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738A - Lamp control system of zigbee interfacing power overlap method - Google Patents
Lamp control system of zigbee interfacing power overlap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1738A KR20150111738A KR1020140035479A KR20140035479A KR20150111738A KR 20150111738 A KR20150111738 A KR 20150111738A KR 1020140035479 A KR1020140035479 A KR 1020140035479A KR 20140035479 A KR20140035479 A KR 20140035479A KR 20150111738 A KR20150111738 A KR 201501117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unit
- lighting
- signal
- zigbe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은 무선 조명기기와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조명제어시스템(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 E/F2)의 유선 조명기기를 통합 연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여 빌딩제어 같은 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무극성 2가닥의 신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배선, 배관이 용이하며, 인터럽트식 시분할 다중 전송방식으로 실시간 빠른 응답이 가능하며, 전원중첩 방식으로 신호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센서, 스위치 등의 장치들을 별도의 전원 연결없이 구동할 수 있으며, 스케쥴 제어를 통해 필요 없는 조명을 오프(OFF)하는 등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고, 센서장치를 이용한 그룹, 패턴 제어를 통해 필요한 시간에만 조명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of the Zigbee interworking power superi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 wireless lighting device and a wired lighting device of an easy control full-two way lighting control system (E / F2)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a large system such as a building control easily by expanding the system. By using two nonpolar signal lines, wiring and piping are easy. Interruptive time division multiple transmission system enables quick real- By supplying power through a signal line in a power superposing manner, devices such as a sensor and a switch can be driven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energy is saved by turning off unnecessary illumination through schedule control, , It is possible to use the illumination only for the necessary time through the pattern control, thereby saving energy.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그비(Zigbee)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그비(Zigbee) 시스템의 무선 조명기기(조명등)와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조명제어시스템(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 E/F2)의 유선 조명기기(조명등)를 통합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ply superimpos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 Zigbee system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n easy control full - 2 way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E / F2)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E / F2).
상기 지그비 시스템은 저렴한 가격과 저전력 소모 및 작은 크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양방향 데이터 통신기능이 기능하여 홈네트워크와 유비쿼터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The ZigBee system is composed of an inexpensive price, low power consumption and a small size program, so that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function is widely used in a home network and ubiquitous field.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자동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많은 기술들이 제공되어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빌딩 및 아파트 등과 같이 고층 건물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건물들 내의 전기, 조명, 수도 및 냉방 등과 같은 설비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동 제어 시스템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Recently, many technologies using an automatic control system have been provided in everyday life, so that the convenience of life can be provided. 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has increased, an automatic control system is essential to manage such facilities as electricity, lighting, water, and cooling.
종래에는 이러한 자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시공시 유선으로 다수의 조명기기를 하나의 단말장치(PC 등)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Conventionally, in such an automatic control system, a plurality of lighting apparatuses can be controlled by a single terminal device (PC, etc.) by wire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그러나, 건물 내의 각 방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신축하는 경우, 다수의 조명기기를 추가 또는 변경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시공상 상기 조명기기를 유선으로 추가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However, when the structure of each room in a building is changed or expanded or contracted,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re added or changed. At this time, it has been very difficult to additionally install the lighting devices by wir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추가 설비될 조명기기를 무선(예: 지그비 통신 방식)으로 설치하고, 이 무선 조명기기와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조명제어시스템(장치)의 유선 조명기기를 통합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apparatus (e.g., a Zigbe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wired lighting device of a two-wire type lighting control system (device) of a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is integrated.
특히 본 발명은 지그비(Zigbee)를 이용한 무선통신과 E/F2-BUS를 이용한 유선통신을 결합한 조명제어시스템으로서, E/F2-BUS에 가상채널을 설정하고, E/F2-BUS쪽에 설정된 채널을 Zigbee(지그비) to E/F2-BUS(버스)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지그비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combine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Zigbee and wired communication using E / F2-BUS, wherein a virtual channel is set in E / F2-BUS and a channel set in E / F2- Zigbee to E / F2-BUS (bus) gateway to ZigBee devi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조명기기마다 고유 어드레스를 각각 부여하고, 상기 무선 조명기기와,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조명제어장치의 유선 조명기기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합 연동하되, 상기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조명제어장치의 유선 조명기기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소정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달받은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조명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무선 조명기기는 상기 제어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조명제어기기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 조명기기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소정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어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전달받은 상기 무선 제어신호를 유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유선 조명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유선 조명기기는 전달 받은 상기 유선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조명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unique address is assigned to each of a plurality of wireless lighting devices, and the wireless illumination device is connected to a no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lighting device is received by a user through a wire lighting device of the non-polar power superposition type two-wir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The gateway conver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nto a wireless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wireless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lighting device, the wireless lighting device reads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controlling a predetermined lighting apparatus A wireless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gateway so that the gateway converts the received wireless control signal into a wired signal and transmits the wired signal to the non-polar power superimposing type two-wire wired lighting device. The non-polar power superimposed two- The lighting device reads the received wire signal and controls the lighting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상기 유선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소정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과,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과 연결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과,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과 터미널 유닛(T/U) 사이에 연결되는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과,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소정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과 1개 이상의 릴레이 사이에 연결되는 터미널 유닛(T/U)과, 상기 터미널 유닛(T/U)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wire lighting apparatus includes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lighting devic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 system network unit (SNU)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 system control unit SCU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the terminal unit T / U, and a system control unit SCU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SCU, (T / U)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control unit (SCU) and one or more relays, and a control unit And a rela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unit T / U.
