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7562A -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 Google Patents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562A
KR20150107562A KR1020140091719A KR20140091719A KR20150107562A KR 20150107562 A KR20150107562 A KR 20150107562A KR 1020140091719 A KR1020140091719 A KR 1020140091719A KR 20140091719 A KR20140091719 A KR 20140091719A KR 20150107562 A KR20150107562 A KR 20150107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radle
cover
connecting plate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4002929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43951A/en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102014014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227A/en
Priority to KR1020140153250A priority patent/KR20150053241A/en
Publication of KR2015010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562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세운 상태를 유지시켜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받침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펼쳐저 상기 스마트폰커버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상기 받침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받침부가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일 예로 개시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holder that can hold a smartphone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 combination with a smartphone to implement a smartphone holder.
A smartphone cover that, in combination with a smartphone, protects the smartphone from impact; A pedestal portion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martphone cover; And a connecting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unit, wherein the receiving unit supports the smartphone cover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martphone cover, The connecting plate connects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unit so that the receiving unit is restrained from being unfolded over a certain angle from the smartphone cover. When the receiving unit is folded to be close to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smartphone is folded and inserted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smartphone.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UPPORT DEVICE FOR SMARTPHONE}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가로 또는 세로로 세운 상태를 유지시켜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DMB시청 기능의 거치용도나 탁상용 거치 달력 거치용도나 탁상용 사진 앨범 거치용도로 이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mart phone holder that can be mounted with a smart phone to maintain a state where the smart phone is install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cradle for use as a calendar mounting application or a desktop photo album mounting application.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는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스마트폰 커버를 장착해서 사용하고 있다.Generally, a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 smartphone cover as a means of protecting the smartphone from impact.

한편, 상기한 스마트폰 커버와 함께,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DMB와 같은 미디어파일을 시청하기 위해 이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martphone holder that is used to view a media file such as a DMB by mounting a smartphone cover together with the smartphone cover.

이러한 스마트폰의 종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2-0004024호인 거치기능 및 삼각대가능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일면에 스마트폰을 홀딩할 수 있는 홀딩부가 마련되어 있고, 타면에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서포트; 하면에는 삼각대를 연결할 수 있는 삼각대 결합공이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딩부에는 스마트폰을 장시간 고정할 수 있는 hold hook가 설계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홀더 서포트의 기능을 할 수 있게 shaft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거치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편리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기능 및 삼각대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As a conventional prior art of such a smartphon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2012-0004024, which is a shelf function and a tripod capable smartphone protection case, is provided with a holding part capable of holding a smartphone on one side, A holder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holder; A holding hook for fixing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is designed in the holding part and a shaft is used for the function of a holder support on the other side And a mounting function and a tripod function are added to the apparatus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for a long time by adding a mounting function,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feels.

하지만, 이러한 종래 선행기술은 지지기능을 하는 홀더 서포트가 미끄러운 바닥면에 배치되어 자주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거나, 거치시 충격등에 의해 스마트폰의 무게중심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상황의 경우 스마트폰이 쓰러지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prior art, when a holder support having a supporting function is placed on a slippery floor surface and causes frequent sliding problems, or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martphone rapidly changes due to an impact upon mounting, Causing problems.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2-0004024호(2012. 06.08 공개)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2-0004024 (Released on June 06, 201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될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DMB시청 기능의 거치용도나 탁상용 거치 달력 거치용도나 탁상용 사진 앨범 거치용도로 이용시 거치대가 충격을 받은 경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which is combined with a smart phone to protect a smart phone from a shoc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phone holder that can support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when the holder is shocked when used for the purpos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받침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펼쳐저 상기 스마트폰커버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상기 받침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받침부가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holder for protecting a smartphone from shocks in combination with a smartphone. A pedestal portion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martphone cover; And a connecting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unit, wherein the receiving unit supports the smartphone cover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martphone cover, The connecting plate connects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unit so that the receiving unit is restrained from being unfolded over a certain angle from the smartphone cover. When the receiving unit is folded to be close to the smartphone cover, And is inserted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smartphone.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접철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는 덮개부로 구성되는 스마트폰커버; 및,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덮개부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서 젖혀지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펄쳐저 상기 본체부를 지지지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본체부의 하단과 상기 덮개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덮개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결판과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덮개부는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되, 상기 연결판은 상기 덮개부에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holder for a smartphone, the smartphone having a main body for protecting the smartphone from shocks in combination with the smartphone, A smartphone cover consisting of a covering lid; And a connecting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id, wherein the lid covers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Wherein the smartphone cover supports the main body 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connects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to restrain the cover part from being spread over a certain angle in the smartphone cover, When the lid part is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plate, the lid part is folded to cover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and the connection plate is superimposed on the lid part.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접철되도록 결합되는 받침부;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받침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판; 및, 상기 스마트폰커버와 상기 받침부 사이를 핀결합시켜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회동되도록 하는 핀결합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 펼쳐저 상기 스마트폰커버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스마트폰커버의 하단과 상기 받침부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부가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되, 상기 받침부가 접혀져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핀결합구를 기준으로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회전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장방향 가로면이나 길이방향 세로면 또는 스마트폰의 사선방향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holder for protecting a smartphone from shocks in combination with a smartphone. A pedestal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martphone cover so as to be folded; A connecting plat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unit; And a pin coupling unit for pinning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receiving unit so that the receiving unit is rotated on the smartphone cover; Wherein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smartphone cover by unfolding the smartphone cov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connection plate connects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martphone is folded and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part and the smartphone when the receiving part is fold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martphone cover, And is rotatable on the cover to selectively suppor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art phon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mart phone.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마트폰커버; 일단이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화돌기(3a)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동받침대; 및, 상기 스마트폰커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받침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압박판; 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받침대는 상기 스마폰커버에서 회동하여 상기 스마트폰커버와 접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커버와 포개지며, 포개진 상태에서 회동하여 선단 하부가 받침대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스마트폰커버에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화돌기(3a)가 회동하여 상기 압박판에 끼움결합되어 받침대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phone holder for protecting a smartphone from shocks in combination with a smartphone. A rotatable pedestal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martphone cover and formed with protruding fixing projections 3a; And a push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smartphone cover, the pushing plate being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voting pedestal; Wherein the pivotal pedestal is pivotally mounted on the smartphone cover to be folded with the smartphone cover so as to be superimposed on the smartphone cover and to pivot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ivotal pedestal functions as a pedestal, When the cover is pivoted, the fixing protrusion (3a) is pivoted and fitted to the pressing plate to maintain a pedestal func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스마트폰을 거치시 충격을 받은 경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의 스마트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a smart phone to protect a smart phone from impact, and when a user is shocked when the smart phone is struck, the supporting function of supporting the smart phone can be maintained, Function can be uti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받침대가 스마트폰커버에 포개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제1벨크로부 및 제2벨크로부를 부착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a는 스마트폰커버와 연결판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배면도이며, 도 5c는 스마트폰커버와 연결판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또 다른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d는 도 5c의 배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의 변형예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e는 도 6d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f는 도 6e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회동받침대를 두 개 구성한 상태의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변형예에 따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와 스마트폰 커버와 받침대가 연결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se of the smartphone stand shown in FIG. 2 is folded over the smartphone cover.
4A to 4D are right sid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ttaching the first Velcro part and the second Velcro part to the smartphone cradle shown in Fig.
FIG. 5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connecting plate in which the rotating fastener is installed, FIG. 5B is a rear view of FIG. 5A, and FIG. Fig. 5D is a rear view of Fig. 5C. Fig.
FIG. 6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cradle of FIG. 6A is unfolded, FIG. 6C is a side view of the smartphone cradle of FIG. 6D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dification of Fig. 6A, and Fig. 6E is a sid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cradle of Fig. And Fig. 6F is a rear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cradle of Fig. 6E is unfolded.
7 is a right sid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shown in Fig.
9 is a right sid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of the smartphone cradle shown in Fig. 9 with two pivotal supports.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in accordance with a varia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shown in Figures 1-3.
Figure 14 is a sid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enlarging a portion where a smartphone cover and a cradle are connected.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attached hereto.

