps, one on the one hand and their feet being fixed between their heads, which are decorative case elements, and on the other hand, And a linkage formed of a set of parts including cross-point fixing means at their ends for preventing each linkage on the linkage from moving.
또 다른 선행 기술 변형은 WO 2006/125155에 개시되어 있다.
Another prior art variant is disclosed in WO 2006/125155.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의 장식용 부품을 생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정지 방법들은 손상에 취약할 수 있다.
However, producing such prior art decorative parts can be difficult. Moreover, the stopping methods can be vulnerable to damage.
그러므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정지 방법과 함께 제공되는 튼튼한 장식용 부품을 만드는 것은 문제로 남아있다.
Therefore, making a robust decorative part that comes with a stop method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remains a problem.
제 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용 장식용 부품(100)에 있어서, According to a first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corative part for a bracelet and / or a necklace,
상기 장식용 부품(100)은 상기 장식용 부품(100)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꿰이도록 허락하는 관통구(140)를 갖고, The decorative part (100) has a through hole (140) allowing the decorative part (100) to be threaded into the elongated part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상기 관통구는 관통구 축(104)를 정의하며, The through-hole defines a through-
상기 장식용 부품은 자립형 하우징의 제1면의 제1 개구(151)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의 제2 개구(152)를 포함하는 관통구(150)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 (101); 및The decorative part comprising a self-supporting housing (101) having a through opening (150) including a first opening (151) of a first sid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and a second opening (152) of a second sid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And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인서트 조립체 (102, 103);를 포함하고,And an insert assembly (102, 103) inser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상기 인서트 조립체(102, 103)는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한 부분을 형성하는 관통구(140)를 갖는 제1 관형요소(102)와, The insert assembly (102, 103) includes a first tubular element (102) having a through-hole (140)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상기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한 부분을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frictionally gripping) 고정요소(103)가 조립된 것이고,A
상기 제1 관형요소(102)는 상기 고정요소(103)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내부에 확보하도록 구성된 장식용 부품과 관련 있다.
The first
결론적으로, 장식용 부품에 고정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서트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생산 단가는 낮아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요소를 자립형 하우징 내부에 확보하기 위해 관형요소를 사용함으로써, 고정요소는 더 효과적으로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Consequently, by using an insert assembly to provide a fixture element to the decorative part, the production unit cost can be lowered. In addition, by using a tubular element to secure the stationary element within the stand-alone housing, the stationary element can be more effectively protected from damage.
장식용 부품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에 구슬처럼 장식적인 목적을 위하여 꿰일 수 있는 어떤 부품도 될 수 있다.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장식용 부품은 팔찌나 목걸이 상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슬들을 조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장식용 부품은 팔찌나 목걸이의 연신부 상의 원하는 위치까지 끌릴 수 있고, 그들이 탄력적으로 연신부에 고정되도록 놓아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팔찌 또는 목걸이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슬들을 위하여 세 구별되는 구역들로 나누어진다. 이것은 모든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슬들이 함께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The decorative part can be any part that can be worn for bracelets and / or necklace ornamental purposes like beads. The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to form beads that can move freely on a bracelet or a necklace. For example, two decorative parts can be pulled to the desired position on the bracelet or necklace stretch, and they can be flexibly placed on the stretch. In conclusion, bracelets or necklaces are divided into three distinct zones for free-moving beads. This can be used to prevent all free-moving beads from clumping together.
자립형 하우징은 장식용 부품의 외표면을 구성하거나 다른 층 또는 장식용 부품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요소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대략적인 구, 원통 또는 정육면체 같은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장식용 부품의 제조 공정 동안 자립형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조 강도를 가지고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장식용 부품의 주요한 구조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철, 유리, 나무,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는 일정한 너비를 갖거나 변화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했을 때) 예를 들어,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는 자립형 하우징의 중심부에서 제1 개구 또는 제2 개구에서 보다 넓을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의 내부 표면은 인서트 조립체로부터 다른 구성요소 또는 공기와 같은 유체에 의해 이격되어있을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의 적어도 한 부분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be covered by elements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or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layer or decorative part. 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have any shape, such as an approximate sphere, cylinder, or cube. The self-supporting housing has a structural strength that allows the self-supporting housing to be stably handl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corative part. The self-supporting housing can provide the major structural strength of the decorative part. 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be made of iron, glass, wood, plastic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erforations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have a constant width or a varying width (measur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erforation axis). For example, the perforations of the self- 2 < / RTI > aper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stand-alone housing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sert assembly by other components or fluids such as ai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인서트 조립체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는 영구적으로 또는 비-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인서트 조립체는 하우징의 제1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의 관통구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조립체는 인서트 조립체가 자립형 하우징의 제1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insert assembly can be permanently or non-permanently attached. The insert assembly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housing. For example, the insert assembly may have a size and shape that allows the insert assembly to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stand-alone housing.
제1 관형요소는 둥글거나 직각과 같은 어떠한 외부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1 관형요소의 관통구는 둥글거나 직각과 같은 어떠한 외부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제1 관형요소는 통합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틀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관형요소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have any external shape, such as round or right angled. Correspondingly, the through-holes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can have any external shape, such as round or right-angled. The first tubular element can be integrally molded. For example, from a single frame.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be made of metal and / or plastic.
고정 요소는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예를 들어 목걸이나 팔찌의 체인(chain), 밴드(band), 가닥)와 높은 마찰 접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고정요소는 실리콘 재료와 같이 가변형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The fastening elemen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configured to form a high friction contact with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e.g., the chain, band, strands of the necklace or bracelet). The stationary element can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silicon material.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요소는 제1 물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제2 물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제1 물질의 상기 마찰계수는 순은에 관한 상기 제2 물질의 상기 마찰계수보다 크다.
In some embodiments, the stationary element is made of a first material, the first tubular element is made of a second material, an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first material is less tha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second material of pure silver Big.
제1 물질의 마찰계수는 순은에 관한 제2 물질의 마찰계수보다 적어도 10%, 20%, 40% 또는 60% 클 수 있다.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first material may be at least 10%, 20%, 40% or 60% greater tha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second material with respect to pure silver.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고립요소는 장식용 부품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관통구 축을 따라 관통구 축에 따른 자립형 하우징의 너비의 95%, 90%, 80%, 70%, 60% 또는 50% 미만의 너비를 갖는다.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solated elemen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ecorative part and has a width of at least 95%, 90%, 80%, 70%, 60%, or 50% of the width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long the through- / RTI >
결론적으로, 고정요소는 더 잘 보호된다. 그러므로, 더 튼튼한 장식용 부품이 제공된다.
In conclusion, the stationary elements are better protected. Therefore, more durable decorative parts are provid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상기 연신부를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frictionally gripping)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first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and the securing element is frictionally gripping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And a first fixing por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요소는 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일부분을 감싸고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nchoring element includes a tubular portion, the first anchoring portion project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and the tubular portion of the anchoring element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결론적으로, 상기 관형요소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 내부에 확보할 수 있다.
Consequently, the tubular element can secure the fastening element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decorative part in an effective manner.
전체 고정요소는 통합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틀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The entire stationary element can be integrally molded. For example, it can be made from a single fram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의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secon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and the securing element includes a second secur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securing element,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extends through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3 고정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고정부은 상기 제3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thir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the securing element including a third anchoring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anchoring element, And the third fixing portion extends through the third eccentric opening.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완곡형개구, 제2 완곡형개구 및/또는 제3 완곡형개구는 관통구 축을 따라 관통구 축에 따른 제1 관형요소의 너비의 95%, 90%, 80%, 70%, 60% 미만의 너비를 갖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eccentric type opening, the second eccentric type opening, and / or the third eccentric type opening may have a width of at least 95%, 90%, 80%, or 90% of the width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along the through- 70%, and less than 60%.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완곡형개구, 제2 완곡형개구 및/또는 제3 완곡형개구 각각은 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제1 관형요소의 둘레의 5% 내지 33% 사이로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each of the first eccentric, second eccentric and / or third eccentric openings extends between 5% and 33%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orifice .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요소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고, 제2부분은 제1부분의 최대폭 보다 작은 최대폭을 갖고, 고정요소의 관형부는 제1 관형요소의 제2부분에 잘 맞도록 배치되고, 고정요소가 관통구 축을 따라 제1 관형요소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도록 제1 관형요소의 제1부분과 접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second portion having a maximum width less than a maximum width of the first portion, the tubular portion of the stationary element hav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And abuts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to prevent the securing element from moving in a first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요소는 제3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2부분은 제1부분 및 제3부분의 최대폭 보다 작은 최대폭을 갖고, 고정요소의 관형부는 제1 관형요소의 제3부분에 접함으로써 고정요소가 관통구 축을 따라 제1 관형요소에 대한 어떠한 방향으로도 움직이는 것을 막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rd portion, the second portion having a maximum width less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the tubular portion of the fastening element having a third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stationary element from moving in any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최대폭은 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된다.
The maximum width is measur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는 제1 관형요소의 제1부분과 제3부분의 최대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최대폭을 갖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portion of the stationary element has a maximum width that is approximately equal to a maximum width of the first and third portions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장식용 부품은 제2 관형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제2 관형요소의 내부에 위치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decorative pa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tubular element, wherein the first tubular element is located within the second tubular element.
이것은 인서트 조립체가 자립형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쉽게한다. 제2 관형요소는 추가적으로 자립형 하우징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때, 장식용 부품의 비-장식적 요소를 숨길 수 있다.
