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15790A - 경질 코트를 사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개선된 최대 가공 온도 - Google Patents

경질 코트를 사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개선된 최대 가공 온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790A
KR20150115790A KR1020157021417A KR20157021417A KR20150115790A KR 20150115790 A KR20150115790 A KR 20150115790A KR 1020157021417 A KR1020157021417 A KR 1020157021417A KR 20157021417 A KR20157021417 A KR 20157021417A KR 20150115790 A KR20150115790 A KR 20150115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lkyl
polycarbonate
hydroxyphenyl
dipheno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악셀 슈미트
테이바나야감 체어맨 데이바라즈
레이첼 테시 매튜
젱 왕
프란시스카 세실리아 카르타위드자자
슈 인 샤론 심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사우쓰 이스트 아시아)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사우쓰 이스트 아시아)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엘 (사우쓰 이스트 아시아)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79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8J7/047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09D167/07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5/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J24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 특히 중합체 필름의 최대 가공 온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질 코트를 사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개선된 최대 가공 온도 {IMPROVED MAXIMUM PROCESSING TEMPERATURE OF PLASTIC SUBSTRATES USING HARD COATS}
본 발명은 플라스틱 기재, 특히 중합체 필름의 최대 가공 온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기재 또는 중합체 필름의 최대 가공 온도 (상한 작업 온도/가공에 대한 상한 온도로도 공지됨)는, 중합체 기재가 그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 (연부를 따르는 컬링, 변형, 뒤틀림, 광학 특성, 용융, 분해 등의 유의한 변화)의 임의의 명백한 열화 없이 처리될 수 있는 최적 온도로서 정의된다. 표준 폴리카르보네이트 (Tg = 150℃)는 대략 130℃의 최대 가공 온도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최신 응용분야 (특히 전자 또는 광전자 부문의 것) 및 이들 시장에서의 미래 트렌드는, 중합체 기재가 고온/용매/에칭제 등에 대한 노출을 수반하는 과다의 공정 단계를 견뎌야 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최대 가공 온도는 이들 최신 응용분야에 사용될 경우의 중합체 기재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추가로, 중합체 기재 (코팅 또는 비코팅)의 최대 가공 온도는 중합체 물질의 특성과 연관된 특성인 것으로 주로 생각된다. 중합체 기재 상의 코팅이 내마모성/보다 높은 연필 경도 등과 같은 유익한 특성을 제공하는데 가치있다는 것은 통상적 지식이다.
GB 1096929 (Crosslinkable Polymeric Molding Compositions; 발명자: Martin, John Edward)에는 가교성 중합체/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블렌딩하는 것에 의한 성형 조성물의 작업 온도의 증강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제조된 플라스틱 기재, 특히 중합체 필름의 최대 가공 온도를 개선하는 것이 본 발명의 근본적인 문제이다.
상기 문제는, 코팅된 기재가 그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의 열화 없이 처리되는 최대 온도로서 정의되는 플라스틱 기재의 최대 가공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기재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제공된 경질 코트 층의 용도에 의해 해결된다.
최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코팅이 이러한 기재의 최대 가공 온도를 개선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은 당연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적합한 경질 코트로 코팅함으로써 중합체 기재의 최대 가공 온도를 증강시킬 수 있음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중합체 기재, 특히 필름의 최대 가공 온도를 특히 아크릴레이트 기재 경질 코트를 사용하여 증강시키는 가능성을 교시한다. 비코팅 중합체 필름과 비교하여 약 30℃까지의 뚜렷한 개선이 수득될 수 있다. 열 처리 후, 코팅된 중합체 기재의 광학 특성은 허용가능한 수준 내에서 유지되며, 어떠한 변형/과도한 컬링도 관찰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광범위한 기재 (다양한 Tg, 표면 텍스처 (매트 또는 광택) 및 두께를 가짐) 또는 코팅 (다양한 배합물 또는 두께)에서 관찰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사용되지만,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 물질,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특히,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아크릴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 (A-EPDM),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테레프탈산의 중- 또는 공중축합물, 예를 들어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CoPET), 글리콜-개질 PET (PETG), 글리콜-개질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CTG),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또는 CoPBT) 및 다른 무정형 (코)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블렌드가 사용될 수 있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가 특히 적절하다.