이에,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신호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를 거쳐 터미널 유닛(T/U)에 전달되고, 상기 터미널 유닛(T/U)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어드레스와 제어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조명기기의 동작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제어된 조명기기의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는 전달된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When a us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arbitrary lighting device through the terminal device,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via a system network unit (SNU), a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a system control unit (SCU) (T / U), and the terminal unit (T / U) reads the address 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lighting device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Wherein the system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d lighting device and transmit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to the termi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nd the user input switch, And the user input switch indicates the transferred control state.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신호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를 거쳐 터미널 유닛(T/U)에 전달되고, 상기 터미널 유닛(T/U)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어드레스와 제어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조명기기의 동작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제어된 조명기기의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는 전달된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When a us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arbitrary lighting device through the user input switch,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T / U) through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the system control unit (SCU) And the terminal unit (T / U) reads the address 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lighting apparatus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hrough the relay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And the system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d lighting device and transmit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to the termi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nd the user input switch, The switch is used to indicate the control status that has been transmitted.
상기 무선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소정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과,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과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G/W)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입력된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를 통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무선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지그비 디바이스(Z/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ireless lighting device includes a terminal devic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lighting devic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 system network unit (SNU)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 gateway (G / W)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SCU) and connected to the user input switch, and a control unit And a ZigBee device (Z / 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signal or generating a wireless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and an address for controlling the arbitrary lighting device by the user will be.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신호는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을 거치고,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의 제어신호는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을 거쳐 상기 게이트웨이(G/W)에 전달되고, 이 게이트웨이(G/W)에서는 상기 어드레스가 가상 어드레스인지 확인한 후, 지그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지그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지그비 디바이스는 전송받은 어드레스를 확인한 후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When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and an address for controlling an arbitrary lighting device by a user is generated through the terminal device or the user input switch,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network unit (SNU) A control signal of the user input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G / W) via the system control unit (SCU), and the gateway (G / W) transmits the ZigBee wireless signal to the ZigBee device after confirming that the address is a virtual address, and if the ZigBee device confirms the received address and matches the address of the ZigBee device,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는 게이트웨이에 전달되어 무선신호 판독이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판독된 무선신호를 E/F2(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을 거쳐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되거나,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전달되어 이 단말장치와 이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해당 조명기기의 상태가 출력되는 것이다.When an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to read the radio signal, and the gateway transmits the read radio signal to the E / (SCU),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the system network unit (SNU) to the terminal device, or the system control unit (SCU) To the user input switch, and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device is output to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witch for user input.
상기 지그비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무선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어 무선신호 판독이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판독된 무선신호가 가상어드레스가 아니면 E/F2(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상기 터미널 유닛(T/U)에 전달하고, 상기 터미널 유닛(T/U)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어드레스와 제어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조명기기의 동작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것이다.When a wireless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and an address for controlling an arbitrary lighting device by a user is generated through the ZigBee device, the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to read a wireless signal, (SIU) and the terminal unit (T / U), if it is not a virtual address, and converts it into an E / F2 (Easy Control full- The terminal unit (T / U) reads an address and a control command of the lighting equipment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hrough the relay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고 이 게이트웨이(G/W)에서는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를 지그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그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지그비 디바이스는 전송받은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에 따라 자신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When an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ng device, an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and the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converted into a zigbee wireless signal in the gateway And the ZigBee device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ZigBee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received illumination device.
상기와 같은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by provid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of the Zigbee interwor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as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에 따른 E/F2 to Zigbee(지그비)를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은 E/F2 버스를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을 이용함에 따라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여 빌딩제어와 같은 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무극성 2가닥의 신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배선, 배관이 용이하며, 인터럽트식 시분할 다중 전송방식으로 실시간 빠른 응답이 가능하며, 전원중첩 방식으로 신호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센서, 스위치 등의 장치들을 별도의 전원 연결없이 구동할 수 있으며, 스케쥴 제어를 통해 필요 없는 조명을 오프(OFF)하는 등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고, 센서장치를 이용한 그룹, 패턴 제어를 통해 필요한 시간에만 조명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That is,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using the E / F2 to Zigbee (Zigb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the E / F2 bus, so that the system can be easily expanded, , Nonpolar two-stranded signal lines are used for easy wiring and piping. Interrupt type time division multiplexing method enables quick real-time response. By supplying power through the signal line in the power superimposed manner, devices such as sensors and switches can be separated And energy can be saved by turning off unnecessary illumination through schedule control. Since the group and pattern control using the sensor device can use the illumination only for the necessary time, the energy saving effect .