먼저,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을 제외한 차이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or equivalent components will be omitted. The differences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will be emphas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거치대의 받침대가 스마트폰커버에 포개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shown in Fig. FIG. 3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se of the smartphone stand shown in FIG. 2 is superposed on a smartphone cov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스마트폰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1 to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holder includes a smartphone cover 1, a receiving portion 2, and a connecting plate 3.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이나 연성고분자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폰커버(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martphone cover 1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or a soft polymer resin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impacts and may be combined with a smart phone to protect the smart phone from impact. The smartphone cover 1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phone, as shown in the figure.

상기 받침부(2)는 고분자수지와 같은 강성재질로 구성되며,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와의 연결은 비닐과 같은 연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의 결합을 연성수지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receiving portion 2 is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a polymer resin and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martphone cover 1 at one end. 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ceiving unit 2 and the smartphone cover 1 may be made of a soft resin material such as viny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receiving unit 2 and the smartphone cover 1 is made of a soft resi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o.

상기 연결판(3)은 몸체의 일부분에 접철되는 영역이 형성되는 연성 또는 강성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받침부(2)의 타단과 연결된다.The connecting plate 3 is formed of a soft or rigid material having an area folded on a part of the body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part 2 do.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미사용시에 스마트폰커버(1)에서 받침부(2)가 회동하여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밀착된 형태로 사용되어진다.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eceiving unit 2 is rotated in the smartphone cover 1 at the time of non-use, the receiving unit 2 is rotated from the smartphone cover 1 It is used in close contact.

만약,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받침부(2)는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 펼쳐져 스마트폰커버(1)를 지지하게 된다.If the user intends to mount the smartphone, the receiving portion 2 is unfolded at a certain angle in the smartphone cover 1 to support the smartphone cover 1. [

이 경우, 연결판(3)은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받침부(2)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late 3 connect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unit 2 so that the receiving unit 2 is restrained from being spread over a certain angle in the smartphone cover 1 .

만약, 받침부(2)가 다시 접혀져 스마트폰커버(1)에 밀착되는 경우 받침부(2)와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된다.If the receiving portion 2 is folded back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martphone cover 1, it is folded and insert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2 and the smartphon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에 의해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연결판(3)이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기능을 더하고 있어, 스마트폰을 거치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의 휴대시에는 연결판(3)이 접철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지개 되므로 휴대성을 유지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martphone from being impacted by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connecting plate 3 can be held between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portion 2 So that the supporting function of supporting the smartphon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smartphone is shocked when the smartphone is stood. In case of carrying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use the portable telephone in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phone can be maintained. That is, the user can utilize all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while activating the function of mounting the smartphone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1벨크로부(4) 및 제2벨크로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velcro unit 4 and a second velcro unit 5.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제1벨크로부(4) 및 제2벨크로부(5)를 부착하는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4A to 4D are right sid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ttaching the first velcro portion 4 and the second velcro portion 5 to the smartphone cradle shown in Fig.

상기 제1벨크로부(4)는 도 4의 (b)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벨크로 결합이란 암벨크로와 숫벨크로를 부착시키는 것을 말하며, 본 실시예의 벨크로부는 암벨크로와 숫벨크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4 (b) and 4 (d), the first Velcro portion 4 is formed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 and the connecting plate 3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Velcro,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lcro fastening means attaching an arm velcro and a male velcro,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n arm velcro and a male velcro.

상기 제2벨크로부(5)는 도 4의 (a)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에 배치된다. 4 (a) and 4 (c), the second Velcro unit 5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ver 1 so that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connection plate 3 are connected by the Velcro, And the plate (3).

이와 같이, 제1벨크로부(4)는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키고, 제2벨크로부(5)는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킴에 따라, 벨크로결합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함으로써 스마트폰 기울기 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연결판(3)을 다양한 형태로 굽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second Velcro part 5 is provided between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connecting plate 3 so that the first Velcro part 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3, According to the velcro coupling,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elcro coupling, and the user can flexibly use the connection plate 3 in various forms as neede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한편, 연결판(3)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 경우, 제1벨크로부(4) 및 제2벨크로부(5)는 홀을 통해 각각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velcro portions 4 and 5 ar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portion 2 through the holes, respectively, .

도 5a는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배면도이고, 도 5c는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에 회전고정구를 설치한 또 다른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5d는 도 5c의 배면도이다.5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connection plate 3 with a rotary fastener installed thereon, FIG. 5B is a rear view of FIG. 5A, FIG. 5C is a side view of the smartphone cover 1, 3 is a right side view of still another state in which a rotating fastener is provided, and Fig. 5D is a rear view of Fig. 5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1회전고정구(6) 및 제2회전고정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otation fixture 6 and a second rotation fixture 7.