추가로 가능한 열가소성 중합체 물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탈, 폴리아크릴니트릴, 폴리아세탈, 폴리비닐알콜, 페놀계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드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그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의 블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열가소성 물질은 ABS, AES, AMMA, ASA, EP, EPS, EVA, EVAL, HDPE, LDPE, MABS, MBS, MF, PA, PA6, PA66, PAN, PB, PBT, PBTP, PC, PE, PEC, PEEK, PEI, PEK, PEP, PES, PET, PETP, PF, PI, PIB, PMMA, POM, PP, PPS, PS, PSU, PUR, PVAC, PVAL, PVC, PVDC, PVP, SAN, SB, SMS, UF, UP-플라스틱 (DIN 7728에 따른 약어), 지방족 폴리케톤 및 그의 블렌드 및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열가소성 물질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PMMA; 룀(Roehm)으로부터의 플렉시글라스®), 시클로올레핀계-공중합체 (COC; 티코나(Ticona)로부터의 토파스(Topas)®); 니폰 제온(Nippon Zeon)으로부터의 제노엑스(Zenoex)® 또는 재팬 신테틱 러버(Japan Synthetic Rubber)로부터의 아펠(Apel)®), 폴리술폰 (바스프(BASF)로부터의 울트라손(Ultrason)@ 또는 솔베이(Solvay)로부터의 우델(Udel)®),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PET 또는 PEN,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블렌드, 예를 들어 PC/PET,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시클로헥실메탄올-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레이트 (PCCD; 지이(GE)로부터의 크실렉스(Xylecs)®) 및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블렌드와 같인 투명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또는 공압출된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또는 PMMA가 사용된다.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00,000의 Mw (분자량의 중량 평균)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I의 이관능성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량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클로린 또는 브로민, C1-C8 알킬, C5-C6 시클로알킬, C6-C10 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및 C7-C12 아르알킬, 바람직하게는 페닐-C1-C4-알킬, 특히 벤질을 나타내고,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를 나타내고,
R3 및 R4는 각각의 X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을 나타내고,
X는 탄소를 나타내고,
n은 30 이상의 정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0의 정수,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50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1개 이상의 X 원자 상에서, R3 및 R4는 동시에 알킬을 나타낸다.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위한 출발 생성물은 하기 화학식 Ia의 디히드록시디페닐 시클로알칸이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m 및 n은 화학식 I에 주어진 의미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R3 및 R4는 동시에 1 내지 2개의 X 원자 상에서, 특히 단지 1개의 X 원자 상에서 알킬이다.
바람직한 알킬 라디칼은 메틸이고; 디페닐-치환된 C 원자 (C-1)에 대해 알파 위치의 X 원자는 바람직하게는 디알킬-치환되지는 않지만, C-1에 대한 베타 위치에서의 알킬 이치환이 바람직하다.
시클로지방족 라디칼 내에 5 및 6개의 고리 C 원자를 갖는 디히드록시디페닐 시클로알칸 (화학식 Ia에서 m = 4 또는 5),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Ib 내지 Id의 디페놀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R1 및 R2가 H인 화학식 Ib)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b>
Figure pct00003
<화학식 Ic>
Figure pct00004
<화학식 Id>
Figure pct00005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독일 특허 출원 번호 DE 38 32396.6 또는 EP 0 359 953 A에 따라 화학식 Ia의 디페놀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a의 1종의 디페놀을 사용하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Ia의 여러 디페놀을 사용하여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고분자량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화학식 Ia의 디페놀은 또한 다른 디페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Ie의 디페놀과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e>
Figure pct00006
적합한 화학식 Ie의 다른 디페놀은 Z가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가지며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함유할 수 있는 방향족 라디칼이고, 치환될 수 있고, 화학식 Ia의 것 이외의 지방족 라디칼 또는 시클로지방족 라디칼, 또는 헤테로 원자를 브릿지형 가교로서 함유할 수 있는 것이다.
화학식 Ie의 디페놀의 예는 다음과 같다: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알파,알파'-비스(히드록시페닐) 디이소프로필벤젠 및 그의 고리-알킬화 및 고리-할로겐화 화합물.
이들 및 다른 적합한 디페놀은, 예를 들어 US-A 3 028 365, 2 999 835, 3 148 172, 3 275 601, 2 991 273, 3 271 367, 3 062 781, 2 970 131 및 2 999 846에, DE-A 1 570 703, 2 063 050, 2 063 052, 2 211 956, Fr-A 1 561 518 및 논문 "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다른 디페놀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알파,알파-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알파,알파-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e의 디페놀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특히,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 바람직하다. 다른 디페놀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a의 디페놀 대 임의로 또한 사용되는 화학식 Ie의 다른 디페놀의 몰비는 100 몰% Ia 대 0 몰% Ie 내지 2 몰% Ia 대 98 몰% Ie, 바람직하게는 100 몰% Ia 대 0 몰% Ie 내지 10 몰% Ia 대 90 몰% Ie, 특히 100 몰% Ia 대 0 몰% Ie 내지 30 몰% Ia 대 70 몰% Ie이어야 한다.
