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6641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641A
KR20150106641A KR1020140028953A KR20140028953A KR20150106641A KR 20150106641 A KR20150106641 A KR 20150106641A KR 1020140028953 A KR1020140028953 A KR 1020140028953A KR 20140028953 A KR20140028953 A KR 20140028953A KR 20150106641 A KR20150106641 A KR 20150106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put
user
screen
displa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주윤
김윤수
신은미
조형래
진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641A/en
Publication of KR2015010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64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을 가지며, 화면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캡쳐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화면 영역보다 큰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1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하며,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2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하여, 시작점과 종료점에 기초한 캡쳐 영역에 대해 이미지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미지를 캡쳐함에 있어 화면 영역에 표시된 부분과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을 결정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함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영역도 함께 캡쳐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having a scree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ing an image in a screen area; An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in a screen area; Displaying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determining a starting point of the capture region according to a first input of the user for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determining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in a screen area and to determine an end point of the capture area according to a second input of the user for the second part of the image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for the capture area based o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
Accordingly, in capturing an image, a capture reg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on a portion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and a portion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and a capture image is generated, thereby capturing an area no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nabling a display devic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00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에 대해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a captured image for a partial area of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종래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는 방법으로, 화면에 보이는 부분을 그대로 화면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모바일 장치에서 웹(Web) 상의 정보들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화면에 나타나고 있는 것을 그대로 화면 캡쳐(capture)하여 저장하는 것이 일반화된 정보기록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on a screen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generally performed by capturing and storing the portion of the screen as it is. Also, when a mobile device wants to record information on the web, it is also used as a generalize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 which a screen is captured and stored as it is.

하지만 모바일 장치에서 보고자 하는 대다수의 이미지들은 화면보다 큰 경우가 많으며, 웹 상의 정보들 역시 현재 보이는 화면 내에 전부 표시되는 경우 보다는 페이지를 스크롤(scroll)하여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현재 화면을 벗어난 영역을 함께 캡쳐해야 하는 경우, 캡쳐하기 전에 원하는 부분을 화면에 보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캡쳐하고 다시 스크롤에 의해 원하는 부분을 화면에 배치하고 다시 캡쳐해야 하는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또는, 현재 화면을 벗어난 영역을 함께 캡쳐하기 위해 불필요한 영역까지 포함한 화면 전체를 캡쳐한 후에 잘라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 두 단계의 작업이 필요하므로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However, most of the images to be viewed on a mobile device are often larger than the screen, and the information on the web is often scrolled rather than displayed in the currently visible screen. Therefore, if it is necessary to capture an area outside the current screen,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perform capturing while arranging the desired par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before capturing, re-scrolling the desired part on the screen, . Or, th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becaus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two-step operation to capture an entire screen including an unnecessary area to capture an area outside the current screen, and then cut out the entir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를 캡쳐함에 있어 화면 영역에 표시된 부분과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을 결정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 captured image by determining a capture area in accordance with a user's input on a part displayed in a screen area and a part not displayed in a screen area in capturing an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을 가지며, 화면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캡쳐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화면 영역보다 큰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1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하며,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2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하여, 시작점과 종료점에 기초한 캡쳐 영역에 대해 이미지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having a scree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ing an image on a screen area; An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in a screen area; Displaying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that is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and determining a starting point of the capture region in accordance with a first input of the user for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aptured image in the screen area and to determine an end point of the captured area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for the second part of the image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for the captured area based o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put of the user may comprise a touch input for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comprise a release of the touch input for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by scrolling the image while displaying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scroll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상기 입력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하드웨어 버튼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receiv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hardware button, and the first input of the user may include an input using the hardware butt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UI버튼을 생성하고,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UI button in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display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n the screen reg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using the UI button.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include canceling the input using the UI button.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 또는 상기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in its original size or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함에 있어 스크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scroll position in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its original siz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보다 큰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시작점과 종료점에 기초한 캡쳐 영역에 대해 이미지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displaying a first portion of an image larger than a screen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in a screen region; Receiving a user's first input for a first portion of an image to determine a start point of the capture region; Displaying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Receiving a user's second input to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to determine an end point of the capture region; And generating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with respect to the capture area based on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put of the user may comprise a touch input for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comprise a release of the touch input for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

여기서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includes display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by scrolling the image while displaying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