상기 제1회전고정구(6)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받침부(2)에서 회동되도록 하기 때문에 연결판(3)이 받침부(2)에 용이하게 포개지도록 하여 실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5 (a), the first rotary fixture 6 is formed by pin-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2 and the connecting plate 3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 rotates at the receiving portion 2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 is easily superimposed on the receiving portion 2, so that the moun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기 제2회전고정구(7)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커버(1)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스마트폰커버(1)에서 회동되도록 하기 때문에, 연결판(3)이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지도록 하여 실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5 (c), the second rotation fixture 7 is formed by pin-connecting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connection plate 3 so that the connection plate 3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ver 1, The connecting plate 3 is superimposed on the smartphone cover 1, so that the moun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이 경우, 연결판(3)은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기(3a)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연결판(3)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거치대의 유동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ng plate 3 is formed by protruding a rubber or silicone protrusion 3a at its lower portio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onnecting plate 3 is increased to minimize the fluidity of the smartphone holder .

또한, 받침부(2)는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출부(2a)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받침부(2)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거치대의 유동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portion 2 is formed by protruding a rubber or silicone protrusion 2a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upport portion 2 is increased to minimize the fluidity of the smartphone mount do.

이상과 같은 돌기(3a)와 돌출부(2a)는 이하에서 예시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otrusions 3a and the protrusions 2a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ll embodiments of the smartphone cradle exemplified below.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6d는 도 6a의 변형예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이고, 도 6e는 도 6d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6f는 도 6e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배면도이다.FIG. 6A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cradle of FIG. 6A is unfolded, FIG. 6C is a side view of the smartphone cradle of FIG. 6D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dification of Fig. 6A, and Fig. 6E is a sid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cradle of Fig. FIG. 6F is a rear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holder of FIG. 6E is unfolded.

도 6a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A and 6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cover 1 and a connection plate 3.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체부(1a)와, 본체부(1a)와 연결된 상태에서 접철되어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는 덮개부(1b)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스마트폰커버(1)는 지갑형 커버에 관한 예이다.The smartphone cover 1 includes a main body 1a for protecting the smartphone from impact and a cover 1b for cover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when the main body 1a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ver 1, . That is, the smartphone cover 1 exemplified in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a wallet-type cover.

상기 연결판(3)은 일단이 본체부(1a)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덮개부(1b)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The connecting plate 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a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id part 1b.

이러한 지갑형 스마트폰커버(1)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부(1b)로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어 스마트폰의 액정을 보호하게 된다.The wallet-type smartphone cover 1 protects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by cover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with the cover portion 1b in order to protect the smartphone by the user.

이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고자 하게 되면, 사용자는 덮개부(1b)를 젖히고, 덮개부(1b)를 본체부(1a)에서 일정각도 이루도록 지지하여 배치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tries to mount the smartphone, the user tilts the lid part 1b and arranges the lid part 1b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body part 1a.

이때, 연결판(3)은 본체부(1a)의 하단과 덮개부(1b)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덮개부(1b)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late 3 connect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a and the lower end of the lid unit 1b, so that the lid unit 1b is restrained from being extended beyond a certain angle in the smartphone cover 1. [

따라서, 사용자는 본 실시예의 지갑형 스마트폰커버(1)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use the smartphone by using the smartphone holder having the wallet-type smartphone cov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다음, 사용자는 덮개부(1b)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고자 하고자 하여, 덮개부(1b)와 연결판(3)과의 연결을 해제시키게 되고, 이 경우, 덮개부(1b)는 회동하여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게 되며, 이때 연결판(3)은 덮개부(1b)에 포개지게 되기 때문에, 거치기능의 해제시에 스마트폰의 휴대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user desires to cover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using the lid portion 1b, thereby disconnecting the lid portion 1b from the connection plate 3. In this case, the lid portion 1b The connection plate 3 is covered with the lid part 1b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protected from impact while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portability of the smartphone when the mounting function is canceled .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3벨크로부(8) 및 제4벨크로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martphone crad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velcro portion 8 and a fourth velcro portion 9.

상기 제3벨크로부(8)는 본체부(1a)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본체부(1a)에 배치되어 결합된다.The third Velcro portion 8 is dispose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1a so that the main body 1a and the connecting plate 3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Velcro.

상기 제4벨크로부(9)는 덮개부(1b)와 연결판(3) 사이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덮개부(1b)와 연결판(3) 사이에 배치된다.The fourth Velcro portion 9 is disposed between the lid portion 1b and the connecting plate 3 so that the lid portion 1b and the connecting plate 3 are connected by the Velcro.

이와 같은 제3벨크로부(8)는 제4벨크로부(9)는 벨크로 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벨크로 겹합되는 각 구성들이 탈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벨크로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거치시에 스마트폰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Since the fourth Velcro unit 9 is made of Velcro, the third Velcro unit 8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unit, thereby improving the portability,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lacement angle of the smartphone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3회전고정구(10) 및 제4회전고정구(11)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rotary fixture 10 and a fourth rotary fixture 11.

상기 제3회전고정구(10)는 본체부(1a)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본체부(1a)에서 회동되도록 하게 된다.The third rotating fastener 10 is pin-coupled between the main body 1a and the connecting plate 3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 is rotated by the main body 1a.

상기 제4회전고정구(11)는 덮개부(1b)와 연결판(3) 사이를 핀결합시켜 연결판(3)이 덮개부(1b)에서 회동하도록 하게 된다.The fourth rotary fastener 11 is engaged with the lid part 1b and the connecting plate 3 by a pin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 is rotated by the lid part 1b.

이와 같은 제3회전고정구(10) 및 제4회전고정구(11)는 연결된 각각의 구성들이 각각의 핀결합된 위치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각 구성들을 회동구동에 의해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third rotary fixture 10 and the fourth rotary fixture 11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nected thereto are rotated based on the respective pin-coupled positions, so that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easily arranged by the rotary drive, .

즉, 상기 스마트폰의 덮개기능과 받침기능을 하는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3)은 연결판(3)을 펼쳤을 때 연결판(3)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며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3) 상부에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키면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onnecting plate 3 connected to one of the two of the cradle receiving unit and the cover directly behind the smartphone, which functions as a lid and a support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And a lower end of the other side is formed of a velcro tape, a rubber, a silicone, a support protrusion, or the like so as to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3 If it is arranged at an arbitrary position, it is combined by gravity, friction force, or fastening forc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7 is a right sid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연결판(3) 및, 핀결합구(12)를 포함한다.7,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cover 1, a receiving portion 2, a connecting plate 3, and a pin coupling hole 12. As shown in FIG.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폰커버(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martphone cover 1, in combination with a smartphone, protects the smartphone from impact. Since the smartphone cover 1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description.