임의로 다른 디페놀과 조합된 화학식 Ia의 디페놀로부터 제조된 고분자량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양한 디페놀은 램덤하게 또는 블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분지화될 수 있다. 분지화가 요구되는 경우에, 소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몰% (사용되는 디페놀 기준)의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의 화합물, 특히 3개 또는 3개 초과의 페놀성 히드록실 기를 갖는 화합물의 축합에 의한 도입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다. 3개 또는 3개 초과의 페놀성 히드록실 기를 갖는 적합한 분지화제는 다음과 같다: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텐-2,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오르토테레프탈산 에스테르,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다른 삼관능성 화합물 중 일부는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그 자체로 공지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분자량의 조절을 위한 사슬 종결제로서, 일관능성 화합물이 통상의 농도로 사용된다.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페놀, tert.-부틸페놀 또는 다른 알킬-치환된 페놀이다.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소량의 하기 화학식 If의 페놀이 특히 적합하다.
<화학식 If>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은 분지형 C8 및/또는 C9 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알킬 라디칼 R 중 CH3 양성자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7 내지 89%이고, CH 및 CH2 양성자의 비율은 53 내지 11%이고; R이 OH 기에 대해 o- 및/또는 p-위치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고, 오르토 분획의 상한치가 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슬 종결제는 사용되는 디페놀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 몰%의 양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계면 중축합 공정 (문헌 [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 IX, page 33ff., Interscience Publ. 1964] 참조)에 의해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정에서, 화학식 Ia의 디페놀을 수성 알칼리 상 중에 용해시킨다. 다른 디페놀과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Ia의 디페놀 및 다른 디페놀, 예를 들어 화학식 Ie의 디페놀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슬 종결제, 예를 들어 화학식 If의 것을 첨가할 수 있다. 그 후, 불활성 유기 상,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용해시키는 불활성 유기 상의 존재 하에, 포스젠과의 반응을 계면 중축합 방법에 의해 수행한다. 반응 온도는 0℃ 내지 40℃이다.
임의로 또한 사용되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몰%) 분지화제는 디페놀과 함께 수성 알칼리 상 중에 초기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포스젠화 전에 유기 용매 중 용액으로 첨가될 수 있다. 화학식 Ia의 디페놀 및 임의로 다른 디페놀 Ie에 추가로, 그의 모노- 및/또는 비스클로로카르보네이트를 유기 용매 중 용액으로 첨가하여 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슬 종결제 및 분지화제의 양은 화학식 Ia 및 임의로 화학식 Ie에 따른 디페놀레이트 기의 몰량에 따라 달라지며; 클로로카르보네이트가 혼입되는 경우에는, 따라서 포스젠의 양이 공지된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사슬 종결제, 및 임의로 분지화제 및 클로로카르보네이트를 위한 적합한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클로로벤젠, 특히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클로로벤젠의 혼합물이다. 사용되는 사슬 종결제 및 분지화제는 임의로 동일한 용매 중에 용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클로로벤젠의 혼합물이 계면 중축합을 위한 유기 상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NaOH 용액이 수성 알칼리 상으로서 사용된다. 계면 중축합 공정에 의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통상의 방식으로 촉매, 예컨대 3급 아민, 특히 3급 지방족 아민, 예컨대 트리부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에 의해 촉매될 수 있고; 촉매는 사용되는 디페놀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10 몰%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촉매는 포스젠화의 시작 전에 또는 포스젠화 동안에 또는 심지어 포스젠화 후에 첨가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균질 상 중에서의 공정, 소위 "피리딘 공정"에 의해, 및 예를 들어 포스젠 대신 디페닐 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공지된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00,000, 특히 20,000 내지 80,000의 분자량 Mw (중량 평균, 선행 보정 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을 갖는다. 이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이는 화학식 I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화학식 Ia의 디페놀의 혼입에 의해,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또한 다른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 신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생성된다. 이는 m이 4 또는 5인 화학식 I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며, R1 및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식 Ia에 주어진 의미를 갖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인 디페놀 Ib를 기재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 가장 특히 그러하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따라서 m = 4 또는 5인 화학식 I의 구조 단위, 가장 특히 하기 화학식 Ig의 단위의 것이다.
<화학식 Ig>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R1, R2 및 n은 화학식 I에 주어진 의미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특히 R1 및 R2가 수소인 화학식 Ib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그의 높은 내열성에 추가로, 예상하지 않았던 우수한 UV 안정성 및 용융물에서의 우수한 유동 특성을 보유하며, 하기 언급된 단량체 중에서 매우 우수한 용해도를 나타낸다.
추가로, 원하는 경우에 다른 디페놀, 특히 화학식 Ie의 디페놀을 갖는 조성물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 특성을 유리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에서, 화학식 Ia의 디페놀은 폴리카르보네이트 중 100 몰%의 디페놀 단위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 몰% 내지 2 몰%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몰% 내지 10 몰%의 양으로, 특히 100 몰% 내지 30 몰%의 양으로 함유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I-h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고, 여기서 공단량체는 공중합체 내에서 교호, 블록 또는 랜덤 배열될 수 있고, p + q = n이며, q 및 p의 서로에 대한 비는 화학식 Ie 및 Ia에 대해 상기 섹션에 언급된 몰% 데이터에 의해 반영되는 바와 같이 거동한다.
