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043A -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1043A KR20150111043A KR1020140034363A KR20140034363A KR20150111043A KR 20150111043 A KR20150111043 A KR 20150111043A KR 1020140034363 A KR1020140034363 A KR 1020140034363A KR 20140034363 A KR20140034363 A KR 20140034363A KR 20150111043 A KR20150111043 A KR 201501110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finger
- buffer
- output terminal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은 슬립 모드에서 구동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의 터치가 인식되면, AP(Application Processor)로 인터럽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말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터치를 감지한 후 지문을 센싱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문의 무늬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인 식별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지문은 개인 인증 수단으로서 금융, 범죄수사, 보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문을 인식하여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지문 인식 센서가 개발되었다. 지문 인식 센서는 사람의 손가락을 접촉하고 손가락 지문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센싱 전극들로 이루어진 정전 용량 방식 지문 센서는 손가락이 지문 센서에 닿으면, 구동 전압에 응답하여 손가락의 접촉된 표면과 센싱 전극들 사이에 생성되는 커패시턴스들에 따라 지문을 센싱한다.
그러나 지문 인식 장치가 탑재되는 전자 장치에서 정전 용량 방식 지문 센서는 지문 센서에 손가락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 전극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 장치가 휴면 상태인 경우 등과 같이 지문 센싱을 하지 않고 있을 때에도 계속적으로 구동 전압이 인가되어, 전자 장치의 배터리 전력이 빨리 소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문 인식 장치가 탑재되는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가 정전 용량 방식 지문 센서를 지문 센싱 동작을 필요로 할 때마다 수동적으로 크고 켤 경우,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전자 장치가 나오는 경향에 비추어, 지문 인식 장치가 물리적 버튼에 위치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위나 디스플레이 가장자리에 전자식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버튼식 지문 인식 장치의 경우에는 물리적 누름을 통해 지문 인식 장치가 깨어나도록 할 수 있으나, 버튼이 아닌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는 대기 상태인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거나 다른 조작에 의하여 깨어나도록 제어하면서도, 소비전력을 최소화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면 모드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소모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장치가 필요하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장치에 최소한의 전력으로 손가락을 대기만 해도 전자 장치가 깨어나도록 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싱 전극들 및 구동 전극을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는 손가락의 터치를 모니터링하는 동안 상기 구동 전극에 검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각 센싱 전극에서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는 동안 상기 구동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구동 전극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손가락 검출부; 및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인터럽트를 발생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검출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전극에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로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은 검출 전압이 외부 전극으로 인가되고, 상기 구동 전극으로부터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전극에 상기 손가락의 터치가 인식되면, AP(Application Processor)로 인터럽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전압이 상기 구동 전극으로 인가되어, 복수의 센서 전극들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따르면, 손가락이 터치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는 최소한의 대기 전력만 흐르도록 하고, 손가락 터치가 인식된 후에만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지문 인식 장치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따르면, 소모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지문 인식 장치가 탑재된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가락 검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태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가락 검출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태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지문 인식 장치(100)는 칩 외부(External)에 구동 전극(50) 및 복수의 센싱 전극들(6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각 센싱 전극은 센싱 회로에 연결되어, 손가락이 지문 인식 장치에 접촉될 경우 손가락 표면에 기초하여 센싱 결과값을 출력한다. 지문 인식 방법에 대하여는 공지의 다양한 지문 센싱 기술에 따른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칩 내부(Internal)에 전원 공급부(10,20), 손가락 검출부(30) 및 컨트롤 로직(4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칩 내부에는 출력된 센싱 결과값을 프로세싱하는 센싱 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원 공급용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는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공급 전압을 기설정된 배율(Gain)로 출력하여 칩 내부의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칩 내부와 칩 외부 사이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복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제1 버퍼(10)와 연결된 제1 출력단자(A), 제2 버퍼(20)와 연결된 제2 출력단자(B), 손가락 검출부(30)와 연결된 제3 출력단자(C) 및 컨트롤 로직(40)과 연결된 제4 출력단자(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전원 공급부는 제1 버퍼(10), 제2 버퍼(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10)는 DC_H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2 버퍼(20)는 소정의 주기로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버퍼(10)의 DC_H전압은 제2 버퍼(20)의 구동 전압 중 하이레벨 전압보다 낮을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DC전압은 상기 하이레벨 전압과 동일 레벨의 전압일 수도 있다.
