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14182A -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182A
KR20150114182A KR1020140038445A KR20140038445A KR20150114182A KR 20150114182 A KR20150114182 A KR 20150114182A KR 1020140038445 A KR1020140038445 A KR 1020140038445A KR 20140038445 A KR20140038445 A KR 20140038445A KR 20150114182 A KR20150114182 A KR 2015011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hin film
metal thin
metal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주)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삼원에스티
Priority to KR102014003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182A/ko
Priority to CN201580012382.2A priority patent/CN106068180B/zh
Priority to US15/125,486 priority patent/US10409331B2/en
Priority to CN201580012357.4A priority patent/CN106068492B/zh
Priority to PCT/KR2015/002424 priority patent/WO2015137755A1/ko
Priority to US15/125,494 priority patent/US20170075386A1/en
Priority to PCT/KR2015/002423 priority patent/WO2015137754A1/ko
Priority to US15/301,374 priority patent/US20170120668A1/en
Priority to CN201580016201.3A priority patent/CN106664810B/zh
Priority to PCT/KR2015/003254 priority patent/WO2015152632A1/ko
Publication of KR2015011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18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데코레이션에 있어서. 데코레이션을 고급화하기 위해 카바 글라스에 부착되는 필름에 금속 박막을 코팅해서 사용하되, 정전식 터치 스크린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 금속 박막을 전기적으로 절연된 다수개의 금속 박막 도형으로 에칭을 하며, 에칭이 된 금속 박막 도형 위에 잉크로 인쇄를 하는 카바 글라스이다.
또한 제 1 금속 도형과 제 2 금속 도형을 절연 층을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되게 함으로서 금속 도형 사이에서도 금속 층이 형성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더욱이 정전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전도성을 가지면서 고 저항의 잉크를 사용하며 인쇄 층을 전자기기의 그라운드와 연결한 구조로서 카바 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효과를 높이면서 터치 스크린의 동작을 유지시키는 카바 글라스 구조이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Metallic Decoration Film for the cover glass of the electronics devices}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글라스의 데코레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카바 글라스에 부착하는 금속질감이 나는 금속 데코레이션 효과의 데코레이션 필름의 구조와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중에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기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노트북, 모니터 등은 하는 카바 글라스(Cover Glass)를 전면에 부착을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부분을 제외한 테두리는 인쇄 공법 등을 통해서 데코레이션을 형성한다.
특히 데코레이션은 전자기기의 디자인을 표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도 중에는 인쇄 칼라 뿐만이 아니라 산화물 멀티코팅 등과 같이 새로운 소재를 사용도 적극적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소재를 사용은 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금속을 데코레이션으로 사용할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하는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데코레이션을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금속 소재를 사용한 구조를 고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금속 데코레이션이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데코레이션이 카바 글라스에 부착되는 비산 방지 필름에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의 미러 효과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금속 데코레이션에 산란(Hazy) 효과를 내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으로서 금속 효과와 인쇄 효과가 나오게 하기 위해 금속 사이로 인쇄 면이 나타나도록 금속이 코팅된 필름 면의 반대 면에 흑백 또는 칼라 인쇄를 한 구조이다.
또한 1 금속 효과와 2 금속 효과가 나타나도록 1 금속이 코팅된 필름의 반대 면에 2 금속을 코팅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금속 효과를 낼 수 있는 카바 글라스를 제조하여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효과를 높이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 패널을 갖는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금속 데코레이션을 카바 글라스에 부착하는 필름에 형성을 하되, 금속 박막의 구조가 다수개의 다각형 또는 랜덤한 구조의 도형을 사용한 것으로서 각각의 도형은 분리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다.
전기적으로 상호 간에 절연된 다수개의 금속 도형을 형성하는 방법은 열 증착(Thermal Evaporation), e-beam 증착(e-beam evaporation), 스퍼트링(Sputtering) 등으로 단일 금속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금속을 필름의 일면에 통상적으로 0.2 micrometer 이내의 두께의 박막으로 코팅을 한 다음 포토리쏘그라피 공정으로 디스플레이 부분과 데코레이션 부분의 도형 외의 금속 박막 분분을 에칭해 내거나, 레이저로 금속을 날리는 것이다.