<화학식 I-h>
Figure pct00009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열가소성 물질은 10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50 ㎛,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75 ㎛ 두께의 필름 형태이다.
하드 매트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15 ㎛, 더 바람직하게는 3-10 ㎛이다. 경질 코트 층의 두께가 3 ㎛ 미만인 경우에는 연필 경도가 경질 코트 필름에 있어서 불충분할 것이고, 두께가 15 ㎛ 초과인 경우에는 연필 경도가 개선될 것이지만, 균열 및 박리가 더 쉽게 일어날 것이다. 경질 코트 필름의 높은 연필 경도에 대해, 경질 코트 층의 연필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3H-5H 범위이다.
경질 코트 층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이온화 방사선 경화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언급될 수 있다. 이온화 방사선 경화 수지가, 플라스틱 기재 필름 상의 필름으로 쉽게 성형될 수 있고 목적하는 높은 연필 경도 값을 쉽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경질 코트 층 또는 완충 층에 사용될 수 있는 이온화 방사선 경화 수지로서 다음이 언급될 수 있다.
이온화 방사선 경화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기재 관능기,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기재 폴리올 올리고머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는 간단히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지칭될 것임), 또는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폴리올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올리고머를 아크릴화함으로써 수득된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구성 단량체로서,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동시에, 코팅에 보다 큰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 다관능성 단량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기재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예에는 폴리아디페이트 폴리올 및 폴리세바케이트 폴리올이 포함되며, 이는 아디프산 및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글리콜 등) 또는 트리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및 세바스산 및 글리콜 또는 트리올의 축합 생성물이다.
상기 언급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유기 산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보다 큰 경도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프탈산 무수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기재 올리고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축합 생성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메틸렌비스(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산디올 부가 생성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프로필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벤젠-2,4-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량체, 수소화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4-페닐이소시아네이트) 네오포스페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한 화합물과, 하기 폴리올 중 하나 사이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폴리올의 바람직한 예에는 폴리에테르-기재 폴리올, 예컨대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에스테르-기재 폴리올, 예컨대 폴리아디페이트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추가로, 이온화 방사선 경화 수지가 자외선 경화 수지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중합제, 예컨대 α-아밀옥심 에스테르 또는 티오크산톤, 또는 감광화제, 예컨대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n-부틸포스핀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높은 탄성 및 가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우세한 작업성 (굽힘성)을 제공하지만, 그의 불량한 표면 경도로 인해 2H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갖는 생성물은 제공할 수 없다. 다른 한편, 폴리에스테르 구성성분을 적절하게 선택한 경우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경도를 제공할 수 있다.
경질 코트 필름을 수득하기 위해, 40-1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를 60-90 중량부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에 첨가하는 것이, 경질 코트 필름에 높은 경도 및 가요성을 둘 다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광택을 조정하고 표면에 윤활성 (이형성이 아님)을 제공하기 위해,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0.1-15 ㎛ 범위의 평균 2차 입자 크기를 갖는 무기 미세 입자가 적용 용액에 수지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첨가된다. 0.3 중량부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윤활성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3 중량부 초과에서는 연필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사용되는 미세 입자는 실리카,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또는 바륨 술페이트의 무기 미세 입자, 또는 심지어 유기 중합체, 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또는 멜라민 (수지)일 수 있다. 유기 입자의 경우에,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의 양이 사용된다.
특히, 광학 특성이 유지되고 과도한 컬링이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에 있어서 개선이 관찰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a) 다양한 아크릴레이트 기재 결합제 또는 반응성 희석제를 함유하는 광범위한 배합물,
b)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 범위의 코팅 두께
c) 다양한 Tg (140/185/205℃) 또는 텍스처 (광택-광택/광택-마이크로 매트 필름)를 갖는 기재.