제1 버퍼(10) 및 제2 버퍼(20)는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 FDET_ENB)에 따라 서로 교번(mutually exclusive)하여 동작하거나 플로팅될 수 있다. 즉,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가 인가될 때는 제1 버퍼(10)가 동작하여 DC_H전압을 출력하고, 제2 버퍼(20)는 역-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B)가 인가되어 구동 전압이 입력되어도 출력하지 않고 플로팅 상태가 된다. 반대로 역_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가 인가될 때는 제1 버퍼(10)는 DC_H전압이 입력되어도 출력하지 않고 플로팅 상태이고, 제2 버퍼(20)는 역-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B)가 인가되어 구동 전압이 인가되어도 출력하지 않고 플로팅 상태가 된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칩 외부에서 제1 출력단자(A)와 중간 노드(TxOut IN)의 일단 사이에 연결된 100㏀ 내지 10㏁ 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인식 장치(100)는 칩 외부에서 제2 출력단자(B)와 중간 노드(TxOut IN)를 연결하고, 제3 출력단자(C)와 중간 노드(TxOut IN)를 연결하여, 서로 쇼트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문 인식 장치(100)는 칩 외부에서 제2 출력단자(B)와 중간 노드(TxOut IN)를 연결하고, 제3 출력단자(C)와 중간 노드(TxOut IN) 이외의 구동 전극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중간 노드에 연결하여, 구동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노드와 구동전극으로부터 모니터링 전압을 출력하는 노드를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손가락 검출부(30)는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에 따라 온/오프 되어 동작한다. 즉,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가 인가되어 제1 버퍼(10)가 동작시에만 턴-온되어 동작한다.
손가락 검출부(30)는 중간 노드(TxOUT IN)로부터 제3 출력단자(C)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손가락의 터치여부를 검출한다. 일 실시예로 손가락 검출부(30)는 구동전극(50)에의 손가락 터치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의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 검출부(30)는 전압 뿐만 아니라 칩 내부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Is)의 변화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손가락 검출부(30)는 손가락 검출부 리셋 신호(FDET_Reset)에 따라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컨트롤 로직(40)은 손가락 검출부(30)의 모니터링 결과(FDET_OUT)에 응답하여 인터럽트 신호(IRQ)를 제4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인터럽트 신호(IRQ)는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로 전송되어 손가락이 터치되었음을 알린다.
모바일 AP는 인터럽트 신호(IRQ)에 응답하여 지문 인식 장치(100)에 대한 제어신호(CON)를 컨트롤 로직(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 로직(40)은 제어신호(CON)에 기초하여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 FDET_ENB)를 출력한다. 또한,컨트롤 로직(40)은 제어신호(CON)에 기초하여 손가락 검출부 리셋 신호(FDET_Reset)를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가락 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손가락 검출부(30)는 중간 노드(TxOut IN)으로부터의 모니터링 전압과 기설정된 임계치(Vth)를 비교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로, 손가락 검출부(30)는 비교기(31) 및 스위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31)는 구동전극(50)에의 손가락 터치 여부에 따른 모니터링 전압과 기설정된 임계치(Vth)를 비교한다. 이때 임계치(Vth)는 설계 및 공정상 의도된 값으로 셋팅될 수 있다. 스위치(32)는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가 인가된 경우에만 턴-온 되어 비교기(31)의 출력값을 모니터링 결과(FDET_OUT)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태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지문 인식 장치(100)는 딥 슬립(Deep Sleep) 모드, 슬립(Sleep) 모드, 검출(Detect) 모드, 웨이크업(Wake Up) 모드 및 노말(Normal) 모드로 동작한다.
딥 슬립 모드에서, 지문 인식 장치(100)는 최소한의 대기전력만 공급받고 있는 유휴(Idle) 상태이다. 즉, 딥 슬립 모드는 모바일 장치의 AP에 의해서 깨워지는 완전 유휴 상태이다.
슬립 모드는 지문 인식 장치(100)는 AP가 아니라 컨트롤 로직(40)에 의해 스스로 깨어날 수 있는 유휴 상태이다. 컨트롤 로직이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여,지문 인식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를 인가하면, 슬립 모드에서 검출 모드가 된다.
검출 모드에서, 지문 인식 장치(100)는 제1 버퍼(10)를 동작시켜 구동 전극(50)에 DC_H 전압을 인가한다. 손가락이 구동 전극(50)에 터치 되어 중간 노드(TxOut IN)에서의 전압 변화가 모니터링 되면(Finger Touch), 지문 인식 장치(100)는 인터럽트 신호(IRQ)를 모바일 장치의 AP로 전송한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의 AP로부터 인터럽트 신호(IRQ)에 대응한 제어신호(CON)를 수신하면, 웨이크업 모드로 진입한다.
