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490A - Medicine Packet Having Extension Part - Google Patents
Medicine Packet Having Extension Pa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6490A KR20150106490A KR1020140028464A KR20140028464A KR20150106490A KR 20150106490 A KR20150106490 A KR 20150106490A KR 1020140028464 A KR1020140028464 A KR 1020140028464A KR 20140028464 A KR20140028464 A KR 20140028464A KR 20150106490 A KR20150106490 A KR 201501064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ine
- extension
- present
- main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f special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g Fram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는,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메인봉지부 및 기 수용부에 연통된 형태로 상기 메인봉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약을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연장부를 포함한다.The medicament containing an extens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encapsulation part having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medicine therein and a main encapsulation part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encapsulation par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part, And an open exten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약의 인출 및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약봉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g pillow provided with an extension part to facilitate drug withdrawal and insertion.
일반적으로 가루약, 알약 등 다양한 양을 포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비닐, 종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포장 봉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포장 봉지는 일회성으로 소량 또는 다량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포장의 일부를 제거하여 포장 봉지 내에 수용된 약을 인출하여 복용하게 된다.In general, packaging pouches made of materials such as vinyl, paper, etc. are used to package various amounts of powders, pills, and the like and provide them to users. Such a packaging pouch is provided to a small amount or a large amount of users one time, and a user removes a part of the pouch and withdraws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pouch.
이때 특히 가루약의 경우, 종류에 따라 액체에 용해시켜 복용하는 형태가 있으며, 이는 액체가 수용된 용기 내에 가루약 분말을 쏟아 넣어 사용하는 형태를 가진다.In this cas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wdered medicines, there is a form in which the powder is dissolved in a liquid depending on the kind thereof, and the powdered powder is poured into a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도 1은 종래 스틱형 약봉지(10)를 용기(20) 내에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tick-typ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틱형 약봉지(10)는 몸체(12) 내의 수용공간(11)에 가루약이 수용되어 있으며, 절취선(14)을 절취하여 상기 가루약을 용기(20) 내에 투입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stick-
다만, 이와 같은 형태의 가루약이 수용된 약봉지(10)는, 일반적으로 용기(20)에 비하여 규격이 크다. 즉 몸체(12)의 폭(L)이 용기(20)의 입구부보다 크기 때문에, 개봉 후 용기(20) 내로 가루약을 넣기가 쉽지 않으며, 주의하지 않으면 가루약을 쏟거나 흘릴 위험이 있다.However, the medicine wrapper 10 accommodating the powder of this type is generally larger in size than the
또한 투입 시 몸체(12)를 용기(20)의 입구부에 구겨 넣게 되므로, 사용자의 노력이 요구되며, 또한 병목 현상에 의해 가루약이 원활하게 인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대상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약의 처방량은 매우 소량인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병원에서는 어린이의 체중에 대응하여 약 용량을 계산하여 처방하지만, 약을 제조하는 과정 중 분쇄 시 약이 일정 용량 손실된다. Also, when the target user is a child, the amount of medicine prescribed is often very small. Accordingly, the hospital prescribes a dosag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a child, but a certain dose of the drug is lost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rug.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루약을 용기(20)에 넣는 과정에서 유실량이 더해진다면 가루약 처방을 받은 대상자는 자신의 체중에 맞는 약을 복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If the amount of fluid loss is added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powder into the
더불어 종래 스틱형 약봉지(10)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해당 약에 대한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면적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약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되며, 다른 약과 혼동을 일으켜 복용하게 되는 경우 큰 투약 사고가 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tick-type pharma-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의 투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약봉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ug pillow which can facilitate the injection and withdrawal of medicine.
또한 본 발명은 약에 대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투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약봉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cine pillow capable of preventing medication accidents by securing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about medicines can be written.
또한 본 발명은 약이 과도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약봉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ug pillow which prevents the drug from being excess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는,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메인봉지부 및 상기 수용부에 연통된 형태로 상기 메인봉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약을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연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 main encasing part having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medicine therein; and a main encapsulating part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encapsulating part, And an extension portion opened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그리고 상기 연장부는 소정 각도 절곡된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메인봉지부는 사각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메인봉지부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장부를 중앙으로 하여 상기 메인봉지부의 양측에는, 용기에 거치되는 거치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main encapsulation par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at a corner of the main encapsulation part, and the extension parts may be centered, and both sides of the main encapsulation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그리고 상기 메인봉지부 및 상기 연장부는 두 장의 시트부재 둘레가 서로 접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두 장의 시트부재 간의 접착 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The main seal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wo sheets of sheet material are adhered to each other, and the area of adhesion between the two sheet members can be continuously changed.
또한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상기 연장부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차폐부를 절취함에 따라 개구될 수 있다.A 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ded portion to shield an opening of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extended portion may be opened as the shielding portion is cu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drug pillow including the exte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본 발명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에 의하면, 메인봉지부의 일측에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연장부가 형성되므로, 약의 투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tension part having a small siz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sealing part, it is advantageous that the medicine can be easily inserted and withdrawn.