이러한 관찰은 현상의 다용성을 시사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를 지지하는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중합체 기재,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하드 코팅함으로써 최대 가공 온도를 유의한 정도로 증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이러한 필름의 후속 사용자가 이러한 필름을, 달리 가능하지 않았던,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실시예:
데스모룩스(Desmolux)® U680H, 데스모룩스® XP 2738 우레탄 아크릴 수지 결합제, 코팅에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즉 DE 202 1-M (한 면은 광택성이고 한 면은 인쇄성을 위한 마이크로-매트하며, 광택성 면은 90 광택 단위 초과의 60°에서의 광택 값 및 ≤ 0.5 ㎛의 표면 조도 R3z를 갖고, 매트한 면은 < 6.0 ㎛의 표면 조도 R3z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DE 202 1-1 (양면이 광택성이며, 필름의 양면 상에서 90 광택 단위 초과의 60°에서의 광택 값 및 ≤ 0.5 ㎛의 표면 조도 R3z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Science AG.)로부터 수령하고, 펜타 에리트리톨 트리 및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페티아(PETIA), 에테르머(Etermer)® 235)는 타이완 소재의 이터널 케미칼 캄파니(Eternal Chemical Co.)로부터 수령했다.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라로머(Laromer)®, HDDA)는 바스프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매했다. 에베크릴(Ebecryl)® 1200 결합제 수지는 45 BuAc의 희석도, 3000의 점도, >10000의 분자량, 1.07의 밀도, 10의 관능도를 갖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이고, 아디톨(Additol)® VXL 4930 첨가제, 40%의 활성 물질을 갖는 용매 함유 및 수성 페인트의 레벨링 및 표면 평활도의 개선을 위한 개질 실리콘은 사이텍 인더스트리즈 인크.(Cytec Industries Inc.)로부터 수령했다. 첨가제 빅(BYK)® 306인 폴리에테르 개질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용액 및 이르가큐어(Irgacure)® 184인 비-황변 광개시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및 이르가녹스(Irganox)® 5057인 산화방지제로 기능하는 2,4,4-트리메틸펜텐과의 벤젠아민,N-페닐- 반응 생성물을 빅-케미 게엠베하(BYK-Chemie GmbH) 및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ty Chemicals)로부터 각각 수령했다. 용매, 즉 에틸 아세테이트 (EA) 및 이소프로판올 (IPA)은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로부터 수령하고, 또 다른 용매, 즉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PGME)는 CLP 인터내셔널 피티이. 리미티드(CLP International Pte. Ltd.)로부터 수득했다. 모든 화학물질은 수령한 그대로 사용했다.
하기 실시예에 설명된 배합물을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상에 자동화 필름 어플리케이터 (전형적 코팅 속도: 30 mm/sec)에 장착된 마이어(Meyer) 막대를 사용하여 코팅했다. 적합한 마이어 막대는 코팅의 목적하는 건조 필름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했다. 샘플 코팅시, 용매를 통상적 건조 오븐 내에서 증발시켰다. 이러한 샘플을 그 후 UV 경화 기계에서 UV 조사를 이용하여 경화시켰다. 사용한 총 에너지는 2400 mJ/cm2 (각 800 mJ/cm2의 3 단계)였다.
이렇게 수득한 필름에 미적 외관에 대한 시각적 조사를 수행하고, 이어서 광 투과율 (LT), 헤이즈 및 황색 지수를 결정하기 위해 헌터랩(Hunterlab)®-울트라스캔(UltraScan) PRO 분광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샘플의 최대 가공 온도를 내부 표준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했다. 15 x 15 cm2 치수의 샘플을 유리판 위에 놓고, 특정 온도에서 주어진 기간 동안 처리했다. 그 후, 샘플을 냉각시키고, 임의의 시각적 결함 및 컬링에 대해 조사했다. 연부에서의 샘플의 컬링 정도를 자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도 1). 열 처리한 샘플에 대해 헌터랩®-울트라스캔 PRO 분광계를 사용하여 광학 특성을 또한 측정했다.
다양한 배합물을 사용한 기재의 코팅을 때때로 롤 투 롤(roll to roll)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그에 의해 코팅의 두께를 코팅 라인의 웹 속도를 조작함으로써 제어했다.
실시예 1: 배합물 1의 제조 ( 페티아:HDDA =50:50)
50 중량% (wt%)의 페티아 (일차 결합제), 50 중량%의 HDDA (희석제), 100부당 5부 (phr)의 광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0.3 phr의 레벨링 첨가제 빅 306을 5분 동안 2000 rpm에서 씽키(Thinky) ARE-310 혼합기를 사용하여 함께 혼합하고, 이어서 30초 동안 2200 rpm에서 탈포시켰다. 이러한 혼합물은 수지에 대해 100% 고형분을 나타낸다. IPA:EA=70:30 (중량%) 비의 IPA 및 EA와 혼합하여 수지를 추가로 4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이러한 희석된 수지는 5분 동안 2000 rpm에서 씽키 ARE-310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질화하고, 이어서 30초 동안 2200 rpm에서 탈포시켰다. 고형분 함량은 메틀러 톨레도 할로겐 모이스쳐 애널라이저(Mettler Toledo Halogen Moisture Analyzer) HB43-S를 사용하여 확인했다.