This facilitates insertion of the insert assembly into the stand-alone housing. The second tubular element can additionally hide the non-decorative element of the decorative part when the self-supporting housing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제2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자립형 하우징의 너비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제2 관형요소는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tubular element may have a width approximately equal to the width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The second tubular element can be ful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tand-alone hous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말단부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의 제1 관형요소는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1 개구의 상기 자립형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서트 조립체의 상기 제1 관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장식용 부품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of the insert assembly at the first end further comprises a collar, the collar being located outside the free-standing housing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ree-standing housing, The first tubular element of the insert assembly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relative to the ornamental par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외표면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이 될 수 있다. 칼라(collar)는 제1 관형요소의 일체부가 되거나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can be the outer surfac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The collar may be integral with the first tubular element or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식용 부품은 관통구를 갖는 결속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요소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결속부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2 개구의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칼라(collar)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서트 조립체의 상기 제1 관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장식용 부품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ornamental component further comprises a binding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the binding element having a binding portion located within the self-contained housing and a biocompatibl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self-contained housing of the second opening of the self- Wherein the collar includes a collar which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 collar includes a surface abu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such that the first tubular element of the insert assembly is in contact with the through- Thereby preventing the decorative part from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결론적으로, 인서트 조립체는 효과적으로 자립형 하우징에 확보된다.
Consequently, the insert assembly is effectively secured to the stand-alone housing.
외표면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이 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can be the outer surfac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결속요소의 결속부와 칼라(collar)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요소는 제1 관형요소에 풀(glue)이나 기계적 결속 방법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The binding portion and the collar of the binding element can be integrally formed. The binding element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glue or mechanical bond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요소의 상기 결속부는 상기 결속요소의 상기 관통구와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상기 관통구가 함께 상기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관형요소로 삽입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ubular element such that the through-hole of the binding element and the through-hole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together form a through-hole of the ornamental componen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에 암수 결속방식에 의하여 부착되고, 상기 수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부는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portion is affix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a male-female binding method, and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and the arm portion includes a concave portion and / or an opening.
결속부는 수부가 될 수 있고 제1 관형요소는 암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부는 제1 관형 요소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와 결속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관형요소는 수부가 될 수 있고 결속부는 암부가 될 수 있다.
The binding portion can be added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can be a dark portion. For example,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configured to engage a recess and / or an opening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Alternatively,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be watertight and the binding portion may be a dark portion.
일부 실시예에서, 암수 결속방식은 수부와 암부의 자유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회전 방향 및/또는 위치로의 이동 및/또는 회전이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자유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의 이동 및/또는 회전 보다 적은 힘을 요구하는 스냅락(snap lock) 형태이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movement and / or rotation of the male and female parts from the free rotation direction and / or position of the male and female parts to the combined rotation direction and / / RTI > is in the form of a snap lock requiring less force than movement and / or rotation to the free rotation direction and / or position of the hand and arm portions from the / or position.
이것은 결속요소와 제1 관형요소가 전형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때 효과적일 수 있다.
This may be effective when the binding element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are typically permanently attached.
일부 실시예에서, 암수 결속방식은 암부 (결속부 또는 제1 관형요소)가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하여, 수부의 돌출부가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자유 회전방향일 때 오목부 및/또는 개구 내부로 관통구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결속된 위치에 있고,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결속된 회전 방향에 있을 때 적어도 관통구 축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게 구성된 회전 결속 형태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schemes are such that the arm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or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recess and / or an opening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male portion is in the free rot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 or to move along the through-hole axis into the aperture, and when the binding element is in the engag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when the binding element i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oun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be in the form of a rotational binding configured to prevent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수부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암부는 복수의 오목부들 및/또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arm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s and / or openings.
암수 결속방식은 회전 방식일 때, 결속요소는, 첫째로 결속요소를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자유 회전방향으로 회전 배향시키고, 다음으로 제1 관형요소 및/또는 결속요소를 관통구 축을 따라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제1 관형요소 및/또는 결속요소를 자유 회전방향에서 고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When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ystem is a rotating system, the binding element first rotates the binding element in the direction of fre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n moves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 or the binding element along the through- Until it is in a fixed position relative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finally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rotating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 or the binding element in a fixed rotational direction in the free rotational direction .
수부의 돌출부 및/또는 암부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는 자유 회전방향으로부터 결속된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결속된 회전 방향으로부터 자유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보다 적은 힘을 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cave portion and / or the opening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 or the arm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require less force than the rotation in the free rotation direction from the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in the rotation direction bounded from the free rotation direction is engaged.
일부 실시예에서, 수부 (결속부 또는 제1 관형부)는, 수부가 암부와 접촉하였을 때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되고, 더 나아가 유연부가 오목부 및/또는 개구와 만나서 수부가 암부에 고정되도록 유연부가 암부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와 나란히 되어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둘 사이의 순수한 이동(pure translation)에 의하여 부착되었을 때 대략적인 제1 형태로 신속하게 돌아오도록 구성된 유연부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hand portion (the binding portion or the first tubular portion) is deformed from the first form to the second form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le arm portion, and further the soft portion meets the concave portion and / And the flexible element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concave portion and / or the opening of the arm portion so as to be quickly returned to the rough first form when the binding element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pure translation between the two .
일부 실시예에서, 수부는 두 유연부를 포함하고, 암부는 두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handpiece includes two flexible portions, and the arm portion includes two recesses and / or apertures.
두 유연부는 수부의 상반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두 오목부 및/또는 개구는 암부의 상반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wo flexible portions can b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handle. Correspondingly, the two recesses and / or the openings can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arm portion.
일부 실시예에서, 장식용 부품은 관통구 축을 따라 2mm 내지 5c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ecorative part may have a length between 2 mm and 5 cm along the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4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4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고정부는 상기 제4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fourth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and the securing element includes a fourth secur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securing element, And the fourth fixing portion extends through the fourth eccentric opening.
제 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신부; 및 상기 연신부에 꿰인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라 개시되어있는 제1 장식용 부품;을 포함하고,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decorative part disclosed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ewn to the stretching part,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은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이 상기 연신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특정 힘이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에 작용하기 전까지는,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이 상기 연신부를 따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요소가 탄력적으로 상기 연신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또는 팔찌.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may be fixed to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such that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can be fixed along the orifice portion until a specific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And the element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fix the stretching portion.
연신부는 금속 체인(chain), 가죽 끈, 직물 끈, 닻 형태의 체인(anchor type chain)과 같은 장신구에 적합한 어떠한 연신부도 될 수 있다.
The stretching part may be any stretching part suitable for ornaments such as metal chains, leashes, fabric strings, anchor type chains, and the like.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힘은 장식용 부품에 가해지는 중력의 최대치 보다 크다.
In some embodiments, the specific force is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of gravity applied to the decorative part.
일부 실시예에서, 팔찌 또는 목걸이는 상기 연신부에 꿰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용 부품을 더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racelet or necklac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decorative part that is free to move by being threaded into the stretch.
일부 실시예에서, 팔찌 또는 목걸이는 상기 연신부에 꿰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장식용 부품을 더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racelet or necklac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ornamental components that can be freely moved by being sewn to the drawer.
일부 실시예에서, 팔찌 또는 목걸이는 상기 연신부에 꿰인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라 개시되어있는 제2 장식용 부품을 더 포함한다; 제2 장식용 부품은 고정요소가 탄력적으로 연신부에 고정되어 제2 장식용 부품이 제2 장식용 부품을 연신부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특정 힘이 상기 제2 장식용 부품에 작용할 때까지 연신부를 따라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some embodiments, a bracelet or neckla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ornamental component as dis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readed to said stretch; The second decorative part is such that the securing element is resiliently secured to the stretch so that the second decorative part is secured along the stretch until a particular force acts on the second decorative part to allow the second decorative part to move along the stretch. Consists of.
제 3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식용 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부품은 상기 장식용 부품이 목걸이 및/또는 팔찌의 연신부에 꿰일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를 갖고, 상기 관통구는 관통구 축을 정의하며;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rt, the decorative part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decorative part can be sewn on the necklace and / or the elongated part of the bracelet, the through- ;
상기 장식용 부품 제조방법은 관통구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1면의 제1 개구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의 제 2개구를 포함하는 단계; 및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rt provides a self-contained housing having a through-hole, the through-hole including a first opening on a first sid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nd a second opening on a second sid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nd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관통구를 갖는 제1 관형요소와,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상기 연신부를 마찰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Assembling an insert assembly comprising a first tubular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hole of the decorative part and a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the elongate part of the bracelet and / or necklace by friction; And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하고,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내부에 확보하도록 구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부품 제조방법과 관련 있다.
And inserting the insert assembly into the through-hole of the housing, the first tubular element being configured to secure the securing element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ornamental component.
결론적으로, 고정요소를 포함하는 장식용 부품을 생산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Consequently, an effective method of producing a decorative part comprising a stationary element is provided.
일부 실시예에서,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다.
In some embodiments, an insert assembly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일부 실시예에서, 장식용 부품은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한 장식용 부품이다.