도 3에서 슬립 모드와 검출 모드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동 전극에 DC_H 전압을 인가하는 점에서는 동일하고, 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가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슬립 모드와 검출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웨이크업 모드에서 지문 센싱에 필요한 준비를 마친 후 노말 모드로 진입하여 지문 센싱 또는 지문 센싱을 이용한 네비게이션(방향/속도)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노말 모드에서 동작하다가 AP의 제어 또는 컨트롤 로직의 제어에 따라 슬립 모드 또는 딥 슬립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지문 인식 장치(100)는 검출 모드(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를 인가되는 동안)에 중간 노드(TxOut In)를 통해 구동 전극에 기설정된 직류(DC_H)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슬립 모드(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를 인가되지 않는 동안)에서도 상기 직류 전압(DC_H)을 구동 전극에 공급할 수 있다.
검출 모드에서 구동 전극에 손가락 터치(Finger Touch)가 있으면, 사람의 몸이 접지가 되어 DC_H 전압이 사람의 몸으로 분배되어 전압 레벨이 떨어진다. 이때 손가락에 흐르는 전류(IF)는 구동 전극에서 분배된 전압에 의한 전류로 소정 레벨까지 증가한다. 그러나 검출 모드에서 구동 전극에 손가락 터치 발생시, 손가락 검출부(30)가 모니터링하는 전류(IS)는 중간 노드(TxOUT IN)에서 전압 변화가 있는 동안에만 흐르고, DC_H 전압과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는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손가락 터치에 의한 중간 노드(TxOUT IN)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Vth)보다 떨어지면, 손가락 검출부(30)는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고, 모니터링 결과(FDET_OUT)를 컨트롤 로직(40)으로 출력한다.
컨트롤 로직(40)은 제1 버퍼(10)의 출력이 플로팅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AP로 인터럽트 신호(IRQ)를 전송한다. AP는 인터럽트 신호(IRQ)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컨트롤 로직(40)으로 회신하고, 컨트롤 로직(40)은 AP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웨이크업 하여 노말 모드로 진입한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컨트롤 로직(40)이 역-손가락 검출 인에이블 신호(FDET_EN)를 인가하면, 노말 모드로서 제2 버퍼(20)를 동작 시켜 구동 전극(50)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지문 인식 장치(100)는 노말 모드에서 각 센서 전극을 통해 지문 센싱을 수행한다.
그 결과, 손가락 터치가 일어나기 전에는 중간 노드(TxOUT IN)를 통해 구동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은 약한 DC_H 전압이 인가되면서 회로 내 전류(Is)가 흐르지 않아 전력 소비가 최소화된다. 반면 손가락 터치에 의해 지문 인식 장치가 웨이크업 된 이후에는 DC_H보다 높은 레벨의 구동전압이 인가되며 지문이 센싱된다. 즉, 노말 모드에 진입하기 전의 슬립 모드, 검출 모드, 웨이크업 모드에서는 전력소모가 최소화 됨으로써 지문 인식 장치가 탑재된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최소한으로 소비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문 인식 장치
10 : 제1 버퍼
20 : 제2 버퍼
30 : 손가락 검출부
40 : 컨트롤 로직
10 : 제1 버퍼
20 : 제2 버퍼
30 : 손가락 검출부
40 : 컨트롤 로직
Claims (10)
- 복수의 센싱 전극들 및 구동 전극을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터치를 모니터링하는 동안 상기 구동 전극에 검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각 센싱 전극에서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는 동안 상기 구동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구동 전극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손가락 검출부; 및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인터럽트를 발생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상기 검출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압을 상기 구동 전극에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로직을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압은 상기 구동 전압의 하이레벨보다 작은 레벨의 직류 전압인, 지문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검출 전압을 생성하는 제1 버퍼;
상기 제1 버퍼의 출력단자와 상기 외부 전극 사이에 연결된 저항; 및
상기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제2 버퍼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모니터링 중에는 상기 제1 버퍼가 동작하고, 상기 제2 버퍼는 플로팅 상태이며,
상기 지문 센싱 중에는 상기 제1 버퍼가 플로팅 상태이고, 상기 제2 버퍼가 동작하는 것인, 지문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검출부는
상기 손가락의 터치에 따라 상기 구동 전극의 전압이 기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아지면,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상기 컨트롤 로직에 전송하는 것인, 지문 인식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검출부는
모니터링된 상기 외부 전극의 전압과 상기 임계치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출력을 상기 모니터링 중에만 상기 모니터링 결과로 출력하고, 상기 지문 센싱 중에는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1 출력단자;
상기 제2 버퍼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2 출력단자;
상기 손가락 검출부에 연결된 제3 출력단자;
칩 외부에서 상기 구동 전극과 연결된 중간 노드; 및