여기서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scroll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하드웨어 버튼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put of the user may include input using a hardware button.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UI버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Creating a UI button on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displaying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n the screen reg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using the UI button.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include canceling the input using the UI button.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stor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 또는 상기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in an original size or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여기서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함에 있어 스크롤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the original size may include displaying the scroll posi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를 캡쳐함에 있어 화면 영역에 표시된 부분과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을 결정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함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영역도 함께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apturing an image, a capture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about a part displayed in a screen area and a part not displayed in a screen area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It is possible to capture and store an area that is not included in the im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에 의해 부가적인 사용자 학습이 필요 없이 업그레이드된 화면 캡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graded screen capture function can be provided without additional user learning by touch input using a h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및 스크롤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및 UI버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및 UI버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버튼 입력 및 터치 입력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버튼 입력 및 UI버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by touch input and scrol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UI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eft-right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UI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hardware button input and a touch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hardware button input and a UI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a generated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도 2 내지 7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입력수신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을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먼저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보다 큰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시작점과 종료점에 기초한 캡쳐 영역에 대해 이미지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미지를 캡쳐함에 있어 화면 영역에 표시된 부분과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을 자유롭게 결정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함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영역도 함께 캡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에 의해 부가적인 사용자 학습이 필요 없이 업그레이드된 화면 캡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features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as necessary.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n input receiv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display unit 130,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40 as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 smart phone, a tablet, or the like. The display device 100 first displays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that is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screen region, and receives a first input of the user for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to determine a starting point of the capture region.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and receives the user's second input for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to determine the end point of the capture region.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for the capture area based on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ly determines a capture reg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on a portion displayed in a screen region and a portion not displayed in a screen region in capturing an image, It is possible to capture an area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upgraded screen capture function without additional user learning by touch input using a hand.

디스플레이부(130)는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화면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미지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웹 페이지, 컨텐츠 이미지, 사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부(13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has a scree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area. The image may be at least one of a web p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 content image, and a photographic image. The display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 ≪ / RTI >

입력수신부(110)는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캡쳐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해 캡쳐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 스크롤 및 터치 입력 해제, UI버튼을 이용한 입력 및 입력 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하드웨어 버튼은 예컨대 스마트폰의 외부에 마련된 홈 키(Home Key), 볼륨 키(Volum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입력은 하드웨어 버튼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user's input for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in a screen area. The input of the user is an input of the user for selecting a capture area for the image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The input of the user is touch input by hand, . ≪ / RTI > The input receiv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hardware button, and the hardware button may include, for example, a home key provided outside the smart phone, a volume key,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user's input may include an input using a hardware button.

제어부(120)는 화면 영역보다 큰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1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한다. 제어부(120)는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2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and determines the start point of the capture region according to the first input of the user for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and determines the end point of the capture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for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여기서 사용자의 제1입력은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제2입력은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이미지(21)의 제1부분(22)을 화면 영역(20)에 표시하고,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221)에 따라 캡쳐 영역(26)의 시작점(222)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시작점(222)을 결정한 상태에서 이미지(21)를 스크롤하여 화면 영역(20)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21)의 제2부분(24)을 화면 영역(20)에 표시하고, 이미지(21)의 제2부분(24)에 대한 터치 입력의 해제(241)에 따라 캡쳐 영역(26)의 종료점(242)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화면 영역(20)보다 큰 이미지(21)에 대해서도 원하는 캡쳐 영역(26)을 터치만으로 쉽게 선택할 수 있다. Wherein a first input of the user may comprise a touch input for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a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comprise the release of a touch input for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o display the second part of the image on the screen area by scrolling the image while displaying the first part of the image on the screen area. 2,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first portion 22 of the image 21 in the screen area 20 and displays the first portion 22 of the image 21 in the screen region 20, The start point 222 of the region 26 can be determined. The controller 120 scrolls the image 21 with the start point 222 determined and displays the second portion 24 of the image 21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20 on the screen region 20, The end point 242 of the capture region 26 may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release 241 of the touch input to the second portion 24 of the image 21. 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capture area 26 with respect to the image 21 larger than the screen area 20 by simply touching it.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이미지를 스크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221)이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터치 입력(221)과 동일한 상하 방향으로 이미지(21)를 스크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터치 입력(421)이 좌우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터치 입력(421)과 동일한 좌우 방향으로 이미지(41)를 스크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o scroll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2, when the touch input 221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o scroll the image 21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touch input 221. In this case,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o scroll the image 41 in the sam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the touch input 421 when the touch input 421 is in the left-right direction.