In some embodiments, the decorative part i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isclos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기 전에 조립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insert assembly is assembled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상기 연신부를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가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관형부의 상기 내부 표면의 일부분이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외표면의 일부에 놓임으로써, 상기 고정요소가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1 완곡형개구와 나란히 될 때까지,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제1 관형요소 주위로 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first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and the securing element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And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comprises a tubular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the step of assembling the insert assembly include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Until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so that the fastening element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placing a portion of the fastening element on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완곡형개구를 더 포함하고, 고정요소는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를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제2 고정부는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관형부의 상기 내부 표면의 일부분이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외표면의 일부에 놓임으로써, 상기 고정요소가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되도록,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secon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and the securing element includes a second securing portion for securing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or necklace by fri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where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insert assembly comprises extending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Wherei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rests on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so that the securing element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1 완곡형개구와 나란히 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2 완곡형개구와 나란히 될 때까지,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제1 관형요소 주위로 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And pulling the fastening element about the first tubular element until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aligned with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완곡형개구를 더 포함하고, 고정요소는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를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제3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제3 고정부는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3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관형부의 상기 내부 표면의 일부분이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외표면의 일부에 놓임으로써, 상기 고정요소가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제1 완곡형개구와 나란히 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2 완곡형개구와 나란히 되고, 상기 제3 고정부가 상기 제3 완곡형개구와 나란히 될 때까지,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제1 관형요소 주위로 당기는 것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r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wherein the securing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rd securing portion for securing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or necklace by friction , The third anchor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the step of assembling the insert assembly extending throug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and the second anchor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And said third fixing portion extends through said third eccentric opening and a portion of said inner surface of said tubular portion rests on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said first tubular elemen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aligned wit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juxtaposed with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is aligned with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And pulling the securing element about the first tubular element until it is aligned with the third eccentric open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식용 부품은 관통구를 갖는 결속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요소는 상기 인서트 조립체와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 및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기 위한 칼라(collar)를 포함하고, In some embodiments, the ornamental component further comprises a binding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the binding element including a binding portion for binding with the insert assembly and a collar for positioning on the exterior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
상기의 방법은 결속요소의 결속부를 자립형 하우징의 제2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 및 인서트 조립체에 결속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inserting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element into the second opening of the free standing housing and attaching the binding portion to the insert assembly.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인서트 조립체에 암수 결속방식에 의해 부착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insert assembly by male and female binding.
제 4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팔찌 및 목걸이의 연신부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요소를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 안에 확보하기 위한 관형요소와 관련 있고, 관형요소는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정의하는 관통구를 갖고, 관형요소는 제1 고정부가 제1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하는 고정요소의 제1 고정부를 받을 수 있도록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완곡형개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element for securing a stretching part of a bracelet and a necklace in a through-hole of a decorative part, the tubular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defining a tubular element through- And the tubular element includes a first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ubular element through axis to receive a first anchoring portion of the anchoring element such that the first anchoring portion extends through the first eccentric open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형요소는 제2 고정부가 제2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하는 상기 고정요소의 제2 고정부를 받을 수 있도록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완곡형개구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includes a secon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ubular element through-hole axis to receive a second anchoring portion of the anchoring element such that the second anchoring portion extends through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do.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형요소는 제3 고정부가 제3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하는 상기 고정요소의 제3 고정부를 받을 수 있도록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완곡형개구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includes a thir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ubular element through-hole axis to receive a third anchoring portion of the anchoring element such that the third anchoring portion extends through the third eccentric opening do.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완곡형개구, 제2 완곡형개구 및/또는 제3 완곡형개구는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관형요소 관통구 축에 따른 관형요소의 너비의 95%, 90%, 80%, 70%, 60% 또는 50% 미만의 너비를 갖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eccentric opening, the second eccentric type opening and / or the third eccentric type opening are formed in the tubular element through-hole axis along 95%, 90%, 80% %, 70%, 60% or less than 50%.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완곡형개구, 제2 완곡형개구 및/또는 제3 완곡형개구 각각은 관형요소 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관형요소의 둘레의 5% 내지 33% 사이로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each of the first eccentric, second eccentric and / or third eccentric openings extend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tubular element through between 5% and 33%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element .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형요소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의 제1 개구를 통하여 상기 장식용 부품의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can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through-hol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of the decorative part.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요소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고, 제1부분은 제2부분의 옆에 위치하고, 제2부분은 관형요소 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했을 때 제1부분의 최대폭 보다 작은 최대폭을 갖고, 제1 완곡형개구는 관형요소의 제2부분에 위치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located adjacent to the second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as measur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ubular element through- Has a maximum width less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portion and the first eccentric opening is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완곡형개구는 관형요소의 제2부분에 위치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eccentric opening is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완곡형개구는 관형요소의 제2부분에 위치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eccentric opening is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요소는 제2부분의 옆에 위치하는 제3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2부분은 환형요소 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했을 때 제1부분 및 제3부분의 최대폭 보다 작은 최대폭을 갖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rd portion located next to the second portion, the second portion having a maximum width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as measur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nnular element through- Lt; / RTI >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완곡형개구는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대략적으로 관형요소의 제2부분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elongated opening extends approximately the entir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tubular element along the tubular element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완곡형개구는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대략적으로 관형요소의 제2부분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elongated opening extends approximately the entir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tubular element along the tubular element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완곡형개구는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대략적으로 관형요소의 제2부분의 전체 길이만큼 연장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eccentric opening extends approximately the entir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tubular element along the tubular element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형요소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기 위한 상기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고, 칼라는 상기 관형요소가 상기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자립형 하우징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further comprises the collar for positioning on the exterior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wherein the colla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ubular element is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lf-contained housing along the tubular element- And a surfac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to prevent movement.
칼라(collar)는 제1 관형요소의 일체부가 되거나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칼라는 관형요소의 관통구의 제1 개구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ollar may be integral with the first tubular element or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The collar may be located in the first opening of the through-hole of the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에 암수 결속방식에 의해 부착되고, 수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암부는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a male-female binding method, the male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and the arm portion includes a concave portion and / or an opening.
결속부는 수부가 될 수 있고 제1 관형요소는 암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부는 제1 관형 요소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와 결속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관형요소는 수부가 될 수 있고 결속부는 암부가 될 수 있다.
The binding portion can be added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can be a dark portion. For example,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configured to engage a recess and / or an opening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Alternatively,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be watertight and the binding portion may be a dark portion.
일부 실시예에서, 암수 결속방식은 수부와 암부의 자유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의 이동 및/또는 회전이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자유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의 이동 및/또는 회전 보다 적은 힘을 요구하는 스냅락(snap lock) 형태이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movement and / or rotation of the male and female parts from the free rotation direction and / or position of the male and female parts to the combined rotation direction and / / RTI > is in the form of a snap lock requiring less force than movement and / or rotation to the free rotation direction and / or position of the hand and arm portions from the / or position.
이것은 결속요소와 제1 관형요소가 전형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때 효과적일 수 있다.
This may be effective when the binding element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are typically permanently attached.
일부 실시예에서, 암수 결속방식은 암부 (결속부 또는 제1 관형요소)가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하여 수부의 돌출부가,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자유 회전방향일 때, 오목부 및/또는 개구 내부로 관통구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결속된 위치에 있고,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결속된 회전 방향에 있을 때 적어도 관통구 축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게 구성된 회전 결속 형태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schemes are such that when the arm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or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recess and / or an opening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male portion is in the free rot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Wherein the fastening element is in the engag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when the fastening element i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ounded by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may be in the form of a rotational binding configured to prevent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수부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암부는 복수의 오목부들 및/또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arm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s and / or openings.
수부의 돌출부 및/또는 암부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는 자유 회전방향으로부터 결속된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결속된 회전방향으로부터 자유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보다 적은 힘을 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cave portion and / or the opening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 or the arm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require less force than the rotation in the free rotation direction from the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in the rotation direction bounded from the free rotation direction is engaged.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요소는 관형요소 관통구 축을 따라 2mm 내지 3cm 사이의 길이를 갖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tubular element has a length between 2 mm and 3 cm along the tubular element through-hole axis.
제 5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를 위한 장식용 부품과 관련 있고, 상기 장식용 부품은 상기 장식용 부품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꿰이도록 하는 관통구를 갖고 있고, 상기 관통구는 관통구 축을 정의하고; 상기 장식용 부품은 하우징의 제1면에 제1 개구를 갖고, 하우징의 제2면에 제2 개구를 갖는 관통구가 있는 자립형 하우징; 및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에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관통구를 갖는 제1 관형요소; 및According to a fif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part for a bracelet and / or a necklace, the decorative part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decorative part is threaded into the elongated part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The sphere defines a through hole axis; The ornamental component comprising a stand-alone housing having a first opening in a first side of the housing and a through opening in a second side of the housing with a second opening; A first tubular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self-standing housing in a through-hol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And
자립형 하우징의 제2 개구를 통해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에 삽입된 관통구를 갖는 결속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요소는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되어 있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장식용 부품을 포함한다.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inser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stand-alone housing through a second opening of the stand-alone housing, the binding element comprising a decorative part comprising a binding part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결론적으로, 장식용 부품의 양면으로부터 삽입된 두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라이닝(lining)과 함께 장식용 부품을 제공함으로써, 라이닝(제1 관형요소와 결속요소)는 구슬을 변형시키지 않고 구슬에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이미 장식된 라이닝들이나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 라이닝처럼 더 복잡한 삽입 요소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Consequently, by providing the decorative part together with the lining by using the two parts inserted from both sides of the decorative part, the lining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 binding element) can be attached to the bead without deforming the bead. This allows more complex insert elements to be used, such as already decorated lining or a lining of multiple elements.
장식용 부품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에 구슬처럼 장식적인 목적을 위하여 꿰일 수 있는 어떤 부품도 될 수 있다. 발명의 제 5 태양에 따른 장식용 부품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식용 부품이거나 팔찌나 목걸이 상에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슬들을 정리할 수 있는 장식용 부품일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장식용 부품의 외표면을 구성하거나 다른 층 또는 장식용 부품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요소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대략적인 구, 원통 또는 정육면체 같은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장식용 부품의 제조 공정 동안 자립형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조 강도를 가지고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장식용 부품의 주요한 구조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은 철, 유리, 나무,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는 일정한 너비를 갖거나 변화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했을 때) 예를 들어,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는 자립형 하우징의 중심부에서 제1 개구 또는 제2 개구에서 보다 넓을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의 내부 표면은 인서트 조립체로부터 다른 구성요소 또는 공기와 같은 유체에 의해 이격되어있을 수 있다. 자립형 하우징의 적어도 한 부분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The decorative part can be any part that can be worn for bracelets and / or necklace ornamental purposes like beads. The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reely movable decorative part or a decorative part capable of arranging freely moving beads on a bracelet or a necklace. 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be covered by elements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or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layer or decorative part. 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have any shape, such as an approximate sphere, cylinder, or cube. The self-supporting housing has a structural strength that allows the self-supporting housing to be stably handl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corative part. The self-supporting housing can provide the major structural strength of the decorative part. 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be made of iron, glass, wood, plastic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erforations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may have a constant width or a varying width (measur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erforation axis). For example, the perforations of the self- 2 < / RTI > aperture.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stand-alone housing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sert assembly by other components or fluids such as ai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결속부와 제1 관형요소는 영구적으로 또는 비-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The binding portion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be permanently or non-permanently attached.
