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17816A -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816A
KR20150117816A KR1020140043377A KR20140043377A KR20150117816A KR 20150117816 A KR20150117816 A KR 20150117816A KR 1020140043377 A KR1020140043377 A KR 1020140043377A KR 20140043377 A KR20140043377 A KR 20140043377A KR 20150117816 A KR20150117816 A KR 20150117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주
오세미
김경국
김재준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4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816A/en
Publication of KR2015011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16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72Periodic patterns for optical field-shaping, e.g. photonic bandgap structur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빔 증착시 온도를 변화시켜 굴절률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고투과성 광추출층을 구비하는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굴절률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광추출층을 구비함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와 대기와의 굴절률 차이로 인한 반사율을 낮추어 광의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추출층은 이빔 증착시 온도를 제어하여 증착층 내의 굴절률을 제어하므로 종래 다성분계에서 조성을 변화시켜 굴절률 구배를 형성하는 방법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광추출층은 단일 성분으로 구성된 층 내에서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므로 굴절률의 급격한 변화가 없어 광추출에 매우 효과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high transmittance light extracting layer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is gradually decreas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during the deposition of a bea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extraction layer whose refractive index gradually changes, the reflect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atmosphere can be lowered and the light emis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Since the light extrac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eposition layer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beam, it is simpler and more efficient than the method of forming the refractive index gradient by changing the composition in the conventional multi-component system.
The light extrac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ly effective in light extraction because there is no rapid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because the refractive index continuously changes in the layer composed of a single component.

Description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광추출층을 구비하는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xtracting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continuously chang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광추출층을 구비하는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빔 증착 온도 변화 또는 이온빔처리 (ion beam treatment) 등의 공정 효과를 통하여 굴절률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고투과성 광추출층을 구비하는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light extracting layer with a continuously changing refractive index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refractive index gradually increasing through a process effect such as a temperature change of the beam deposition or an ion beam treat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일반적으로,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는 풀컬러 디스플레이, 이미지 스캐너, 각종 신호 시스템 및 광통신기기에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원리를 이용하는 활성층에서 빛을 생성하여 방출시킨다. 특히, 질화물 반도체는 그 조성비에 따라 청색 및 녹색광 대역을 포함하는 넓은 파장을 커버할 수 있는 발광소자의 구성물질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widely used as light sources in full color displays, image scanners, various signal systems, and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These LEDs generate and emit light in the active layer, which utilizes the recombination principle of electrons and holes. Particularly, nitride semiconductors are receiving the spotlight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covering a wide wavelength including blue and green light band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thereof.

이러한 반도체 발광소자의 광효율은 내부양자효율(internal quantum efficiency)과 광추출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 또는 "외부양자효율"이라고도 함)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광추출효율은 발광소자의 광학적 인자, 즉 각 구조물의 굴절률 및/또는 계면의 평활도(flatness) 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The light efficiency of such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determined by internal quantum efficiency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also referred to as "external quantum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optical facto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structure and / or the flatness of the interface.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성하는 반도체층은 외부대기 또는 봉합물질이나 기판에 비해 큰 굴절률을 가지므로, 빛의 방출가능한 입사각범위를 결정하는 임계각이 작아지고, 그 결과, 활성층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상당부분은 내부로 전반사되어 실질적으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전파되거나 전반사과정에서 손실되어 광추출효율이 낮을 수 밖에 없다. Since the semiconductor layer constituting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has a larger refractive index than the outer atmosphere or the sealing material or the substrate, the critical angle that determines the range of incidence angle at which light can be emitted is reduced. As a result, So tha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low due to propagation in a substantially undesired direction or loss in the total reflection process.

도 1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는 기판(1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버퍼층(11), n형 반도체층(12), 다중양자우물층(MQW)(13), p형 반도체층(14)을 포함하며, 그리고 p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p-전극(20) 및 식각을 통하여 일정 영역 노출된 n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n-전극(2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는 활성층에서 나오는 광이 상부 방향은 물론, 전 방향으로 출사되는데, 하부 방향 즉, 기판 방향으로 출사되는 기판에 의해서 일부 반사되어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지만 굴절율의 차이로 인해서 활성층에서 만들어진 빛의 상당부분이 발광다이오드의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내부로 반사되거나 흡수되어 대부분 손실되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의 광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iode. 1, the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 buffer layer 11,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12, a multiple quantum well layer (MQW) 13, a p-type semiconductor layer 14 And a p-electrode 20 formed on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electrode 22 formed on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exposed to a predetermined region through etching. In the light emitting diode having the above structure, light emitted from the active layer is emitted not only in the upper direction but also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is partially reflected by the substrate emit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substrate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lowered because most of the ligh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diode can not go ou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is mostly reflected and absorbed inside.