또한, 본 발명은 무선구간조명제어에 유무선 구간 통합으로 스케쥴 제어, 그룹제어, 패턴제어를 적용할 수 있고, 빌딩제어와 같은 큰 시스템을 유선구간과 무선구간으로 나누어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며, 무선구간의 활용으로 배선, 배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유선 센서장치를 무선구간에도 적용하여 제어할 수 있고, 전체 건물에 분산된 지역별(예: 층별) 무선 네트워크들과 유선구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전체 통합할 수 있고, 개별 어드레스(Address), 그룹, 패턴, 스케쥴, 센서 연동 등 유선조명제어시스템의 장점을 그대로 계승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schedule control, group control, pattern control by wireless / wired section integration to wireless section lighting control, and can constitute a system by dividing a large system such as building control into a wired section and a wireless section, The wiring and piping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kinds of wired sensor devices by applying it to the wireless section, and to integrate the wireless networks and wired sections distributed in the entire buildings (for example, by floor) into one system, Address, group, pattern, schedule, sensor interlock, and so 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의 작동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은 크게 유선 조명기기(조명등)(71)를 제어하는 장치와, 무선 조명기기(조명등)(72)를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선 조명기기(71) 및 무선 조명기기(72)는 각각 고유의 주소(어드레스, address)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1,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 Zigbee interwor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device for controlling a wire lighting device (an illumination lamp) 71, a wireless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Here, the
먼저, 유선 조명기기(71)를 제어하는 장치는 단말장치(10),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ystem Network Unit, SNU)(20),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ystem Interface Unit, SIU)(30), 시스템 컨트롤 유닛(System Control Unit, SCU)(40), 터미널 유닛(Terminal Unit, T/U)(50) 및 릴레이(Relay, RY)(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간에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부가 구성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단말장치(10)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소정의 부하(예: 조명기기(71)(72) 등)를 제어(온/오프 제어, 색상 제어 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 조명기기(71)(72)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신호에는 각 조명기기(71)(72)가 특정 시간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쥴 데이터 및 제어 대상 조명기기의 어드레스가 포함될 수 있다.The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은 단말장치(10)와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 사이에 위치하여, 단말장치(10)에서 전송된 제어신호(해당 조명기기의 어드레스 포함)를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으로 전송하고,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에서 전송된 신호(해당 조명기기의 상태 신호)를 단말장치(10)로 전송한다.The system network unit (SNU) 20 is located between the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은 단말장치 또는 중앙관계 장치(HOST PC)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제어 명령을 하달 및 터미널 유닛(T/U)(50)과 부하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전송받아 단말장치 또는 중앙관계 장치(HOST PC)로 전송한다.The system network unit (SNU) 20 sends /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device or the central relational device (HOST PC), and sends a control command to the terminal unit (T / U)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device or the central relation device (HOST PC).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10)와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 사이에 멀티 포트(Multi-port)를 구성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다수의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port is configured between the
단말장치(10)와 멀티 포트 사이는 일례로서, RS-232C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멀티 포트와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 사이는 일례로서, RS-232C 또는 #N-F2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S-232C or #N-F2 method is used as an example between the multi-port and the system network unit (SNU) 20, Data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은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과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 사이에 위치하여,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으로 전송하고,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으로 전송한다.A system interface unit (SIU) 30 is located between a system network unit (SNU) 20 and a system control unit (SCU) 40, Unit (SCU) (40) and transmi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ystem control unit (SCU) (40) to the system network unit (SNU) (20).
또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은 E/F2(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풀 2선식 통합 조명제어 시스템)-BUS 시스템의 조명제어 시스템에 직접적인 제어 명령을 하달하고,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으며, 단말장치 또는 중앙 관제 장치 및 프로그램 스위치에 의해 조작 및 상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중계한다.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30 is also connected to the E / F 2 (Easy Control full-2 way Lighting Control System, a full 2-wire integrated lighting control system of non-polar power superposition type) And various data are stored, and the operation and status data are received and relayed by the terminal device, the central control device, and the program switch.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은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과 터미널 유닛(T/U)(50) 사이에 위치하여,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에서 전송된 신호를 터미널 유닛(T/U)(50)으로 전송하고, 터미널 유닛(T/U)(50)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으로 전송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SCU) 40 is located between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30 and the terminal unit (T / U) 50 and transmit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또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과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 사이는 일례로서, E/F2-버스(2선 무극성 통신)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as an example between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30 and the system control unit (SCU) 40, data can be transferred via the E / F2-bus (two-wire non-polar communication).
또한,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은 중앙제어장치로서 스위치, 릴레이, 접점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및 감시하는 기능과, 해당하는 릴레이, 딤머, 스위치LED 등에 필요한 신호 송신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unit (SCU) 40 is a central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functions of receiving and monitoring signals from switches, relays, and contact inputs, and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signals required for the corresponding relays, dimmers, and switch LEDs do.