제1 관형요소는 둥글거나 직각과 같은 어떠한 외부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1 관형요소의 관통구는 둥글거나 직각과 같은 어떠한 외부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제1 관형요소는 통합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틀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관형요소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have any external shape, such as round or right angled. Correspondingly, the through-holes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can have any external shape, such as round or right-angled. The first tubular element can be integrally molded. For example, from a single frame.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be made of metal and / or plastic.
결속요소의 결속부는 결속요소는 제1 관형요소에 풀(glue)이나 기계적 결속 방법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element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a glue or a mechanical binding metho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에 암수 결속방식에 의하여 부착되고, 상기 수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부는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portion is affix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a male-female binding method, and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and the arm portion includes a concave portion and / or an opening.
결속부는 수부가 될 수 있고 제1 관형요소는 암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부는 제1 관형 요소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와 결속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관형요소는 수부가 될 수 있고 결속부는 암부가 될 수 있다.
The binding portion can be added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can be a dark portion. For example,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configured to engage a recess and / or an opening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Alternatively, the first tubular element may be watertight and the binding portion may be a dark portion.
일부 실시예에서, 장식용 부품은 제2 관형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형요소와 상기 결속요소의 결속부는 상기 제2 관형요소의 내부에 위치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decorative pa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tubular element, wherein the binding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 binding element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tubular element.
이것은 인서트 조립체가 자립형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쉽게한다. 제2 관형요소는 추가적으로 자립형 하우징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때, 장식용 부품의 비-장식적 요소를 숨길 수 있다. 제2 관형요소는 추가적으로 결속부와 제1 관형요소 사이의 결합을 보호할 수 있다.
This facilitates insertion of the insert assembly into the stand-alone housing. The second tubular element can additionally hide the non-decorative element of the decorative part when the self-supporting housing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The second tubular element may additionally protect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제2 관형요소는 관통구 축을 따라 자립형 하우징의 길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관형요소는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결속요소의 결속부는 제2 관형요소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tubular element may have a length approximate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The second tubular element can be ful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tand-alone housing.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element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econd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암수 결속방식은 수부와 암부의 자유 회전 방향 및/또는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의 이동 및/또는 회전이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회전방향 및/또는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자유 회전 방향 및/또는 위치로의 이동 및/또는 회전 보다 적은 힘을 요구하는 스냅락(snap lock) 형태이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ystem is configured such that movement and / or rotation of the male and female parts from the free rotation direction and / or position of the male and female parts to the combined rotation direction and / / RTI > is in the form of a snap lock requiring less force than movement and / or rotation to the free rotation direction and / or position of the hand and arm portions from the / or position.
이것은 결속요소와 제1 관형요소가 전형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때 효과적일 수 있다.
This may be effective when the binding element and the first tubular element are typically permanently attached.
일부 실시예에서, 암수 결속방식은 암부 (결속부 또는 제1 관형요소)가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하여 수부의 돌출부가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자유 회전방향일 때 오목부 및/또는 개구 내부로 관통구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결속된 위치에 있고,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결속된 회전 방향에 있을 때 적어도 관통구 축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게 구성된 회전 결속 형태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schemes are such that the arm (the coupling portion or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es a recess and / or an opening, such that the projection of the male portion engages the recess and / or the recess when the binding element is in the free- / RTI > and / or < RTI ID = 0.0 > openings < / RTI > along the axis of the orifice, and wherein when the binding element is in the engag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 binding element i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ounded by the first tubular element, It may be in the form of a rotary binding configured to prevent movement in one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수부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암부는 복수의 오목부들 및/또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arm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s and / or openings.
암수 결속방식은 회전 방식일 때, 결속요소는, 첫째로 결속요소를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자유 회전방향으로 회전 배향시키고, 다음으로 제1 관형요소 및/또는 결속요소를 관통구 축을 따라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제1 관형요소 및/또는 결속요소를 자유 회전방향에서 고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When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ystem is a rotating system, the binding element first rotates the binding element in the direction of fre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n moves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 or the binding element along the through- Until it is in a fixed position relative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finally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rotating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 or the binding element in a fixed rotational direction in the free rotational direction .
수부의 돌출부 및/또는 암부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는 자유 방향으로부터 결속된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고정된 방향으로부터 자유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보다 적은 힘을 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cave portion and / or the opening of the projecting portion and / or the arm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otation in the rotation direction bounded from the free direction requires less force than the rotation in the free rotation direction from the fixed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수부 (결속부 또는 제1 관형부)는 수부가 암부와 접촉하였을 때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형되고, 더 나아가 유연부가 오목부 및/또는 개구와 만나서 수부가 암부에 고정되도록 유연부가 암부의 오목부 및/또는 개구와 나란히 되어 결속요소가 제1 관형요소에 둘 사이의 순수한 이동(pure translation)에 의하여 부착되었을 때 대략적인 제1 형태로 신속하게 돌아오도록 구성된 유연부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hand part (binding part or first tubular part) is deformed from the first form to the second form when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le arm part, and further the soft part meets with the concave part and / The flexible portion is arranged to be aligned with the recess and / or the opening of the arm portion so as to be fixed so as to quickly return to the approximate first form when the binding element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pure translation between the two .
일부 실시예에서, 수부는 두 유연부를 포함하고, 암부는 두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handpiece includes two flexible portions, and the arm portion includes two recesses and / or apertures.
두 유연부는 수부의 상반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두 오목부 및/또는 개구는 암부의 상반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wo flexible portions can b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handle. Correspondingly, the two recesses and / or the openings can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arm port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요소의 상기 결속부는 상기 결속요소의 상기 관통구와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상기 관통구가 함께 상기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관형요소로 삽입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ubular element such that the through-hole of the binding element and the through-hole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together form a through-hole of the ornamental component.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말단부의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자립형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관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장식용 부품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at the first end further comprises a collar, the collar is located outside the free-standing housing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ree-standing housing, and the collar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 The inclined surface prev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from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relative to the ornamental par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요소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2 개구의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한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관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장식용 부품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element further comprises a collar located outside the self-contained housing of the second opening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the collar including a surfac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elf- Thereby preventing the one-tubular element from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relative to the ornamental par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요소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로 삽입된 인서트 조립체의 일부이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제1 관형요소와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한 부분을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가 조립된 것이고;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내부에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is a portion of an insert assembly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the insert assembly comprising a first tubular element and a bracelet and / Is assembled with a fixing element for fixing by friction a part of the fixing member The first tubular element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ecuring element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decorative part.
제 6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식용 부품의 제조 방법과 관련이 있고, 상기 장식용 부품은 상기 장식용 부품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꿰일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를 갖고 있고, 상기 관통구는 관통구 축을 정의하며, 상기 제조 방법은:According to a six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rt, wherein the decorative part has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decorative part can be worn on the elongated part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관통구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관통구는 자립형 하우징의 제1면의 제1 개구와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의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단계; The through-hole including a first opening on a first side of a self-supporting housing and a second opening on a second side of a self-supporting housing;
관통구를 갖는 제1 관형요소를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 first tubular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self-standing housing;
관통구를 갖는 결속요소를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삽입하고, 상기 결속요소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 내부에 위치한 결속부를 포함하는 단계;Inserting a binding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the binding element including a binding portion located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상기 결속요소의 상기 결속부를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attaching the binding portion of the binding element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결론적으로, 장식용 부품의 양면으로부터 삽입된 두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라이닝(lining)(제1 관형요소와 결속요소)는 구슬을 변형시키지 않고 구슬에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이미 장식된 라이닝들이나 복수의 요소들로 구성된 라이닝처럼 더 복잡한 삽입 요소가 사용될 수 있게 한다.
Consequently, by using the two portions inserted from both sides of the decorative part, the lining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 binding element) can be attached to the bead without deforming the bead. This allows more complex insert elements to be used, such as already decorated lining or a lining of multiple elements.
일부 실시예에서, 결속부는 상기 관형요소에 암수 결속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nding portion is affixed to the tubular element by male and female binding.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2 관형요소를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 또는 상기 제2 개구를 통하여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로 삽입하고, 상기 제1 관형요소와 상기 결속요소의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2 관형요소로 삽입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inserting a second tubular element through the first opening or the second opening of the self-contained housing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wherein the first tubular element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element Into the second tubular element.
일부 실시예에서, 장식용 부품은 본 발명의 제 5 태양과 관련되어 개시된 장식용 부품이다.
In some embodiments, the decorative part is a decorative part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서로 다른 태양들은 장식용 부품, 장식용 부품을 포함하는 팔찌 또는 목걸이, 장식용 부품을 위한 관형요소, 상기와 하기에 기재되어 있는 장식용 부품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여 다른 방법들로 시행될 수 있고, 각각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는 태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관련되어 개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이점과 혜택을 내고, 각각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는 태양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개시되어 있는 종속항들과 관련되어 개시되어 있는 선호되는 실시예와 그에 대응되는 선호되는 실시예를 갖는다.
Different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including decorative parts, bracelets or necklaces including decorative parts, tubular elements for decorative parts, and methods of making the decorative parts described above and below, Each providing one or more benefits and benefits that are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aspects disclosed above and each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aspects disclosed above and / And has a preferred embodiment corresponding thereto.