도 2는 종래의 플립칩 구조의 발광다이오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의 발광다이오드를 역으로 하여, p-전극(23) 및 n-전극(22)을 솔더로 고정하여, 활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부 방향으로 출사하게 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 또한, 전 방향으로 빛이 방출되며, 이 과정에서도 사파이어 기판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서 상·하부층에서 수직으로 반사 또는 투과되는 광을 제외한 나머지는 빛의 전반사나 부분반사 후에 재흡수 되어 대부분 손실되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의 광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lip chip structure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 emitting diode of Fig. 1 is reversed, and the p-electrode 23 and the n-electrode 22 are fixed by solder to emit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toward the upper direction. This structure also emits light in all directions. In this process, other than the light reflected or transmitted vertically from the upper and lower layers due to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sapphire substrate, the remainder is reabsorbed after the reflection or partial reflection of the 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lowered.

이러한 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0-50430호에는 그레이드형 굴절률층인 미세패턴을 구비하는 발광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WO 2007-136064GH38214호에는 경사 굴절률층을 가지는 발광소자가 기재되어 있으며, US2011-147773호에는 다층의 필름을 적층하여 굴절률 구배를 형성한 발광소자가 개시되었다. There is an attempt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such a light emitting devic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50430 discloses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fine pattern of a graded refractive index layer, WO 2007-136064GH38214 discloses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inclined refractive index layer, and US Pat. No. 2,011-147773 A multilayered film is laminated to form a refractive index gradient.

상기 공개특허들은 다층을 접착하여 굴절률 구배를 형성하거나 증착시 원료 가스들의 조성을 변화시켜 굴절률 구배를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들보다 굴절률 구배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 제조 공정이 용이한 발광소자 제조방법은 여전히 요구된다.
The above-mentioned patents disclose that a refractive index gradient is formed by forming a refractive index gradient by adhering multiple layers or changing the composition of source gases upon deposition. Howev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refractive index gradient which can be continuously formed, Is still required.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소자와 대기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 전반사를 감소시키고 광투과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caused by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atmosphere and increasing light transmission efficiency.

본 발명은 단일층 내에서 굴절률 구배를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which can easily form a refractive index gradient in a single layer while being easily manufactur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로서,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이 출사되는 광방출면에 형성된 광추출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추출층은 층 내의 밀도가 상기 활성층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계한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light extracting layer formed on a light emitting surface from which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s emitted, and the light extracting layer is gradually reduced as the density in the layer is further away from the active layer .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form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상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이 출사되는 광방출면에 이빔(e-beam) 증착법을 사용하여 광추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추출층 형성 단계는 이빔 증착 온도를 변화시켜 광추출층의 밀도를 상기 활성층에서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And forming a light extracting layer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on which the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s emitted by using an e-beam deposition method,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layer forming step includes: Emitting layer is continuously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active layer increases.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굴절률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광추출층을 구비함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와 대기와의 굴절률 차이로 인한 반사율을 낮추어 광의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Since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ght extraction layer whose refractive index gradually changes, the reflect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atmosphere can be lowered and the light emis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광추출층은 이빔 증착시 온도를 제어하여 증착층 내의 굴절률을 제어하므로 종래 다성분계에서 조성을 변화시켜 굴절률 구배를 형성하는 방법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이다. Since the light extrac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eposition layer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beam, it is simpler and more efficient than the method of forming the refractive index gradient by changing the composition in the conventional multi-component system.

본 발명의 광추출층은 단일 성분으로 구성된 층 내에서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변하므로 굴절률의 급격한 변화가 없어 광추출에 매우 효과적이다.
The light extrac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ghly effective in light extraction because there is no rapid change in the refractive index because the refractive index continuously changes in the layer composed of a single component.