제어부(120)는 이미지의 제1부분에 UI버튼을 생성하고, UI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2입력은 UI버튼을 이용한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이미지(31)의 제1부분(32)을 화면 영역(30)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미지(31)의 제1부분(32)의 소정 위치에 UI버튼(33)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UI버튼(33)을 아래 방향으로 롱 탭(long tap)하여 이미지의 제2부분(34)을 화면 영역(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UI버튼(33)의 롱 탭을 해제함에 의해 캡쳐 영역(36)의 종료점(342)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이미지(41)의 제1부분(42)의 소정 위치에 UI버튼(43)을 생성하고, UI(43)버튼을 좌우 방향으로 롱 탭하여 이미지(41)의 제2부분(44)을 화면 영역(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이미지(61)의 제1부분(62)의 소정 위치에 UI버튼(67)을 생성하고, UI버튼(67)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롱 탭하여 이미지(61)의 제2부분(64)을 화면 영역(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 UI button in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control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using the UI button. Here,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include the release of the input using the UI button. 3, the control unit 120 may display the first portion 32 of the image 31 in the screen region 30 while displaying the first portion 32 of the image 31 in the screen region 30. For example, The UI button 33 can be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o display the second portion 34 of the image on the screen area 30 by long tapping the UI button 33 downwar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the end point 342 of the capture area 36 by releasing the long tap of the UI button 33. 4,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UI button 4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42 of the image 41, and moves the UI 43 butt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portion 44 of the image 41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region 40 by long tapping. 6,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UI button 67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62 of the image 61, and displays the UI button 67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second portion 64 of the image 61 is displayed on the screen area 60. [0064]