그 다음 빛 샘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와 데코레이션 효과를 내기 위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랜덤(random)한 형태로 에칭이 된 금속 박막 도형이 코팅된 필름의 반대 면에 또는 금속 박막 위에 다시 실크스크린으로 희색, 유색, 블랙 등의 색 상으로 인쇄를 한다.
또는 금속 도형 사이의 공간에 메탈 효과를 내기 위해 필름의 반대 면에 또 다른 금속이 코팅이 된 구조에서, 반대 면의 금속은 원래의 금속 도형의 사이로 보이도록 나타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식 터치 패널을 갖는 전자기기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금속도형을 데코레이션으로 형성한 카바 글라스는 금속질감의 고급 데코레이션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금속 면이 필름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이 되면서 각 도형의 사이로 두 개의 금속이 보이게 하여 금속의 데코레이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필름에 금속 박막을 코팅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금속 박막 도형으로 에칭한 정면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인쇄 층을 형성한 정면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카바 글라스에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필름이 부착이 된 구조이다.
도 5는 이중의 금속 구조를 형성한 과정의 도면이다.
도 6은 금속 박막 도형과 주석을 형성한 구조이다.
도 7은 필름의 전면에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되며 배면에 인쇄 층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8은 투명 인쇄층을 사이에 두고 두 층의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9는 필름의 양면에 각각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필름에 전체적으로 금속 박막을 코팅한 도면이다.
필름의 종류는 통상적으로 고 투명 PET 필름을 사용한다.
필름의 두께는 보통 25 micrometer에서 200 micrometer를 이용한다.
도 1의 (a)는 필름(100)에 금속 박막(110)이 코팅이 된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단면도이다.
금속 박막은 열 증착, e-beam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코팅을 하며 금속의 종류로는 크롬, 알루미늄, 주석, 팔라듐, 몰리브데늄, 구리 등의 모든 종류의 금속이나 금속합금이 가능하며,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적층으로 다수 층을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금속 박막의 두께는 보통 0.01 micrometer에서 0.5 micrometer 정도까지 다양한 두께가 가능하다.
또는 금속 박막을 코팅하기 전에 미리 AL203, Si02, Ti02 등의 산화물 박막을 코팅한 다음 금속 박막을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금속 박막을 photolithography 에칭, 레이저 에칭 등으로 각각의 금속 박막 도형으로 에칭을 한 도면이다.
도 2의 (a)의 정면도에 나타나 있듯이 스크린 영역(200)이 에칭되어 있으며 또한 도 (1)의 금속 박막(110)은 금속 박막 패턴(210)으로 에칭이 되어 있으며, 금속 박막 패턴은 금속 박막 도형(220)과 그 사이의 절연 부(230)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 박막 도형은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이나 타원형, 또는 헤어라인 구조이거나 또는 비정형의 다양한 구조의 도형이 가능하다.
도형은 1 mm 이내의 임의의 크기를 통상적으로 사용하지만, 터치스크린의 신호 혼선을 막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의 신호 선의 피치의 1/2 이내가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의 베젤 부의 신호 선의 피치가 0.2 mm이면 도형의 크기가 0.1 mm이내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금속 도형의 사이는 금속이 에칭이 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이 된다.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이유는 터치 센서의 무선신호가 금속을 통해서 인접한 신호 선으로 전달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b)에는 이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필름(100)의 한 면에 스크린 영역(200)의 금속은 에칭되어 있고 데코레이션 부는 금속 박막 도형(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금속 박막 도형은 절연 부(2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절연 부(230)는 금속이 에칭된 부분이기 때문에 투명하다.