실시예 2: 배합물 2의 제조 ( 페티아:HDDA =40:60)
페티아 및 HDDA의 결합제 비를 40:6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3: 배합물 3의 제조 ( 페티아:데스모룩스 U680H =75:25)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U680H의 결합제 비를 75:25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4: 배합물 4의 제조 ( 페티아:데스모룩스 ® U680H =50:50)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U680H의 결합제 비를 50:5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5: 배합물 5의 제조 ( 페티아:데스모룩스 ® U680H =40:60)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U680H의 결합제 비를 40:6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6: 배합물 6의 제조 ( 페티아:데스모룩스 ® U680H =30:70)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U680H의 결합제 비를 30:7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7: 배합물 7의 제조 ( 페티아:데스모룩스 ® U680H =25:75)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U680H의 결합제 비를 25:75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8: 배합물 8의 제조 ( 에베크릴 ® 1200:HDDA =70:30)
에베크릴® 1200 및 HDDA의 결합제 비를 70:3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9: 배합물 9의 제조 ( 에베크릴 ® 1200:HDDA =80:20)
에베크릴® 1200 및 HDDA의 결합제 비를 80:2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10: 배합물 10의 제조 ( 페티아:HDDA =60:40)
페티아 및 HDDA의 결합제 비를 60:4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11: 배합물 11의 제조 ( 데스모룩스 ® U680H:HDDA =60:40)
데스모룩스® U680H 및 HDDA의 결합제 비를 60:40으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를 따랐다.
실시예 12: 배합물 12의 제조 ( 페티아:HDDA:데스모룩스 ® XP2738=80:10:10)
80 중량%의 페티아 (일차 결합제), 10 중량%의 HDDA (희석제), 10 중량%의 데스모룩스® XP2738, 100부당 5부 (phr)의 광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0.7 phr의 빅 306을 5분 동안 2000 rpm에서 씽키 ARE-310 혼합기를 사용하여 함께 혼합하고, 이어서 30초 동안 2200 rpm에서 탈포시켰다. 상기 혼합물은 수지에 대해 100% 고형분을 나타낸다. 이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2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이러한 희석된 수지는 5분 동안 2000 rpm에서 씽키 ARE-310 혼합기를 사용하여 다시 균질화하고, 이어서 30초 동안 2200 rpm에서 탈포시켰다.
실시예 13: 배합물 13의 제조 ( 페티아:HDDA:데스모룩스 ® XP2738=80:00:20)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르고, 상기 언급된 비율로 결합제 수지 즉,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XP2738을 혼합하여 100% 고형분으로 만들었다. 이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2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첨가제 빅 306을 각각 0.05phr 및 0.2phr 농도의 아디톨® VXL 4930 및 이르가녹스® 5057로 대체했다.
실시예 14: 배합물 14의 제조 ( 페티아:HDDA:데스모룩스 ® XP2738=60:20:20)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르고, 상기 언급된 비율로 결합제 수지 즉,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XP2738을 혼합하여 100% 고형분으로 만들었다. 이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3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첨가제 빅® 306은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15: 배합물 16의 제조 ( 페티아:HDDA:데스모룩스 ® XP2738=65:25:10)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르고, 상기 언급된 비율로 결합제 수지 즉,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XP2738을 혼합하여 100% 고형분으로 만들었다. 이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3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첨가제 빅® 306을 0.2phr 농도의 아디톨® VXL 4930으로 대체했다.
실시예 16: 배합물 17의 제조 ( 페티아:HDDA:데스모룩스 ® XP2738=75:15:10)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르고, 상기 언급된 비율로 결합제 수지 즉,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XP2738을 혼합하여 100% 고형분으로 만들었다. 이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3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빅® 306의 농도는 0.7phr이었다.
실시예 17: 배합물 18의 제조 ( 페티아:HDDA:데스모룩스 ® XP2738=85:05:10)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르고, 상기 언급된 비율로 결합제 수지 즉,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XP2738을 혼합하여 100% 고형분으로 만들었다. 이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3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첨가제 빅® 306의 농도는 0.7phr로 변화시켰다.
실시예 18: 배합물 19의 제조 ( 페티아:HDDA:데스모룩스 ® XP2738=90:10:10)
실시예 12의 절차를 따르고, 상기 언급된 비율로 결합제 수지 즉, 페티아 및 데스모룩스® XP2738을 혼합하여 100% 고형분으로 만들었다. 이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용매를 사용하여 30% 고형분으로 희석시켰다. 첨가제 빅 306의 농도는 0.7phr로 변화시켰다.
표 1 내지 5에는 시험 조건 및 다양한 기재에 있어서의 필름의 광학 특성 및 컬링에 대한 온도 처리, 지속 시간, 코팅 배합물 및 코팅 두께의 영향이 열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 1을 통해, 비코팅 DE 202-000000 (1-M; 175 ㎛) 기재의 최대 가공 온도가 각각 2 및 5시간 동안 180℃ 및 170℃임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를 넘어서면, 필름이 변형되거나 또는 과도한 컬링/요동을 나타낸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실패는 온도 처리가 보장되는 적용에 있어서 필름을 쓸모없게 만든다. 그러나, 필름을 아크릴레이트 경질 코트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2 및 5시간 동안의 시험 지속시간 둘 다에서 최대 가공 온도가 10-30℃ 증강된다. 표 2 내지 5로부터 유사한 결론이 쉽게 유도될 수 있다.