터미널 유닛(T/U)(50)은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과 릴레이(RY)(60) 사이에 위치하여,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에서 전송된 신호를 릴레이(RY)(60)으로 전송하고, 릴레이(RY)(60)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으로 전송한다.The terminal unit (T / U) 50 is located between the system control unit (SCU) 40 and the relay (RY) 60 and suppli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ystem control unit (SCU) 40 to the relay (60), and transmi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RY) 60 to the system control unit (SCU) (40).
또한, 터미널 유닛(T/U)(50)은 일례로서, 4개 어드레스의 릴레이를 제어하고, 스위치와 접점 입력 혹은 단말장치 또는 PC(개인용 컴퓨터) 제어로부터 신호를 받아 직접 연결된 릴레이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며, 딥(DIP)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릴레이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부여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unit (T / U) 50 controls the relays of four addresses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switches and contact inputs or from the terminal device or PC (personal computer) (ON / OFF), and assigns a unique address to the relay connected via the dip (DIP) switch.
릴레이(RY)(60)는 각각의 조명기기(71)에 구비되어, 터미널 유닛(T/U)(50)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71)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relay (RY) 60 is provided in each
또한, 릴레이(RY)(60)는 일례로서, 랫칭 타입 형식의 릴레이로, 터미널 유닛(T/U)(5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조명기기 또는 다른 전기부하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The relay (RY) 60 is, for example, a latching type relay which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a terminal unit (T / U) 50 to turn on / off the lighting device or other electric load, .
하나의 터미널 유닛(T/U)(50)에는 일례로서, 4개의 릴레이(RY)(6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하나의 터미널 유닛(T/U)(50)에는 4개의 조명기기(71)가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four relays (RY) 60 can be configured as one terminal unit (T / U) 50, whereby four terminal units (T / U) 71 may be constru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F2 버스를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여 빌딩제어 같은 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무극성 2가닥의 신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배선, 배관이 용이하며, 인터럽트식 시분할 다중 전송방식으로 실시간 빠른 응답이 가능하며, 전원중첩 방식으로 신호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센서, 스위치 등의 장치들을 별도의 전원 연결없이 구동할 수 있으며, 스케쥴 제어를 통해 필요 없는 조명을 오프(OFF)하는 등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고, 센서장치를 이용한 그룹, 패턴 제어를 통해 필요한 시간에만 조명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the E / F2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stitute a large system such as a building control by easily expanding the system. Since the non-polar two-signal line is used, Interrupt-type time division multiplexing enables real-time fast response. By supplying power through the signal line in the power superposition mode, devices such as sensors and switches can be driven without any power connection. (OFF), and energy can be saved because the light can be used only for the necessary time through the group and pattern control using the sensor device.
또한, 무선 조명기기(72)를 제어하는 장치는 단말장치(10),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 게이트웨이(G/W)(80) 및 지그비 디바이스(Z/D)(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게이트웨이(G/W)(80)는 Zigbee to E/F2-버스 게이트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G/W)(80)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과 지그비 디바이스(Z/D)(90) 사이에 위치하여,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에서 전송된 신호를 지그비 디바이스(Z/D)(90)로 전송하고, 지그비 디바이스(Z/D)(90)에서 전송된 신호를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으로 전송한다.The gateway (G / W) 80 corresponds to the Zigbee to E / F2-bus gate. Specifically, the gateway (GW) 80 is located between the system network unit (SNU) 20 and the ZigBee device (Z / D) To the ZigBee device (Z / D) 90, and transmi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ZigBee device (Z / D) 90 to the system network unit (SNU)
지그비 디바이스(Z/D)(90)는 복수의 무선 조명기기(72)의 각각에 구비되어, 게이트웨이(G/W)(8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무선 조명기기(72)를 제어한다.The ZigBee device (Z / D) 90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상기 지그비 디바이스(Z/D)(90)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호간에 규정된 통신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지그비(Zigbee)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통신 및 조명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ZigBee device (Z / D) 90 includes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an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a communication frequency defined between the ZigBee device (Z / D) 90 and the ZigBee device Communication and illumination control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그비(Zigbee) 스위치를 더 구성하여, 지그비 디바이스(Z/D)(90)가 Zigbee 스위치로부터 직접 제어될 수 있다. Zigbee 스위치는 지그비 디바이스(Z/D)(90)와 지그비(zigbee)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Zigbee 스위치는 지그비 디바이스(Z/D)(9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스위치 메시지를 지그비 디바이스(Z/D)(90)에 할당된 주소(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지그비 디바이스(Z/D)(90)로 전송함으로써 지그비 디바이스(Z/D)(90)를 제어한다. 상기 지그비 디바이스(Z/D)(90)가 Zigbee 스위치로부터 직접 제어될 때, 그 결과 데이터는 단말장치에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Zigbee switch can be further configured so that the ZigBee device (Z / D) 90 can be directly controlled from the Zigbee switch. The Zigbee switch can be connected to the ZigBee device (Z / D) 90 by zigbee communication. The Zigbee switch generates a switch message for controlling the ZigBee device (Z / D) 9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witch message to the ZigBee device (Z / D) 90 using the address (address) (Z / D) 90, thereby controlling the ZigBee device (Z / D) 90. When the ZigBee device (Z / D) 90 is directly controlled from the Zigbee switch, the resultan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and outpu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데, 그 센서에는 일례로서, 온도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조도센서 등이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provided. Examples of the sensors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human body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온도센서는 