상기 받침부(2)는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에 접철되도록 결합된다. 이 경우, 받침부(2)는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되, 핀결합구(12)가 위치 주변의 구간이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연성구간을 형성하여 연성구간을 기준으로 접철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커버(1)에는 받침판(13)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판(13)은 핀결합구(12)에 의해 받침부(2)와 함께 핀결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커버(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 is coupled to the smartphone cover 1 so that one end thereof is folded back. In this case, the receiving portion 2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the pin coupling hole 12 may be folded on the basis of the soft section by forming a soft section formed of a soft material in a portion around the position. Here, the smartphone cover 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13, and the support plate 13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ver 1 As shown in Fig.

상기 연결판(3)은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받침부(2)의 타단과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판(3)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설명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판(3)은 스마트폰커버(1)에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판(13)과 같은 추가 구성이 있는 경우 받침판(13)과도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ng plate 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unit 2. [ Since the connecting plate 3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late 3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cover 1 as well as to the support plate 13 in the case of additional configurations such as the support plate 13. [

상기 핀결합구(12)는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를 핀결합시켜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회동되도록 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핀결합구(12)는 받침부(2) 뿐만 아니라, 받침판(13)을 스마트폰커버(1)를 핀결시킬 수 있다.The pin coupling member 12 is engaged with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unit 2 by a pin so that the receiving unit 2 is rotated on the smartphone cover 1.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in fitting 12 can pin the smartphone cover 1 as well as the receiving plate 2 as well as the receiving plate 13.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거치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받침부(2)는 연성구간으로 기준으로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 접혀져 스마트폰커버(1)를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smartphone cradl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to be used, the cradle portion 2 can support the smartphone cover 1 by being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martphone cover 1 on the basis of the soft section.

이때, 연결판(3)은 스마트폰커버(1)의 하단과 받침부(2) 하단 사이를 연결하여 받침부(2)가 스마트폰커버(1)에서 일정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함으로써, 연결판(3)에 의해 받침부(2)가 일정각도를 유지하면서도 충격등에 의해 받침부(2)가 다시 접혀지는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스마트폰의 거치기능에 안정성을 더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late 3 connect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unit 2, thereby restricting the receiving unit 2 from being extended beyond a certain angle in the smartphone cover 1, The plate 3 prevents a phenomenon in which the receiving unit 2 is folded back by an impact while maintaining the receiving unit 2 at a certain angle, thereby adding stability to the function of mounting the smartphone.

만약,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받침부(2)를 접고자하여 받침부(2)가 접혀저 스마트폰커버(1)에 밀착되는 경우, 연결판(3)은 받침부(2)와 스마트폰 사이에 접철되어 삽입되어 스마트폰의 휴대성을 저해시키는 요소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If the support portion 2 is fold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 smartphone cover 1 in order to fold the support portion 2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connection plate 3 is hel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 and the smart phone So that elements that impede the portability of the smartphone are not generated.

나아가, 받침부(2)는 핀결합구(12)를 기준으로 스마트폰커버(1)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장방향 가로면이나 길이방향 세로면 또는 스마트폰의 사선방향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receiving portion 2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smartphone cover 1 with respect to the pin fitting 1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eiving portion 2 from rot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art phone,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supported.

이 경우,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5벨크로부(14)와 제6벨크로부(15) 및 결합구(1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martphon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fifth hook portion 14, a sixth hook portion 15, and a coupling portion 15a.

상기 제5벨크로부(14)는 연결판(3)과 스마트폰커버(1)가 벨크로결합되도록 연결판(3)과 스마트폰커버(1) 사이에 결합된다.The fifth Velcro part 14 is coupl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3 and the smartphone cover 1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 and the smartphone cover 1 are connected by the Velcro.

상기 제6벨크로부(15)는 연결판(3)과 받침부(2)가 벨크로결합되도록 연결판(3)과 받침부(2) 사이에 결합된다.The sixth Velcro unit 15 is coupl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3 and the receiving unit 2 such that the connecting plate 3 and the receiving unit 2 are coupled by Velcro.

상기 결합구(15a)는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가 벨크로결합되도록 받침부(2)와 스마트폰커버(1)와 결합된다.The coupling part 15a is engaged with the receiving part 2 and the smartphone cover 1 so that the receiving part 2 and the smartphone cover 1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velcro.

이러한 제5벨크로부(14) 및 제6벨크로부(15)에 의해 연결판(3)은 벨크로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스마트폰 거치시에 받침부(2)의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대로 조절할 수 있고, 휴대시에 탈착가능하게 분리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plate 3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ing part 2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elcro coupling by the fifth and sixth Velcro parts 14 and 15, So that it is detachably detachable at the time of carrying, and the port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제7벨크로부(16) 및, 제8벨크로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phone crad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velcro unit 16 and an eighth velcro unit 17.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이다.8 is a rear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shown in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제7벨크로부(16)는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켜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되고, 제8벨크로부(17)는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 사이를 벨크로 결합시켜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제6벨로크부(16)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구성된다.8, the seventh Velcro portion 16 of the smartphone crad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a Velcro engagement between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portion 2 to form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portion 2 And the eighth velcro portion 17 detachably attaches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portion 2 by connecting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portion 2 by a Velcro coupling And is disposed apart from the sixth bellows portion 16.

이와 같은 제7벨크로부(16) 및, 제8벨크로부(17)에 의해 스마트폰 거치대는 받침부(2)를 스마트폰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 선택적으로 배치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By the seventh Velcro portion 16 and the Eighth Velcro portion 17, the smart phone holder can be selectively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user .

나아가,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판(3)의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기(3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2)의 하부에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출부(2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urther, the smartphone hold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rubber or silicone protrusion 3a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3,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jecting portion 2a of the material may be formed by protruding.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9 is a right sid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회동받침대(19) 및, 압박판(20)을 포함한다.9,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cover 1, a rotation support 19, and a pressing plate 20. As shown in FIG.