더욱이,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태양 중 하나와 관련되어 개시된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과 관련되어 개시되어있는 제1 관형요소는 본 발명의 제 4 태양과 관련되어 개시되어 있는 관형요소에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 1 태양과 관련되어 개시되어 있는 장식용 부품과 관련되어 개시된 태양은 본 발명의 제 3 태양과 관련되어 개시되어있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 5 태양과 관련되어 개시된 장식용 부품과 관련되어 개시된 태양들은 본 발명의 제 6 태양과 관련되어 개시된 방법에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Moreov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one of the aspects disclosed herein may be equally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tubular element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Likewise, the aspects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decorative part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Furthermore, aspects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decorative part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ethod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의 상기의 및/또는 추가적인 목표,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들에 대한 부호와 함께 이하의 예시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비-제한적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 1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
도면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
도면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
도면 4a-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5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6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하우징을 묘사한다.
도면 7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8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
도면 10a-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11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
도면 13a-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14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
도면 16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
도면 17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한다.The foregoing and / or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to be regard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sense, and by way of non-limit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igures la-c depict decorative par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depict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depict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d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b depict a stationa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b depict a self-containe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b depict a second tubular el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c depict binding e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depict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a-d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a-c depict binding e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depict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a-d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4a-c depict binding e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depict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16 ac depict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7a-b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depicts a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의 부호가 맞추어진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how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면 1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통구 축(104)를 정의하는 관통구를 갖는 팔찌 및/또는 목걸이용 장식용 부품(100)을 묘사한다.Figures la-c depict a
도면 1a은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b는 정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c는 도면 1b에 묘사되어 있는 A 라인에 따른 단면도를 묘사한다.1a depicts a side view, FIG. 1b depicts a front view, and FIG. 1c depict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 depicted in FIG. 1b.
장식용 부품(100)은 자립형 하우징(101)의 제1면에 제1 개구(151)를,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에 제2 개구(152)를 포함하는 관통구(150)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인서트 조립체(102, 103)은 상기 자립형 하우징(101)의 상기 관통구(150)에 삽입된다.The
인서트 조립체(102, 103)은 제1 관형요소(102)와 (개략적으로만 묘사된) 고정요소(103)을 포함한다. 고정요소(103)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한 부분을 마찰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제1 관형요소(102)는 이 실시예에는 장식용 부품(100)의 관통구 전체를 형성하는 관통구(140)을 갖고 있다.The first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관형요소의 관통구(140)는 장식용 부품(100)의 관통구의 한정된 부분만을 형성한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는 그것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꿰이도록 한다.The orifice of the decorative part allows it to be threaded onto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 of the necklace.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150)은 변화하는 너비를 갖고있다.(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했을 때), 예를 들어,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150)는 자립형 하우징의 중심부에서 제1 개구(151) 및 제2 개구(152)에서 보다 넓다.The through-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150)의 내부 표면은 인서트 조립체(102, 103)로부터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은 유체에 의해 이격되어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제1 관형요소(102)는 상기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150) 내부에 상기 고정요소(103)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있다.The first
이것은 상기 고정요소(103)을 제1 관형요소(102)에 부착하거나, 도면 2에 묘사된 것처럼 고정요소(103)를 제1 관형요소(102)의 오목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ttaching the
제1 관형요소(102)는 대안적으로, 도면 3 - 5에 관련되어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그것의 외표면을 감싸는 고정요소의 한 부분을 가짐으로써, 고정요소(103)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150) 내부에 확보할 수 있다.The first
도면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통구 축(204)을 정의하는 관통구를 갖는, 팔찌 및/또는 목걸이용 장식용 부품(200)의 단면부를 묘사한다.2 depicts an end portion of a
장식용 부품(200)은 자립형 하우징의 제1면에 제1 개구(251)를,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에 제2 개구(252)를 포함하는 관통구(250)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201)을 포함하고, 인서트 조립체(202, 203)은 상기 자립형 하우징(201)의 상기 관통구(250)에 삽입된다.The
인서트 조립체(202, 203)은 제1 관형요소(202)와 고정요소(203)을 포함한다. 고정요소(203)는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한 부분을 마찰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고정요소(203)는 관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1 관형요소(202)는 그것의 관통구(240)의 내벽의 중심부에 고정요소(203)가 위치할 수 있는 오목부(290)를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요소(203)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 내에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선택적으로, 고정요소(203)는 추가적으로 제1 관형요소(202)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관형요소의 관통구(240)는 장식용 부품(200)의 관통구 전체를 형성한다.
Optionally, the
도면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300)의 분해 조립도를 묘사한다. 장식용 부품(300)은 인서트 조립체(370), 제2 관형요소(305), 자립형 하우징(301) 및 결속요소(306)를 포함한다. 인서트 조립체(370)는 제1 관형요소(302)와 고정요소(303)을 포함한다.FIG. 3 illustrates an exploded view of a
관통구 축(304) 또한 묘사되어 있다. 제1 관형요소(302)는 관통구를 갖고 있고, 도면 4a-d와 관련되어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처럼 칼라(collar, 324), 제1부분(321), 제2부분(322), 제3부분(323)을 포함한다.The through-
결속요소(306)은 관통구를 갖고 있고, 인서트 조립체(370)와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61) 및 자립형 하우징(301)의 외부에 위치되기 위한 칼라(collar, 362)를 포함한다. The
장식용 부품(300)은 먼저 인서트 조립체(370)를 조립함으로써 제조되거나 조립될 수 있다. 인서트 조립체(370)은, 고정요소(303)의 고정부(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1 관형요소(302)의 완곡형개구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고정요소(303)를 제1 관형요소(302)의 제2부분(322)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 인서트 조립체(370)는 제2 관형요소(305)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인서트 조립체(370)는 제2 관형요소와 함께 자립형 하우징(350)의 관통구로 칼라(collar, 324)가 자립형 하우징(301)의 외부에 위치할 정도로 삽입될 수 있다.Next, the
제2 관형요소(305)는 대안적으로 인서트 조립체(370)가 삽입되기 전에 자립형 하우징(350)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인서트 조립체(370) 및/또는 제2 관형요소(305)는 제1 개구(351)을 통해 자립형 하우징(350)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다.The
인서트 조립체(370) 및/또는 제2 관형요소(305)는 대안적으로 자립형 하우징(301)이 완전히 형성/조립 되기 전에 자립형 하우징(350)의 관통구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조립체(370) 및/또는 제2 관형요소는 자립형 하우징(301)의 상반부로 삽입되고, 그 후 자립형 하우징(301)의 하반부가 상기 상반부에 부착됨으로써, 인서트 조립체가 그것의 관통구(350)에 삽입된 완성된 자립형 하우징(301)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결속요소(306)는 자립형 하우징(350)의 관통구의 제2 개구(352)로 삽입되고, 결속부(361)는 제1 관형요소(302)에 부착된다.
The
도면 4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를 포함하는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4-d에 도시된 제1 관형요소는 도면 3에 도시된 제1 관형요소(302)에 대응될 수 있다. 도면 4a는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4b는 A라인에 따른 단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4c는 정면도를 묘사하며, 도면 4d는 후면도를 묘사한다.Figures 4a-d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comprising a through-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ubular element shown in FIG. 4-d may correspond to the first
제1 관형요소(402)는 관통구 축(404)를 정의하는 관통구(47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부품에 제1 관형요소(402)가 위치하였을 때, 관형요소 관통구 축(404)와 장식용 부품 관통구 축은 일치할 것이다.The first
제1 관형요소(402)는 제1부분(421), 제2부분(422), 제3부분(423)을 포함한다. 제2부분(422)의 너비는 제1부분(421) 및 제3부분(423)의 최대폭보다 작다.The first
제1 관형요소(402)는 칼라(collar, 424), 제1 완곡형개구(426), 제2 완곡형개구(427), 제3 완곡형개구(428)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환형개구들(426, 427, 428)은 관형요소 관통구 축(404)를 따라 연장된다.The first
환형개구들(426, 427, 428)은 관형요소 관통구 축(404)를 따라 연장되는 벽들(471, 472, 473)에 의하여 이격되어있다. 각각의 완곡형개구들(426, 427, 428)은 제1 관형요소의 둘레의 B 퍼센트만큼 연장되어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묘사된 B는 20.8%에 해당된다, 예를들어 75도.