반도체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온도를 감지하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E/F2-BUS 신호를 출력하여 이상 온도 및 화재를 감지,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인체 감지 센서는 천정에 취부되어 인체 움직임을 감지하고, 설치장소에서 센서 감지범위에 사람의 출입이 발생했을 때 자동적인 조명의 점등, 소등 기능을 수행하며, 조도센서는 천정에 취부되어 조도를 감지하며, 설정된 조도에 따라 설치장소의 조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인 조명의 점등, 소등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센서 출력은 단말장치(10)로 전송되어 출력 및 디스플레이된다.The temperature sensor senses the ambient temperature using a semiconductor temperature senso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i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the E / F2-BUS signal is output to detect and prevent abnormal temperature and fire. It is mounted on the ceiling and detects human motion. When a person enters or exits the sensor detection range at the installation site, automatic lighting is turned on or off. The illuminance sensor is mounted on the ceiling to detect illumination, And automatically illuminates and extinguishes the illumin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sensor output is transmitted to the
본 발명의 조명기기(71)(72)는 엘이디를 사용하는 전구, 형광등, 독서등, 무드등, 면발광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기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기기를 동시에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ighting apparatuses 71 and 7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various lighting apparatuses such as a bulb using LED, a fluorescent lamp, a reading lamp, a mood lamp, and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control and manage the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조명기기(71)(72)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거나 조명기기(71)(72)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 또는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단말기 또는 스위치는 구체적으로, E/F2-BUS 조명제어 접속장치들 및 지그비(Zigbee)-버스 조명제어 접속장치들의 제어 주소와 기능 설정 등을 적외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이나 특정 소프트웨어의 사용없이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 부가적으로 E/F2-BUS 및 Zigbee-BUS에 전용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릴레이 및 딤머 등의 제어상태 모니터링과 온/오프(ON/OFF)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or a switch capable of setting the addres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F2 to Zigbee(지그비)를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은 상기 유선의 E/F2 - 버스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장점뿐만 아니라, 무선구간조명제어에 유무선 구간 통합으로 스케쥴 제어, 그룹제어, 패턴제어를 적용할 수 있고, 빌딩제어와 같은 큰 시스템을 유선구간과 무선구간으로 나누어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며, 무선구간의 활용으로 배선, 배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유선 센서장치를 무선구간에도 적용하여 제어할 수 있고, 전체 건물에 분산된 지역별(예: 층별) 무선 네트워크들과 유선구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전체 통합할 수 있고, 개별 어드레스(Address), 그룹, 패턴, 스케쥴, 센서 연동 등 유선조명제어시스템의 장점을 그대로 계승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using the E / F2 to Zigb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the advantages of the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wired E / F2-bus, but also performs the schedule control by integrating the wired / Group control and pattern control can be applied, and a large system such as building control can be divided into a wired section and a wireless section,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is possible, and wiring and piping costs can be reduced by utilizing the wireless se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kinds of wired sensor devices by applying it to the wireless section, and to integrate the wireless networks and wired sections distributed in the entire buildings (for example, by floor) into one system, Address, group, pattern, schedule, sensor interlock, and so on.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장치(1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1), 조명기기(71)(72)의 조명 상태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결과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 조명기기(71)(72)의 조명 상태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가능한 사용자 입력부(13) 및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메시지(제어신호) 등을 생성하는 제1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상태는 조명의 온/오프(ON/OFF) 및 조도뿐만 아니라 색상 및 색 온도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해당 조명기기(71)(72)의 어드레스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2, the
사용자 입력부(13)는 사용자가 단말장치(1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는 키 패드(key pad),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12)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2)는 단말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에는 조명기기 목록, 조명 제어 메뉴(예: 조도, 전원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한편, 디스플레이부(12)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2)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단말장치(1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1 제어부(14)로 전송하여, 제1 제어부(14)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parent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단말장치(10)는 제1 제어부(1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거나,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임시 저장되는 제1 저장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저장부(16)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제1 저장부(16)에는 조명기기(71)(72)의 조명 메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조명 메뉴는 직접 조명 상태를 설정하는 사용자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illumination menu of the
미설명부호 15는 제1 모뎀부(15)로서, 제1 제어부(14) 내에 구성시킬 수도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기기(71)(72)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조명기기(71)(72)는 릴레이(RY)(60) 및 지그비 디바이스(Z/D)(90)와 통신하는 제3 통신부(73),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76), 이 광원부(76)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75), 이 광원 구동부(7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78) 및 단말장치(10)에서 수신된 제어 메시지(제어명령)에 따라 광원 구동부(75)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7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제3 통신부(73)는 릴레이(RY)(60) 및 지그비 디바이스(Z/D)(90)와 통신을 수행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제어신호(전원 온/오프 제어신호 또는 조도제어신호)를 수신한다. The