<표 1>
열 처리 전 및 후의 코팅 및 비코팅 DE202-000000 (1-M) 광택-마이크로 매트 175 ㎛ 기재의 필름 특성
Figure pct00010
<표 2>
열 처리 전 및 후의 코팅 및 비코팅 DE202 - 060003 (1-M) 광택-광택 175 ㎛ 기재의 필름 특성
Figure pct00011
<표 3>
열 처리 전 및 후의 코팅 및 비코팅 DE202 - 000000 (1-M) 광택-마이크로 매트 100 ㎛ 기재의 필름 특성
Figure pct00012
<표 4>
열 처리 전 및 후의 코팅 및 비코팅 DE202 - 000000 (1-M) 광택-마이크로 매트 75 ㎛ 기재의 필름 특성
Figure pct00013
<표 5>
열 처리 전 및 후의 코팅 및 비코팅 DE202 - 060003 (1-M) 광택-마이크로 매트 125 ㎛ 기재의 필름 특성
Figure pct00014
<표 6>
열 처리 전 및 후의 코팅 및 비코팅 DE1-1, 광택-광택 175 ㎛ 기재의 필름 특성
Figure pct00015

Claims (9)

  1. 코팅된 기재가 그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특성의 열화 없이 처리될 수 있는 최대 온도로서 정의되는 플라스틱 기재의 최대 가공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제공된 경질 코트 층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가 플라스틱 필름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가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제조된 것인 용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가 1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00,000의 Mw (분자량의 중량 평균)를 가지며 하기 화학식 I의 이관능성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량의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인 용도.
    <화학식 I>
    Figure pct00016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클로린 또는 브로민, C1-C8 알킬, C5-C6 시클로알킬, C6-C10 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및 C7-C12 아르알킬, 바람직하게는 페닐-C1-C4-알킬, 특히 벤질을 나타내고,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를 나타내고,
    R3 및 R4는 각각의 X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을 나타내고,
    X는 탄소를 나타내고,
    n은 30 이상의 정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0의 정수,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50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1개 이상의 X 원자 상에서, R3 및 R4는 동시에 알킬을 나타낸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위한 출발 생성물이 하기 화학식 Ia의 디히드록시디페닐 시클로알칸인 용도.
    <화학식 Ia>
    Figure pct00017

    상기 식에서,
    X, R1, R2, R3, R4, m 및 n은 화학식 I에 주어진 의미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R3 및 R4는 동시에 1 내지 2개의 X 원자 상에서, 특히 단지 1개의 X 원자 상에서 알킬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라디칼이 메틸이고; 디페닐-치환된 C 원자 (C-1)에 대해 알파 위치의 X 원자가 디알킬-치환되지는 않지만, C-1에 대한 베타 위치에서 알킬 이치환된 것인 용도.
  7. 제5항에 있어서, 시클로지방족 라디칼 내에 5 및 6개의 고리 C 원자를 갖는 히드록시디페닐 시클로알칸 (화학식 Ia에서 m = 4 또는 5), 특히 하기 화학식 Ib 내지 Id의 디페놀, 여기서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R1 및 R2가 H인 화학식 Ib)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학식 Ib>
    Figure pct00018

    <화학식 Ic>
    Figure pct00019

    <화학식 Id>
    Figure pct0002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특히 PET, 공압출된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로 제조된 것인 용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코트가 2 내지 8 ㎛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인 용도.