상기 스마트폰커버(1)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러한 스마트폰커버(1)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본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martphone cover 1 is combined with a smart phone to protect the smart phone from impact. Since the smartphone cover 1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상기 회동받침대(19)는 일단이 스마트폰커버(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화돌기(19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회동받침대(19)와 스마트폰커버(1) 사이에는 제9벨크로부(21)가 더 구성되어 회동받침대(19)와 스마트폰커버(1)를 벨크로 결합시킬 수 있다.One end of the rotation support 1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fixing projection 19a is protruded. A nineteenth Velcro part 21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support 19 and the smartphone cover 1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19 and the smartphone cover 1 can be connected by Velcro.

상기 압박판(20)은 상기 스마트폰커버(1)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받침대(19)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pressing plate 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martphone cover 1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pedestal 19.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경우에 회동받침대(19)를 회동시켜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진 상태로 이용하다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자 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커버(1)에 포개진 회동받침대(19)를 회동시켜 회동받침대(19)의 선단 하부가 받침대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고, 이 경우, 회동받침대(19)의 고정화돌기(19a)가 회동하여 압박판(20)에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됨으로써, 받침대기능을 유지하여 거치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smartphone cradl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when the user carries the smartphone, the user rotates the cradle 19 to use the cradle in a state where it is folded on the smartphone cover 1, The lower end of the turnable pedestal 19 realizes a pedestal function by rotating the turnable pedestal 19 held on the cover 1 so that the immovable pedal 19a of the turnable pedestal 19 is rotated, (20) so as to hold the function of the pedestal, thereby realizing a mounting func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회동받침대(19)를 두 개 구성한 상태의 배면도이다.Fig. 10 is a rear view of the smartphone cradle shown in Fig. 9, in which two rotating cradles 19 are provid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받침대(19)는 두 개로 구성되되, 스마트폰 커버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각각에 배치되고, 압박판(20)도 두 개로 구성되되, 두 개 회동받침대(19)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rotating support 19 is formed of two pieces, and is arranged in eac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cover. The pressing plate 20 is also formed of two pieces, ). ≪ / RTI >

이와 같이, 회동받침대(19)와 압박판(20)은 스마트폰커버(1)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각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대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 거치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모는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ivotal support 19 and the pushing plate 20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pedestal fun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martphone cover 1, respectively, so that both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martphone's driving function by using the mounting function.

한편,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압박체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압박체는 회동받침대(19)의 핀결합되는 지점을 압박하여 사용자의 의해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ing body presses the point where the rotation support 19 is pin-coupled to the user's body, Thereby maintaining the angle adjusted by the angle.

이 경우, 상기 압박체는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삽입되는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삽입되는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시키되 상기 볼트에 와셔를 삽입하는 것;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ㅜ"자 형의 제1끼움체와 "ㅛ"자 형의 제2끼움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 상기 스마트폰커버(1)와 상기 회동받침대(19)가 핀결합되는 지점에 "ㅜ"자 형의 제1끼움체와 "ㅛ"자 형의 제2끼움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제1끼움체와 상기 제2끼움체에 돌기부를 돌출시켜 끼움결합시키는 것;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essing body is formed by inserting a bolt inserted at a point where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otating support 19 are pin-coupled, and coupling the nut to the bolt. And inserting a bolt inserted into a point where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otatable pedestal (19) are pin-coupled, thereby inserting a nut into the bolt, and inserting a washer into the bolt; A first fitting having a "U" shape and a second fitting having a "U" shape are inserted and coupled to a point where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otation support 19 are pinned; A first fitting body having a "U" shape and a second fitting body having a "ㅛ" shape are inserted and coupled to a point where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otary support 19 are pin-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the second fitting body; ,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cover 1, a receiving portion 2, , And a connecting plate (3).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연결판(3)이 거치대 받침부(2)와 부착되지 않고 스마트폰의 커버(1)에서 연결되어 형성되며, 연결판(3)의 거치대 받침판(2)이 닿는 부분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 받침판(2)의 받침돌기(51)를 형성한다.The smartphone stand is form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plate 3 with the cover 1 of the smartphone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holder receiving portion 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3 contacting with the receiving stand plate 2 of the connecting plate 3 Thereby forming the receiving projections 51 of the at least one mount receptacle receiving plate 2.

이 경우, 거치대 받침판(2)은 연결판(3)의 받침돌기(51) 단부에 밀착되는데, 이 경우, 받침돌기(51)는 고무판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거치대 받침판(2)의 하단이 고무판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거치대 받침판(2)이 받침돌기(51)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거치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destal support plate 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support projection 51 of the connection plate 3. In this case, the support projection 51 is formed of a non-slip material such as a rubber plate, And the lower end is formed of a non-slip material such as a rubber plate, so that the tilting of the cradle can be adjusted by preventing the cradle-supporting plate 2 from slipping by the cradle 51.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로써, 도 11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martphone cradle shown in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한다.12,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cover 1, a receiving portion 2, and a connecting plate 3. As shown in Fig.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는 연결판(3)이 받침부(2)에 부착되는 경우로써, 연결판(3)이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향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받침돌기(51)를 이용하여 거치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The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the connection plate 3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ion 2 and the connecting plate 3 is configured to face the front portion of the smartphone, 51) can be used to adjust the tilt of the cradle.

도 13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변형예에 관한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smartphone hold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3의 스마트폰커버(1), 받침부(2) 및, 연결판(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연결판(3)에는 홀(3b)이 더 형성되고, 받침대(2)에도 홀(3c)이 더 형성되며, 이 경우, 연결판(3)과 받침대(2)의 접철시에 맞닿는 면 각각에는 벨크로부(3a)가 더 형성된다.13,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martphone cover 1, the receiving portion 2, and the connecting plate 3 of Figs. 1 to 3 The hole 3b is further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3 and the hole 3c is further formed in the pedestal 2. In this case, Each of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velcro portion 3a.

이와 같은 스마트폰 거치대는 받침대(2)의 중간부위가 접철되어 연결판(3)이 접철되는 경우, 연결판(3)과 받침부(2)의 벨크로부(3a)들이 각각의 홀을 통과하여 벨크로 결합됨으로써, 연결판(3)이 포개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intermediate plate of the pedestal 2 is folded and the connecting plate 3 is folded, the connecting plate 3 and the velcro portions 3a of the receiving portion 2 pass through the respective holes So that the connecting plate 3 is maintained in a collapsed state.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로써, 도 1 내지 도 3의 스마트폰커버(1) 및 받침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14 is a sid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smartphone cover 1 and a receiving portion 2 of FIGS. 1 to 3.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전술한 연결판(3)의 구성없이 스마트폰의 지지기능을 구현하게 되며, 이 경우, 받침부(2)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질의 돌출부(2a)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받침부(2)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스마트폰 거치대의 유동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upport portion 2 is formed by protruding portions 2a of rubber or silicone protruding from the base portion 2, The fluidity of the smartphone cradle can be minimized even whe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ortion 2 is increased to receive the impact.