둘째, 본 발명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에 의하면, 상기 메인봉지부는 약에 대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가지므로, 다양한 정보를 기입하여 투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medicine pack including the extens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sealing part has a sufficient area to writ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various information can be written to prevent the medication accident in advance.
셋째, 본 발명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에 의하면, 내부에 수용된 약 중 많은 양의 약이 빠른 속도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의 유실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medicine papers including the extens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medicines contained therein from being withdrawn at a high speed, thereby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medicine loss.
넷째, 본 발명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에 의하면, 약이 투입되는 연장부의 내부 형상 조절을 통하여 알약 등이 경우 한 개씩 배출되도록 하거나 일시적으로 투입이 안되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Fourthly, according to the drug pillars including the extens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s or the like can be discharged one by one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internal shape of the extended part into which the medicine is injected, or the medicine can be temporarily prevented from being injec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스틱형 약봉지를 용기 내에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장부를 포함하는 약봉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tick-type drug pill is put into a container;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edicine pou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edicine pou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medicine pack including an extens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약봉지(1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rst, a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약봉지(100)는, 메인봉지부(110)와, 연장부(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메인봉지부(110)는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수용부(101)가 구비되며, 여기서 상기 수용부(101)에 수용되는 약의 종류는 그 제한이 없다. 즉 가루약, 알약 또는 물약 등 다양한 형태의 약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The main sealing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봉지부(110)는 좌우 폭이 넓게 형성되어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즉 이에 따라 상기 메인봉지부(110) 자체가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메인봉지부(110)의 표면에 글자 및 숫자 등으로 미리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기입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약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인지하기가 용이해지므로, 오용 등에 따른 투약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수용부(101)에 연통된 보조수용부(121)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메인봉지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즉 연장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부(101)와 연통된 공간(121)이 형성되며, 일측은 약을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태를 가진다.The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120)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전 약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120)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 전에는 상기 연장부(120)의 끝단이 차폐된 상태를 가지나, 별도로 마련된 절취선(140)을 따라 차폐부를 제거할 경우 연장부(120)가 개구되므로, 내부의 약을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메인봉지부(110)의 모서리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메인봉지부(110)를 기울임에 따라 약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연장부(120)의 폭(l)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수용부(101)에 수용된 약을 용기(20)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기(20)의 입구부보다 작은 폭(l)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width of the
이에 따라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20)를 용기(20)의 입구부 내에 삽입한 상태로 용이하게 약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약의 형태가 가루약 또는 물약일 경우, 약이 용기(20)의 외부로 흘러 유실되지 않도록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us, as shown in FIG. 2 (b),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medicine while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봉지부(110) 및 상기 연장부(120)는 두 장의 시트부재 둘레가 서로 접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대량생산을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봉지(100)는 상기 메인봉지부(110)의 일측에 기존 약용기의 입구부보다 작게 형성된 연장부(120)가 형성되므로, 약의 투입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봉지부(110)는 약에 대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가지므로, 다양한 정보를 기입하여 투약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봉지(100)는 수용부(101)에 수용된 약 중 많은 양의 약이 빠른 속도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의 유실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져온다.In addition,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봉지(10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20)를 포함하는 약봉지(2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장부(220)를 포함하는 약봉지(2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메인몸체부(210)의 형상 및 수용부(201)의 형상, 그리고 연장부(220)가 보조수용부(221)를 가지며 상기 메인몸체부(210)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된다는 점이 동일하다.As shown in FIG. 3, the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220)는 소정 각도 절곡된 절곡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즉 본 실시예는 연장부(220)가 소정 각도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개구된 일측은 절곡부(250)의 끝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용부(201) 내부의 약이 연장부(220)를 통해 이동할 경우, 절곡된 위치에서 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미처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extending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장부(320)를 포함하는 약봉지(3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장부(320)를 포함하는 약봉지(300)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몸체부(310)의 형상 및 수용부(301)의 형상, 그리고 연장부(320)가 보조수용부(321)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몸체부(310)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된다는 점이 동일하다.As shown in FIG. 4, the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봉지부(310)의 접착부(303)에 거치홈(350)이 형성된다는 점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이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홈(350)은 상기 연장부(320)를 중앙으로 하여 상기 메인봉지부(310)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홈(250)은 기 공지된 약 용기에 대응하는 위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fixing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봉지(300)를 기울인 상태에서 연장부(320)를 용기(20)의 입구부에 삽입하고, 상기 거치홈(350)에 용기(20)의 끝단을 삽입할 수 있다.The user inserts the