이에 상응하여, 각각의 벽들(471, 472, 473)은 제1 관형요소의 둘레의 C 퍼센트만큼 연장되어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묘사된 C는 12.5%에 해당한다. 완곡형개구들(426, 427, 428)은 고정요소의 고정부들이 제1 관형요소(402)의 관통구(474)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들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Correspondingly, each of the
칼라(collar, 424)는 제1 관형요소(402)가 관통구 축을 따라 자립형 하우징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기위한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474)을 포함한다.The
도면 4a에 파선으로 도시되어있는 것처럼, 관통구(474)의 폭은 제3부분(423)의 일부분까지 조금 연장된다. 이것은 결속요소의 관통구와 제1 관형요소(402)의 관통구(474)가 함께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결속요소의 결속부를 받아들이게 한다.The width of the through-
제1 관형요소(402)는 선택적으로 기계적으로 제1 관형요소(402)와 결속요소의 결속부를 부착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암수 결속방식과 같은, 기계적 결속 수단(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요소(402)는 관형요소 관통구 축(404)를 따라 1mm 내지 3c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도면 5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5a는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5b는 정면도를 묘사한다. 도면 5a-b에 도시되어있는 고정요소(503)은 도면 3에 도시되어있는 고정요소(303)에 대응될 수 있다.Figures 5a-b depict a stationar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5a depicts a side view, and Figure 5b depicts a front view. The
고정요소는 외표면(532)와 내부 표면(536)을 갖는 관형부(531)를 포함한다. 고정요소(503)은 관형부(531)의 내부 표면(53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고정부(533), 제2 고정부(534) 및 제3 고정부(535)를 더 포함한다.The fastening element includes a
각각의 고정부들(533, 534, 535)는 관형부(531)의 내부 표면(536)의 A 퍼센트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묘사된 A는 19.4%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70도이다. 고정부들(533, 534, 535)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를 탄력적으로 고정하는데 사용된다.Each of the fixing
고정요소(503)은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같은 물질. 고정요소(503)는, 제1 고정부(533)는 제1 완곡형개구(426)을 통해 연장되고, 제2 고정부(534)는 제2 완곡형개구(427)를 통해 연장되고, 제3 고정부(535)는 제3 완곡형개구(428)을 통해 연장되며, 관형부(531)의 내부 표면(536)의 일부분이 제1 관형요소(402)의 외표면(471, 472, 473)의 일부에 놓임으로써, 고정요소(503)가 제1 관형요소(502)에 부착되도록,The
제1고정부(533)가 제1 완곡형개구(426)와 나란히 되고, 제2 고정부(534)가 제2 완곡형개구(427)와 나란히 되고, 제3 고정부(535)가 제3 완곡형개구(428)와 나란히 될 때까지, 고정요소(503)을 제1 관형요소(402) 주위로 당김으로써, 도면 4a-d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관형요소(402)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요소(503)는 관통구 축을 따라 제1 관형요소의 완곡형개구들의 길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C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도면 6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형 하우징을 묘사한다. 도면 6a는 측면도를 묘사하며, 도면 6b는 정면도를 묘사한다. 도면 6a-b에 도시되어있는 자립형 하우징(601)은 도면 3에 도시되어있는 자립형 하우징(301)에 대응될 수 있다.Figures 6a-b depict a self-contained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depicts a side view, and Figure 6b depicts a front view. The self-standing
자립형 하우징(601)은 자립형 하우징의 제1면의 제1 개구(651)와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의 제2 개구(652)를 포함하는 관통구(650)를 갖는다.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650)은 변화하는 너비를 갖고 있다.(관통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하였을 때). 예를 들어, 자립형 하우징의 관통구(650)는 자립형 하우징의 중심부에서 제1 개구(651) 및 제2 개구(652)에서보다 넓다.The self-supporting
자립형 하우징(601)은 제1 개구(651)에 제1 관형요소의 칼라(collar)의 표면과 접하기 위한 평평한 면(653)을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여, 자립형 하우징(601)은 결속요소의 칼라의 표면과 접하기 위한 평평한 면(654)를 포함한다.The self-supporting
도면 7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7a는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7b는 정면도를 묘사한다. 도면 7a-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관형요소(705)는 도면 3에 도시되어 있는 제2 관형요소(305)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관형요소는 고정요소가 부착된 제1 관형요소가 위치할 수 있는 관통구(755)를 포함한다.
Figures 7a-b depict a second tubular el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depicts a side view, and Figure 7b depicts a front view. The second
도면 8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8a는 상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8b는 후면도를 묘사하며, 도면 8c는 정면도를 묘사한다. 도면 8a-c에 도시되어있는 결속요소(806)는 도면 3에 도시되어있는 결속요소(306)에 대응될 수 있다.Figures 8a-b depict binding el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8a depicts a top view, FIG. 8b depicts a rear view, and FIG. 8c depicts a front view. The
결속요소(806)는 제1 관형요소의 일 부분에 부착되기 위한 결속부(861), 자립형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기 위한 칼라(collar) 및 관통구(865)를 포함한다.The
결속부(861)는 선택적으로 결속부(861)를 제1 관형요소(402)와 기계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암수 결속방식 같은, 기계적 결속 수단(864)을 포함할 수 있다. 칼라(862)는 자립형 하우징의 표면과 접하기 위한 평평한 면(863)을 포함한다.
The binding
도면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치수를 포함한 장식용 부품의 분해 조립 투시도를 묘사한다. 장식용 부품(900)은 제1 관형요소(902), 고정요소(903), 자립형 하우징(901), 제2 관형요소(905), 결속요소(906)을 포함한다.
9 depicts an exploded assembly perspective view of a decorative part, including possible dimension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면 10a-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10a는 상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0b는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0c는 정면도를 묘사하며, 도면 10d는 후면도를 묘사한다. 제1 관형요소(1002)는 관통구(1074)를 갖고 있으며, 칼라(collar, 1024), 제1부분(1021), 제2부분(1022), 제3부분(1023)을 포함한다. 칼라(1024), 제1부분(1021), 제2부분(1022)는 도면 4a-d에 도시되어 있는 제1 관형요소의 대응되는 파트(part)와 동일할 수 있다. 제3부분(1023)은 암수 결속방식의 암부(1075, 1076) 형태의 기계적 결속수단을 포함한다. 암부(1075, 1076)는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개구(1075)와 제2 개구(1076)을 포함한다. 제1 개구(1075)와 제2 개구(1076)은 서로의 반대편에 위치해있다.
Figures 10a-d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depicts a top view, Figure 10b depicts a side view, Figure 10c depicts a front view, and Figure 10d depict a rear view. The first
도면 11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요소(1106)를 묘사한다. 도면 11a는 상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1b는 정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1c는 후면도를 묘사한다.Figures 11a-d depict
결속요소(1106)는 관통구(1165)를 갖고 있으며, 칼라(collar, 1162)와 결속부(1161)를 포함한다. 칼라(1162)는 도면 8에 도시되어 있는 결속요소의 칼라와 동일할 수 있다. 결속부(1161)는 암수 결속방식의 수부(1166, 1167) 형태의 기계적 결속수단을 포함한다. 수부(1166, 1167)는 제1 유연부(1166)과 제2 유연부(1167)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유연부(1166, 1167)은 각각 돌출부(1168, 1169)를 포함한다.The
도면 10a-c 및 도면 11a-c에 도시되어있는 암수 결속방식은 함께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1168, 1169)는 개구(1075, 1076)에 맞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속요소(1106)은 제1 및 제2 유연부(1166, 1167)가 제1 형태에서 제2 형태로 변하도록, 두 요소를 수부가 암부와 만날 때까지 움직임으로써 제1 관형요소(1002)에 부착될 수 있다.The male and female binding schemes shown in Figs. 10a-c and 11a-c are configured to function together, so that the
이것은 두 유연부(1166, 1167)의 둥근 정면부와 제1 관형요소(1002)의 관통구(1074)의 가장자리(1077) 사이의 상호작용을 야기한다.This causes an interaction between the rounded front portion of the two
두 유연부들(1166, 1167)이 제1 관형요소(1002)의 두 개구들(1075, 1076)과 나란히 되었을 때, 두 유연부들(1166, 1167)은 두 유연부들의 두 돌출부들(1168, 1169)이 개구들(1075, 1076)과 만나서 결속요소(1106)를 제1 관형요소(1002)에 결속하도록 대략적인 제1 형태로 신속하게 돌아온다.When the two
그러므로, 결속요소(1106)은 제1 관형요소(1002)에 둘 사이의 순수한 이동(pure translation)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암수 결속방식(1075, 1076, 1166, 1167)은 수부와 암부의 자유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위치로의 이동이 수부와 암부의 결속된 위치로부터 수부와 암부의 자유 위치로의 이동보다 적은 힘을 필요로 하는 스냅락(snap lock) 형태이다.Thus, the
이것은 돌출부들(1168, 1169)과 개구들(1075, 1076)의 특수한 형태의 결과이다. 이것은 결속요소(1106)와 제1 관형요소(1002)는 전형적으로 영구히 부착되므로 이점이 될 수 있다.
This is a result of a special type of
도면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10a-d 및 도면 11a-c와 관련되어 개시되어있는 제1 관형요소와 결속요소를 포함하는 완전히 조립된 장식용 부품의 단면도를 묘사한다.Figure 12 depict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lly assembled decorative part comprising a first tubular element and a binding element as disclosed in connection with Figures 10a-d and 11a-c,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식용 부품(1200)은 자립형 하우징(1201), 제1 관형요소(1202), 고정요소(1203), 결속요소(1206) 및 제2 관형요소(1205)를 포함한다. 장식용 부품(1200)은 관통구 축(1204)를 정의하는 관통구(1250)을 갖는다.The
고정요소(1203)는 도면 5a-b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요소와 동일할 수 있고, 자립형 하우징(1201)은 도면 6a-b에 도시되어 있는 자립형 하우징과 동일할 수 있고, 제2 관형요소(1205)는 도면 7a-b에 도시되어 있는 제2 관형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The stationary element 1203 can be the same as the stationary element shown in Figures 5a-b, the stand-
고정요소(1203)의 고정부들이 어떻게 장식용 부품(1200)의 관통구(1250)로 돌출되어 고정부가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를, 예를 들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체인을, 마찰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는지 볼 수 있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nchoring portions of the stationary element 1203 may be projected into the through-
도면 13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한다. 도면 13a는 상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3b는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3c는 정면도를 묘사하며, 도면 13d는 후면도를 묘사한다.Figures 13a-d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depicts a top view, FIG. 13b depicts a side view, FIG. 13c depicts a front view, and FIG. 13d depicts a rear view.
제1 관형요소(1302)는 관통구(1374)를 갖고 있고, 칼라(collar, 1324), 제1부분(1321), 제2부분(1322) 및 제3부분(1323)을 포함한다. 칼라(1324), 제1부분(1321) 및 제2부분(1322)는 도면 4a-d에 도시된 제1 관형요소의 대응되는 파트(part)들과 동일할 수 있다.The first
제3부분(1323)은 암수 결속방식의 암부(1375, 1376)형태의 기계적 결속 수단을 포함한다. 암부(1075, 1076)은 제1 개구 또는 오목부(1375)와 제2 개구 또는 오목부(1376)을 포함한다. 제1 개구(1375)와 제2 개구(1376)은 서로의 반대편에 위치해있다.
