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11311A - 와이퍼 암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311A
KR20150111311A KR1020150040580A KR20150040580A KR20150111311A KR 20150111311 A KR20150111311 A KR 20150111311A KR 1020150040580 A KR1020150040580 A KR 1020150040580A KR 20150040580 A KR20150040580 A KR 20150040580A KR 20150111311 A KR20150111311 A KR 20150111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arm
unit
gripping member
nozzle unit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351B1 (ko
Inventor
헤르만 부르카르트
미하엘 크루제
하랄트 라프
알렉산더 괼러
조피아 호바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1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5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supplying cleaning fluid to windscreen cleaners, e.g.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63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 B60S1/3465Means to press blade onto screen with coil springs
    • B60S1/3468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k Jet (AREA)
  • Nozzl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와이퍼 로드(12a)를 구비한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과, 차량 유리 상에 세척수를 도포하기 위해 제공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상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의 와이퍼 로드(12a)의 연장부 내에 배치되어 래칭 연결부에 의해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상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와이퍼 암 장치{WIPER ARM DEVICE}
본 발명은 와이퍼 암 유닛과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1 985 513 A1에는, 와이퍼 로드를 구비한 와이퍼 암 유닛과, 차량 유리 상에 세척수를 도포하기 위해 제공된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노즐 유닛은 하나 이상의 구성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바람직한 세척액 분배가 달성되고, 와이퍼 암 유닛과 노즐 유닛의 확실한 연결이 달성되며, 그리고 노즐 유닛의 공기역학적 배치가 달성되는, 와이퍼 암 유닛 및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와이퍼 로드를 구비한 와이퍼 암 유닛과, 차량 유리 상에 세척수를 도포하기 위해 제공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장치를 출발점으로 한다.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로드의 연장부 내에 배치되어 래칭 연결부에 의해 와이퍼 암 유닛 상에 고정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암 어댑터 상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된다.
"와이퍼 암 유닛"은 특히 와이퍼 로드 및/또는 와이퍼 암 어댑터 및/또는 구동축 연결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로드로서, 그리고/또는 와이퍼 암 어댑터로서 형성될 수 있는 유닛을 의미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는 이와 관련하여, 특히 와이퍼 로드에 대한 접촉 영역을 포함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와의 연결 및/또는 접촉을 위한 와이퍼 로드의 연결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어댑터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암 어댑터는 특히 상단 잠금 와이퍼 암 어댑터(top lock wiper arm adapter)에 의해 형성된다. "구동축 연결부"는, 이와 관련하여, 특히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축에 연결되어 와이핑 과정 중에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와이퍼 암의 연결 부품(connection part)을 의미한다. "노즐 유닛"은 특히 차량 유리 상에 세척수의 도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 부재(nozzle element)를 포함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노즐 부재"은 이와 관련해서 특히 세척수를 배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특히 노즐 부재는 세척수 시스템을 주변에 대해 개방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 개구부를 포함한다. 노즐 부재는 특히 금속으로, 및/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와이퍼 암 유닛과 직접 연결된다. "직접 연결된다"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직접 접촉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공된다"란, 여기서, 그리고 하기에서 특히 특별하게 구성되고, 및/또는 장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한 객체가 특정 기능을 위해 제공된다는 것은, 특히 상기 객체가 하나 이상의 적용 및/또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충족시키고, 및/또는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척수"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물, 알코올, 또는 물 성분, 성에 방지 성분 및/또는 알코올 성분을 함유한 혼합물처럼, 특히 차량 유리를 세척 및/또는 청소하기 위해 적합한 액체를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된다는 것은, 특히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차량 유리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관찰할 때,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옆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특히 2차원적 관찰에서, 차량 유리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관찰할 때,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과 와이퍼 암 유닛 사이의 중첩 영역은 노즐 유닛 및/또는 와이퍼 암 유닛의 보이는 표면 중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의 영역에서 차량 유리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노즐 유닛과 교차하는 모든 평면 중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 와이퍼 암 유닛에도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의 영역에서 차량 유리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과, 노즐 유닛의 기하학적 중심 및 와이퍼 암 유닛의 기하학적 중심과 교차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최소 각도가 적어도 50°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로드의 연장부 내에" 배치된다는 것은, 특히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로드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와이퍼 로드의 기하학적 중심과 교차하는 가상의 직선이, 노즐 유닛의 조립된 상태에서, 노즐 유닛과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노즐 유닛의 주 연장 방향은, 노즐 유닛의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로드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모듈 유닛 및/또는 부품의 "주 연장 방향"이란, 특히 모듈 유닛 및/또는 부품을 완전하게 에워싸는 최소의 기하학적 직육면체의 최대 측면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란, 특히 평행한 것에 대한 각도 편차가 최대 20°,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인 것을 의미한다. "래칭 연결부"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2개 이상의 래칭 유닛 사이의 연결부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 1 래칭 유닛의 하나 이상의 래칭 수단이 제 2 래칭 유닛의 래칭 리세스부 내로 맞물리는, 연결부를 의미한다. 이 경우, "래칭 수단"이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조립할 때 탄성 변위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 래칭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의미한다.