또한, 도 15를 더 참조하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스마트폰커버(1)와 받침부(2)가 연결되는 부위에 회동가능한 끼움결합체를 형성하여 받침부(2)가 끼움결합되는 부위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대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핀결합체의 단면도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결합체는 "ㅜ"자형 결합구(55), 상기 "ㅜ"자형 결합구(55)의 중앙 돌출부에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ㅜ"자형 결합구(55)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ㅛ"자형 결합구(56), "ㅜ"자형 결합구(55)와 "ㅛ"자형 결합구(56)가 교차되는 부위를 관통하는 볼트(53), 볼트(53)에 나사결합되며 "ㅛ"자형 결합구(56)에 밀착되어 압박하는 너트(54) 및, "ㅜ"자형 결합구(55)와 "ㅛ"자형 결합구(56) 사이에 삽입되어 "ㅜ"자형 결합구(55)와 "ㅛ"자형 결합구(56)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와셔(57)를 포함한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cover 1 shown in Fig. 14, in which a rotatable fitting member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martphone cover 1 and the receiving unit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15 is a sectional view of a pin coupling body which implements the function of the support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in. As shown in Fig. 15, the pin coupling body includes a " Shaped engagement member 56, the " T "-shaped engagement member 55 and the" -shaped engagement member 56 ", which are disposed opposite to the " A nut 54 which is screwed to the bolt 53 and ur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ㅛ-shaped coupling hole 56 and a "-shaped coupling hole 55, And a washer 57 inserted between the " ㅛ "-shaped fittings 56 to provide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shaped fittings 55 and the ㅛ-shaped fittings 56.

이러한 핀결합체는 너트(54)를 조여지는 경우에 "ㅜ"자형 결합구(55)와 "ㅛ"자형 결합구(56) 사이를 압박하여 마찰력을 증사시킴으로써, 받침대(2)가 회동하여 특정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 받침대(2)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받침대(2)의 기울기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nut 54 is tightened, such a pin combination presses between the "? "-Shaped fitting 55 and the"? -Shaped fitting 56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pedestal 2 rotates, The user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pedestal 2 at an arbitrary angle by using the pedestal 2 not to be inclined.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은 각각의 기술적 특징들의 일부들을 서로 간에 접목시켜 구현하거나, 복합적으로 융합시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by combining some of the technical features with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them.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들의 각 세부 기술적 특징들이나, 각 세부 기술적 특징들이 조합되어 상기 실시예들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청구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ed broadly in ligh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technical features of the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technical features may be combined.

즉,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스마트폰커버 2 ; 받침부
3 ; 연결판 4 ; 제1벨크로부
5 ; 제2벨크로부 6 ; 제1회전고정구
7 ; 제2회전고정구 8 ; 제3벨크로부
9 ; 제4벨크로부 10 ; 제3회전고정구
11 ; 제4회전고정구 12 ; 핀결합구
13 ; 받침판 14 ; 제5벨크로부
15 ; 제6벨크로부 16 ; 제7벨크로부
17 ; 제8벨크로부 18 ; 연결판고정막대
19 ; 회동받침대 20 ; 압박판
One ; Smartphone cover 2; [0030]
3; Connecting plate 4; The first Velcro part
5; The second Velcro part 6; The first rotating fixture
7; A second rotary fixture 8; Third Velcro part
9; A fourth velcro portion 10; The third rotating fixture
11; A fourth rotary fixture 12; Pin coupler
13; Foot plate 14; Fifth Velcro part
15; A sixth velcro member 16; Seventh Velcro part
17; Eighth Velcro part 18; Connecting plate retainer bar
19; A rotating base 20; Pressure plate