도 3의 (a)와 (b)는 금속 박막 도형 위에 빛 샘 방지 등을 위해 추가적으로 5-20 micrometer 정도의 두께로 실크스크린 등의 인쇄 방법을 통해서 인쇄 층(300)을 형성한 구조이의 정명도 (a)와 단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
인쇄는 한번 또는 여러 번의 인쇄를 겹쳐서 할 수 있다.
인쇄의 효과는 빛 샘 방지 효과와 이에 덧붙여 금속 박막과의 질감 차이를 통해서 새로운 디자인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의 인쇄 층(300)은 금속 박막 도형에 축적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고저항의 전도성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신호 방해를 막기 위해서 고 저항을 사용하며 비저항이 1 Ω-cm이 넘는 고저항의 잉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비저항이 10(-7) Ω-cm이기 때문에 금속과 비교해서 백만 배에서 1억 배가 넘는 높은 저항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높은 저항을 가진 잉크를 인쇄함으로써 정전기는 감소시키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신호는 방해하지 않는다.
또 한 인쇄는 여러 번 중첩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도성 잉크 위에 다시 절연 잉크를 인쇄할 수도 있다.
전도성을 가진 잉크를 사용할 경우 정전기가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인쇄가 된 다음 FPCB 연결 등을 통해 전자기기의 그라운드와 연결을 한다.
도 3의 구조로 필름에 코팅이 된 금속 위에 인쇄가 된 경우는 카바 글라스에 부탁을 할 경우 필름의 금속이 코팅이 된 면이 카바 글라스의 반대 면에 위치하도록 카바 글라스에 OCA 등으로 부착이 된다.
이에 대한 도면이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의 (a)에는 이의 단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카바 글라스(401), 투명 양면 접착 필름인 OCA(402), 필름(100), 필름에 형성된 금속 박막 도형(220), 그리고 인쇄 층(300)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필름에 금속 도형이 형성이 된 면과 인쇄 층이 필름의 한쪽 면에 같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금속 도형의 사이인 절연 부(230)로 인쇄 면이 보이는 구조이다.
이는 데코레이션에서 금속과 인쇄 층이 혼합이 된 구조로서 전체적인 금속 질감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중의 금속 구조가 가능하다.
이중의 금속 구조라 함은 동일한 금속 내지 서로 다른 금속을 투명한 전기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금속 박막이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의 금속 층은 금속 박막 도형으로 이뤄져서 전기적으로는 절연되어있다.
도 5에는 이중의 금속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a)에는 투명한 필름(100)에 금속 박막 도형(220)과 절연 부(230)로 구성된 제 1 금속 박막 패턴(2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에는 제 1 금속 박막 패턴이 형성된 위에 투명 층(510)을 형성한 구조이다.
투명 층은 실크 인쇄. 잉크젯 인쇄 내지 그라비아 공법 등으로 형성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층의 두께는 1-10 micrometer 정도로 형성이 된다.
또는 투명 층을 Si02, Ti02 등의 금속산화물을 스퍼터링 등의 공법으로 코팅을 할 수도 있다.
도 6의 (a)에는 투명 층 위에 다시 제 2 금속 박막 패턴(520)을 형성한 구조이다.
제 2 금속 박막 패턴도 마찬가지로 제 2 금속 박막 패턴 (520)을 형성한 구조이다.
제 2 금속 박막 패턴도 마찬가지로 제 2 금속 박막 도형(530)과 절연 부(540)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금속 박막 패턴의 특징은 제 2 금속 박막 도형이 제 1 금속 박막 패턴의 투명한 절연 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구조이다.
따라서 전면에서 볼 경우 제 1 금속 박막 패턴의 금속 도형이 나타나며 절연 부 사이로 제 2 금속 박막 패턴의 금속 도형이 보이게 되어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이 나타나게 된다.