제어부(120)는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 또는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함에 있어 스크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120)는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한 상태에서 스크롤 바(73)에 의해 현재 스크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size or the screen area.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the scroll position in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the original size.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ler 120 may display the current scroll position by the scroll bar 73 while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the original size,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및 스크롤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에서, 화면 영역(20)보다 큰 이미지(21)의 제1부분(22)이 화면 영역(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2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222)을 선택한다. (a2)에서, 사용자는 화면 영역(20)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21)의 제2부분(24)을 화면 영역(20)에 표시하기 위해 이미지(21)를 아래방향으로 스크롤한다. (a3)에서, 사용자는 화면 영역(20)에 표시된 이미지(21)의 제2부분(24)에서 터치 입력을 해제(241)하여 캡쳐의 종료점(242)을 선택하고, 시작점(222) 및 종료점(242)에 기초하여 캡쳐 영역(26)을 결정하게 된다. (a4)에서는 사용자가 결정한 캡쳐 영역(26)에 대해 캡쳐 이미지(29)를 생성하고, 생성한 캡쳐 이미지(29)를 화면 영역(20)에 대응하는 크기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원래의 크기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생성한 캡쳐 이미지를 메모리 카드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예컨대 앨범 앱 등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by touch input and scrol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n the state (a1), when the first portion 22 of the image 21 that is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20 is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20, the user selects the touch input 221 to select the start point 222 of the capture. the user scrolls the image 21 downward to display the second portion 24 of the image 21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20 in the screen region 20 at (a2). (a3), the user releases (241) the touch input at the second portion 24 of the image 21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20 to select the end point 242 of the capture, The capture region 26 is determined based on the capture region 242. (a4), a captured image 29 is generated for the capture area 26 determined by the user, and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29 is displayed at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20 or displayed at the original size do. In another embodiment,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can be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card and managed using, for example, an album app.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및 UI버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에서, 화면 영역(30)보다 큰 이미지(31)의 제1부분(32)이 화면 영역(3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3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322)을 선택한다. 이 때, 시작점(322)은 사용자의 손이 터치된 위치로 정해지거나, 또는 터치된 위치와 관계 없이 이미지(31)의 제1부분(32)의 위쪽 시작위치로 정해질 수도 있다. (b2)에서, 사용자는 캡쳐의 시작점(322)으로부터 이미지(31)를 아래방향으로 스크롤하다가 이미지(31)의 제1부분(32)의 하단에서 스크롤을 정지한다. (b3)에서는, 스크롤이 정지되면 이미지(31)의 제1부분(32)의 소정 위치에 UI버튼(33)이 표시된다. (b4)에서, 사용자는 표시된 UI버튼(33)을 롱 탭하여 화면 영역(30)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31)의 제2부분(34)이 표시되도록 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UI버튼(33)의 롱 탭을 해제하여 캡쳐의 종료점(342)을 선택한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시작점(322) 및 종료점(342)에 기초하여 캡쳐 영역(36)이 결정된다. (b5)에서는, 결정된 캡쳐 영역(36)에 대해 캡쳐 이미지(39)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쳐 이미지(39)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UI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n the state (b1), the first portion 32 of the image 31, which is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30, is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30, 321 select the start point 322 of the capture. At this time, the starting point 322 may be set to the touched position of the user's hand, or may be set to the upper starting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32 of the image 31 regardless of the touched position. the user scrolls the image 31 downward from the start point 322 of the capture and stops scrolling at the bottom of the first portion 32 of the image 31. [ (b3), the UI button 33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32 of the image 31 when the scrolling is stopped. the user can tap the displayed UI button 33 to display the second part 34 of the image 31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30 and display the UI button 33 at the desired position, The end point 342 of the capture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capture area 36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rt point 322 and the end point 342 selected by the user. (b5), a captured image 39 is generated for the determined capture area 36, and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39 is display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및 UI버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에서, 화면 영역(40)보다 큰 이미지(41)의 제1부분(42)이 화면 영역(4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을 이용한 좌우 방향의 터치 입력(4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422)을 선택한다. 이 때 시작점(422)은 이미지(41)의 제1부분(42)에서 좌우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이 터치된 위치로 정해지거나, 또는 터치된 위치와 관계 없이 이미지(41)의 제1부분(42)의 오른쪽 시작위치로 정해질 수 있다. (c2)에서, 사용자는 캡쳐의 시작점(422)으로부터 이미지(41)를 왼쪽 방향으로 스크롤하다가 이미지(41)의 제1부분(42)의 왼쪽 끝에서 스크롤을 정지한다. (c3)에서는, 스크롤이 정지되면 이미지(41)의 제1부분(42)의 소정 위치에 UI버튼(43)이 표시된다. (c4)에서는, 사용자는 UI버튼(43)을 롱 탭하여 화면 영역(40)에 표시되지 않았던 왼쪽 방향의 이미지(41)의 제2부분(44)이 표시되도록 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UI버튼(43)의 롱 탭을 해제하여 캡쳐의 종료점(442)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시작점(422) 및 종료점(442)에 기초하여 캡쳐 영역(46)이 결정되고, (c5)에서, 결정된 캡쳐 영역(46)에 대해 캡쳐 이미지(49)를 생성하게 된다.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eft-right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touch input and a UI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n the state (c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rtion 42 of the image 41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40 is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40, The start point 422 of the capture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421. The starting point 422 is defined as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s hand is touch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first portion 42 of the image 41 or the first portion 42 of the image 41 ) To the right start position. the user scrolls the image 41 leftward from the start point 422 of the capture and stops scrolling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portion 42 of the image 41. [ the UI button 43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part 42 of the image 41 when the scrolling is stopped. (c4), the user long-tapes the UI button 43 to display the second portion 44 of the left-side image 41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40, 43 to release the long tap to select the end point 442 of the capture. The capture area 46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elected start point 422 and end point 442 and at step c5 a captured image 49 is generated for the determined capture area 46.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캡쳐함에 있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UI버튼에 의해 원하는 캡쳐 영역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캡쳐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의 방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 좌우 및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캡쳐 영역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captured image can be generated by conveniently selecting a desired capture area by a user's touch input and a UI button in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Here, the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for selecting the capture area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freely select the capture area by performing the touch input in the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버튼 입력 및 터치 입력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에서, 화면 영역(50)보다 큰 이미지(51)의 제1부분(52)이 화면 영역(50)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하드웨어 버튼인 홈 키(55) 및 볼륨 키(53)를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5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522)을 선택한다. 