와이퍼 암 장치의 상응하는 구성을 통해, 특히 바람직한 노즐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치를 통해, 특히 바람직한 세척액 분배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특히 와이퍼 암 유닛과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공기역학적인 배치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와이퍼 암 유닛의 측면부(side flank)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측면부"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와이퍼 암의 덮개면으로부터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각이 진, 다시 말하면 특히 와이퍼 암의 덮개면에 대해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의 각도만큼 각이 진 와이퍼 암 유닛의 측면 벽부 또는 스커트를 의미한다. 특히 와이퍼 암 유닛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부 및 그 덮개면은 실질적으로 U자 형태인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측면부의 외부에" 배치된다는 것은, 특히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와이퍼 암 유닛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출발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측면부의 뒤쪽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노즐 유닛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측면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측면부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응하는 측면부의 면 상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의 측면부의 외부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특히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간편한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특히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노즐 유닛의 바람직한 배치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적어도 와이핑 방향(wiping direction)으로 향하는 이동을 통해 와이퍼 암 유닛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와이핑 방향"이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와이퍼 암 유닛이 작동 상태에서 닦아낼 차량 유리에 걸쳐서 안내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와이퍼 암 유닛이 작동 상태에서 닦아낼 차량 유리에 걸쳐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안내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와이핑 방향은 특히 와이퍼 로드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와이핑 방향을 통해, 특히 상향 이동 동안뿐만 아니라 하향 이동 동안 와이퍼 암 유닛의 이동 방향이 정의된다.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적어도 와이핑 방향으로 향하는 이동을 통해 와이퍼 암 유닛 상에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은, 특히 노즐 유닛이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의 조립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와이핑 방향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이동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노즐 유닛이 와이퍼 암 유닛 상에 조립될 때 적어도 래칭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와이핑 방향에 대해 적어도 거의 평행하게 와이퍼 암 유닛의 방향으로 이동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특히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노즐 유닛의 확실한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로 인해, 특히 노즐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해, 특히 매우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와이퍼 암 유닛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를 포함하며, 이 제 1 파지 부재 상에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부재란, 특히 전체 연장부에 걸쳐서 자신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작동 동안 하중이 제공될 때 움직이지 않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통상의 작동 동안 1N 이상, 바람직하게는 5N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N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때 전체 연장부에 걸쳐서 2㎜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의 탄성 변형을 나타내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만곡부 상에 정적 하중이 작용할 때, 100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N/㎟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N/㎟ 이상의 한계 응력을 나타내는 부재를 의미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노즐 유닛의 매우 확실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해, 특히 바람직하게 견고한 파지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가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end face)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이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구동축 연결부 및/또는 와이퍼 암 유닛의 회전 중심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와이퍼 암 유닛의 자유 단부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와이퍼 암 어댑터의 자유 단부를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가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 상에 배치되면, 특히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의 바람직한 배치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특히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노즐 유닛의 확실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가 와이핑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섀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섀클"이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연장부 유형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기본 형태에서 돌출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거의 직사각형의 기본 형태를 구비하여 와이퍼 암 유닛의 기본 형태에서 적어도 거의 수직으로 돌출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특히, 그 결과, 매우 바람직한 파지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시형 후크(barbed hook)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파지 부재로부터 노즐 유닛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 및/또는 이 부재의 부분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조립된 상태에서 조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노즐 유닛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 및/또는 이 부재의 부분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노즐 유닛의 조립 방향으로부터 관찰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언더컷 영역을 형성하는 부재 및/또는 이 부재의 부분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재, 및/또는 이 부재의 부분은, 언더컷 영역에, 조립 방향에 대해 70° 이상만큼, 바람직하게는 80° 이상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만큼 각이 진 정지면(stop surface)을 포함한다. 그 결과, 특히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노즐 유닛의 확실한 파지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노즐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와이퍼 암 유닛으로부터 노즐 유닛의 비파괴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와이퍼 암 유닛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를 포함하며, 이 제 2 파지 부재 상에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의 확실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조립 동안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포지셔닝이 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가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면, 특히 노즐 유닛의 확실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확실한 포지셔닝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는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으로부터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상 이격되어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는 구동축 연결부 및/또는 와이퍼 암 유닛의 회전 중심의 방향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가 와이핑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섀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는 와이핑 방향으로 와이퍼 암 유닛의 기본 형태에서 돌출된다. 그 결과, 매우 바람직한 파지 부재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노즐 유닛의 매우 확실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시형 후크를 포함한다. 그 결과, 특히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노즐 유닛의 매우 확실한 파지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노즐 유닛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와이퍼 암 유닛으로부터 노즐 유닛의 비파괴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고정 리세스부"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함몰부 또는 관통 리세스부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고정을 위한 고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함몰부 또는 관통 리세스부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고정 리세스부는 특히 제 2 파지 부재 상에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해 고정 부재에 의해 특히 완전하게 관통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관통 리세스부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부재"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대응 고정 부재와 상호작용하도록, 및/또는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고정 리세스부 내로 맞물리도록 제공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대응 고정 부재 및/또는 대응 고정 리세스부와의 형상 끼워맞춤 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예컨대 나사들, 리벳들 및/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래칭 연장부들(latching extension)처럼, 당업자에게 합당한 것으로서 보이는 다양한 고정 부재들도 가능하다. 그 결과, 특히, 와이퍼 암 유닛 상에서 노즐 유닛의 매우 확실한 파지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특히, 매우 간단하고 확실한 고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의 주 연장 평면과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의 주 연장 평면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어느 한 객체의 "주 연장 평면"은 특히 상기 객체를 완전하게 에워싸는 최소의 기하학적 직육면체의 최대 측면 표면에 대해 평행하고 특히 직육면체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평면을 의미한다. 그 결과, 특히 매우 확실한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는 특히 의도하지 않은 용이한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제 1 리세스부는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에 적절하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확하게 끼워 맞춤 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특히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 상에 노즐 유닛의 바람직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의 수용을 위한 제 2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제 2 리세스부는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에 적절하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정확하게 끼워 맞춤 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의 바람직하게는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특히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 상에 노즐 유닛의 바람직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10% 이상만큼, 특히 20% 이상만큼, 바람직하게는 30% 이상만큼,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상만큼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특히 연장부의 변형에 따라 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변형에 비례하면서 변형을 상쇄시키는 반력을 생성하는 거시적 부재(macroscopic element)를 의미한다. 부재의 "연장부"란, 특히 객체를 완전하게 에워싸는 최소의 기하학적 직육면체의 에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거시적 부재"란, 특히 1㎜ 이상, 특히 2㎜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의 연장부를 갖는 부재를 의미한다. 그 결과, 특히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 상에 노즐 유닛의 확실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제 1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제 1 리세스부 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하나 이상의 제 1 스프링 부재의 바람직한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 2 스프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제 2 리세스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2개 이상의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스프링 부재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맞물린다. 그 결과, 특히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 상에서 노즐 유닛의 매우 확실한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의 제 1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제 1 리세스부 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제 1 스프링 부재들의 바람직한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특히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이 고정 부재는 조립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고정 리세스부 내에 배치된다. 