제 1 금속 박막 패턴의 금속 종류와 제 2 금속 박막 패턴의 금속 종류는 같은 금속일 수도 있고 다른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어서 이종의 금속 질감이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의 (b)에는 본 구조의 단면도가 필름의 배면에 형성이 된 구조로서 인쇄 층(300)까지 합쳐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나타나듯이 제 1 금속 박막 패턴의 절연 부(230)를 덮는 구조의 제 2 금속 박막 패턴의 금속 박막 패턴(530)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투명 층(51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그 배면에는 빛 샘 방지 또는 금속 보호 용도로 인쇄 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의 구조에는 제 2 금속 박막 패턴의 금속 종류로서 제 1 금속 박막 패턴의 금속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Gold, Silver, 크롬 등으로 형성할 경우 제 2 금속 박막 층도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패턴이 형성되게 에칭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 1 금속 박막 패턴의 투명 절연 층을 전체적으로 덮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을 한다.
이의 해결을 위해 제 3 금속 박막 패턴을 제 1 금속 박막 패턴과 제 2 금속 박막 패턴이 형성된 사이의 투명 절연 부 사이로 노출이 되며 전기적으로는 절연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는 두 층 이상의 복수 층의 금속 박막 패턴을 상호 간의 투명 절연 부로 노출되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제작을 하는 구조이다.
또 다른 해결 방법으로는 주석과 같이 일정 두께 이하로 코팅을 하면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띄는 금속을 코팅할 수 있다.
주석은 공정 조건에 따라 10 nanometer - 500 nanometer 수준의 두께로 코팅하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 2 금속 층을 스크린 부를 제외한 데코레이션 부 전체에 코팅을 하여 전면에서 볼 때에 제 1 금속 박막 패턴의 절연 층 사이로 주석 금속이 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도면이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7의 (a)에는 평면도로서 필름(100)에 제 1 금속 박막 도형(220)과 투명 층(510)과 주석 코팅 층(610)이 형성된 구조에서 주석 (610)이 절연 부 에칭이 없이 데코레이션 부에 코팅이 된 구조가 나타나 있으며, 도 7의 (b)에는 이를 글라스에 붙이기 위한 뒤집은 구조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필름(100)의 배면에 제 1 금속 박막 패턴 층(210)과 투명 층(510)과 주석 코팅 층(610)과 인쇄 층(300)이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투명 층(510)에 있어서 반투명 효과가 날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을 넣어서 제 2 금속 박막 층과의 칼라 효과를 낼 수도 있다.
필름에 금속 박막 패턴과 빛 샘 방지 인쇄를 할 경우, 도 4에는 필름(100), 필름에 형성된 금속 박막 패턴(210), 그리고 인쇄 층(300)의 순서로 필름의 한 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필름의 양면에 금속 층과 인쇄 층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의 (a)의 정면도에 나타나 있듯이 필름(100)의 전면에는 스크린 영역(200)이 에칭되어 있으며 또한 금속 박막 도형(220)과 그 사이의 절연 부(230)로 에칭이 된 금속 박막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 박막 도형은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이나 타원형, 또는 헤어라인 구조이거나 또는 비정형의 다양한 구조의 도형이 가능하다.
도형은 1 mm 이내의 임의의 크기를 통상적으로 사용하지만, 터치 스크린의 신호 혼선을 막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의 신호 선의 피치의 1/2 이내가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의 베젤 부의 신호 선의 피치가 0.2 mm 이면 도형의 크기가 0.1 mm 이내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금속 도형의 사이는 금속이 에칭이 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이유는 터치 센서의 무선신호가 금속을 통해서 인접한 신호 선으로 전달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필름(100)의 배면에는 빛 샘 방지와 칼라 효과를 낼 수 있게 흑백 또는 다양한 색상의 잉크가 인쇄된 인쇄 층(300)이 형성된다.
도 8의 (b)에는 이 도면의 필름과 카바 글라스가 접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카바 글라스(401), 투명 양면 접착 필름인 OCA(402), 필름에 형성된 금속 박막 도형(220), 필름(100), 그리고 인쇄 층(300)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금속 박막 패턴 층과 인쇄 층을 각각 필름의 다른 면에 형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공정을 제조하는데 유리하다.