이 때 시작점(522)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위치로 정해지거나, 또는 터치된 위치와 관계없이 이미지(51)의 제1부분(52)의 위쪽 시작위치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521)에 의해 시작점(522)이 선택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d2)에서, 사용자는 화면 영역(50)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51)의 제2부분(54)을 화면 영역(50)에 표시하기 위해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51)를 아래방향으로 스크롤한다. (d3)에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크롤하는 중에 원하는 부분에서 하드웨어 버튼의 입력 및 손가락 터치 입력을 동시에 해제하여 캡쳐의 종료점(242)을 선택하게 된다. 이 때, 선택된 시작점(522) 및 종료점(242)에 의해 캡쳐 영역(56)이 결정되고, (d4)에서는, 결정된 캡쳐 영역(56)에 대해 캡쳐 이미지(59)를 생성하게 된다.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hardware button input and a touch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t (d1), the first portion 52 of the image 51 that is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50 is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50, and the user presses the home key 55 And the volume key 53 are simultaneously pressed, the start point 522 of the capture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521 by the finger. At this time, the starting point 522 can be set to the touched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or set to the upper starting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52 of the image 51 regardless of the touched position. The way in which the starting point 522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521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selected in various ways. the user scrolls the image 51 downward using the finger to display the second portion 54 of the image 51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50 in the screen region 50 do. At the time point (d3), the user simultaneously scrolls using the finger to release the input of the hardware button and the finger touch input at the desired portion, thereby selecting the end point (242) of the capture. At this time, the captured region 56 is determined by the selected starting point 522 and the ending point 242, and at (d4), the captured image 59 is generated for the determined captured region 56. [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버튼 입력 및 UI버튼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캡쳐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1)에서, 화면 영역(60)보다 큰 이미지(61)의 제1부분(62)이 화면 영역(60)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하드웨어 버튼인 홈 키(65) 및 볼륨 키(63)를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6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622)을 선택한다. 시작점(622)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된 위치로 정해지거나, 또는 터치된 위치와 관계없이 이미지(61)의 제1부분(62)의 위쪽 시작위치로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621)을 이용하지 않고 하드웨어 버튼인 홈 키(65) 및 볼륨 키(63)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만으로 캡쳐의 시작점(622)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쳐의 시작점(622)은 이미지(61)의 제1부분(62)의 위쪽 시작위치로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e2)에서는, 하드웨어 버튼 입력 및 손가락의 터치 입력(6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622)이 선택되면 이미지(61)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는 UI버튼(67)이 생성된다. (e3)에서, 사용자는 UI버튼(67)을 이용하여 캡쳐를 원하는 방향으로 롱 탭하여 화면 영역(60)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61)의 제2부분(64)이 표시되도록 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롱 탭을 해제함에 의해 캡쳐의 종료점(642)을 선택하게 된다. 이 때, 선택된 시작점(622) 및 종료점(642)에 의해 캡쳐 영역(66)이 결정되고, (e4)에서는, 결정된 캡쳐 영역(66)에 대해 캡쳐 이미지(69)를 생성하게 된다.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aptur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using a hardware button input and a UI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t (e1), the first portion 62 of the image 61 that is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60 is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60, and the user presses the home key 65 And the volume key 63 are simultaneously pressed, the start point 622 of the capture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621 by the finger. The start point 622 may be set to the touched position of the user's finger or may be set to the upper start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62 of the image 61 regardless of the touched pos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start point 622 of the capture may be selected only by pressing the hardware key 65, which is a hardware button, and the volume key 63, without using the touch input 621 by the finger. In this case, the start point 622 of the captur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to the upper start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62 of the image 61. when the start point 622 of the capture is selected by the hardware button input and the finger touch input 621 of the finger, a UI button 67 for scrolling the image 61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generated. (e3), the user can use the UI button 67 to tap the capture in the desired direction to display the second portion 64 of the image 61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60, The end point 642 of the capture is selected by releasing the long tap. At this time, the captured area 66 is determined by the selected starting point 622 and the ending point 642, and at (e4), the captured image 69 is generated for the determined captured area 66.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대로 표시할 수 있고, 이 때 캡쳐 이미지에 대해 스크롤 바(73)를 이용하여 현재의 스크롤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f1)에서 캡쳐 이미지에 대한 현재 스크롤 위치가 캡쳐 이미지의 위쪽 부분임을 알 수 있고, (f2)에서 캡쳐 이미지에 대한 현재 스크롤 위치는 캡쳐 이미지의 아래쪽 부분임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a generated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n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ured image may be displayed in its original size, and a scroll bar 73 may be used for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current scroll position can be displayed.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scroll position for the captured image is the upper portion of the captured image at (f1), and the current scroll position for the captured image at (f2) is the lower portion of the captured image. In another embodiment, when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may be reduc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and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desired by the user.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810에서,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보다 큰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동작 S820에서,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1입력은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에서, 사용자는 화면 영역(20)에 표시되는 이미지(21)의 제1부분(22)에 있어 손을 이용한 상하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2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222)을 선택한다.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에서, 화면 영역(40)에 표시된 이미지(41)의 제1부분(42)에서, 사용자는 손을 이용한 좌우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4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422)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터치 입력에 의해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할 수 있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first, in operation S810, a first portion of an image larger than a screen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is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Next, in operation S820, the user's first input to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is received to determine the start point of the capture region. Here, the first input of the user may comprise a touch input to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2, at (a1), the user can input a touch input 221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hand in the first part 22 of the image 21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20, The start point 222 of the capture is selected. 3, at (c1), in the first part 42 of the image 41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40, the user touches the touch input 4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using the hand, The start point 422 of the capture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nput to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may include a touch inpu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art point of the capture region can be determined by the touch input.