광원부(76)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적색 발광 소자, 녹색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 소자,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 소자, 백색광을 출사하면서 색온도가 다른 복수 개의 백색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76)는 발광 소자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 용도 등에 따라 발광소자의 사용 개수가 달라지거나,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청색 발광 소자 및 백색 발광 소자에 대한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다.The
광원 구동부(75)는 조명 상태에 따라 광원부(76)의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청색 발광소자 및 백색 발광소자에 입력되는 전류량을 변경시켜 광원부(76)를 구동시킨다. 또한, 광원 구동부는 조명기기의 온/오프 제어, 디밍(Dimming) 제어, 색상 제어 등의 구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다.The light
또한, 조명기기(71)(72)는 광원 구동부(75)를 구동시키는 구동 정보가 조명 상태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제3 저장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3 제어부(74)는 조명기기(71)(72)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3 제어부(74)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전원제어신호 또는 조도제어신호)에 따라 제3 저장부(74)에 구동 정보를 로딩하여 광원 구동부(75)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특정 조명 상태의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3 제어부(74)는 제3 저장부(74)에 저장된 상기한 특정 조명 상태의 구동 정보를 로딩하여 광원 구동부(75)를 제어한다.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의 작동 순서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of a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를 통해 사용자가 유선의 조명기기(7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제어신호(제어메시지)가 생성(S101)되면 이 제어신호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 및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를 거쳐 터미널 유닛(T/U)(50)에 전달(S102)되고, 이 터미널 유닛(T/U)(50)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조명기기(71)의 어드레스와 제어명령을 판독(S103)하고, 릴레이(RY)(60)를 통해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조명기기(71)의 동작을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S104)한다.4, when a control signal (control message) including a control command and an address for controlling a
또한, 조명기기(71)의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71)의 동작 상태 신호(예: 조명기기의 온/오프, 조도, 색상, 스케쥴링, 디밍 등)가 생성(S105)되면 이 조명기기(71)의 동작 상태 신호는 터미널 유닛(T/U)(50),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 및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을 거쳐 단말장치(10)에 전달(S106)되고, 이 단말장치(10)에는 해당 조명기기(71)의 상태가 출력(S107)된다.When an operation state signal (e.g., on / off, illuminance, color, scheduling, dimming, etc.) of the illuminating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무선의 조명기기(7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생성(S201)되면 이 제어신호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 및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을 거쳐 게이트웨이(G/W)(80)에 전달(S202)되고, 이 게이트웨이(G/W)(80)에서는 상기 어드레스가 가상 어드레스인지 확인(S203)하고, 만약 가상 어드레스이면 지그비(zigbee)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지그비 디바이스(Z/D)(90)에 전송(S204)하며, 이 지그비 디바이스(90)는 전송받은 어드레스를 확인한 후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한지 체크(S205)하고, 만약 일치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기기(72)의 동작을 제어(S206)한다.5, when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address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또한, 조명기기(72)의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72)의 동작 상태 신호가 생성(S207)되면 이 조명기기(72)의 동작 상태 신호는 게이트웨이(80)에 전달되어 무선신호 판독이 이루어지고, 이 게이트웨이(80)는 판독된 무선신호를 E/F2(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 신호로 변환하여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40),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30) 및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20)을 거쳐 단말장치(10)에 전달(S208)되고, 이 단말장치(10)에는 해당 조명기기(72)의 상태가 출력(S209)된다.When the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여기서, 유선 조명기기(71)(72)의 동작 상태 신호에는 일례로서, 조명기기의 온/오프 상태, 조도 상태, 전력소비량 상태, 각 조명기기의 종류 및 사용상태, 디밍상태 등이 속한다.As an example, the ON / OFF state, the illuminance state, the power consumption state, the type and use state of each lighting apparatus, and the dimming state belong to the operation state signals of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단말
20: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
30: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40: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
50: 터미널 유닛(T/U)
60: 릴레이(RY)
71,72: 조명등(조명기기)
80: 게이트웨이(G/W)
90: 지그비 디바이스(Z/D)10: Terminal
20: System Network Unit (SNU)
30: System Interface Unit (SIU)
40: System control unit (SCU)
50: Terminal unit (T / U)
60: Relay (RY)
71,72: Lighting (Lighting)
80: Gateway (G / W)
90: ZigBee device (Z / D)
Claims (9)
상기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조명제어장치의 유선 조명기기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달받은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조명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무선 조명기기는 상기 제어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조명제어기기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 조명기기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어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전달받은 상기 무선 제어신호를 유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유선 조명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무극성 전원 중첩 방식의 2선식 유선 조명기기는 전달받은 상기 유선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조명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Wherein the wireless lighting device and the wired lighting devices of the two-wire type lighting control device of the non-polar power superposition type are integratedly linked through the gateway,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ng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wired illumination device of the non-polar power superposition type two-wire typ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and the gateway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wireless lighting device, the wireless lighting device reads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 wireless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lighting apparatus is received by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lighting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gateway so that the gateway converts the received wireless control signal into a wired signal, Wire type lighting equipment of the non-polar power superposition typ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ghting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ddress by reading the received wire signal, .
