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9137A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137A
KR20150109137A KR1020140032211A KR20140032211A KR20150109137A KR 20150109137 A KR20150109137 A KR 20150109137A KR 1020140032211 A KR1020140032211 A KR 1020140032211A KR 20140032211 A KR20140032211 A KR 20140032211A KR 20150109137 A KR20150109137 A KR 2015010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spring
present
cosmetic
cosmetic puf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227B1 (ko
Inventor
정민정
신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3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22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안정 스프링을 이용하여 사용시 파지가 용이한 화장용 퍼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퍼프 본체; 및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는 이중안정 스프링을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퍼프 본체; 및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며, 이중안정 스프링이 내장된 스프링 내장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 {Cosmetic Puff}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중안정 스프링을 이용하여 사용시 파지가 용이한 화장용 퍼프에 대한 것이다.
화장용 퍼프(Puff)는 고체, 분말 또는 액상의 화장료를 얼굴 등의 신체에 도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성재질로 된 화장용 도구이다. 화장용 퍼프는 신축성이 있으면서도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적절한 쿠션과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료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퍼프의 재질로는, 니트릴 부타디엔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 플로킹(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루비셀(Rubycell, 습식 URETHAN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화장용 퍼프에 손잡이를 부착한 구조도 사용된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306866호는 탈부착이 가능한 양면 접착용 테이프가 부착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2894호는 손잡이 밴드를 부착한 화장용 퍼프를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는 밴드 형태로 퍼프의 상면에 부착되고, 사용자는 손가락을 밴드 형태의 손잡이 내측으로 삽입하여 퍼프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용 퍼프의 경우에는 손잡이 밴드와 퍼프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가 다름에도 손잡이 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 너무 헐렁하거나 꽉 끼는 불편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안정 스프링을 적용하여 손가락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손가락에 감김으로써 사용편이성이 증대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퍼프 본체; 및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는 이중안정 스프링을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안정 스프링은 상기 퍼프 본체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퍼프 본체의 일측 면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중안정 스프링은 상기 상부 지지체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지지체의 형상은 상기 이중안정 스프링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퍼프 본체; 및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며, 이중안정 스프링이 내장된 스프링 내장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스프링 내장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는 퍼프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 본체에는 상기 퍼프 고정판이 삽입되는 상부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 고정판은 상기 퍼프 본체의 상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 본체는 교환 가능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장용 퍼프의 상부 또는 손잡이의 상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됨에 따라 사용 편이성이 증대된다.
또한, 사용이 종료된 후에는 이중안정 스프링의 양단을 간단히 눌러줌으로써 화장용 퍼프 또는 손잡이가 원상으로 복귀함에 따라 팩트 등의 화장용기 내의 작은 공간에도 화장용 퍼프를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도 1의 A-A´ 방향)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 구비되는 이중안정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 구비되는 이중안정 스프링의 단면도(도 3의 B-B´ 방향)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도 6의 C-C´ 방향)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도 10의 D-D´ 방향)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중안정 스프링(Bi-Stable Spring)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가락에 고정 또는 파지되는 화장용 퍼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도 1의 A-A´ 방향)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 구비되는 이중안정 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에 구비되는 이중안정 스프링의 단면도(도 3의 B-B´ 방향)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0)는, 퍼프 본체(20)와 상기 퍼프 본체(20) 내에 내장되는 이중안정 스프링(30)을 포함한다.