도 1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플립칩 구조의 발광다이오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플립칩 구조의 발광소자를 나타낸다.
도 5는 광추출층과 광방출면 사이에 제 2 광추출층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빔 이바퍼레이터(EBEAM Evaporater)장비를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ight emitting diod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lip chip structure light emitting diode.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flip chip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at a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Figure 6 shows an EBEAM Evaporater equip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장치의 측단면도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and 4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기판(110),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20), 활성층(130),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0), 제 1 전극(150) 및 제 2 전극(16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10,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20, an active layer 130,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40, a first electrode 150, Two electrodes 160 are formed.

상기 기판(110)은 반도체 발광소자의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양면 폴리싱된 사파이어 기판이나 실리콘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ubstrate 110 may be any substrate that can be used as a substrate of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For example, a double-side polished sapphire substrate or a silicon substrate may be used.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0)은 ?-?족 질화물 반도체 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GaN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40)은 ?-?족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GaN층 또는 p-GaN/AlGaN층일 수 있다.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20 may be a n-type nitride semiconductor material, for example, an n-GaN layer.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40 may be a p-GaN layer or a p-GaN / AlGaN layer, for example.

상기 활성층(130)은 InxAlyGa1-x-yN (0=x<1, 0=y<1 그리고 0=x+y<1)인 GaN계열의 ?-?족 질화물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다중양자우물(multi-quantum well, 이하 'MQW'라 함) 또는 단일양자우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aN/InGaN/GaN MQW 또는 GaN/AlGaN/GaN MQW 구조일 수 있다.The active layer 130 may be a GaN-based nitride semiconductor layer of InxAlyGa1-x-yN (0 = x <1, 0 = y <1 and 0 = x + y <1) multi-quantum well (MQW), or a single quantum well. Preferably, it may be a GaN / InGaN / GaN MQW or GaN / AlGaN / GaN MQW structure.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20,140)에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 전극(150, 160)이 형성된다.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50 and 16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120 and 140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 제1 전극(150)은 Ti/Al, Ti/Au, Ti/Ag, Cr/Au, Cr/Al, Cr/Ag 및 Ag alloy, Au alloy, Al alloy, Au, Al, Ag와 같은 금속물질 또는 투명 전도성 물질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Ti / Al, Ti / Au, Ti / Ag, Cr / Au, Cr / Al, Cr / Ag, Ag alloy, Au alloy, Al alloy, Au, Or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제 2 전극(160)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이거나 투명 전도성 질화물(TC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산화물 계열의 모든 투명 전도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TO(indium-tin-oxide),IZO(indium-zinc-oxide), GZO(gallium-zinc-oxide), AZO(aluminium-zinc-oxide), Ga2O3(gallium oxide), SnO2(tin-oxide), In2O3 (indium-oxide), IGZO(indium-galliumzinc-oxide) 등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60 may be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that can transmit light or a transparent conductive nitride (TCN). Any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f the oxide series may be used. For example, ITO (indium-tin-oxide ), IZO (indium-zinc-oxide), GZO (gallium-zinc-oxide), AZO (aluminium-zinc-oxide), Ga 2 O 3 (gallium oxide), SnO 2 there is a substance such as (tin-oxide), in 2 O 3 (indium-oxide), IGZO (indium-galliumzinc-oxide) may be used.

상기 제 2 전극 상에 전기적 접촉을 위한 Bonding-전극(B-전극)(161)을 형성한다. A Bonding-electrode (B-electrode) 161 for electrical contact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상기 기판(110) 상에 버퍼층으로 u-GaN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1) 상에 반도체층을 성장시킬 경우, 이종 기판 상에 직접 성장시킬 경우에 비하여 계면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높은 밀도의 핵 생성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측면성장(lateral growth)의 촉진으로 인하여 평면성장을 촉진하는 장점이 있어, 격자 부정합을 일정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A u-GaN layer 111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as a buffer layer. When the semiconductor layer is grown on the buffer layer 111, the interfacial energy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miconductor layer is directly grown on the heterogeneous substrate, so that nucleation of a high density can be performed. Further,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planar growth, which can alleviate the lattice mismatch to some extent.

상기 제1 전극(150)과 제2 전극(160) 사이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120)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140)으로부터 각각 전자(electrons)와 정공(holes)이 상기 활성층(130)으로 주입되어 재결합되며, 이로써 활성층(130)으로부터 광이 생성될 수 있다.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50 and the second electrode 160, electrons and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20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140, respectively. Holes are injected into the active layer 130 and recombined, whereby light can be generated from the active layer 130.