특히 고정 부재는 볼트로서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록킹 부재로서, 특히 록킹 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록킹 볼트"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볼트형 록킹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적어도 거의 원통형인 기본 형태를 갖는 록킹 부재를 의미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특히 적어도 거의 원통형인 기본 형태를 갖는 록킹 부재이며, 외부 표면 상에, 특히 기본 형태의 외부면 상에 래칭 수단들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록킹 부재를 의미한다. 그 결과, 특히 하나 이상의 고정 리세스부 상에 노즐 유닛의 확실하고 신뢰성 있는 파지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암 어댑터 영역에 배치된다. "와이퍼 암 어댑터 영역"이란, 이와 관련하여, 특히 와이퍼 암 어댑터 둘레의 영역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와이퍼 암 어댑터 영역은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 둘레로 연장된다. 특히 와이퍼 암 어댑터 영역은 와이퍼 암 어댑터 및/또는 와이퍼 암 유닛의 단부면으로부터 20㎝ 미만, 특히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간격으로 이격된 영역 내에서 연장된다.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의 바람직한 배치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치를 통해 특히 바람직한 세척액 분배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의 와이퍼 암 어댑터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와이퍼 암 어댑터는 측면 잠금 와이퍼 암 어댑터(side lock wiper arm adapter)로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단 잠금 와이퍼 암 어댑터로서 형성된다.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의 매우 바람직한 배치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치를 통해 특히 바람직한 세척액 분배가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암 장치는 앞서 기술한 적용 및 실시예로만 국한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암 장치는 본원에 기술된 기능의 충족을 위해 개별 부재들, 부품들, 및 유닛들의 본원에 언급된 개수와 다른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장점들은 하기의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는 다수의 특징을 조합해서 포함한다.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을 적합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통합하여 바람직한 추가 조합들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노즐 유닛과, 와이퍼 로드 및 와이퍼 암 어댑터를 구비한 와이퍼 암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2는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을, 이 와이퍼 암 유닛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을, 이 와이퍼 암 유닛의 주 연장 장치에 대해 수직으로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노즐 유닛 및 와이퍼 암 유닛을 포함한 와이퍼 암 장치의 부분 섹션에서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 노즐 유닛의 부분 섹션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포함한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노즐 유닛 및 와이퍼 암 유닛을 포함한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부분 섹션에서 와이퍼 암 유닛의 제 2 파지 부재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포함한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노즐 유닛, 및 와이퍼 암 유닛의 제 2 파지 부재를 포함한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부분 섹션에서 제 2 파지 부재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6은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의 제 1 파지 부재 및 제 2 파지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는, 와이퍼 암 유닛(10a) 및 노즐 유닛(14a)을 포함한 와이퍼 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와이퍼 암 장치는 도 1에 부분적으로 분해되거나 조립 동안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와이퍼 암 장치는 와이퍼 암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와이퍼 암 유닛(10a)은 와이퍼 로드(12a)를 포함한다. 또한, 와이퍼 암 유닛(10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를 포함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44a)는 상단 잠금 와이퍼 암 어댑터로 형성된다. 와이퍼 암 어댑터(44a)는 작동 중에 보이지 않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 내에 수용된다. 또한, 와이퍼 암 어댑터(44a)는 와이퍼 암 유닛(10a)의 와이퍼 로드(12a)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와이퍼 로드(12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략 상응하는 주 연장 방향(46a)을 포함한다. 와이퍼 암 어댑터(44a)는, 자신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평행하게 관찰할 때, 4㎝와 6㎝ 사이의 길이를 갖는다. 와이퍼 암 어댑터(44a)는, 자신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평행하게 관찰할 때, 대략 5㎝의 길이를 갖는다. 와이퍼 암 어댑터(44a)는,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관찰할 때, 거의 U자 형태인 횡단면을 갖는다. 이 경우, U자형 횡단면의 두 측면은 각각 와이퍼 암 유닛(10a)의 측면부들(16a, 50a)에 의해 형성된다. U자형 횡단면의 두 측면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측면부들(16a, 50a)에 의해 형성된다. 측면부들(16a, 50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1㎝와 2㎝ 사이의 높이를 갖는다. 측면부들(16a, 50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대략 1.2㎝의 높이를 갖는다. 또한, 측면부들(16a, 50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들(16a, 50a)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1㎝ 내지 2㎝ 의 간격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다. 측면부들(16a, 50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들(16a, 50a)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대략 1.6㎝의 간격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원칙상, 딩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다른 치수 설계도 가능하다. 측면부들(16a, 50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베이스면(52a)을 통해 연결된다. 베이스면(52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상면을 형성한다. 측면부들(16a, 50a)은 각각 반경에 걸쳐서 베이스면(52a)으로 이어진다. 반경은 0.1㎝ 내지 0.5㎝ 이다. 반경은 대략 0.3㎝이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반경도 가능하다.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측면부들(16a, 50a)의 자유 단부들이면서 베이스면(52a)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자유 단부들 상에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 내에 와이퍼 블레이드 어댑터의 안내 및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가이드 레일들이 각각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들은 측면부들(16a, 50a)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측면부들(16a, 50a)은 각각 반경에 걸쳐서 가이드 레일들로 이어진다. 반경은 0.1㎝ 내지 0.3㎝ 이다. 반경은 대략 0.2㎝이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반경도 가능하다. 와이퍼 암 어댑터(44a)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금속판으로 굽힘 가공된다. 그러나 원칙상,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진 형성, 및/또는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출발 재료도 가능하다(도 2 및 도 3).
또한, 와이퍼 암 유닛(10a)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a)를 포함한다. 제 1 파지 부재(20a) 상에는 노즐 유닛(14a)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유닛(10a)의 단부면(22a) 상에 배치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단부면(22a) 상에 배치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유닛(10a)의 단부면(22a)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핑 방향(18a)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a)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핑 방향(18a)을 따라서 관찰할 때, 0.5㎝ 내지 1.5㎝의 길이를 갖는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핑 방향(18a)을 따라서 관찰할 때, 대략 1㎝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길이도 가능하다. 와이핑 방향(18a)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a)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a)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 연장 평면을 갖는다. 또한, 제 1 파지 부재(20a)의 주 연장 평면은 와이퍼 암 유닛(10a)의 단부면(22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노즐 유닛(14a)의 고정을 위한 2개의 가시형 후크(26a)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들(26a)은,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각각 제 1 파지 부재(20a)의 본체에서 돌출되는 돌기들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가시형 후크들(26a)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a)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a)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들(26a)의 바로 뒤쪽에서, 제 1 파지 부재(20a)의 본체는 좁아진 부분 영역을 포함한다. 좁아진 부분 영역을 통해, 확실한 맞물림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나 원칙상, 제 1 파지 부재(20a)의 본체가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유닛(10a)의 측면부(16a)에 직접 인접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측면부(16a)에 대해 수직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44a)에서 돌출된다. 또한,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와 함께 금속판으로 굽힘 가공된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재료, 및/또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로부터 분리된 형성도 가능하다. 또한, 원칙상, 제 1 파지 부재(20a)가 차후에 와이퍼 암 어댑터(44a) 상에 개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1 및 도 2).
또한, 와이퍼 암 유닛(10a)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a)도 포함한다. 제 2 파지 부재(28a) 상에 노즐 유닛(14a)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a) 및 제 2 파지 부재(28a) 상에는 노즐 유닛(14a)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유닛(10a)의 단부면(22a)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평행하게 관찰할 때, 단부면(22a)에 대해 3㎝ 내지 5㎝ 의 간격을 갖는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평행하게 관찰할 때, 단부면(22a)에 대해 대략 3.5㎝의 간격을 갖는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평행하게 관찰할 때, 제 1 파지 부재(20a)에 대해 3㎝ 내지 5㎝ 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평행하게 관찰할 때, 제 1 파지 부재(20a)에 대해 대략 3.5㎝만큼 이격된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간격도 가능하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측면부(16a)의 자유 단부들이면서 베이스면(52a)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자유 단부들 상에 배치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가이드 레일들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부(16a)의 면 상에 배치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유닛(10a)의 측면부(16a)에 직접 인접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측면부(16a)에 대해 수직으로 와이퍼 암 어댑터(44a)에서 돌출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핑 방향(18a)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a)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핑 방향(18a)을 따라서 관찰할 때, 0.5㎝ 내지 1.5㎝ 의 길이를 갖는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핑 방향(18a)을 따라서 관찰할 때, 대략 0.8㎝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길이도 가능하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a)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주 연장 평면을 갖는다. 또한, 제 1 파지 부재(20a)의 주 연장 평면은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베이스면(52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2 파지 부재(28a)는 고정 리세스부(34a)를 포함한다. 고정 리세스부(34a)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35a)의 수용을 위해 제공된다. 고정 리세스부(34a)는 관통 리세스부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리세스부(34a)는 원형의 관통 보어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리세스부(34a)는 0.2㎝ 내지 0.6㎝ 의 지름을 갖는다. 고정 리세스부(34a)는 대략 0.4㎝의 지름을 갖는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고정 리세스부, 및/또는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지름도 가능하다. 고정 리세스부(34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주 연장 방향(48a)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a)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2 섀클(30a)의 재료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또한,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와 함께 금속판으로 굽힘 가공된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재료, 및/또는 와이퍼 암 어댑터(44a)로부터 분리된 형성도 가능하다. 또한, 원칙상, 제 1 파지 부재(20a)는 차후에 와이퍼 암 어댑터(44a) 상에 개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1 및 도 2).