상기 유선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과,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과 연결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과,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과 터미널 유닛(T/U) 사이에 연결되는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과,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과 1개 이상의 릴레이 사이에 연결되는 터미널 유닛(T/U)과,
상기 터미널 유닛(T/U)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ire lighting apparatus,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a user inpu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 system network unit (SNU)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 system interface unit (SIU) coupled to the system network unit (SNU)
A system control unit (SCU)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the terminal unit (T / U)
A user input switch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SCU)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pparatus,
A terminal unit (T / U) connected between the system control unit (SCU) and one or more relays,
And a rela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terminal unit (T / U).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신호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를 거쳐 터미널 유닛(T/U)에 전달되고, 상기 터미널 유닛(T/U)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어드레스와 제어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조명기기의 동작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제어된 조명기기의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는 전달된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or is generat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device,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T / U) via a system network unit (SNU), a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a system control unit The terminal unit (T / U) reads the address and control command of the lighting device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hrough the relay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And the system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d lighting device and transmit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to the termi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nd the user input switch, Wherein the switch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control status indicates the transmitted control status. System.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신호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를 거쳐 터미널 유닛(T/U)에 전달되고, 상기 터미널 유닛(T/U)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어드레스와 제어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조명기기의 동작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은 상기 제어된 조명기기의 동작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를 전달하고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는 전달된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us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or through the user input switch,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T / U) through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the system control unit (SCU) The terminal unit (T / U) reads an address and a control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device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hrough the relay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d lighting device and delive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ing device to the terminal device and the user input switch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nd the terminal device and the user input switch transmit And displays a control state of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상기 무선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과,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과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G/W)와,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입력된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를 통해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무선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지그비 디바이스(Z/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lighting device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a user inpu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A system network unit (SNU)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A gateway (G / W) connected to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connec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SCU) and connected to the user input switch,
A control command and an addr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cluded in a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terminal or the user input switch input through the gateway, And a ZigBee device (Z / D) for generating a radio control signal included therein.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신호는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을 거치고,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의 제어신호는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을 거쳐 상기 게이트웨이(G/W)에 전달되고, 이 게이트웨이(G/W)에서는 상기 어드레스가 가상 어드레스인지 확인한 후, 지그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지그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지그비 디바이스는 전송받은 어드레스를 확인한 후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When a control signal including an address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ng device by the user is generated through the terminal device or the user input switch,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network unit (SNU) A control signal of the user input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GW via the system control unit SCU via the SIU and the system control unit SCU, The ZigBee device transmits the ZigBee wireless signal to the ZigBee device. When the ZigBee device confirms the received address, the ZigBee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Wherein the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erimpose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comprises: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는 게이트웨이에 전달되어 무선신호 판독이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판독된 무선신호를 E/F2(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 유닛(SNU)을 거쳐 상기 단말장치에 전달되거나,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전달되어 이 단말장치와 이 사용자 입력용 스위치에 해당 조명기기의 상태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an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to read the radio signal, and the gateway transmits the read radio signal to the E / (SCU), the system interface unit (SIU), and the system network unit (SNU) to the terminal device, or the system control unit (SCU) To the user input switch, and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lighting device is output to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witch for user input.