도 8의 구조와 같이 필름의 전면에 금속 박막 패턴을 형성하고 필름의 배면에 형성을 하는 경우 금속 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마스킹으로 포토 마스킹 대신 투명 잉크의 인쇄를 통해서 금속 박막 위에 투명 잉크로 패턴 인쇄를 하고 금속 박막 패턴 에칭을 한 다음 투명 잉크가 있는 상태로 패턴 형성을 완료하는 것이다.
금속 박막 에칭을 위한 보호 인쇄는 롤투롤(Roll to Roll) 인쇄를 할 경우 그라비아 인쇄나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나 리버스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 등이 가능하다. 특히 그라비아 인쇄는 100 micrometer, 그라비아 오프셋은 20 micrometer, 리버스 그라비아 오프셋은 수 micrometer 정도의 정밀도로 인쇄가 다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금속 박막 도형이 가능하다.
포토리쏘그라피 공정을 사용할 경우 감광제를 다시 벗겨내는 스트리핑 공정이 필요한데 투명 잉크를 마스킹을 할 경우 별도의 스트리칭 공정이 필요가 없다.
또 한 패턴으로 금속 박막 위에 인쇄가 되는 잉크를 단순한 투명 잉크 외에도 굴절률이 다른 마이크로 투명 비드(bead)를 섞은 산란 잉크를 인쇄하거나. 반투명 칼라의 잉크를 인쇄할 수도 있다.
투명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금속 층이 필름의 윗 쪽에 있어서 노출이 되는 구조에서 투명 잉크를 사용하며 금속 층이 필름의 배면에 있고 금속 면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유색잉크를 사용해서 마스킹이 가능하다.
이의 공정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a)에 나타나듯이 필름(100)의 전면에 금속 박막(110) 코팅을 한다.
도 9의 (b)에는 금속 박막 위에 투명 잉크를 제작하고자 하는 인쇄를 하여 투명잉크 패턴(810)을 형성하다.
이때 투명잉크 패턴 층은 금속 박막을 에칭할 때에 마스킹 역할을 한다.
도 10의 (a)에는 투명 잉크 패턴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에칭 용액으로 에칭을 한 구조로서 금속 박막 패턴(210)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9의 과정으로 형성된 필름의 배면에 인쇄를 하여 빛 샘 방지 효과 등을 가지는 인쇄 층을 형성한다.
이의 단면 구조가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난 대로 투명잉크패턴(810)과 그 아래에 금속 박막 도형(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름(100)의 배면에는 인쇄 층(300)이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난 대로 투명 잉크 패턴(810)과 그 아래에 금속 박막 도형(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름(100)의 배면에는 인쇄 층(300)이 형성된다.
인쇄 층은 금속 박막 패턴의 절연 부(230)의 배면에도 인쇄가 되어 전면에서는 투명한 절연 부를 통하여 배면의 인쇄 층이 가시화된다.
필름의 양쪽에 각각 금속패턴과 인쇄 층을 형성하는 구조의 또 다른 장점은 제 1 금속 박막 패턴과 제 2 금속 박막 패턴을 필름의 양쪽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제 1 금속 박막 패턴과 제 2 금속 박막 패턴의 사이에 별도의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투명 층을 인쇄 등의 공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필름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투명 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1에 이러한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필름(100)의 상면에 제 1 금속 박막 도형(220)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제 2 금속 박막 도형(5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 도 6과 마찬가지로 제 2 금속 박막 패턴(530)의 금속 층은 제 1 금속 박막 도형(220)의 사이에 투명한 절연 층(230)의 위치에 패턴이 됨으로써 전면에서 볼 때 가시화(可視化) 된다.
이 다음으로 제 2 금속 박막 패턴의 배면에 빛 샘 방지들을 위한 인쇄 층(300)이 형성된다.