제 1 파지 부재(20a)의 주 연장 평면과 제 2 파지 부재(28a)의 주 연장 평면은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를 이룬다. 제 1 파지 부재(20a)의 주 연장 평면과 제 2 파지 부재(28a)의 주 연장 평면은 90°의 각도를 이룬다(도 2).
와이퍼 암 장치는 노즐 유닛(14a)을 포함한다. 노즐 유닛(14a)은, 차량 유리 상에 세척수를 도포하기 위해 제공된다. 노즐 유닛(14a)은, 작동 상태에서, 보이지 않는 세척수 호스를 통해 노즐 유닛(14a)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차량 유리 상에 도포하고 분배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노즐 유닛(14a)은 복수의 와셔 제트 노즐(54a)(washer jet nozzle)을 포함한다. 그러나 원칙상, 노즐 유닛(14a)이 하나의 와셔 제트 노즐(54a)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셔 제트 노즐들(54a)은, 노즐 유닛(14a)의 조립된 상태에서, 차량 유리의 방향으로 향하는 분사 방향을 각각 갖는다. 또한, 노즐 유닛(14a)은 세척수 호스를 위한 연결 어댑터(56a)를 포함한다. 연결 어댑터(56a)는, 노즐 유닛(14a)의 주 연장 방향을 따라서 관찰할 때, 와셔 제트 노즐들(54a)에 대해 이격된 노즐 유닛(14a)의 후방 단부 상에 배치된다. 연결 어댑터(56a)는, 노즐 유닛(14a)의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와이퍼 로드(12a)로 향해 있는 노즐 유닛(14a)의 면 상에 배치된다. 그 결과, 바람직하게 세척수 호스는 와이퍼 로드(12a)를 따라서 노즐 유닛(14a)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도 1).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10a) 상에서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된다.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와이퍼 암 어댑터 영역(42a)에 배치된다.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와이퍼 암 어댑터(44a) 상에 배치된다.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와이퍼 암 어댑터(44a) 상에서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와이퍼 로드(12a)의 연장부 내에 배치된다. 와이퍼 로드(12a)의 주 연장 방향(46a)은 노즐 유닛(14a)의 주 연장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와이퍼 로드(12a)의 주 연장 방향(46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와이퍼 로드(12a)의 기하학적 중심과 교차하는 가상의 직선은 조립된 상태에서 노즐 유닛(14a)과 교차한다.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와이퍼 암 어댑터(44a)의 측면부(16a)의 외부에 배치된다(도 1).
또한,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래칭 연결부에 의해 와이퍼 암 유닛(10a) 상에 고정된다. 노즐 유닛(14a)은 와이퍼 암 유닛(10a)의 제 1 파지 부재(20a)의 수용을 위한 제 1 리세스부(36a)를 포함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노즐 유닛(14a)의 조립된 상태에서, 노즐 유닛(14a)의 제 1 리세스부(36a) 내에 수용된다.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파지 부재(20a)와 맞물리는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를 포함한다. 제 1 파지 부재(20a)는, 노즐 유닛(14a)의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 사이에 맞물린다.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는 노즐 유닛(14a)의 리세스부(36a) 내에 배치된다.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는 리세스부(36a) 안쪽으로 돌출된 탄성 웨브들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는 리세스부(36a)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부(36a)를 가늘어지게 한다.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는 리세스부(36a)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거의 원추형으로 계속하여 가늘어진다.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는 상호 간에 비접촉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리세스부(36a)의 깊이는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의 길이보다 더 크며, 그럼으로써 제 1 파지 부재(20a)의 가시형 후크들(26a)은, 노즐 유닛(14a)의 조립된 상태에서, 리세스부(36a) 내에 2개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의 뒤쪽에서 맞물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프링 부재들(38a, 40a)은, 노즐 유닛(14a)이 조립될 때, 제 1 파지 부재(20a)를 통해 바깥쪽을 향해 탄성 변위되고, 이어서 제 1 파지 부재(20a)의 가시형 후크들(26a)의 뒤쪽에서 맞물린다(도 1, 도 3, 도 4).
또한, 노즐 유닛(14a)은 고정 부재(35a)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35a)는,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파지 부재(28a)의 고정 리세스부(34a) 내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35a)는 록킹 볼트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부재(35a)는, 상호 간에 약간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반원통형 본체를 갖는다. 본체의 자유 단부들 상에서는 각각 본체의 외부면 상에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록킹 러그(locking lug)가 배치된다. 고정 부재(35a)의 록킹 러그들은, 노즐 유닛(14a)의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 리세스부(34a)의 뒤쪽에서 맞물리기 위해 제공된다. 이 경우, 록킹 러그들은, 2개의 반원통형 본체의 일부분이 고정 리세스부(34a) 내에 배치되고 노즐 유닛(14)의 나머지 부분은 록킹 러그들에 대향하는 고정 리세스부(34a)의 면 상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고정 리세스부(34a)의 뒤쪽에서 맞물린다. 고정 부재(35a)의 본체의 약간의 이격을 통해, 본체는 조립 동안 서로 마주보고 탄성 변위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록킹 러그들은 고정 리세스부(34a)를 통과하게 된다(도 1, 도 5).
노즐 유닛(14a)은 와이핑 방향(18a)으로 향하는 이동을 통해 와이퍼 암 유닛(10a)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을 위해, 노즐 유닛(14a)은 와이핑 방향(18a)으로 향하는 이동으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제 1 파지 부재(20a)가 노즐 유닛(14a)의 제 1 리세스부(36a) 내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와이퍼 암 유닛(10a)의 측면부(16a) 쪽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노즐 유닛(14a)은 제 1 파지 부재(20a)에 의해 형성된 축을 중심으로 측면부(16a)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되며, 그럼으로써 노즐 유닛(14a)의 고정 부재(35a)는 와이퍼 암 유닛(10a)의 고정 리세스부(34a) 내에 맞물린다. 후속 단계에서는, 보이지 않는 세척수 호스가 노즐 유닛(14a)의 연결 어댑터(56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하기 설명은 실질적으로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으로만 국한되며, 동일한 부품들, 특징들 및 기능들과 관련하여서는 특히 도 1 내지 도 5의 다른 실시예들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구별을 위해, 도 1 내지 도 5 내의 실시예들의 도면부호들에서 알파벳 a는, 도 6 내지 도 16의 실시예들의 도면부호들에서 알파벳 b 내지 k로 대체된다. 동일하게 표시된 부품들과 관련하여, 특히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갖는 부품들과 관련하여, 원칙상, 특히 도 1 내지 도 5의 다른 실시예들의 도면들 및/또는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도 6에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b)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b)를 포함하는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b)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b)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b)는 와이핑 방향(18b)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b)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b)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26b)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26b)는 제 1 파지 부재(20b)의 본체에서 돌출된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가시형 후크(26b)는 와이퍼 암 어댑터(44b)의 주 연장 방향(48b)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b)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b)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또한,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래칭 연결부에 의해 와이퍼 암 유닛(10b) 상에 고정된다. 노즐 유닛은 와이퍼 암 유닛(10a)의 제 1 파지 부재(20a)의 수용을 위한 제 1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제 1 파지 부재(20b)는, 노즐 유닛의 조립된 상태에서, 노즐 유닛의 제 1 리세스부 내에 수용된다.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파지 부재(20a)와 맞물리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제 1 스프링 부재는 노즐 유닛의 리세스부 내에 배치된다. 스프링 부재는 리세스부 안쪽으로 돌출된 탄성 웨브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 부재는 리세스부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부를 가늘어지게 한다. 제 1 파지 부재(20b)의 가시형 후크(26b)는, 노즐 유닛의 조립된 상태에서, 리세스부 내에 제 1 스프링 부재의 뒤쪽에서 맞물린다.