The
도면 14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요소(1406)을 묘사한다. 도면 14a는 상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4b는 정면도를 묘사하며, 도면 14c는 후면도를 묘사한다.Figures 14a-d depict
결속요소(1406)은 관통구(1465)를 갖고 있고, 칼라(1462) 및 결속부(1461)을 포함한다. 칼라(1462)는 도면 8에 도시되어 있는 결속요소의 칼라와 동일할 수 있다.The
결속부(1461)은 암수 결속방식의 수부(1468, 1469) 형태의 기계적 결속 수단을 포함한다. 수부(1468, 1469)는 제1 돌출부(1468) 및 제2 돌출부(1469)를 포함한다.The binding
도면 13a-c 및 도면 14a-c에 도시되어있는 암수 결속방식은 함께 기능하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돌출부들(1468, 1469)은 개구들(1375, 1376)에 맞도록 구성되어있다.The male and female binding schemes shown in Figs. 13a-c and 14a-c are configured to function together, so that the
상기 암수 결속방식은 회전 방식이다. 결속요소(1406)는, 첫째로 결속요소(1406)를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자유 회전 방향으로 회전 배향시키고(돌출부들(1468, 1469)이 개구들(1375, 1376)과 나란히 되도록), 다음으로 결속요소(1406)를 관통구 축을 따라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결속요소(1406)를 자유 회전방향에서 고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관형요소(1302)에 부착될 수 있다.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ystem is a rotating system. The
도면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 13a-d 및 도면 14a-c와 관련되어 개시되어있는 제1 관형요소 및 결속요소를 포함하는 완전히 조립된 장식용 부품의 단면의 중앙부를 묘사하고 있다. 장식용 부품(1500)은 자립형 하우징(1501), 제1 관형요소(1502), 고정요소(1503), 결속요소(1506) 및 제2 관형요소(1505)를 포함한다. 장식용 부품(1500)은 관통구 축(1504)를 정의하는 관통구(1550)을 갖는다. 조립요소(1503)은 도면 5a-b에 도시되어있는 고정요소와 동일할 수 있고, 자립형 하우징(1501)은 도면 6a-b에 도시되어있는 자립형 하우징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2 관형요소(1505)는 도면 7a-b에 도시되어있는 제2 관형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
Figure 15 depicts a central portion of a cross-section of a fully assembled ornamental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tubular element and a binding element, disclosed in association with Figures 13a-d and 14a-c,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part 1500 includes a stand-
도면 16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부품을 묘사하고 있다. 도면 16a는 측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6b는 정면도를 묘사하고, 도면 16c는 도면 16b에 도시되어있는 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묘사하고 있다. 장식용 부품(1600)은 예를 들어 구슬과 같은, 팔찌 및/또는 목걸이용 장식용 부품이다.Figures 16a-c depict decorative par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depicts a side view, FIG. 16b depicts a front view, and FIG. 16c depicts a cross-section along line A shown in FIG. 16b. The
장식용 부품(1600)은 장식용 부품(1600)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꿰일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1698)을 갖고 있고, 관통구(1698)은 관통구 축(1604)를 정의한다.The
장식용 부품(1600)은 자립형 하우징(1601), 제1 관형요소(1602) 및 결속요소(1606)을 포함하고 있다. 자립형 하우징(1601)은 하우징의 제1면에 제1 개구(1651)를, 하우징의 제2면에 제2 개구(1652)를 포함하는 관통구(1650)를 갖는다.The
제1 관형요소(1602)는 관통구(1640)를 갖고, 상기 자립형 하우징(1650)의 관통구에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1 개구(1651)를 통하여 삽입된다.The first
결속요소(1606)는 관통구(1655)를 갖고, 자립형 하우징(1650)의 관통구에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2 개구(1652)를 통하여 삽입된다. 결속요소(1606)와 제1 관형요소(1602)는 박스(1699)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부착된다.The
제1 관형요소의 관통구(1640)와 결속요소의 관통구(1665)는 함께 장식용 부품의 관통구(1698)를 형성한다. 장식용 부품(1600)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식용 부품이거나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설정된 장식용 부품일 수 있다.
The through-
도면 17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식용 부품을 위한 제1 관형요소를 묘사하고 있다. 도면 17a는 상면도를 묘사하고 있고, 도면 17b는 측면도를 묘사하고 있다.Figures 17a-b depict a first tubular element for a freely movable decorative pa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a depicts a top view, and Figure 17b depicts a side view.
제1 관형요소(1702)는 관통구(1774)를 갖고 있다. 제1 관형요소는 자립형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기 위한 칼라(collar, 1724)와 암수 결속방식의 암부(1775, 1776)형태의 기계적 결속 수단을 포함한다.The first
암부(1775, 1776)은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개구(1775)와 제2 개구(1776)를 포함한다. 제1 개구(1775)와 제2 개구(1776)는 서로의 반대편에 위치해있다.The
상기 암수 결속방식은 도면 11a-d에 도시되어있는 결속요소(1106)의 암수 결속방식과 함께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요소(1106)는 제1 관형요소(1702)에 그들의 상대적인 암수 결속방식들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chemes can be configured to function together with the male and female binding schemes of
도면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완전히 조립된 장식용 부품의 중앙부 단면도를 묘사하고 있다. FIG. 18 depict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nter portion of a fully assembled ornamental component configured to be free to mov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식용 부품(1800)은 자립형 하우징(1801), 제1 관형요소(1802), 결속요소(1806) 및 제2 관형요소(1505)를 포함한다. 장식용 부품(1800)은 관통구 축(1804)을 정의하는 관통구(1850)를 갖는다.The
제2 관형요소(1805)는 도면 7a-b에 도시되어있는 제2 관형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관형요소(1802)는 도면 17a-b와 관련되어 개시되어있는 제1 관형요소이고, 결속요소(1806)는 도면 11a-c와 관련되어 개시되어있는 결속요소다.The second
제1 관형요소(1802)의 개구들 및/또는 결속요소(1806)의 개구들은 선택적으로 미리 장식될 수 있다. 원(1897)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장식적인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s of the first
일부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자세히 도시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뒤따르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주제의 범위 내에서 다른 방법들로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기능적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practiced in other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subject matter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치 청구항들에서 여러가지 방법들이 나열되고 있고, 이 방법들 중 여러 개는 하나의 동일한 하드웨어(hardware)의 항목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단순히, 특정 조치들이 상호적으로 다른 종속항에 언급되어 있거나, 다른 실시예들에 설명되어있다는 사실만으로 이러한 조치들의 조합이 이점이 없다고 볼 수는 없다.
Various methods are listed in the device claims, and several of these methods can be implemented by one item of the same hardware. Simply by the fact that certain measures are recited in mutually different dependent claims or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the combination of these measures can not be viewed as advantageous.
용어 '포함하는/포함'이 명세서에 사용되었을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구체화하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추가 또는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란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comprising / compris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all be taken to includ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r components, but not limitative of the scop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addition or presence of groups.
Claims (15)
상기 장식용 부품(100)은 상기 장식용 부품(100)이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연신부에 꿰이도록 하는 관통구(140)를 갖고,
상기 관통구는 관통구 축(104)을 정의하며,
상기 장식용 부품은 자립형 하우징의 제1면의 제1 개구(151)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의 제2 개구(152)를 포함하는 관통구(150)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 (101); 및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인서트 조립체 (102, 103);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조립체(102, 103)는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한 부분을 형성하는 관통구(140)를 갖는 제1 관형요소(102)와,
상기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한 부분을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frictionally gripping) 고정요소(103)가 조립된 것이고,
상기 제1 관형요소(102)는 상기 고정요소(103)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내부에 확보하도록 구성된 장식용 부품.
A decorative part (100) for a bracelet and / or a necklace,
The decorative part (100) has a through hole (140) through which the decorative part (100) is threaded into the elongated part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The through-hole defines a through-hole axis 104,
The decorative part comprising a self-supporting housing (101) having a through opening (150) including a first opening (151) of a first sid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and a second opening (152) of a second side of the self-standing housing; And
And an insert assembly (102, 103) inser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The insert assembly (102, 103) includes a first tubular element (102) having a through-hole (140) def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A fastening element 103 for frictionally gripping a part of the bracelet and / or the necklace is assembled,
The first tubular element (102)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ecuring element (103)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ornamental component.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 assembly is coupl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self-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tand-alone housing.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상기 연신부를 마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frictionally gripping) 제1 고정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완곡형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tubular element comprising a first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Wherein the fastening element comprises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 frictionally gripping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bracelet and / or necklace,
Said first fasten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said first eccentric opening.
상기 고정요소는 관형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일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ationary element comprises a tubular portion,
Said first fastening portion project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said tubular portion and said tubular portion of said fastening element wrapping a portion of said first tubular element.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고정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Said first tubular element including a secon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said through-hole axis,
Wherein the stationary element comprises a second stationary portion project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stationary element,
And said second fastening portion extends through said second eccentric opening.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완곡형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3 고정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고정부은 상기 제3 완곡형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tubular element including a third eccentric opening extending along the through-hole axis,
Wherein the fixing element comprises a third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art of the fixing element,
And said third fastening portion extends through said third eccentric opening.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최대폭 보다 작은 최대폭을 갖고,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상기 제2부분에 잘 맞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도록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상기 제1부분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The first tubular element comprising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The second portion having a maximum width less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portion,
The tubular portion of the stationary element
The second tubular element being adapted to fit into the second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to prevent the securing element from moving in a first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제1 관형요소는 제3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제1부분 및 제3부분의 최대폭 보다 작은 최대폭을 갖고, 상기 고정요소의 상기 관형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의 상기 제3부분에 접함으로써, 상기 고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대하여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이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tubular element further comprises a third portion,
Wherein the second portion has a maximum width less than a maximum width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third portion and the tubular portion of the stationary element contacts the third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element so that the stationary element is moved along the through- And prevents the first tubular element from moving in any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상기 장식용 부품은 제2 관형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제2 관형요소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decorative pa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tubular element,
Said first tubular element being located within said second tubular element.