또한 사용자의 제1입력은 하드웨어 버튼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에서, 화면 영역(50)에 표시된 이미지(51)의 제1부분(52)에서, 사용자는 하드웨어 버튼인 홈 키(55) 및 볼륨 키(53)를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521)에 의해 캡쳐의 시작점(522)을 선택한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1)에서, 사용자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621)을 이용하지 않고 하드웨어 버튼인 홈 키(65) 및 볼륨 키(63)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만으로 캡쳐의 시작점(622)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쳐의 시작점(622)은 이미지(61)의 제1부분(62)의 위쪽 시작위치로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The user's first input may also include input using a hardware button. 5, at (d1), in the first part 52 of the image 51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50, the user presses the home key 55, which is a hardware button, 53 at the same time, the start point 522 of the capture is selected by the touch input 521 by the finger. 6, at (e1), the user does not use the touch input 621 by the finger but merely presses the home key 65 and the volume key 63 which are hardware buttons at the same time The start point 622 of the capture may be selected. In this case, the start point 622 of the captur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to the upper start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62 of the image 61.

다음으로 동작 S830에서,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한다.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 S830은, 이미지의 제1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이미지를 스크롤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221)의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 이미지(21)를 상하방향으로 스크롤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421)의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 이미지(41)를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Next, in operation S830,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is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The operation S830 of display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n the screen reg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crolling the image while displaying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in the screen region and display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n the screen region. At this tim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croll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2, when the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221 is the up-and-down direction, the image 21 is scrolled up and down, and as shown in Fig. 4, the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421 is The image 41 can be scroll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여기서 이미지의 제1부분에 UI버튼을 생성하는 동작과, UI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의 제2부분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3)에서, 이미지(31)의 제1부분(32)의 소정 위치에 UI버튼(33)이 표시되고, (b4)에서, 사용자는 표시된 UI버튼(33)을 롱 탭하여 화면 영역(30)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31)의 제2부분(34)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2)에서, 이미지(61)의 제1부분(62)의 소정 위치에 이미지(61)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는 UI버튼(67)이 생성되고, (e3)에서, 사용자는 UI버튼(67)을 이용하여 캡쳐를 원하는 방향으로 롱 탭하여 화면 영역(60)에 표시되지 않았던 이미지(61)의 제2부분(64)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Generating an UI button in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display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n a screen reg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using the UI button. 3, at (b3), the UI button 33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32 of the image 31, and at (b4) The second portion 34 of the image 31, which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30, can be displayed by long tapping the display portion 33. [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 at (e2), a UI button 67 that can scroll the image 61 up, down, left, and righ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portion 62 of the image 61, (E3), the user can use the UI button 67 to tap the capture in the desired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portion 64 of the image 61 that was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60 is displayed can do.

동작 S840에서,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2입력은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3)에서, 사용자는 이미지(21)의 제2부분(24)에서 터치 입력을 해제(241)하여 캡쳐의 종료점(242)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제2입력은 UI버튼을 이용한 입력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4)에서, 사용자는 이미지(31)의 제2부분(34)에 있어 원하는 위치에서 UI버튼(33)의 롱 탭을 해제하여 캡쳐의 종료점(342)을 선택할 수 있다.In operation S840, the user's second input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s received to determine the end point of the capture region. Here,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include the release of the touch input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By way of example, at (a3), as shown in Figure 2, the user may release 241 the touch input in the second portion 24 of the image 21 to select the end point 242 of the capture.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may also include canceling the input using the UI button. 3, at (b4), the user releases the long-tap of the UI button 33 at the desired location in the second portion 34 of the image 31, and the end point 342 of the capture ) Can be selected.