상기 지그비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및 어드레스가 포함된 무선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어 무선신호 판독이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판독된 무선신호가 가상어드레스가 아니면 E/F2(Easy Control full - 2 way Lighting Control system)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 컨트롤 유닛(SCU),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유닛(SIU) 및 상기 터미널 유닛(T/U)에 전달하고, 상기 터미널 유닛(T/U)은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조명기기의 어드레스와 제어명령을 판독하고, 상기 릴레이를 통해 상기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조명기기의 동작을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When a wireless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command and an address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ng device by the user is generated through the ZigBee device, the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and the wireless signal is read, (SIU) and the terminal unit (T / U),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SCU), the system interface unit The unit (T / U) reads an address and a control command of the lighting device from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hrough the relay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Lighting control system of interlocking power superposition type.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에 따른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되고 이 게이트웨이(G/W)에서는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를 지그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그비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지그비 디바이스는 전송받은 상기 조명기기의 동작 상태 신호에 따라 자신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8,
When an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ng device, an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and the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illuminating device is converted into a zigbee wireless signal in the gateway And the ZigBee device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ZigBee device according to the received operation state signal of the ligh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479A KR101602212B1 (en) | 2014-03-26 | 2014-03-26 | Lamp control system of zigbee interfacing power overlap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479A KR101602212B1 (en) | 2014-03-26 | 2014-03-26 | Lamp control system of zigbee interfacing power overlap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1738A true KR20150111738A (en) | 2015-10-06 |
KR101602212B1 KR101602212B1 (en) | 2016-03-10 |
Family
ID=5434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5479A Active KR101602212B1 (en) | 2014-03-26 | 2014-03-26 | Lamp control system of zigbee interfacing power overlap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21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650B1 (en) * | 2015-10-14 | 2015-12-31 | (주)클라루스코리아 | Control system of Power overlap communication method for DALI address mapping |
KR101658379B1 (en) * | 2016-04-14 | 2016-09-21 | (주)클라루스코리아 | Power Saving 2-Wire Type Control Device |
KR20180137785A (en) * | 2017-06-19 | 2018-12-28 | 조수호 |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lamp light |
KR20240029657A (en) * | 2022-08-26 | 2024-03-06 | 김근석 | Remote control united control switch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7476B1 (en) | 2018-07-16 | 2019-12-19 | 김태훈 |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KR102339038B1 (en) | 2020-12-07 | 2021-12-22 | 주식회사 무한씨앤씨코리아 | Package proposal control system for lighting and gas unit control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4096A (en) * | 2004-09-22 | 2008-05-01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Wired and wireless lighting devices |
KR200450563Y1 (en) * | 2008-05-02 | 2010-11-26 | 주식회사 디에스이 | 3-wire emergency induction light with non-polar circuit |
KR101039580B1 (en) * | 2010-11-23 | 2011-06-09 |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 Smart Light Control Switch Device and Smart Light Control System |
KR20110103124A (en) | 2010-03-12 | 2011-09-20 | 주식회사 에스하이텍 | Lighting control remote control device using external portable device |
KR20130077503A (en) * | 2011-12-29 | 2013-07-09 | 전자부품연구원 | Wire / wireless infrastructure based light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
-
2014
- 2014-03-26 KR KR1020140035479A patent/KR1016022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4096A (en) * | 2004-09-22 | 2008-05-01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Wired and wireless lighting devices |
KR200450563Y1 (en) * | 2008-05-02 | 2010-11-26 | 주식회사 디에스이 | 3-wire emergency induction light with non-polar circuit |
KR20110103124A (en) | 2010-03-12 | 2011-09-20 | 주식회사 에스하이텍 | Lighting control remote control device using external portable device |
KR101039580B1 (en) * | 2010-11-23 | 2011-06-09 |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 Smart Light Control Switch Device and Smart Light Control System |
KR20130077503A (en) * | 2011-12-29 | 2013-07-09 | 전자부품연구원 | Wire / wireless infrastructure based light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650B1 (en) * | 2015-10-14 | 2015-12-31 | (주)클라루스코리아 | Control system of Power overlap communication method for DALI address mapping |
KR101658379B1 (en) * | 2016-04-14 | 2016-09-21 | (주)클라루스코리아 | Power Saving 2-Wire Type Control Device |
KR20180137785A (en) * | 2017-06-19 | 2018-12-28 | 조수호 |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lamp light |
KR20240029657A (en) * | 2022-08-26 | 2024-03-06 | 김근석 | Remote control united control switch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2212B1 (en) | 2016-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2212B1 (en) | Lamp control system of zigbee interfacing power overlap method | |
US10292244B2 (en) | Communication module | |
JP5662067B2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unit used therefor | |
JP5698751B2 (en) |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 |
US20130200810A1 (en) | Led lighting devices | |
KR20100125799A (en) | LE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JP2009021141A (en) | Lighting control device | |
US9525306B1 (en) | Automatic emergency lighting load control | |
WO2010142763A1 (en) | Lighting unit, lighting network and method for lighting an interior | |
KR20130026103A (en) | Led lighting control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the same | |
CN106133439A (en) | The light fixture of illumination construction zone particularly office | |
KR2015006805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 |
KR20130143265A (en) |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 |
JP6057220B2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unit used therefor | |
CN113873706A (en) | Lighting device, system including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1581650B1 (en) | Control system of Power overlap communication method for DALI address mapping | |
JP5870310B2 (en) | Light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unit used therefor | |
JP2010523037A (en) | Control circuit, system for operating the device, and device for writing a program in such a control circuit | |
TWI740126B (en) | Pairing methods and programs for lighting appliances, terminals, lighting systems, information terminals, and lighting appliances | |
KR101677131B1 (en) |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 |
JP4980108B2 (en) | Lighting control device | |
KR20120089112A (en) | Control lineless scalabl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
JP2009158280A (en) | Lighting control system | |
JP7330547B2 (en) | Power saving control system using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 |
JP7051528B2 (en) | Signal conversion unit, lighting controller and ligh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