도 7에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c)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c)를 포함하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c)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c) 상에는 노즐 유닛(14c)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c)는 와이핑 방향(18c)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c)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c)는 노즐 유닛(14c)의 고정을 위한 2개의 가시형 후크(26c)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들(26c)은, 각각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제 1 파지 부재(20c)의 본체에서 돌출되는 돌기들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가시형 후크들(26c)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c)의 주 연장 방향(48c)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c)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c)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c)의 본체는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다.
제 1 파지 부재(20c) 및 제 2 파지 부재(28c) 상에는 노즐 유닛(14c)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c)는 와이핑 방향(18c)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c)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c)는, 와이핑 방향(18c)을 따라서 관찰할 때, 0.5㎝ 내지 1.5㎝ 의 길이를 갖는다. 제 2 파지 부재(28c)는, 와이핑 방향(18c)을 따라서 관찰할 때, 대략 1㎝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길이도 가능하다. 제 2 파지 부재(28c)는 불룩한 부분 영역(58c)과 절구형 부분 영역(60c)을 포함한다. 부분 영역들(58c, 60c)은 노즐 유닛(14c)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다. 불룩한 부분 영역(58c)은 제 2 파지 부재(28c)의 자유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절구형 부분 영역(60c)은 제 2 파지 부재(28c)의 고정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절구형 부분 영역(60c)은 바로 불룩한 부분 영역(58c)으로 이어진다. 절구형 부분 영역(60c)을 통해, 확실한 맞물림이 가능해질 수 있다(도 8).
노즐 유닛(14c)은 조립된 상태에서 래칭 연결부에 의해 와이퍼 암 유닛(10c) 상에 고정된다. 노즐 유닛(14c)은 와이퍼 암 유닛(10c)의 제 1 파지 부재(20c)의 수용을 위한 제 1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 유닛(14c)은 제 2 파지 부재(28c)의 수용을 위한 제 2 리세스부(37c)도 포함한다. 제 2 파지 부재(28c)는, 노즐 유닛(14c)의 조립된 상태에서, 노즐 유닛(14c)의 제 2 리세스부(37c) 내에 수용된다. 노즐 유닛(14c)은,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파지 부재(28c)와 맞물리는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62c, 64c)를 포함한다. 제 2 파지 부재(28c)는, 노즐 유닛(14c)의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62c, 64c) 사이에 맞물린다.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62c, 64c)는 노즐 유닛(14c)의 제 2 리세스부(37c) 내에 배치된다.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62c, 64c)는, 불룩한 연장부들을 구비하여 리세스부(37c) 안쪽으로 돌출된 탄성 웨브들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62c, 64c)는 리세스부(37c)를 부분적으로 가늘어지게 한다.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62c, 64c)의 불룩한 연장부들은 서로 향해 있으며, 리세스부(37c)의 중심으로 돌출된다.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62c, 64c)의 불룩한 연장부들은, 제 2 파지 부재(28c)의 절구형 부분 영역(60c) 내에 맞물리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스프링 부재들(62c, 64c)은 노즐 유닛(14c)의 조립 동안 불룩한 부분 영역(58c)을 통해 바깥쪽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고, 이어서 제 2 파지 부재(28c)의 절구형 부분 영역(60c) 내에 맞물린다(도 8).
노즐 유닛(14c)은 와이핑 방향(18c)으로 향하는 이동을 통해 와이퍼 암 유닛(10c)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을 위해, 노즐 유닛(14c)은 와이핑 방향(18c)으로 향하는 이동으로, 와이퍼 암 유닛(10c)의 제 1 파지 부재(20c)가 노즐 유닛(14c)의 제 1 리세스부(36c) 내에 맞물리고 와이퍼 암 유닛(10c)의 제 2 파지 부재(28c)는 노즐 유닛(14c)의 제 2 리세스부(37c) 내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와이퍼 암 유닛(10c)의 측면부(16c) 쪽으로 이동된다.
도 9에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d)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d)를 포함하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d)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d)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d)는 와이핑 방향(18d)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d)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d)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4개의 가시형 후크(26d)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칙상 다른 개수의 가시형 후크들(26d)도 가능하다. 가시형 후크들(26d)은 돌기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이 돌기들 중 각각 2개는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제 1 파지 부재(20d)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들(26d)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d)의 주 연장 방향(48d)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d)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d)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d)의 본체의 각각의 면 상에는 각각 2개의 가시형 후크(26d)가 배치된다. 일측 면의 2개의 가시형 후크(26d)는, 측면부(26d)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연이어 배치된다. 복수의 가시형 후크(26d)를 통해, 특히 다양한 위치들에서도 확실한 맞물림이 보장될 수 있다.
제 1 파지 부재(20d) 및 제 2 파지 부재(28d)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d)는 와이핑 방향(18d)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d)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d)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4개의 가시형 후크(32d)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칙상, 다른 개수의 가시형 후크들(32d)도 가능하다. 가시형 후크들(32d)은 돌기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이 돌기들 중 각각 2개는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제 2 파지 부재(28c)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들(32c)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c)의 주 연장 방향(48c)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c)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2 파지 부재(28c)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2 파지 부재(28d)의 본체의 각각의 면 상에는 각각 2개의 가시형 후크(32d)가 배치된다. 일측 면의 2개의 가시형 후크(32d)는, 측면부(16d)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연이어 배치된다. 복수의 가시형 후크(32d)를 통해, 특히 다양한 위치들에서도 확실한 맞물림이 보장될 수 있다.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래칭 연결부에 의해 와이퍼 암 유닛(10d) 상에 고정된다. 노즐 유닛은 와이퍼 암 유닛(10d)의 제 1 파지 부재(20d)의 수용을 위한 제 2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제 2 파지 부재(28d)는, 노즐 유닛의 조립된 상태에서, 노즐 유닛의 제 2 리세스부 내에 수용된다. 노즐 유닛은,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파지 부재와 맞물리는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제 2 파지 부재는, 노즐 유닛의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 사이에 맞물린다.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는 노즐 유닛의 제 2 리세스부 내에 배치된다. 2개의 제 2 스프링 부재는 리세스부 안쪽으로 돌출되는 탄성 웨브들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제 2 리세스부 내의 제 2 스프링 부재들은 제 1 리세스부 내의 제 1 스프링 부재들과 적어도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10에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e)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e)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e)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e)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e)는 와이핑 방향(18e)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e)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e)는 노즐 유닛(14e)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26e)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26e)는, 제 1 파지 부재(20e)의 본체에서 돌출된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가시형 후크(26e)는, 와이퍼 암 어댑터(44e)의 주 연장 방향(48e)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e)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와이퍼 암 유닛(10e)의 와이퍼 로드의 방향으로 제 1 파지 부재(20e)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도 11에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f)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f)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f)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f)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f)는 와이핑 방향(18f)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f)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f)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4개의 가시형 후크(26f)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칙상 다른 개수의 가시형 후크들(26f)도 가능하다. 가시형 후크들(26f)은 돌기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이 돌기들 중 각각 2개는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제 1 파지 부재(20f)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들(26f)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f)의 주 연장 방향(48f)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f)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f)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f)의 본체의 각각의 면 상에는 각각 2개의 가시형 후크(26f)가 배치된다. 일측 면의 2개의 가시형 후크(26f)는, 측면부(16f)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연이어 배치된다. 복수의 가시형 후크(26f)를 통해, 특히 다양한 위치들에서도 확실한 맞물림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2에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g)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g)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g)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g)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g)는 와이핑 방향(18g)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g)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g)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4개의 가시형 후크(26g)를 포함한다. 그러나 원칙상 다른 개수의 가시형 후크들(26g)도 가능하다. 가시형 후크들(26g)은 돌기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이 돌기들 중 각각 2개는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제 1 파지 부재(20g)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들(26g)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g)의 주 연장 방향(48g)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g)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g)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g)의 본체의 각각의 면 상에는 각각 2개의 가시형 후크(26g)가 배치된다. 일측 면의 2개의 가시형 후크(26g)는, 측면부(16g)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할 때, 연이어 배치된다. 복수의 가시형 후크(26g)를 통해 특히 다양한 위치들에서도 확실한 맞물림이 보장될 수 있다.