또 한 제 2 금속 박막의 종류를 주석으로 코팅함으로써 별도의 에칭 없이 데코레이션 전체에 주석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가 되는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필름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비산 방지 필름 효과도 내는 데코레이션 필름으로서의 사용 외에도 카바 글라스의 전면에 붙이는 보호 필름이나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는 보호 필름에 직접 점착 층을 형성하거나, 다른 점착 필름을 붙여서 일반적으로 쉽게 붙일 수 있는 보호필름으로 제작한다.
또 다른 응용으로서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감싸는 플라스틱 사출 과정에 필름이 직접 접착되는 IML(in Mold Lamination) 공법에서도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필름의 사용이 가능하며, 금속 박막 도형 층이 이형 필름 위에 하드코팅층에 형성되어 있고, 사출 과정에서 사출 금형에 필름을 장착하여 사출할 경우 금속 박막 도형이 코팅된 하드 코팅층은 사출 케이스에 부탁이 되고 이형 필름은 분리가 되는 IMD(In Mold Decoration) 공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의 배면에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메탈효과를 낼 경우 통신 전파에 대한 금속의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금속 효과를 내는 장점이 있다.
금속 박막 도형의 크기를 수 마이크로미터나 수십 마이크로미터로 제작하거나 절연 부의 폭도 수 마이크로에서 수십 마이크로의 폭으로 제작을 하면 실제로 전체적으로 코팅을 한 것과 거의 구분이 가지 않는 금속 코팅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또 한 상기의 금속 박막 도형을 제작할 때에 필름에 미리 마이크로 렌즈나 헤어라인이거나 또는 기타의 마이크로 패턴의 미세 굴곡을 패턴 임플란팅(Pattern Implanting) 공법 등으로 필름에 형성을 한 다음 금속 박막 도형을 형성해서 입체적인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필름 110 : 금속 박막
200 : 스크린 영역 210 : 금속 박막 패턴
220 : 금속 박막 도형 230 : 절연부
300 : 인쇄층 401 : 카바 글라스
402 : OCA 501 : 투명층
520 : 제 2 금속박막패턴 530 : 제 2 금속박막도형
540 : 절연부 610 : 주석
810 : 투명잉크패턴

Claims (17)

  1.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에 부착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데코레이션에 있어서,
    데코레이션으로 형성되는 금속 박막에 있어서,
    금속 박막의 구조가 각각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금속 박막 도형으로 이뤄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박막 다각형이 형성된 다음 그 위에 잉크로 인쇄가 된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인쇄가 된 잉크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인쇄 층의 비저항이 1 Ω-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카바 글라스
  5. 제 1 항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에 형성된 금속 박막 도형이 두 층 이상의 복수 층의 금속 박막 도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 층의 금속 박막 도형은 각 층별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각 층의 금속 박막 도형의 사이에는 투명 절연 내지 투명 필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6. 제 5 항의 각 층의 금속 박막 도형은 각각의 투명 절연 부를 덮는 형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7. 제 5 항의 복수 층의 금속 박막 도형에 있어서 적어도 찬 층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띄는 형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카바 글라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카바 글라스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카바 글라스의 전면에 부탁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은 접착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필름은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부분에 마세 굴곡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데코레이션 필름은 전자기기의 배면의 사출 플라스틱 케이스에 부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출 물에 부착이 되는 형태가 필름을 금형에 삽입하여 사출을 할 때 플라스틱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4. 제 12 항에 있어서 금속 박막 도형이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은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이형 필름의 하드 코팅층 위에 형성되며,
    사출과정에서 플라스틱에 금속 박막 도형과 하드 코팅층이 플라스틱에 부착되고 이형필름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박막 도형은 금속이 코팅된 필름에 금속 박막 도형에 맞게 필름 위에 인쇄를 하고,
    인쇄가 된 상태로 금속 에칭액을 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인쇄 잉크는 투명잉크 내지 산란 비드가 포함된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17. 필름에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금속 박막이 형성되며,
    절연되는 절연 부는 필름의 투명한 부분이 노출되며,
    절연 부와 금속 박막의 전체를 포함하는 면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주석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데코레이션 필름