Claims (25)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트폰 커버의 윗 부분이 스마트폰의 커버에 부착되며 윗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되는 거치대 받침부; 및,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거치대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가운데가 접혀져서 2개로 접철되며 연결판의 다른 쪽은 스마트폰의 하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In the cradle of a smartphone,
A cradl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smartphone cover is attached to the cover of the smartphone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folded and unfolded; And
And a cradle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is folded in two in the middl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mart phone.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폰폰과 결합되어 뒤로 젖혀지는 경우 받침부 기능을 구현하는 거치대 받침부;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이 연결판을 펼쳤을 때 연결판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은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판을 회동시켜 임의의 각도로 형성하는 경우,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In the cradle of a smartphone,
A cradle support unit which is combined with the smartphone phone and realizes a cradle function when the cradle is tilted backward;
And a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cradle support portion,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with a velcro tape, rubber, silicone, a receiving protrusion, or the like on a part of the connecting plate facing toward the sky when the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one of the two of the cover portion of the cradle- ,
When the connection plate is formed at an arbitrary angle by rotating the connection plate,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late is formed of a Velcro tape, a rubber, a silicone, a support protrusion, or the like so that the connection plate is coupled at an arbitrary angle by gravity, frictional force, The smartphone's cradle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스마트폰의 본체부와 액정을 덮는 덮개부로 형성되는 지갑형 스마트폰에 이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을 덮은 상태에서 젖혀지는 경우, 거치대기능을 하는 거치대 받침부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뒷면의 커버에는 연결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덮개기능과 받침기능을 하는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이 연결판을 펼쳤을 때 연결판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며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 상부에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키면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 A smartphone holder for use in a wallet-type smartphone formed of a main body of a smartphone and a cover covering the liquid crystal,
The cover part is formed as a cradle support part that functions as a cradle when the cradle covers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The cover of the back side of the smartphone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late,
When the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one of the two of the cradle receiving unit and the cover on the back of the smartphone, which functions as a lid and the support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is extended, a velcro tape, rubber, A lower end of the other side is formed of a Velcro tape, a rubber, a silicone, a support protrusion or the like so that the inclination can be freely adjus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and when it is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gravity, frictional force, And the like.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받침부와 스마트폰의 바로 뒷면의 커버의 둘 중의 일측에서 핀결합하여 연결되는 연결판은 고정이 된 상태에서 옆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회전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rotation fixture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so as to be rotatable sideways in a fixed state.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커버의 거치대 바닥면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며, 상부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접철되는 거치대 받침부; 및,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은 가운데가 접혀져서 2개로 접철되며,
상기 연결판의 또 다른 면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바닥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In the cradle of a smartphone,
A cradle suppor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of a cradle of the smartphone cover, the cradle portion being folded up so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is folded and unfolded;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 RTI >
The connecting plate is folded in two in the middl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rtphone hol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또 다른 면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바닥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맨 밑의 바닥면과 연결판과 연결되는 거치대 받침부의 윗 부분은 바닥면이 거치대 윗 부분보다 위에 있게 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에만 스마트폰의 커버와 핀결합하여 회전고정축을 더 형성하는 것 또는,
상기 바닥면이 거치대 윗 부분과 일치하여 거치대 아래의 바닥면에 스마트폰의 커버와 핀결합하여 회전고정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rtphone hol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rtphone cradl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radle receiv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ar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rtphone with the cover of the smartphone in a state where the bottom surface is above the top of the cradle, Forming,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is coincident with the top of the base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below the base to be engaged with the cover of the smartphone to form a rotation fixing shaft.
제 1항 내지 제 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와 연결되는 상기 거치대 연결판을 두 개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판이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판이 연결되는 부위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져 연성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연성구간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radle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cover of the smartphone is composed of two pieces,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is made of a rigid material, and a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is made of a soft material to form a soft section,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is folded on the basis of the soft section.
제1항 내지 제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연결판과 상기 거치대 받침부는,
스마트폰의 가로면과 세로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세워지며, 가로면으로 세워지는 경우 거치대를 펴서 세로로 세워도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거치대의 형성 위치와 크기를 정하거나,
상기 거치대가 세로로 세워지는 경우, 거치대의 옆면이 사선이 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거치대를 펴서 가로로 세워도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거치대의 형성 위치와 크기를 정하거나,
상기 거치대가 가로로 세워지는 경우, 상기 거치대의 옆면이 사선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radle connecting plate and the cradl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radl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cradle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even when the cradle is extended vertically when the cradle is er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cradle is vertically erected, the side surface of the cradle may be formed to be diagonal, or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radl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cradle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even when the cradle is laid horizontally,
Wherein a side surface of the cradle is formed to have a diagonal line when the cradle is disposed horizontally.
제 1항 내지 제 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양쪽에 또는 거치대 단부의 돌출된 일측과 스마트폰의 커버의 양쪽에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된 부분의 일측과 스마트폰의 커버 양쪽에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결합구가 형성되어 벨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Such as a Velcro tape, on both sides of the cover of the smartphone, on one side of the cover of the smartphone, on both sides of the cover of the smartphone, on both sides of the cover of the smartphone, And is connected to the velcro.
제 1항 내지 제 5항과 제 7항 및 제 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연결판과 상기 거치대 받침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가로면 위에 세로면이 형성되거나 세로면위에 가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7, and 9,
The cradle connecting plate and the cradle-
Wherein a vertical surface is form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martphone or a horizontal surface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제 6항에서 있어서,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가로면의 하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세로면 하부에는 벨크로 테이프등 결합구가 양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7. The method of claim 6,
And a Velcro tape or the lik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cradle receiving unit, the lower side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cover of the smartphone,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martphone.
스마트폰의 커버를 구비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에 거치대에 거치대의 고정화 돌기가 스마트폰에 가까운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커버에는 상기 고정화 돌기와 압박되어 지지대를 압박하는 압박판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 커버의 지지대는 거치대 고정 회전축의 형성되어, 상기 고정 회전축의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In a cradle of a smart phone having a cover for a smart phone,
Wherein a fixing protrusion of a cradle is formed on an end portion of the cover of the smart phone near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late that is pressed by the fixing protrusion to press the supporting plate,
Wherein a support base of the smartphone cover is formed with a stationary rotation axis and rotates around a connection pin of the stationary rotation axi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의 커버와 상기 스마트폰 지지대의 단부에는 벨크로테이프등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Velcro tape or the like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ver of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support.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에 거치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은 "ㅜ"자 결합구가 구성되고 한 쪽은 "ㅛ"자 결합구가 구성되어 서로간에 삽입되되, 각각의 중심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에는 볼트가 구성되고, 다른쪽에는 너트식의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상기 "ㅜ"자 결합구와 상기 "ㅛ"자 결합구를 조이거나,
상기 "ㅜ"자형 결합구나 "ㅛ"자형 결합구가 맞물리는 부위에 중심축형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ㅜ"자 결합구와 "ㅛ"자 결합구가 상기 중심축형 돌기에 의해 빡빡하게 맞물리도록 하거나, 상기 중심축형 돌기가 형성되는 반대 쪽은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ㅛ"자형 결합구를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를 조여 상기 너트와 마찰력에 의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In the cradle of a smartphone,