제 1 파지 부재(20g) 및 제 2 파지 부재(28g) 상에는 노즐 유닛(14g)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g)는 와이핑 방향(18g)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g)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g)는 불룩한 부분 영역(58g)과 절구형 부분 영역(60g)을 포함한다. 부분 영역들(58g, 60g)은 노즐 유닛(14g)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다. 불룩한 부분 영역(58g)은 제 2 파지 부재(28g)의 자유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절구형 부분 영역(60g)은 제 2 파지 부재(28g)의 고정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절구형 부분 영역(60g)은 바로 불룩한 부분 영역(58g)으로 이어진다. 절구형 부분 영역(60g)을 통해 확실한 맞물림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3에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h)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h)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h)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h)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h)는 와이핑 방향(18h)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h)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h)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26h)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26h)는, 제 1 파지 부재(20h)의 본체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가시형 후크(26h)는 와이퍼 암 어댑터(44h)의 주 연장 방향(48h)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h)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와이퍼 암 유닛(10h)의 와이퍼 로드의 방향으로 제 1 파지 부재(20h)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h) 및 제 2 파지 부재(28h) 상에는 노즐 유닛(14h)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h)는 와이핑 방향(18h)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h)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h)는 불룩한 부분 영역(58h)과 절구형 부분 영역(60h)을 포함한다. 부분 영역들(58h, 60h)은 노즐 유닛(14h)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다. 불룩한 부분 영역(58h)은 제 2 파지 부재(28h)의 자유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절구형 부분 영역(60h)은 제 2 파지 부재(28h)의 고정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절구형 부분 영역(60h)은 바로 불룩한 부분 영역(58h)으로 이어진다. 절구형 부분 영역(60h)을 통해 확실한 맞물림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4에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i)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i)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i)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i) 상에는 노즐 유닛(14i)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i)는 와이핑 방향(i)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i)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i)는 노즐 유닛(14i)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26i)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26i)는 제 1 파지 부재(20i)의 본체에서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가시형 후크(26i)는 와이퍼 암 어댑터(44i)의 주 연장 방향(48i)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i)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i)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i) 및 제 2 파지 부재(28i) 상에는 노즐 유닛(14i)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i)는 와이핑 방향(18i)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i)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i)는, 와이핑 방향(18i)을 따라서 관찰할 때, 0.5㎝ 내지 1.5㎝ 의 길이를 갖는다. 제 2 파지 부재(28i)는, 와이핑 방향(18i)을 따라서 관찰할 때, 대략 0.8㎝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길이도 가능하다. 제 2 파지 부재(28i)는 노즐 유닛(14i)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32i)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32i)는 제 2 파지 부재(28i)의 본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에 의해 형성되며, 이 웨브는 제 2 파지 부재(28i)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32i)는 와이퍼 암 어댑터(44i)의 주 연장 방향(48i)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i)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와이퍼 암 유닛(10i)의 와이퍼 로드의 방향으로 제 2 파지 부재(28i)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노즐 유닛(14i)은 조립된 상태에서 래칭 연결부에 의해 와이퍼 암 유닛(10i) 상에 고정된다. 노즐 유닛(14i)은 와이퍼 암 유닛(10i)의 제 1 파지 부재(20i)의 수용을 위한 제 1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 유닛(14i)은 제 2 파지 부재(28i)의 수용을 위한 제 2 리세스부(37i)도 포함한다. 제 2 파지 부재(28i)는, 노즐 유닛(14i)의 조립된 상태에서, 노즐 유닛(14i)의 제 2 리세스부(37i) 내에 수용된다. 노즐 유닛(14i)은, 제 2 리세스부(37i)를 부분적으로 덮기 위해 제공되는 2개의 벽부(66i, 68i)를 포함한다. 2개의 벽부(66i, 68i)는 상호 간에 간격을 가지며, 그에 따라 제 2 리세스부(37i)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 2 리세스부(37i)의 개구부는 제 2 파지 부재(28i)의 본체의 폭보다 더 넓으면서 가시형 후크(32i)를 구비한 제 2 파지 부재(28i) 전체의 폭보다는 더 좁다. 따라서 제 2 파지 부재(28i)는 경동 이동을 통해 리세스부(37i)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 리세스부(37i) 내에서 가시형 후크(32i)는 벽부(66i)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노즐 유닛(14i)은 수직으로 뽑히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특히 노즐 유닛(14i)이 이동들의 조합을 통해서만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도 15).
노즐 유닛(14i)은 부분적으로 와이핑 방향(18i)으로 향하는 이동을 통해 와이퍼 암 유닛(10i)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사전에 조립을 위해 제 2 파지 부재(28i)는 노즐 유닛(14i)의 경동 이동을 통해 리세스부(37i) 내로 이동된다. 이어서 노즐 유닛(14i)은 와이핑 방향(18i)으로 향하는 이동으로, 와이퍼 암 유닛(10i)의 제 1 파지 부재(20i)가 노즐 유닛(14i)의 제 1 리세스부 내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와이퍼 암 유닛(10i)의 측면부(16i) 쪽으로 이동된다.