상기 발광소자의 광방출면에는 광추출층(17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방출면은 상기 활성층(130)으로부터 생성된 광이 출사되어 세라믹 또는 금속 전극층 밖으로 나오는 발광소자의 특정면을 말한다.A light extracting layer 170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Here, the light emitting surface refers to a specific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generated from the active layer 130 and emits outside the ceramic or metal electrode layer.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광이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방출면은 제 2 전극(160)이 해당될 수 있고,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의 측면으로도 광이 출사될 수 있으므로 이들 층들의 측면도 광방출면에 해당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3, the light emitting surface on which light is emitted in the upwar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de 160, and light may also be emitted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layers constituting the device, It may correspond to a light emitting surface.

또한, 도 4의 플립칩 구조의 발광소자는 기판(210), 제 1 도전형 반도체층(220), 활성층(230), 제 2 도전형 반도체층(240), 제 1 전극(250) 및 제 2 전극(260)을 포함한다. 4 has a substrate 210,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20, an active layer 230,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240, a first electrode 250, Two electrodes 260 are formed.

도 4의 플립칩 구조의 발광소자에서 상기 광방출면은 광이 상부 방향으로 출사되는 기판(210)과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의 측면으로도 광이 출사될 수 있으므로 이들 층들의 측면도 광방출면에 해당될 수 있다.In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flip chip structure of FIG. 4, since light can be emitted even to the substrate 210 on which light is emitt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layers constituting the device, . &Lt; / RTI &gt;

상기 기판으로는 Al2O3, ZnO, GaN, LiAl2O3 등의 투명 기판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한다.As the substrate,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s Al 2 O 3 , ZnO, GaN, or LiAl 2 O 3 is used. In this embodiment, a sapphire substrate is used.

상기 제 2 전극(260)으로는 Ni, Ru, Pt, Ir, Cu, W, Ag, Al, Ni alloy, Ag alloy, Al alloy 등이며 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로 반사전극을 형성한다. As the second electrode 260, a reflective electrode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Ni, Ru, Pt, Ir, Cu, W, Ag, Al, Ni alloy, Ag alloy and Al alloy.

상기 기판(210) 상에 버퍼층으로 u-GaN층(211)이 형성될 수 있다. A u-GaN layer 211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210 as a buffer layer.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광방출면상에 형성되는 광추출층(170, 270)은 층 내의 밀도가 상기 활성층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light extracting layers 170 and 270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gradually decrease as the density in the layer is further away from the active layer.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진적”이라는 표현은 굴절률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굴절률이 다른 층을 다수 개 접합한 경우에 굴절률은 각각의 층에서 일정한 값을 가지며 균일하게 유지되며, 접합면에서는 굴절률이 계단형태로 급격한 변동이 있는데,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점진적”이라는 표현을 각각의 박막층에서도 곡선형태를 그리며 연속적으로 감소하며 다수의 박막층이 서로 접한 접합면에서도 굴절률의 변화 폭이 최소화되어 완만하게 굴절률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며, 특히 단일층 내에서도 굴절률이 서서히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한다. 상기 광추출층은 단일층 내에서 밀도가 불균일할 수 있다. 여기서, 밀도가 불균일하다는 것은 단일층 내에서 밀도가 동일하지 않다는 폭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The expression &quot; progressive &quo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at the refractive index is continuously decreased.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refractive index is uniform and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in each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varies abruptly in the form of a step in the joint surface. &Quot; is continuously decreased in each thin film layer in a curved shape, and the refractive index is gradually changed by minimizing the variation width of the refractive index even at the bonding surfaces where a plurality of thin film lay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Particularly, the refractive index gradually changes even in a single layer It is used as a term to indicate. 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non-uniform in density within a single layer. Here, the heterogeneity of the density is used in a broad sense to mean that the density is not the same within a single layer.

상기 광추출층은 MgF2, CaF2, LiF, BaF2, PbF2 등의 F 화합물, ITO, ZnO, SnO2, Ga2O3, In2O3, SiO2, MgO, Al2O3, TiO2 , Ta2O5 같은 산화물 계열 및, ZnS와 같은 화합물층 등을 이빔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F compounds, such as the light extraction layer is MgF 2, CaF 2, LiF, BaF 2, PbF 2, ITO, ZnO, SnO 2, Ga 2 O 3, In 2 O 3, SiO 2, MgO, Al 2 O 3, TiO 2 , and Ta 2 O 5 , and a compound layer such as ZnS.