제1 말단부의 상기 인서트 조립체의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자립형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서트 조립체의 상기 제1 관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장식용 부품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first tubular element of the insert assembly at the first end further comprising a collar,
Wherein the collar includes a surface located outside the free-standing housing of the first opening of the free-standing housing and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ree-standing housing,
Wherein the first tubular element of the insert assembly prevents movement in a first direction relative to the ornamental componen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상기 장식용 부품은 관통구를 갖는 결속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요소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결속부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2개구의 상기 자립형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는 칼라(collar)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에 부착되어있고,
상기 칼라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외표면에 접하는 표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서트 조립체의 상기 제1 관형요소가 상기 관통구 축을 따라 상기 장식용 부품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decorative part further comprises a binding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Wherein the binding element comprises a binding portion located within the self-supporting housing and a collar located outside the self-supporting housing of the second opening of the self-
Wherein the bind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Wherein the collar includes a surface abutt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to prevent the first tubular element of the insert assembly from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relative to the ornamental component along the through-hole axis.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제1 관형요소에 암수 결속방식에 의하여 부착되고,
상기 수부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부는 오목부 및/또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ind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first tubular element by male and female binding,
Wherein said male part includes a projection, and said arm part includes a recess and / or an opening.
상기 연신부에 꿰인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제1 장식용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은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이 상기 연신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특정 힘이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에 작용하기 전까지는, 상기 제1 장식용 부품이 상기 연신부를 따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요소가 탄력적으로 상기 연신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또는 팔찌.
Stretching; And
A first decorative pa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ich is sewn to the stretching part,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may be fixed to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such that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can be fixed along the orifice portion until a specific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ornamental component, And the element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fix the stretching portion.
관통구를 갖는 자립형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1면의 제1 개구와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제2면의 제 2개구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관통구를 갖는 제1 관형요소와, 팔찌 및/또는 목걸이의 상기 연신부를 마찰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요소를 포함하는 인서트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인서트 조립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하고, 상기 제1 관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를 상기 장식용 부품의 상기 관통구의 내부에 확보하도록 구성된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용 부품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art, the decorative part having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decorative part can be sewn on a necklace and / or a stretch of a bracelet, the through-hole defining a through-hole axis;
The through-hole including a first opening on a first sid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nd a second opening on a second side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nd
Assembling an insert assembly comprising a first tubular element having a through-hole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hole of the decorative part and a securing element for securing the elongate part of the bracelet and / or necklace by friction; And
And inserting the insert assembly into the through-hole of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tubular element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ecuring element within the through-hole of the ornamental component.
상기 인서트 조립체는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관통구에
상기 자립형 하우징의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부품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nsert assembly is mounted to the through-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self-supporting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361763251P | 2013-02-11 | 2013-02-11 | |
EP13154844.8A EP2764792A1 (en) | 2013-02-11 | 2013-02-11 | Ornamental component with lining |
EP13154843.0A EP2682016B1 (en) | 2013-02-11 | 2013-02-11 |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
EP13154843.0 | 2013-02-11 | ||
US61/763,251 | 2013-02-11 | ||
EP13154844.8 | 2013-02-11 | ||
PCT/DK2014/050024 WO2014121798A1 (en) | 2013-02-11 | 2014-02-03 |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9098A true KR20150119098A (en) | 2015-10-23 |
Family
ID=5129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4638A Withdrawn KR20150119098A (en) | 2013-02-11 | 2014-02-03 |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2) | EP2953497B1 (en) |
JP (1) | JP2016506798A (en) |
KR (1) | KR20150119098A (en) |
BR (1) | BR112015019010A2 (en) |
CA (2) | CA2898075A1 (en) |
EA (1) | EA028731B9 (en) |
ES (1) | ES2632968T3 (en) |
MX (1) | MX2015010330A (en) |
NZ (1) | NZ709902A (en) |
WO (2) | WO201412179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30867B (en) * | 2014-08-28 | 2017-10-04 | Hei Ng Pak | A user-friendly jewelry chain |
CA2959559A1 (en) * | 2014-09-02 | 2016-03-10 | Pandora A/S | An ornamental component for a bracelet and/or necklace |
EP3606373A1 (en) | 2017-04-07 | 2020-02-12 | Pandora A/S | An ornament for being strung on an elongated member |
WO2019214792A1 (en) | 2018-05-11 | 2019-11-14 | Pandora A/S | Flat bracelet clip |
US11234498B2 (en) | 2019-09-05 | 2022-02-01 | Pandora A/S | Jewelry clips |
RU197936U1 (en) * | 2020-03-27 | 2020-06-08 | Игорь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елудяков | CHAIN LINK CHAIN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84613A (en) * | 1995-09-22 | 1997-03-31 | Hiroyuki Sumita | Connector for string-shaped object for decoration |
EP0799587B1 (en) | 1996-03-27 | 2000-06-14 | Friedrich Zettl GmbH | Jewel for applying on a chain |
DE20021250U1 (en) * | 2000-12-15 | 2002-01-03 | Gebr. Niessing GmbH & Co. KG, 48691 Vreden | Device for increasing the friction in the through hole of a jewelry body |
US6557376B2 (en) | 2001-04-13 | 2003-05-06 | Ronald Pratt | Adjustable self-stopping strung beads and method of making same |
US6901771B2 (en) | 2002-02-21 | 2005-06-07 | Planet Co. | Jewel and personal ornament |
JP4384476B2 (en) * | 2003-11-17 | 2009-12-16 | 有限会社栄 | Connecting structure for jewelry |
US7540172B2 (en) * | 2005-05-19 | 2009-06-02 | Chamilia, Llc | Apparatus for adjustable bead retention on bracelets and necklaces |
EP1731052B1 (en) * | 2005-06-10 | 2012-11-21 |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 Necklace or bracelet with regularly spaced links on a flexible strand |
AU2009100851A4 (en) * | 2008-08-27 | 2009-10-08 | Scarcella, Catherine Ms | Improved bead |
US8375586B2 (en) | 2010-11-05 | 2013-02-19 | Chi Huynh |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jewelry having repulsive magnetic elements |
JP3172642U (en) * | 2011-10-14 | 2012-01-05 | 株式会社並木製作所 | Jewelry |
-
2014
- 2014-02-03 CA CA2898075A patent/CA289807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2-03 BR BR112015019010A patent/BR112015019010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2-03 WO PCT/DK2014/050023 patent/WO201412179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03 EA EA201591372A patent/EA028731B9/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02-03 KR KR1020157024638A patent/KR20150119098A/en not_active Withdrawn
- 2014-02-03 ES ES14703766.7T patent/ES2632968T3/en active Active
- 2014-02-03 JP JP2015556396A patent/JP2016506798A/en active Pending
- 2014-02-03 CA CA2898104A patent/CA289810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2-03 WO PCT/DK2014/050024 patent/WO201412179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03 NZ NZ709902A patent/NZ709902A/en unknown
- 2014-02-03 MX MX2015010330A patent/MX2015010330A/en unknown
- 2014-02-03 EP EP14703765.9A patent/EP2953497B1/en active Active
- 2014-02-03 EP EP14703766.7A patent/EP2953498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6506798A (en) | 2016-03-07 |
CA2898104A1 (en) | 2014-08-14 |
NZ709902A (en) | 2018-02-23 |
WO2014121798A1 (en) | 2014-08-14 |
CA2898075A1 (en) | 2014-08-14 |
EP2953498B1 (en) | 2017-04-26 |
EP2953498A1 (en) | 2015-12-16 |
EA201591372A1 (en) | 2015-12-30 |
EP2953497A1 (en) | 2015-12-16 |
ES2632968T3 (en) | 2017-09-18 |
BR112015019010A2 (en) | 2017-07-18 |
EA028731B1 (en) | 2017-12-29 |
MX2015010330A (en) | 2016-06-07 |
WO2014121797A1 (en) | 2014-08-14 |
EP2953497B1 (en) | 2017-02-01 |
EA028731B9 (en) | 201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19098A (en) |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 |
EP2682016B1 (en) | Ornamental component with gripping element | |
US20040154143A1 (en) | Magnetic clasp | |
JP2004503318A (en) | Decorative element for a trinket system and a trinket system comprising the decorative element | |
US20080222861A1 (en) | Ornamental shoelace tip and accessory | |
US11185184B2 (en) | Ornament display hanger | |
US10595659B2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o attach and secure decorative accessory, cover, disguise, and / or enhancement to other items and / or fixtures | |
JP2019069097A (en) | Annular accessory | |
KR101323117B1 (en) | Jewelry and accessories | |
KR101308849B1 (en) | a Necklace | |
EP2764792A1 (en) | Ornamental component with lining | |
KR20170001230U (en) | Toothbrush Having a Decorating Object | |
KR200294186Y1 (en) | End cap for perventing falling off magnetic | |
JP2008067757A (en) | Clasp for accessories, and accessory with the clasp | |
US20200390262A1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o attach and secure Decorative accessory, cover, disguise, and / or enhancement to other items and / or fixtures | |
KR200428889Y1 (en) | Column-shaped beads necklace fastening structure | |
US20190090599A1 (en) | Clasps for joining jewelry elements together in a string | |
JP2015100482A (en) | String tip fixture | |
TW201526832A (en) | Ornament composition element and ornament | |
KR200274201Y1 (en) | Jewelry setting | |
KR101331177B1 (en) | Accessories ring | |
JP2014171850A (en) | Tool for attachment to human body | |
KR20140004472U (en) | A chain | |
KR20170024776A (en) | Fixing structure for armlet with unit metal | |
KR20120140501A (en) | Thebinder unit of accesso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