퍼프 본체(20)는 니트릴 부타디엔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 플로킹(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루비셀(Rubycell, 습식 URETHANL) 등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퍼프 본체(20)의 재질은 필요에 따라 상기한 재질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중안정 스프링(30)은 퍼프 본체에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퍼프 본체(20)에 삽입홈(미도시)을 구비하여 이중안정 스프링(30)을 삽입하거나, 퍼프 본체(20)의 성형시에 이중안정 스프링(30)을 성형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퍼프 본체(20)를 성형함으로써 이중안정 스프링(30)이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안정 스프링(30)은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퍼프 본체(20)의 상부면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위치된다. 이중안정 스프링(30)은 '슬랩 밴드(slap band)' 또는 '슬랩 팔찌(slap bracelet)' 등으로 알려진 제품에 사용된 것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의 단면이 오목한 상태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펴져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중안정 스프링(30)의 볼록한 부분을 누르면, 팔찌 형태로 변형되어 다른 물체에 감기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중안정 스프링(30)은 얇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10)는 내부에 이중안정 스프링(30)을 구비함에 따라서, 이중안정 스프링(30)이 길이 방향으로 펴진 상태에서는 도 5의 좌측 도면과 같은 형태를 유지하나, 이중안정 스프링(30)을 누르게 되면 도 5의 우측 도면과 같이 손가락에 감기도록 형태가 변형된다. 이중안정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화장용 퍼프(10)는 손가락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그 상태에서 화장용 퍼프(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이중안정 스프링(30)의 양단을 눌러주는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원 상태로 복귀하여 화장용 퍼프(10)를 펴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0)의 기본적인 특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10)는, 퍼프 본체(20)와, 퍼프 본체(20)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부 지지체(40)와, 상기 상부 지지체(40)에 내장된 이중안정 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퍼프 본체(20)는 통상적인 퍼프일 수 있으며, 상부 지지체(40)는 그 하부면이 퍼프 본체(20)의 상부에 접착 또는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지지체(40)의 내부에는 이중안정 스프링(30)이 구비된다. 상부 지지체(40)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퍼프 본체(20)를 통상적인 형태로 제작한 후 상부 지지체(40)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퍼프 본체(20)의 상부에 부착하면 되므로 퍼프 본체(20)의 제조 공정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부 지지체(40)의 형상은 도 6과 같이 퍼프 본체(20)의 상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부 지지체(40)는 이중안정 스프링(30)의 외형과 대응되고 이중안정 스프링(30)의 외부를 피복하는 형태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지지체(40)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도 10의 D-D´ 방향)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50)는, 퍼프 본체(60)와, 상기 퍼프 본체(60)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7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프 본체(60)의 상부에는 상부 개구(62)가 형성되고, 상부 개구(62)의 내측에는 내측 외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끼움 공간(64)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70)는 퍼프 고정판(72)과, 스프링 내장 손잡이(76)와, 상기 퍼프 고정판(72)과 스프링 내장 손잡이(76)를 연결하는 고정판 연결구(74)를 포함한다.
퍼프 고정판(72)은 퍼프 본체(60)의 상부 개구(62)을 통해 끼움 공간(6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퍼프 고정판(72)이 퍼프 본체(6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퍼프 고정판(72)은 퍼프 본체(60)의 상부에 접착되거나, 퍼프 고정판(72)이 퍼프 본체(60)와 함께 성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 연결구(74)는 봉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 연결구(74)를 구비하지 않고 스프링 내장 손잡이(76)의 일부가 퍼프 고정판(72)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스프링 내장 손잡이(76)는 그 내부에 이중안정 스프링(30)을 내장한다. 스프링 내장 손잡이(76)는 이중안정 스프링(30)을 피복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내장 손잡이(76)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내장 손잡이(76)는 실리콘 재질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스프링 내장 손잡이(76)와, 고정판 연결구(74) 및 퍼프 고정판(72)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퍼프 본체(60)는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퍼프 본체(6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된 퍼프 본체(60)를 손잡이부(70)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퍼프 본체(60)를 손잡이부(7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스프링 내장 손잡이(76)의 상부를 누르면 도 13의 우측 도면과 같이 스프링 내장 손잡이(76)가 위로 둥글게 말려지며 손가락(F1)을 감싸도록 변형된다. 도 13에서, 손가락(F1)은 중지이고, 손가락(F2)는 검지, 손가락(F3)는 약지일 수 있다. 즉, 중지를 이용하여 스프링 내장 손잡이(76)를 눌러 스프링 내장 손잡이(76)가 중지를 감싼 상태에서, 검지와 약지로 스프링 내장 손잡이(76)의 외측을 함께 지지하여 화장용 퍼프(50)를 사용할 수 있다.