상기 광추출층은 밀도는 굴절률의 변화로 나타내어 질 수 있으며, 굴절률이 2.4에서 1.1 범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The density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can be represented by a change in refractive index, and the refractive index gradually decreases from 2.4 to 1.1.

상기 광추출층의 굴절률이 상기 밀도 감소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gradually decreases as the density decreases.

상기 광추출층의 굴절률이 상기 반도체층과 공기 사이의 굴절률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질화갈륨층의 굴절률은 2.4이고, 공기는 1이므로 상기 광추출층은 상기 범위에서 점차로 감소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gradually reduced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air. For example,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allium nitride layer forming the semiconductor layer is 2.4 and the air is 1, the light extracting layer can be gradually reduced in the above range.

상기 광추출층은 두께가 0.01-100㎛, 바람직하게는 0.5~2㎛일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01-100 탆, preferably 0.5-2 탆.

상기 광추출층은 광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패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추출층의 일부를 에칭하여 패턴화할 수 있으며, 광추출층의 단면이 수직한 구조이거나, 상부가 볼록한 곡면 구조, 또는 단면이 사다리꼴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formed in a patterned structure to incre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For example, a part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etched to be patterned, and 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have a vertical section, a convex upper section, or a trapezoidal section.

상기 광추출층과 광방출면 사이에 2.4 미만, 바람직하게는 1.8-1.4 범위의 굴절률을 갖는 유전체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체층은 굴절률이 1.46인 SiO2를 이빔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A dielectric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in a range of less than 2.4, preferably in a range of 1.8 to 1.4 may be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For example, the dielectric layer can be formed by e-beam evaporation of SiO 2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46.

상기 광추출층은 다층일 수 있으며, 상기 다층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일층은 굴절률이 층 내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a multi-layer, and the at least one monolayer constituting the multi-layer is continuously reduced in refractive index in the layer.

일예로서, 도 5는 도 3에서 상기 광추출층(170)과 광방출면 사이에 제 2 광추출층(180)을 추가로 포함한 다층구조의 광추출층을 나타낸다. 상기 제 2 광추출층(180)은 밀도의 변화에 따라 굴절률이 1.4-1.2 범위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광추출층이 MgF2인 경우, 제 2 광추출층(180)은 1.4-1.2까지 굴절률 조절이 가능하다.As an example, FIG. 5 shows a multi-layered light extraction lay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ight extraction layer 180 between the light extraction layer 170 and the light exit surface in FI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80 may gradually decrease to a range of 1.4-1.2 according to the density change. When the light extracting layer is MgF 2 ,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80 can be adjusted to 1.4 to 1.2.

상기 제 2 광추출층(180)의 굴절률은 예를 들면, 질화갈륨층의 굴절률 2.4와 광추출층(170)의 최대 굴절률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180 may be gradually reduced, for exampl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allium nitride layer 2.4 and the maximum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170.

상기 광추출층은 도 3~도 5와 같이 질화물 전극 구조의 상부층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nitride electrode structure as shown in FIGS.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이 출사되는 광방출면에 광추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form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To form a layer.

상기 광추출층 형성 단계는 증착 온도를 변화시켜 광추출층의 밀도를 상기 활성층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The light extraction layer forming step gradually decreases the density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as the deposition temperature is changed, as the distance from the active layer increases.