도 16에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j)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j)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j)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j)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j)는 와이핑 방향(18j)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j)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j)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26j)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26j)는 제 1 파지 부재(20j)의 본체에서 돌출된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가시형 후크(26j)는 와이퍼 암 어댑터(44j)의 주 연장 방향(48j)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j)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와이퍼 암 유닛(10j)의 와이퍼 로드의 방향으로 제 1 파지 부재(20j)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j) 및 제 2 파지 부재(28j) 상에는 노즐 유닛(14j)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j)는 와이핑 방향(18j)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j)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j)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32j)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32j)는 제 2 파지 부재(28j)의 본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에 의해 형성되며, 이 웨브는 제 2 파지 부재(28j)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32j)는 와이퍼 암 어댑터(44j)의 주 연장 방향(48j)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j)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와이퍼 암 유닛(10j)의 와이퍼 로드의 방향으로 제 2 파지 부재(28j)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도 17에는, 추가의 대안적 와이퍼 암 장치의 와이퍼 암 유닛(10k)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1 파지 부재(20k) 및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 2 파지 부재(28k)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파지 부재(20k)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파지 부재(20k)는 와이핑 방향(18k)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k)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파지 부재(20k)는 노즐 유닛의 고정을 위한 2개의 가시형 후크(26k)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26k)는 돌기들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이 돌기들은 각각 대향하는 면들 상에서 제 1 파지 부재(20k)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들(26k)은 각각 와이퍼 암 어댑터(44k)의 주 연장 방향(48k)에 대해 수직으로 그리고 측면부(16k)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제 1 파지 부재(20k)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1 파지 부재(20k) 및 제 2 파지 부재(28k) 상에는 노즐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파지 부재(28k)는 와이핑 방향(18k)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k)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파지 부재(28k)는 노즐 유닛(14k)의 고정을 위한 가시형 후크(32k)를 포함한다. 가시형 후크(32k)는 제 2 파지 부재(28k)의 본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에 의해 형성되며, 이 웨브는 제 2 파지 부재(28k)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가시형 후크(32k)는 와이퍼 암 어댑터(44k)의 주 연장 방향(48k)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부(16k)의 주 연장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와이퍼 암 유닛(10k)의 와이퍼 로드의 방향으로 제 2 파지 부재(28k)의 본체에서 돌출된다.
제 2 파지 부재들(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28i; 28j; 28k)과 제 1 파지 부재들(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의 도면들에 도시된 조합들은 예시로서만 간주해야 한다. 원칙상 임의의 다른 조합들도 가능하다. 제 1 파지 부재들(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의 구성들은 제 1 파지 부재로만 국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제 2 파지 부재들(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28i; 28j; 28k)의 구성들은 제 2 파지 부재로만 국한되지 않는다. 노즐 유닛들(14a; 14c; 14i), 특히 리세스부들(36a; 37c; 37i) 및 고정 부재들(35a)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파지 부재들(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 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28i; 28j; 28k)에 매칭된다. 그러나 원칙상 당업자에게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는 다른 리세스부들 및 고정 부재들도 가능하다.
10a,b,c,d,e,f,g,h,i,j,k 와이퍼 암 유닛
12a 와이퍼 로드
14a,c,e,g,h,i,j,k 노즐 유닛
16a,b,c,d,e,f,g,h,i,j,k 측면부
18a,b,c,d,e,f,g,h,i,j,k 와이핑 방향
20a,b,c,d,e,f,g,h,i,j,k 제 1 파지 부재
22a,b,c,d 단부면
24a,b,c,d,e,f,g,h,i,j,k 제 1 섀클
26a,b,c,d,e,f,g,h,i,j,k 가시형 후크
28a,b,c,d,e,f,g,h,i,j,k 제 2 파지 부재
30a,b,c,d,e,f,g,h,i,j,k 제 2 섀클
32d,i,j,k 가시형 후크
34a,b,e,f 고정 리세스부
35a 고정 부재
36a,c 제 1 리세스부
37c,i 제 2 리세스부
38a 제 1 스프링 부재
40a 제 1 스프링 부재
42a,b,c,d 와이퍼 암 어댑터 영역
44a,b,c,d,e,f,g,h,i,j,k 와이퍼 암 어댑터
46a 와이퍼 로드의 주 연장 방향
48a,b,c,d,e,f,g,h,i,j,k 와이퍼 암 어댑터의 주 연장 방향
50a 측면부
52a 베이스면
54a 와셔 제트 노즐
56a 연결 어댑터
58c,g,h 불룩한 부분 영역
60c,g,h 절구형 부분 영역
62c 제 2 스프링 부재
64c 제 2 스프링 부재
66i 벽부
68i 벽부

Claims (21)

  1. 하나 이상의 와이퍼 로드(12a)를 구비한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과, 차량 유리 상으로 세척수를 도포하기 위해 제공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상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측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을 포함하는 와이퍼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의 와이퍼 로드(12a)의 연장부 내에 배치되어 래칭 연결부에 의해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의 측면부(16a; 16b; 16c; 16d; 16e; 16f; 16g; 16h; 16i; 16j; 16k)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적어도 와이핑 방향(18a; 18b; 18c; 18d; 18i)으로 향하는 이동을 통해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상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파지 부재 상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는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의 단부면(22a; 22b; 22c; 22d)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6. 적어도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는 와이핑 방향(18a; 18b; 18c; 18d; 18i)으로 향하는 제 1 섀클(24a; 24b; 24c; 24d; 24e; 24f; 24g; 24h; 24i; 24j; 24k)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7. 적어도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의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시형 후크(26a; 26b; 26c; 26d; 26e; 26f; 26g; 26h; 26i; 26j; 26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28i; 28j; 28k)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파지 부재 상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28i; 28j; 28k)는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의 단부면(22a; 22b; 22c; 22d)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0. 적어도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28i; 28j; 28k)는 와이핑 방향(18a; 18b; 18c; 18d; 18i)으로 향하는 제 2 섀클(30a; 30b; 30c; 30d; 30e; 30f; 30g; 30h; 30i; 30j; 30k)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1. 적어도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28d; 28i; 28j; 28k)는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i)의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가시형 후크(32d; 32i; 32j, 32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2. 적어도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28a; 28b; 28e; 28f)는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35a)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리세스부(34a; 34b; 34e; 34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3. 적어도 제 4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의 주 연장 평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28a; 28b; 28c; 28d; 28e; 28f; 28g; 28h; 28i; 28j; 28k)의 주 연장 평면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4. 적어도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 1 리세스부(36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5. 적어도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c; 14i)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파지 부재(28c; 28d; 28g; 28h; 28i; 28j; 28k)의 수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리세스부(37c; 37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6. 적어도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7. 적어도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2개 이상의 제 1 스프링 부재(38a, 40a)를 포함하며, 이들 스프링 부재 사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파지 부재(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i; 20j; 20k)가 조립된 상태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8. 적어도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리세스부(34a; 34b; 34e; 34f) 내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3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의 와이퍼 암 어댑터 영역(42a; 42b; 42c; 42d)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즐 유닛(14a; 14c; 14i)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암 유닛(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의 와이퍼 암 어댑터(44a; 44b; 44c; 44d; 44e; 44f; 44g; 44h; 44i; 44j; 44k)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암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 암 장치를 포함하는 와이퍼 암.