상기 칩 외부에서 상기 제1 출력단자와 상기 중간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출력단자 및 상기 제3 출력단자는 상기 칩 외부에서 상기 중간 노드와 연결되어 서로 쇼트(short)되는 것인, 지문 인식 장치. - 검출 전압이 외부 전극으로 인가되고, 상기 구동 전극으로부터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전극에 상기 손가락의 터치가 인식되면, AP(Application Processor)로 인터럽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AP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전압이 상기 구동 전극으로 인가되어, 복수의 센서 전극들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전압은 상기 구동 전압의 하이레벨보다 작은 레벨의 직류 전압인,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전극에 연결된 모니터링 노드의 전압이 상기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상기 검출 전압으로부터 기설정된 임계전압 이하로 줄어들면, 상기 손가락의 터치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 장치의 동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363A KR20150111043A (ko) | 2014-03-25 | 2014-03-25 |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363A KR20150111043A (ko) | 2014-03-25 | 2014-03-25 |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1043A true KR20150111043A (ko) | 2015-10-05 |
Family
ID=5434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4363A Withdrawn KR20150111043A (ko) | 2014-03-25 | 2014-03-25 |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11043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58081A1 (en) * | 2015-10-02 | 2017-04-06 | Fingerprint Cards Ab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if a finger is present and sensing a fingerprint pattern |
WO2017058082A1 (en) * | 2015-10-02 | 2017-04-06 | Fingerprint Cards Ab | Method and fingerprint sensing device with finger lost detection |
CN107402657A (zh) * | 2016-05-20 | 2017-11-28 | 乐金显示有限公司 | 感知触摸和指纹的触摸屏 |
KR101935406B1 (ko) | 2018-03-21 | 2019-04-03 | 주식회사 바이오로그디바이스 | 지문 센서를 이용한 버튼 시스템 |
US10521575B2 (en) | 2016-04-12 | 2019-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thent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US11228981B2 (en) * | 2017-12-06 | 2022-01-18 | Fingerprint Cards Anacatum Ip Ab | Method for transitioning a device controller compris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
-
2014
- 2014-03-25 KR KR1020140034363A patent/KR2015011104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58081A1 (en) * | 2015-10-02 | 2017-04-06 | Fingerprint Cards Ab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if a finger is present and sensing a fingerprint pattern |
WO2017058082A1 (en) * | 2015-10-02 | 2017-04-06 | Fingerprint Cards Ab | Method and fingerprint sensing device with finger lost detection |
US10521575B2 (en) | 2016-04-12 | 2019-12-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thent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CN107402657A (zh) * | 2016-05-20 | 2017-11-28 | 乐金显示有限公司 | 感知触摸和指纹的触摸屏 |
CN107402657B (zh) * | 2016-05-20 | 2020-05-01 | 乐金显示有限公司 | 感知触摸和指纹的触摸屏 |
US11228981B2 (en) * | 2017-12-06 | 2022-01-18 | Fingerprint Cards Anacatum Ip Ab | Method for transitioning a device controller compris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
KR101935406B1 (ko) | 2018-03-21 | 2019-04-03 | 주식회사 바이오로그디바이스 | 지문 센서를 이용한 버튼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58313B2 (en) | Low power capacitive sensor button | |
KR20150111043A (ko) |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는 지문 인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296771B2 (en) |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 |
CN107111759B (zh) | 用于检测手指是否出现并感测指纹图案的方法及装置 | |
US9811204B2 (en) | Time multiplexed touch detection and power charging | |
US20090289908A1 (en) | Touch detecting device capable of saving electricity | |
KR101837640B1 (ko) | 지문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6112848A1 (zh) | 电子设备及其触摸感测系统、以及触摸感测系统的检测方法 | |
US20170076079A1 (en) | Terminal device based 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into terminal device in standby state | |
US8410797B2 (en) | Capacitive sensor and sensing method | |
US9696826B2 (en) | Stylus with low-power detector | |
TWI632502B (zh) | 具有手指偵測的指紋感測系統 | |
JP2015207099A (ja) | 半導体装置、表示システム、検出方法、及び検出プログラム | |
US20180053029A1 (en) | Fingerprint recognition component, pressure detection method and fingerprint recognition ic | |
KR102652844B1 (ko) | 손가락 놓침을 감지하는 방법 및 지문감지장치 | |
US10169633B2 (en) |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 |
CN108733250A (zh) | 手持式电子装置及其触摸检测方法 | |
CN101598986A (zh) | 可节省电源消耗的触碰检测装置 | |
US7199789B2 (en) | Input apparatus having electrostatic sensor | |
TWI526944B (zh) | 指紋感測裝置及其手指觸碰偵測方法 | |
US20170060288A1 (en) | Capacitive touch sensing with lumped sensors | |
KR101059079B1 (ko) | 터치 감지의 장치의 소비 전력 감소 방법 및 그 장치 | |
US9684368B2 (en) | Event detection method for waking up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ction sensor using same | |
JP2020501309A (ja) | 容量性ハンドル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 |
CN106059558A (zh) | 解决触摸按键无法识别触摸动作的方法及其触摸识别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