화장용 퍼프(50)의 사용이 완료된 후, 스프링 내장 손잡이(76)의 양단을 누르면 스프링 내장 손잡이(76)는 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10, 50)는 이중안정 스프링(30)을 채용하여, 이중안정 스프링(30)의 변형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화장용 퍼프(10, 50)가 고정된다. 이중안정 스프링(3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의 굵기기와 상관없이 화장용 퍼프(10, 50)의 파지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50 : 화장용 퍼프
20, 60 : 퍼프 본체
30 : 이중안정 스프링
40 : 상부 지지체
62 : 상부 개구
64 : 끼움 공간
70 : 손잡이부
72 : 퍼프 고정판
74 : 고정판 연결구
76 : 스프링 내장 손잡이

Claims (9)

  1. 퍼프 본체; 및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는 이중안정 스프링
    을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안정 스프링은 상기 퍼프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본체의 일측 면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중안정 스프링은 상기 상부 지지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체의 형상은 상기 이중안정 스프링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5. 퍼프 본체; 및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며, 이중안정 스프링이 내장된 스프링 내장 손잡이를 구비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스프링 내장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퍼프 본체에 결합되는 퍼프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본체에는 상기 퍼프 고정판이 삽입되는 상부 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고정판은 상기 퍼프 본체의 상부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본체는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1020140032211A 2014-03-19 2014-03-19 화장용 퍼프 Active KR101588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11A KR101588227B1 (ko) 2014-03-19 2014-03-19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211A KR101588227B1 (ko) 2014-03-19 2014-03-19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37A true KR20150109137A (ko) 2015-10-01
KR101588227B1 KR101588227B1 (ko) 2016-01-25

Family

ID=5433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211A Active KR101588227B1 (ko) 2014-03-19 2014-03-19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2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612A (ko) * 2016-03-29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변형형상이 유지되는 화장도구 및 그 제조방법
IT201600077961A1 (it) * 2016-07-25 2018-01-25 Pennelli Faro S R L Pennello per l’applicazione di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polverulenti, cremosi, liquidi o simili
KR102007621B1 (ko) * 2019-02-01 2019-10-08 박홍욱 손가락에 밀착되는 퍼프
KR20230124256A (ko) * 2022-02-18 2023-08-25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94U (ko) 2019-01-08 2020-07-17 (주)미성메탈 화장용 스펀지 퍼프
KR102341066B1 (ko) * 2021-03-23 2021-12-20 김준혁 세척이 용이한 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428Y1 (ko) * 2005-02-02 2005-04-20 화성화학 주식회사 휴대용 분첩용구
KR101177093B1 (ko) * 2012-04-17 2012-08-2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KR101221480B1 (ko) * 2012-11-12 2013-01-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퍼프 용구
US20130213428A1 (en) * 2012-02-22 2013-08-22 Stefany Di Manno Pony tail wra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428Y1 (ko) * 2005-02-02 2005-04-20 화성화학 주식회사 휴대용 분첩용구
US20130213428A1 (en) * 2012-02-22 2013-08-22 Stefany Di Manno Pony tail wrap
KR101177093B1 (ko) * 2012-04-17 2012-08-2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KR101221480B1 (ko) * 2012-11-12 2013-01-14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살균 및 발열 작용을 갖는 퍼프 용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612A (ko) * 2016-03-29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변형형상이 유지되는 화장도구 및 그 제조방법
IT201600077961A1 (it) * 2016-07-25 2018-01-25 Pennelli Faro S R L Pennello per l’applicazione di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polverulenti, cremosi, liquidi o simili
WO2018020341A1 (en) * 2016-07-25 2018-02-01 Pennelli Faro S.R.L. Brush for the application of fluid products, particularly for powdery, creamy, liquid products or the like
US11406173B2 (en) 2016-07-25 2022-08-09 Pennelli Faro S.R.L. Brush for the application of fluid products, particularly for powdery, creamy, liquid products or the like
KR102007621B1 (ko) * 2019-02-01 2019-10-08 박홍욱 손가락에 밀착되는 퍼프
KR20230124256A (ko) * 2022-02-18 2023-08-25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227B1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227B1 (ko) 화장용 퍼프
KR101672842B1 (ko) 인조 속눈썹용 어플리케이터
KR1010976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KR101551231B1 (ko) 손잡이를 구비한 퍼프
US9439495B2 (en) Compact having protrusible and retractable vibrating puff
CN109068839A (zh) 双重毛刷
KR101696279B1 (ko) 인조 속눈썹용 어플리케이터
KR101214048B1 (ko) 샘플 립스틱 용기
KR101232576B1 (ko)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 밴드 부착방법과 이에 따른 화장용 퍼프
KR200414548Y1 (ko) 속눈썹 펌 기구
KR101669241B1 (ko) 손잡이를 갖는 퍼프
KR200473105Y1 (ko) 화장용 퍼프
US20120151701A1 (en) Multifaceted scrubbing device
KR101568203B1 (ko) 손잡이를 구비한 화장용 퍼프
KR20046180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JP5189280B2 (ja) アイラインを引くための化粧用の補助具
KR102095804B1 (ko) 일회용 비닐장갑 결합체
KR200485511Y1 (ko) 화장용 기능성 퍼프
CN205233772U (zh) 化妆用工具
KR101918479B1 (ko) 기름종이가 내장된 퍼프
KR200478195Y1 (ko) 화장용 보조구
US7917987B2 (en) Air-injection type tool for scrubbing off the dirt on a body
KR101710237B1 (ko) 화장용 퍼프
KR20180015004A (ko) 화장품 퍼프
KR20180003314U (ko) 화장용 실리콘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