KR1020150040580A 2014-03-25 2015-03-24 와이퍼 암 장치 Active KR102375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5538.5A DE102014205538A1 (de) 2014-03-25 2014-03-25 Wischarmvorrichtung
DE102014205538.5 2014-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311A true KR20150111311A (ko) 2015-10-05
KR102375351B1 KR102375351B1 (ko) 2022-03-18

Family

ID=5406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580A Active KR102375351B1 (ko) 2014-03-25 2015-03-24 와이퍼 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09199B2 (ko)
KR (1) KR102375351B1 (ko)
CN (1) CN104943660B (ko)
DE (1) DE102014205538A1 (ko)
FR (1) FR3019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721A (ko) * 2020-03-27 2021-10-07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와이퍼 암 선단부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 노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0526B (zh) * 2014-08-08 2019-12-17 株式会社美姿把 雨刮装置及喷嘴单元
DE102015224631A1 (de) * 2015-12-08 2017-06-08 Robert Bosch Gmbh Wischarmvorrichtung
US10471936B2 (en) 2016-01-07 2019-11-12 Taizhou Valeo Wenling Automotive Systems Co., Ltd. Adapter, nozzle structure, assembly consisting of the adapter and the nozzle structure and the assembling method thereof
CN106945642B (zh) * 2016-01-07 2022-04-12 台州法雷奥温岭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由适配器和喷嘴结构组成的组件及其组装方法
DE102016100812A1 (de) * 2016-01-19 2017-07-20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vorrichtung zum Reinigen einer Fahrzeugscheibe und Sprüheinrichtung
JP6610424B2 (ja) * 2016-05-18 2019-11-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ワイパ装置
WO2017200065A1 (ja) 2016-05-18 2017-11-23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装置
DE102016212276A1 (de) 2016-07-06 2018-01-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ämpfung einer seitlichen Pendelbewegung bei einem einspurigen Kraftfahrzeug
CN106627496A (zh) * 2016-12-21 2017-05-10 贵阳万江航空机电有限公司 一种带喷水系统的雨刮臂
DE102017012038B4 (de) 2017-12-22 2021-01-14 A. Raymond Et Cie Anordnung von Düseneinheiten für einen Wischerarm und Wischerarm
EP3746339B1 (en) 2018-01-29 2023-03-08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arm, particularly for automobiles
WO2019206415A1 (en) * 2018-04-26 2019-10-31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arm, particularly for automobiles
KR20210021350A (ko) * 2018-06-13 2021-02-25 트리코 벨기에 에스.아. 특히 자동차를 위한 윈드스크린 와이퍼 아암
CN113799739A (zh) * 2020-06-16 2021-12-17 台州法雷奥温岭汽车零部件有限公司 刮水器和车辆
FR3115749B1 (fr) * 2020-10-30 2023-01-20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projection d’un fluide de nettoyage
CN215590689U (zh) * 2020-11-26 2022-01-21 台州法雷奥温岭汽车零部件有限公司 刮臂、刮水器和车辆
CN215971420U (zh) * 2021-01-07 2022-03-08 台州法雷奥温岭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刮臂、刮水器和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4772A (en) * 1998-01-30 2000-08-0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ndshield wiper arm retainer with integral nozzle bracket
EP1985513A1 (en) * 2007-04-26 2008-10-29 Federal-Mogul Ignition Srl Windscreen wiper ar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876A (en) * 1966-11-04 1969-03-18 Gen Motors Corp Washer nozzle assembly
US3428992A (en) * 1967-03-08 1969-02-25 Progressive Research Corp Adapter for windshield wiper
SE7900387L (sv) * 1978-01-21 1979-07-22 Dunlop Ltd Anordning vid hjulfelgar for pneumatiska deck
GB8804359D0 (en) * 1988-02-25 1988-03-23 Trico Folberth Ltd Washer arrangement for windscreen wiper
DE3907980C2 (de) * 1989-03-11 1996-09-19 Teves Gmbh Alfred Scheibenreinigungsanlage
DE4445417A1 (de) * 1994-12-20 1996-06-27 Teves Gmbh Alfred Koppelglied für eine Scheibenwischeranlag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FR2749247B1 (fr) * 1996-05-30 1998-08-14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raccordement automatique pour un dispositif de projection de liquide de lavage
FR2752800B1 (fr) * 1996-08-27 1998-10-23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muni d'un dispositif de projection de liquide de lavage
EP0956222B1 (de) * 1997-12-02 2004-08-18 Robert Bosch Gmbh Düsenanordnung sowie scheibenwischerarm zum aufnehmen der düsenanordnung
JP4045758B2 (ja) * 2001-06-15 2008-02-13 市光工業株式会社 ワイパアームにおけるウオッシャノズルの取付構造
JP4580124B2 (ja) * 2001-07-11 2010-11-10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アーム
DE102004007351A1 (de) * 2004-02-16 2005-09-01 Volkswagen Ag Scheibenwischeranlage für eine Scheibe eines Fahrzeugs
US7636981B2 (en) * 2005-10-12 2009-12-29 Concord Tool & Manufacturing, Inc. Windshield wiper arm with hemmed distal end
FR2902063B1 (fr) * 2006-06-09 2009-04-24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arrosage pour essuie-glace
FR2952884B1 (fr) * 2009-11-23 2012-12-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alai d'essuie glace et dispositif d'essuyage et de lavage d'une surface vitree d'un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ssuyage et de lavage correspondant
FR2973758B1 (fr) * 2011-04-06 2013-05-17 Valeo Systemes Dessuyage Ensemble d'un embout et d'un dispositif de projection d'un liquide, balai d'essuyage comprenant un tel ensemble, procede de montage d'un dispositif de projection d'un liquide sur un embout
FR2975063B1 (fr) * 2011-05-12 2013-12-20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de surface vitree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4772A (en) * 1998-01-30 2000-08-0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ndshield wiper arm retainer with integral nozzle bracket
EP1985513A1 (en) * 2007-04-26 2008-10-29 Federal-Mogul Ignition Srl Windscreen wiper a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721A (ko) * 2020-03-27 2021-10-07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와이퍼 암 선단부에 설치되는 워셔액 분사 노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09199B2 (en) 2017-11-07
FR3019122A1 (fr) 2015-10-02
KR102375351B1 (ko) 2022-03-18
US20150274127A1 (en) 2015-10-01
DE102014205538A1 (de) 2015-10-01
CN104943660A (zh) 2015-09-30
CN104943660B (zh) 2019-02-01
FR3019122B1 (fr)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1311A (ko) 와이퍼 암 장치
RU2601540C2 (ru)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ь
EP2938524B1 (de) Wisch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wischwasser
EP1117577B1 (de)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zwischen umkehrlagen bewegbaren, zur scheibe belasteten wischerarm
CN108430840B (zh) 刮水器装置
CN108349461B (zh) 刮水装置
CN107000697B (zh) 具有洗涤水喷嘴的刮水臂装置
US9751501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a wip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WO2014102062A1 (de) Wischarmvorrichtung
EP3138748B1 (en) Wiper devic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KR102322053B1 (ko) 록킹 클립
CA1071588A (en) Actuator for pressurized container
EP2815932B1 (en) Wiper blad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wiper arm for a wiper blade and wiper device
EP2882619A1 (en) Wiper device and wiper arm for cleaning a vehicle window
US10518752B2 (en) Washing fluid spray device for a wiper arm for a system for wiping a window of a motor vehicle
PL233818B1 (pl) Urzadzenie do neutralizowania ektopasozytow
EP3078862B1 (en) Sensor fixation device
KR102261529B1 (ko)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US9682687B2 (en) Wiper blade device
CN106515669B (zh) 雨刷片装置
KR20230028692A (ko) 자바라 물통을 이용한 휴대용 안구 세척기
US10214186B2 (en) Wiper blade device
RU2159835C1 (ru) Запорно-пломб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BR112014012226B1 (pt) dispositivo do limpador de para-brisa
KR101601874B1 (ko) 2유체 혼합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3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