KR1020140038445A 2014-03-12 2014-04-01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Ceased KR20150114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45A KR20150114182A (ko) 2014-04-01 2014-04-01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CN201580012382.2A CN106068180B (zh) 2014-03-12 2015-03-12 电子设备用膜部件
US15/125,486 US10409331B2 (en) 2014-03-12 2015-03-12 Cover glass for electronic device
CN201580012357.4A CN106068492B (zh) 2014-03-12 2015-03-12 电子设备用保护玻璃
PCT/KR2015/002424 WO2015137755A1 (ko) 2014-03-12 2015-03-12 전자기기용 필름부재
US15/125,494 US20170075386A1 (en) 2014-03-12 2015-03-12 Film member for electronic device
PCT/KR2015/002423 WO2015137754A1 (ko) 2014-03-12 2015-03-12 전자기기용 커버글라스
US15/301,374 US20170120668A1 (en) 2014-04-01 2015-04-01 Rear case for electronic device
CN201580016201.3A CN106664810B (zh) 2014-04-01 2015-04-01 电子设备用后盖
PCT/KR2015/003254 WO2015152632A1 (ko) 2014-04-01 2015-04-01 전자기기용 리어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45A KR20150114182A (ko) 2014-04-01 2014-04-01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82A true KR20150114182A (ko) 2015-10-12

Family

ID=5434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445A Ceased KR20150114182A (ko) 2014-03-12 2014-04-01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1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88A1 (ko) * 2018-08-31 2020-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및 장식 부재
KR20210002837U (ko) * 2020-06-11 2021-12-21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터치 센서의 정전 방전 보호 구조
CN114012954A (zh) * 2021-11-02 2022-02-08 东莞正广精密科技有限公司 双层纹理工艺
WO2023229402A1 (ko) * 2022-05-25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하우징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88A1 (ko) * 2018-08-31 2020-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및 장식 부재
KR20200025930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및 장식 부재
CN111868296A (zh) * 2018-08-31 2020-10-30 株式会社Lg化学 装饰元件的制造方法及装饰元件
US12037674B2 (en) 2018-08-31 2024-07-16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member, and decorative member
KR20210002837U (ko) * 2020-06-11 2021-12-21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터치 센서의 정전 방전 보호 구조
CN114012954A (zh) * 2021-11-02 2022-02-08 东莞正广精密科技有限公司 双层纹理工艺
WO2023229402A1 (ko) * 2022-05-25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하우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8180B (zh) 电子设备用膜部件
JP6324656B2 (ja) タッチパネル基板、及び表示装置
KR100954894B1 (ko) 터치패널센서
KR101350424B1 (ko) 접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US20170120668A1 (en) Rear case for electronic device
TW201740256A (zh) 薄膜及其製造方法
TWI573064B (zh) Display panel structure with concealed blind hole and its making method
US9180646B2 (en) Touch screen panel
KR101512185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JP2017518545A (ja) 電子機器用透明カバー
KR20150114182A (ko) 전자 기기용 카바글라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JP6206637B2 (ja) タッチパネル基板、及び表示装置
JP6202079B2 (ja) 通知窓付き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および表示装置
KR101174709B1 (ko) 터치패널센서
KR20150143286A (ko) 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149749B1 (ko) 장식부에 미러 문양의 효과를 갖는 윈도우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스크린 패널
KR20130049036A (ko) 터치패널센서
KR101688021B1 (ko) 전자기기용 커버글라스
KR20180043429A (ko) 안테나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금속재질 커버
JP6232856B2 (ja) 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KR20180007634A (ko) 스마트폰 보호유리
KR20160097461A (ko) 전자 기기 카바의 금속 데코레이션
JP2014199350A (ja) 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EP3292430B1 (en) Optical effect coating
KR101743329B1 (ko)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1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62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