KR1020157021417A 2013-02-08 2014-02-05 경질 코트를 사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개선된 최대 가공 온도 Withdrawn KR201501157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4582.4 2013-02-08
EP13154582 2013-02-08
PCT/EP2014/052201 WO2014122149A1 (en) 2013-02-08 2014-02-05 Improved maximum processing temperature of plastic substrates using hard coa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790A true KR20150115790A (ko) 2015-10-14

Family

ID=4775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417A Withdrawn KR20150115790A (ko) 2013-02-08 2014-02-05 경질 코트를 사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개선된 최대 가공 온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02423A1 (ko)
EP (1) EP2953998B1 (ko)
JP (1) JP2016511172A (ko)
KR (1) KR20150115790A (ko)
CN (1) CN105246953B (ko)
TW (1) TWI621647B (ko)
WO (1) WO2014122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3072B2 (en) * 2016-11-14 2023-03-28 Covestro Deutschland Ag Dual-curing isocyanurate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0131A (en) 1961-01-31 polycarbonate process
NL104015C (ko) 1953-10-16
DE1007996B (de) 1955-03-26 1957-05-0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e
US3275601A (en) 1956-01-04 1966-09-27 Bayer Ag Manufacture of polycarbonates using tertiary amines, quaternary amines and salts thereof as catalysts
US2991273A (en) 1956-07-07 1961-07-04 Bayer Ag Process for manufacture of vacuum moulded parts of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US3148172A (en) 1956-07-19 1964-09-08 Gen Electric Polycarbonates of dihydroxyaryl ethers
US2999846A (en) 1956-11-30 1961-09-12 Schnell Hermann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aromatic sulfoxy polycarbonates
US3062781A (en) 1958-07-02 1962-11-06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s
US2999835A (en) 1959-01-02 1961-09-12 Gen Electric Resinous mixture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 and polymer of a carbonate of a dihydric phenol,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GB1122003A (en) 1964-10-07 1968-07-31 Gen Electric Improvements in aromatic polycarbonates
GB1096929A (en) 1965-07-30 1967-12-29 Ici Ltd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s with epoxy groups
DE2063050C3 (de) 1970-12-22 1983-12-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seifungsbeständige Polycarbon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2063052A1 (de) 1970-12-22 1972-07-13 Bayer Verseifungsbeständige Polycarbonate
DE2211956A1 (de) 1972-03-11 1973-10-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seifungsstabiler blockcopolycarbonate
DE3832396A1 (de) 1988-08-12 1990-02-15 Bayer Ag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NO170326C (no) 1988-08-12 1992-10-07 Bayer Ag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DE19739640A1 (de) * 1997-09-10 1999-03-11 Bayer Ag Härtbare Beschichtungen aus oligomeren Kondensationsprodukten
JP2002178423A (ja) * 2000-12-13 2002-06-26 Sharp Corp プラスチック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薄膜積層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4084985B2 (ja) * 2002-10-29 2008-04-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5133026A (ja) * 2003-10-31 2005-05-26 Lintec Corp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光ディスク
JP2006123289A (ja) * 2004-10-28 2006-05-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及びディスプレイ
JP2008143098A (ja) * 2006-12-12 2008-06-26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
KR101247714B1 (ko) * 2008-03-27 2013-03-26 후지쿠라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기재용 도료 조성물, 그것에 의해 형성된 도막 및 그 형성체
DE102009036120A1 (de) * 2009-08-05 2011-02-10 Hexion Specialty Chemicals Gmbh Beschichteter Festigkeitsträger
DE102009058099A1 (de) * 2009-12-12 2011-06-16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blends mit hoher Wärmeformbeständigkeit und verbesserten Oberflächeneigenschaften
JP5697955B2 (ja) * 2010-11-19 2015-04-08 住化バイエルウレタン株式会社 多層加飾フィルム
IT1403380B1 (it) * 2010-12-17 2013-10-17 Bayer Materialscience Ag Composizione di polimeri con caratteristiche di assorbimento di calore ad alta stabilità agli agenti atmosferici.
JP5042392B1 (ja) * 2011-10-24 2012-10-03 尾池工業株式会社 高耐擦傷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46953A (zh) 2016-01-13
EP2953998B1 (en) 2017-03-22
WO2014122149A1 (en) 2014-08-14
US20160002423A1 (en) 2016-01-07
JP2016511172A (ja) 2016-04-14
CN105246953B (zh) 2018-09-21
TW201446845A (zh) 2014-12-16
TWI621647B (zh) 2018-04-21
EP2953998A1 (en)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0629B2 (ja) 紫外線安定化成形ポリカーボネート製品
TWI679220B (zh) 合成樹脂層合薄片
US10173355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part made of plastic and provided with a UV-cured paint, and said molded part
CN101932448B (zh) 聚碳酸酯树脂层叠片
CN105765002B (zh) 可成形硬涂层涂覆的pc/pmma共挤出膜
JP5819301B2 (ja) Pcをコーティングする2つのトリアジン紫外線吸収体の組合せ
CN119546438A (zh) 生产具有包含特定oh含量的聚碳酸酯的载体的复合部件的方法
JP5939825B2 (ja) 珪素の酸化物膜を形成した樹脂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15790A (ko) 경질 코트를 사용한 플라스틱 기재의 개선된 최대 가공 온도
JP7017131B2 (ja) ハードコート層付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7437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A2165744A1 (en) Process for continuously providing a scratch resistant finish on polycarbonates
JP7135972B2 (ja) パネル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77553A (ja) 積層体
JP5141054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EP3545343B1 (en) Formable anti-glare polymer films
CN110997807A (zh) 聚碳酸酯系树脂组合物的制造方法
HK1039349A1 (zh) 具有水鋪展性塗層的模製品及其用途
HK1039084A1 (zh) 具有水鋪展性塗層的模製品
WO2025037569A1 (ja) 積層体およびこれを硬化してなる硬化物
WO2024237127A1 (ja) 積層体およびこれを硬化してなる硬化物
JP2009051919A (ja) 有機無機複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無機複合体
JP2020175587A (ja) 透明樹脂積層体
HK1172869A (en) Combination of two triazine uv absorbers for coating on polycarbo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