즉 본 실시예는 약봉지(300)의 내용물을 용기(20)에 투입할 경우 거치홈(350)으로 약봉지(300) 자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is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contents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장부(420)를 포함하는 약봉지(40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장부(420)를 포함하는 약봉지(400)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메인몸체부(410)의 형상 및 수용부(401)의 형상, 그리고 연장부(420)가 보조수용부(421)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몸체부(410)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된다는 점이 동일하다. 또한 두 장의 시트부재로 메인몸체부(410) 및 연장부(420)의 둘레에 접착부(403)가 형성된다는 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420)는 상기 두 장의 시트부재 간의 접착 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ding
즉 연장부(4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접착 면적이 변화되며, 이에 따라 약이 유동하는 경로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알약 등의 경우에서, 수용부(401)에 수용된 알약이 급하게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at is, the
또한 알약은 지그재그 형태의 내부 면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약을 개별로 인출하기 매우 용이하게 된다.Moreover, the tablets can be moved stepwise by the zigzag inner surface, making it very easy to draw out the tablets individually.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장부(420) 둘레의 접착부(403)는 지그재그의 규칙적인 형태로 접착되었으나, 이와 달리 불규칙한 형상으로 접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연장부(420)의 둘레 중 어느 일측만이 접착 면적이 변화되도록 하고, 다른 일측은 일정한 접착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hat only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20: 용기 100: 약봉지
101: 수용부 110: 메인봉지부
120: 연장부 140: 절취선20: container 100: drugstore
101: accommodating portion 110: main bag portion
120: extension part 140: perforated line
Claims (5)
상기 수용부에 연통된 형태로 상기 메인봉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약을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연장부;
를 포함하는 약봉지.A main bag portion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medicine therein;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main sealing part in such a manner as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ng part and opened to allow the medicine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 / RTI >
상기 연장부는 소정 각도 절곡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ded portion further comprises a bent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메인봉지부는 사각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메인봉지부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장부를 중앙으로 하여 상기 메인봉지부의 양측에는, 용기에 거치되는 거치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eal part has a rectangular shape,
Wherein the extended portion is provided at a corner of the main seal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main sealing portion are further provided with mounting grooves to be mounted on the container.
상기 메인봉지부 및 상기 연장부는 두 장의 시트부재 둘레가 서로 접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두 장의 시트부재 간의 접착 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seal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wo sheets of sheet material are adhered to each other,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continuously changes the area of adhesion between the two sheet members.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는,
상기 연장부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차폐부를 절취함에 따라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 of the extension,
A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an opened side of the extended portion is formed,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is opened as the shielding portion is cut o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464A KR20150106490A (en) | 2014-03-11 | 2014-03-11 | Medicine Packet Having Extension P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464A KR20150106490A (en) | 2014-03-11 | 2014-03-11 | Medicine Packet Having Extension Par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490A true KR20150106490A (en) | 2015-09-22 |
Family
ID=5424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464A Ceased KR20150106490A (en) | 2014-03-11 | 2014-03-11 | Medicine Packet Having Extension Pa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06490A (en) |
-
2014
- 2014-03-11 KR KR1020140028464A patent/KR20150106490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0522677A (en) | Multi-compartment package | |
US20180311110A1 (en) | System For Dosing And Dispensing Medication | |
US20110147252A1 (en) | Packages and inserts useful for dispensing medicines | |
WO2012150632A1 (en) | Dosing container | |
WO2009149268A1 (en) | Packages and inserts thereof with guide wall for dispensing medicinal units | |
KR101996841B1 (en) | Divided packet, method of manufacturing divided packet,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divided packet | |
CN211392236U (en) | Easy-tearing anti-leakage medicine package | |
KR20150106490A (en) | Medicine Packet Having Extension Part | |
JP3191619U7 (en) | ||
JP3191619U (en) | Medicine container that also serves as a medicine stand | |
EP1675637B1 (en) | An inhaler | |
KR102042435B1 (en) | Medicine packing device for distribution and storage of medicine powder | |
KR101021156B1 (en) | Medicine bag | |
RU128997U1 (en) | BLISTER PACKAGING FOR CAPSULE INHALATORS | |
EP2094578B1 (en) | Container | |
US20240351768A1 (en) | Double formulation packaging pouch with easy-opening and easy-liquid drinking features | |
CN215460195U (en) | A metered-dose bottle that can prevent secondary pollution | |
CN111801085A (en) | Device for the metered filling of containers with a filling material | |
JP5897145B2 (en) | Drug oral administration device | |
JP2020503914A (en) | Medical bag with two compartments and tabs | |
KR20230060970A (en) | Medicine packaging for kids | |
AU2016101063A4 (en) | Dispenser and method of use | |
KR20080002824U (en) | Stick type packing paper of medicines and input structure thereof | |
KR200440267Y1 (en) | Stick-packed pharmaceutical forge and its feeding mechanism | |
KR101778136B1 (en) | Apparatus for inserting a drug scoop into drug envelopes of stick 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