상기 광추출층 형성단계는 상기 증착 온도를 1000℃ 내지 100℃ 사이의 온도에서부터 30℃/min~50℃/min의 속도로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증착온도를 500℃에서부터 30℃/min의 속도로 감소시켜 상온까지 도달하는 방법으로 증착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ight extracting layer forming step is a step of reducing the deposition temperature from a temperature between 1000 캜 and 100 캜 at a rate of 30 캜 / min to 50 캜 / min. For example, the deposition can be performed by reducing the deposition temperature at a rate of from 500 캜 to 30 캜 / min and reaching room temperature.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120, 220), 활성층(130, 230), 완충층(111, 211),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0, 240)의 형성은 통상적인 LED 제조 과정에서 수반되는 층 형성 또는 성장 방식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유기금속화학증착법(MOCVD), 분자빔성장법(MBE), 하이드라이드 기상성장법(HVPE)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특히 전형적으로는 유기금속화학증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층형성 방법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The formation of the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120 and 220, the active layers 130 and 230, the buffer layers 111 and 211 and the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s 140 and 240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MOCVD), molecular beam growth (MBE), hydride vapor phase growth (HVP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Typical examples thereof include organic metal Chemical vapor deposition may be applied. The layer forming method can be easily achie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에 알려진 화학증착법(CVD), 스퍼터링법(sputtering), 반응성 증착법(reactive evaporation) 등을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known CVD method, sputtering method, reactive evaporation method, or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상기 광추출층 형성 단계는 이빔(e-beam) 증착 및 이온빔(ion-beam)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light extraction layer forming step may be formed using at least one of e-beam deposition and ion-beam.

상기 광추출층 형성단계는 이온빔을 이용한 이빔(e-beam) 증착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extracting layer forming step may be formed using e-beam deposition using an ion beam.

상기 광추출층(170, 270)) 및 제 2 광추출층(180)은 MgF2, CaF2, LiF, BaF2 , PbF2, ITO, ZnO, SnO2, Ga2O3, In2O3, SiO2, MgO, Al2O3, TiO2 Ta2O5 ZnS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이빔 증착에 의해 형성한다. 즉, 이-빔 이바퍼레이터(E-BEAM Evaporater)장비에 의해 상기 금속 산화물을 증착시켜 광추출층을 형성한다. The light extracting layer (170, 270)) and the second light extraction layer 180 is MgF 2, CaF 2, LiF, BaF 2, PbF 2, ITO, ZnO, SnO 2, Ga 2 O 3, In 2 O 3 , SiO 2, MgO, Al 2 O 3, TiO 2 Ta 2 O 5 And And ZnS is formed by beam evaporation. That is, the metal oxide is deposited by an E-BEAM evaporator to form a light extracting layer.

상기 광추출층 형성 방법은 이온빔 가속기를 통해 Ar 또는 O2 가스를 상기 광방출면상에 조사하면서 상기 광추출층 형성 화합물을 이빔 증착할 수 있다. 이온빔 조사와 이빔 증착을 동시에 수행하면 계면의 결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ight extraction layer forming method may deposit the light extracting layer forming compound by beam irradiation while irradiating Ar or O 2 gas on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through an ion beam accelerator. If the ion beam irradiation and the beam deposition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crystallinity of the interface can be improved.

상기 광추출층(170, 270)의 두께는 0.01-100㎛, 바람직하게는 0.5~2㎛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s 170 and 270 may be 0.01-100 μm, preferably 0.5-2 μm.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빔 이바퍼레이터(EBEAM Evaporater) 장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빔 이바퍼레이터(E-BEAM Evaporater) 장비(300)는 웨이퍼 카루셀(wafer carousel)(310)과, 기판(320)과, 도가니(330)와, 진공펌프밸브(340)와, 필라멘트(350)를 구비한다. 도 6과 같이, 이-빔 이바퍼레이터(E-BEAM Evaporater) 장비(300) 내부에 이온빔(ion-beam) 가속기(360)를 설치시켜 이온빔 가속기를 통해 Ar 또는 O2 가스를 조사하면서 이빔 증착을 수행할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BEAM Evaporater equip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the E-BEAM Evaporater equipment 300 includes a wafer carousel 310, a substrate 320, a crucible 330, a vacuum pump 330, A valve 340, and a filament 350. 6, an ion-beam accelerator 360 is installed in an E-BEAM evaporator 300 and irradiated with Ar or O 2 gas through an ion beam accelerator, Can be performed.