마지막으로, 동작 S850에서, 시작점과 종료점에 기초한 캡쳐 영역에 대해 이미지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 또는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함에 있어 스크롤 위치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Finally, at operation S850,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is generated for the capture area based on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Here, it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In addition,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at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size or the screen area.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croll position in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the original siz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입력수신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00: display device
110:
120:
130:
140:

Claims (20)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화면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캡쳐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상기 화면 영역보다 큰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에 따라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하며,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에 따라 상기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하여, 상기 시작점과 종료점에 기초한 상기 캡쳐 영역에 대해 상기 이미지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having a scree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ing an image on the screen area;
An inpu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capturing an image displayed in the screen area;
Displaying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larger tha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and determining a start point of the capture region according to a first input of the user for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Displaying an image of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and determining an end point of the capture region according to a second input of the user for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And controls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의 해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input of the user comprises a touch input for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Wherein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comprises a release of the touch input to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area by scrolling the image while displaying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scrolls the image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하드웨어 버튼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receiv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hardware button,
Wherein the first input of the user comprises an input using the hardwar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UI버튼을 생성하고,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UI button in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displays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n the screen reg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using the UI butt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입력의 해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includes releasing the input using the UI butt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 또는 상기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an original size or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함에 있어 스크롤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croll position when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an original size.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화면 영역보다 큰 이미지의 제1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제1입력을 수신하여 캡쳐 영역의 시작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되지 않았던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캡쳐 영역의 종료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작점과 종료점에 기초한 상기 캡쳐 영역에 대해 상기 이미지의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first portion of an image larger than a screen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screen region;
Receiving a user's first input for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to determine a start point of the capture region;
Displaying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not displayed in the screen region in the screen region;
Receiving a second input of the user for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to determine an end point of the capture region;
And generating a captured image of the image for the capture area based on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대한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의 해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input of the user comprises a touch input for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Wherein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comprises a release of the touch input to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isplay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comprises:
And displaying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by scrolling the image while displaying the first portion of the image on the screen reg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스크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scrolling the image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touch inpu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입력은, 하드웨어 버튼을 이용한 입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input of the user includes an input using hardware butt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제1부분에 UI버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제2부분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Creating a UI button on a first portion of the image;
And displaying a second portion of the image in the screen area according to a user's input using the UI button.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2입력은, 상기 UI버튼을 이용한 입력의 해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second input of the user includes the release of the input using the UI butt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 또는 상기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in an original size or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원래의 크기로 표시함에 있어 스크롤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displaying a scrolling position in displaying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t an original size.
KR1020140028953A 2014-03-12 2014-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Withdrawn KR201501066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53A KR20150106641A (en) 2014-03-12 2014-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53A KR20150106641A (en) 2014-03-12 2014-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41A true KR20150106641A (en) 2015-09-22

Family

ID=5424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953A Withdrawn KR20150106641A (en) 2014-03-12 2014-03-1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64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06A1 (en) * 2015-12-10 2017-06-15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20148495A (en) * 2021-04-29 2022-11-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scre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06A1 (en) * 2015-12-10 2017-06-15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0007475B2 (en) 2015-12-10 2018-06-26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20148495A (en) * 2021-04-29 2022-11-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scre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332B2 (en) Method of adjusting an UI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JP5906984B2 (en) Display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452038B1 (en) Mobile device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282081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US201301177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an e-book reading appl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5014328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Floating Window and Terminal
US201301520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zooming method thereof
US20120278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icon in touch screen terminal
US10175880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10041915A (en) Data display method and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KR201300801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con in portable terminal
US1025493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item of portable terminal
US20140033111A1 (en) Method of displaying status bar
JP2015125567A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JPWO2017038261A1 (en)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86137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based on motion of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13005457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35951A1 (en)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s by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US20150012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one handed operation
JP5420081B2 (en) Navigation device
KR20150066112A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ed by remote controller,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JP2014197164A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US201601705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display program product
KR20150106641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