When a cradle is formed on the cover of the smartphone, one of the main body or the cradle of the smartphone has a " A hole is formed in each central portion, a bol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r the cradle of the smartphone, and a nut type screw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screwed through the hole to form the " And the above-mentioned "
The central axis protrusion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haped coupling or"? -Shaped coupling hole is engaged so that the "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ral axial projection and a nut is inserted into the hole so that the angle of the holder is freely adjust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nut. The cradle of.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에 거치대가 형성될 때에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은 "ㅜ"자 결합구를 형성하고, 한 쪽은 "ㅛ"자 결합구를 형성하여 서로 간에 삽입결합하고, 그 각 각의 가운데는 구멍을 형성하여 중심축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ㅜ"자 결합구가 상기 "ㅛ"자 결합구에 삽입되는 부분이 모가나 있거나 돌기등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거치대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에는 볼트와 너트식의 나사가 형성하되, 상기 "ㅜ"자 결합구가 상기 "ㅛ"자 결합구의 구멍을 통해 상기 볼트와 나사가 나사결합하여 조여지는 부분의 마찰력에 의하여 거치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In the cradle of a smartphone,
When the cradle is formed on the cover of the smartphone, one of the main body of the cover or the cradle of the smart phone forms a " tie " And the center of each of the holes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penetrate the central axis, and a portion where the "?" Coupl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 The holder may be fixed,
Wherein a bolt and a nut type screw are formed on one side of a main body or a cradle of the smartphone cover, and the "tie" connector is tightened by screwing the bolt and the screw through a hole of the " Wherein the angle of the cradle is freely adjust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art.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의 본체 또는 거치대의 한 쪽에 조여지는 부분의 "ㅗ"자형 결합구와 "ㅠ"자형 결합구의 접촉 부분등에는 스프링 와셔나 혀붙이 와셔 또는 이붙이 와셔등의 와셔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A washer such as a spring washer, a tongue washer, or an adhesive washer is further formed 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 ㅗ "-shaped fitting in the main body of the cover of the smart phone or on the one side of the cradle Features of the smartphone crad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이 스마트폰이나 덮개부의 전체 부분 중에서 일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in only one portion of the entire portion of the smart phone or the cover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세로 부분의 거치대가 덮개부의 내측에 윗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되는 거치대 받침부를 형성하며 거치대 받침부의 하부는 거치대 연결판과 연결되며 연결판은 가운데가 접혀져서 2개로 접철되며 연결판의 다른 쪽은 스마트폰의 덮개부의 내측 하부와 연결되거나 덮개부의 내측에 윗 부분이 접혔다가 펼 수 있게 되는 거치대 받침부를 형성하며 거치대 받침부가 뒤로 젖히면 거치대 받침부가 되며 연결판은 거치대 받침부와 스마트폰의 덮개부의 내측의 하부의 둘 중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판이 연결판을 펼쳤을 때 연결판의 하늘로 향하는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이 형성되며 다른 측의 하단부가 벨크로테이프나 고무, 실리콘이나 받침돌기등으로 형성되어 연결판 위의 임의의 각도로 놓으면 중력과 마찰력,또는 체결력등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rt of the cradle is folded into two, and the lower part of the cradle rest part is connected to the cradle connect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cover of the smart phone or forms a cradle support part which is folded on the inner side of the lid part so that the upper part is folded and the cradle support part is pushed back, When the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one of the two lower inner sides of the lid is extended, a velcro tape, rubber, silicon or a suppor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onnecting plate toward the sky,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is made of a Velcro tape, Or a support protrusion or the like, and is placed at an arbitrary angle on the connection plate, gravity and frictional force, or fastening And is joined at an arbitrary angle by a force or the like.
제 3항과 제 17항 및 제 1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부분의 거치대의 덮개부의 내측 하부와 거치대의 받침대의 단부에는 벨크로 테이프등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19.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17 and 18,
Wherein a coupling portion such as a Velcro tape is formed and coupl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lid portion of the vertical stand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pedestal of the stand.
제 1항,5항,6항,7항,8항,9항,10항 및,1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할 때 연결판 단부의 가운데를 절단하고 그 절단된 부분을 통하여 거치대 받침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스마트폰의 본체나 덮개부의 내부 하부등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등등에 체결구를 결합시키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6, 7, 8, 9, 10 and 18,
A Velcro tap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r the lid of the smartphone, etc., and the like; And a fastener is coupled to the fastener.
제 2항,3항,4항,7항,8항,9항,10항,17항,18항,1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받침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이 포개질 때 상기 연결판이 부착된 거치대의 받침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의 연결판의 단부가,
상기 거치대의 받침부나,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의 닿는 부위의 연결판 단부나, 상기 거치대의 받침부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커버등 가운데 어느 하나에 닿는 경우 각각의 닿는 부위에 벨크로 결합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 3, 4, 7, 8, 9, 10, 17, 18, 19,
Whe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radle and the cover of the smartphone are covered, the end of the cradle with the connecting plate or the connecting plate such as the cover of the smartphone,
A cas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radle, the connecting plate end of the cradle of the smartphone or the cover of the cradle, the cradle of the cradle, or the cover of the smartphone touches the cradle, Features of the smartphone cradle.
일반 스마트 폰의 거치대 받침부와 지갑형 스마트 폰의 지갑에 해당되는 뚜껑이 거치대 받침부가 됨으로써, 상기 연결판 없이 상기 거치대 받침부의 하단이 고무판등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되어서 거치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The lid of the holder of the general smartphone and the lid of the wallet of the wallet type smart phone are provided with a holder support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holder holder can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rubber plate, Which is a feature of the smartphone.
제 1항 내지 제 22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원래의 스마트폰의 커버에 형성되거나, 스마트폰의 원래의 커버의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2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2,
Wherein the cradle is formed on a cover of the original smartphone or is formed on a cover of the original cover of the smartphone.
제 12항 내지 제 16항, 제 22항 및 2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스마트 폰의 세로면만 또는 가로면만 또는 세로면과 가로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
22.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2 to 16, 22, and 23,
Wherein the cradle is formed only on the vertical or horizontal side of the smartphone or on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ides of the smartphone.
제 1항 내지 제 2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의 거치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거치대를 형성할 때에 커버 전체에 요철이 생기지 않도록 커버의 두께 내에서 거치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의 거치대.
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4,
In forming the cradle of the smartphone,
Wherein a cradle is form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cover so that unevenness does not occur on the entire cover when the cradle is formed on the cover.
KR1020140091719A 2013-11-06 2014-07-21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Pending KR2015010756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185A KR20150053227A (en) 2013-11-06 2014-10-16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1020140153250A KR20150053241A (en) 2013-11-06 2014-11-06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96 2014-03-13
KR20140029296A KR20150043951A (en) 2013-10-13 2014-03-13 Smartphone supp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62A true KR20150107562A (en) 2015-09-23

Family

ID=5425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719A Pending KR20150107562A (en) 2013-11-06 2014-07-21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56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5259A (en) * 2018-07-25 2018-12-14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Portable communication appts
KR20220100238A (en) * 2021-01-08 2022-07-15 최정욱 Handy terminal c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5259A (en) * 2018-07-25 2018-12-14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Portable communication appts
KR20220100238A (en) * 2021-01-08 2022-07-15 최정욱 Handy terminal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8866B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9267641B2 (en) Multimedia device stand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20140076748A1 (en) Device for storing tablet computer and support the same in at least two erected/standing positions
JP2013522756A (en) Portable electronic product holder
CN210075327U (en) Mobile phone support capable of adjusting angle in multiple directions
TWI511564B (en) Flat support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KR101187753B1 (en) Cellular phone case
US20150346777A1 (en) Protective frame and stand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KR20150107562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50053241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50043964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067613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001515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60122035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023680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60131345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086996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0470994Y1 (en) Stand assembly for mobile
KR20160142201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018291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60113542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60058380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60119446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KR20160132304A (en) Support device for smart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4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Patent event date: 201407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