먼저, 이온빔 가속기를 통해 아르곤 이온을 상기 제 2전극(160) 층에 조사하였으며, 이때 전압은 100~200V, 유량은 1~5sccm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웨이퍼 카루셀(320)에 기판(320)을 장착하고, 도가니(330)상의 홈(미부호)에 상기 제1 기판(110)에 증착되는 금속산화물을 넣은 후 진공펌프밸브(310)를 통해 산소분위기를 만든 후 상기 제 기판(320)에 장착된 상기 웨이퍼 카루셀(31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매우 높은 전압을 가하여 필라멘트(350)에서 열전자를 방출하여 상기 금속산화물과 충돌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금속산화물을 상기 기판(320)에 0.001-3㎛ 의 두께로 증착시켜 광추출층을 형성시킨다.First, argon ions are irradia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60 through an ion beam accelerator. At this time, the voltage may be 100 to 200 V and the flow rate may be 1 to 5 sccm. Subsequently, the substrate 320 is mounted on the wafer carousel 320, the metal oxide deposited on the first substrate 1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not shown) on the crucible 330, and the vacuum pump valve 310 The wafer carousel 310 mounted on the substrate 320 is rotated, and a very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lament 350 to radiate heat electrons from the filament 350 to collide with the metal oxide. The metal oxide is deposited on the substrate 320 to a thickness of 0.001 to 3 mu m to form a light extracting layer.

이빔 증착 조건을 간단히 언급하면 하기와 같다. The deposition condition of the beam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기본 진공(Base Vacuum)은 약 3×10-6 토르(Torr)이고, 작업 압력(Working pressure)은 1,6×10-4 토르(Torr)이다. 증착속도는 2Å/sec 레인지(range) 범위이다. 이빔 증착 온도는 처음에 max 500℃ 까지 가능하다 ohmic contact 열처리 온도가 550℃ 이므로 300℃ 또는 200℃ 또는 100℃ 로 유지하고, 24℃ (상온) 까지 감소되는 시간을 10분-1시간 내로 설정하여, 증착을 진행한다. 감소시키는 방법은 단계적인 방법도 가능하고,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The base vacuum is about 3 × 10 -6 Torr and the working pressure is 1.6 × 10 -4 Torr. The deposition rate is in the range of 2 A / sec. Since the annealing temperature is 550 ° C, the deposition time can be up to max 500 ° C. The annealing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at 300 ° C or 200 ° C or 100 ° C, and the time to reduce to 24 ° C (room temperature) , And the deposition proceeds. The method of decreasing can be a stepwise method, and a method of continuously decreasing can be use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f continuously decreasing is appli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10, 210 : 기판 120, 220 :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130, 230 : 활성층 140, 240 :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150, 250 : 제 1 전극 160, 260 : 제 2 전극
170, 270 : 광추출층 180 : 제 2 광추출층
110, 210: substrate 120, 220: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30, 230: an active layer 140, 240: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150, 250: first electrode 160, 260: second electrode
170, 270: light extracting layer 180: second light extracting layer

Claims (18)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로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이 출사되는 광방출면에 형성된 광추출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추출층은 층 내의 밀도가 상기 활성층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 A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ity typ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light extracting layer formed on a light emitting surface from which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s emitted, and the light extracting layer gradually decreases in density as the distance from the active layer increase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MgF2, CaF2, LiF, BaF2 , PbF2 , NaF, AlF, BaF2, BeF2, CdF2, CsF, ThF4, YF3, ITO, ZnO, SnO2, Ga2O3, BeO, In2O3, SiO2, Si3N4, CuO, Cu2O, WO3, TiO2, AgO, AgO2, NiO, MgO, Al2O3, TiO2 Ta2O5 ZnS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on layer is MgF 2, CaF 2, LiF, BaF 2, PbF 2, NaF, AlF, BaF 2, BeF 2, CdF 2, CsF, ThF 4, YF 3, ITO, ZnO, TiO 2 , AgO, AgO 2 , NiO, MgO, Al 2 O 3 , TiO 2 , SnO 2 , Ga 2 O 3 , BeO, In 2 O 3 , SiO 2 , Si 3 N 4 , CuO, Cu 2 O, WO 3 , 2 Ta 2 O 5 And ZnS, and a compound semiconductor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의 밀도가 단일 층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nsity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is continuously reduced in a singl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의 굴절률이 상기 밀도 감소에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is continuously decreased as the density is reduc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의 굴절률이 상기 반도체층과 공기 사이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has a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과 광방출면 사이에 2.4 미만의 범위의 굴절률을 갖는 유전체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electric layer between the light extracting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surface, the dielectric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in a range of less than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layer is pattern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단일층 내에서 밀도가 불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layer has a uniform density in a singl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두께가 0.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0.5 to 2 占 퐉.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다층일 수 있으며, 상기 다층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일층은 굴절률이 층 내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2.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layer may be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the at least one single layer constituting the multi-layer may continuously decrease the refractive index in th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질화물 전극 구조의 상부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layer is formed on an upper layer of the nitride electrode structure.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이 출사되는 광방출면에 광추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추출층 형성 단계는 증착 온도를 변화시켜 광추출층의 밀도를 상기 활성층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n a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semiconductor layer,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forming a light extracting layer on a light emitting surface from which light generated in the active layer is emitted, wherein the light extracting layer forming step changes the deposition temperature to gradually increase the density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as it moves away from the active layer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reduce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 형성 단계는 이빔(e-beam) 증착 및 이온빔(ion-beam)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extraction layer forming step is performed using at least one of e-beam deposition and ion-beam.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MgF2, CaF2, LiF, BaF2 , PbF2 , NaF, AlF, BaF2, BeF2, CdF2, CsF, ThF4, YF3, ITO, ZnO, SnO2, Ga2O3, BeO, In2O3, SiO2, Si3N4, CuO, Cu2O, WO3, TiO2, AgO, AgO2, NiO, MgO, Al2O3, TiO2 Ta2O5 ZnS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ght extraction layer is MgF 2, CaF 2, LiF, BaF 2, PbF 2, NaF, AlF, BaF 2, BeF 2, CdF 2, CsF, ThF 4, YF 3, ITO, ZnO, TiO 2 , AgO, AgO 2 , NiO, MgO, Al 2 O 3 , TiO 2 , SnO 2 , Ga 2 O 3 , BeO, In 2 O 3 , SiO 2 , Si 3 N 4 , CuO, Cu 2 O, WO 3 , 2 Ta 2 O 5 And ZnS,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 형성단계는 상기 증착 온도를 1000℃ 내지 100℃ 사이의 온도에서부터 30℃/min~50℃/min의 속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orming of the light extracting layer comprises reducing the deposition temperature at a rate of about 30 DEG C / min to about 50 DEG C / mi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광추출층을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patterning the light extraction layer into a predetermined shap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온빔 가속기를 통해 Ar 또는 O2 가스를 상기 광방출면상에 조사하면서 광추출층 화합물질을 이빔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제조 방법.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 of irradiating Ar or O 2 gas on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through an ion beam accelerator and subjecting the light extracting layer compound material to ion beam deposi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r 또는 O2가스를 0.1 sccm에서 500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irradiating Ar or O 2 gas at a flow rate of 0.1 sccm to 500.
KR1020140043377A 2014-04-11 2014-04-11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ithdrawn KR201501178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77A KR20150117816A (en) 2014-04-11 2014-04-11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77A KR20150117816A (en) 2014-04-11 2014-04-11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16A true KR20150117816A (en) 2015-10-21

Family

ID=5440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377A Withdrawn KR20150117816A (en) 2014-04-11 2014-04-11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8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7890A (en) * 2019-08-29 2021-03-05 山东浪潮华光光电子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improving LED chip manufacturing yiel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7890A (en) * 2019-08-29 2021-03-05 山东浪潮华光光电子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improving LED chip manufacturing yield
CN112447890B (en) * 2019-08-29 2021-11-02 山东浪潮华光光电子股份有限公司 A method for improving LED chip manufacturing y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659B1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270633B (en) High-power flip-chip array LED ch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456799B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018183A1 (en) Roughened high refractive index layer/LED for high light extraction
KR20100050430A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fine pattern
JPWO2006028118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02017200A (en) Light-emitting element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TW201308660A (en) Light-emitting diode crystal gra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61911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093866A (en) Transparent electrode of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I420699B (en) Light-emitting device having longitudin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18155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high-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having light emitting window electrode structure
KR102402480B1 (en)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ight emitting diode
EP2748870A1 (en) Surface treatment of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288367B1 (en) White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86973B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ubstrate o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KR20150117816A (en)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light extraction layer with graded refractive index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2014018358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a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manufactured thereby
US20170170369A1 (en) Surface mountable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JP2005197506A (en) Gallium nitride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745996B1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090112854A (en) Group 3 nitride-bas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s and methods to fabricate them
KR100730755B1 (en) Vertical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vertical light emitting device
KR20160086603A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260691B1 (en) Light-emitting di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