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001A - Impulse Washer - Google Patents
Impulse 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5001A KR20150105001A KR1020140027096A KR20140027096A KR20150105001A KR 20150105001 A KR20150105001 A KR 20150105001A KR 1020140027096 A KR1020140027096 A KR 1020140027096A KR 20140027096 A KR20140027096 A KR 20140027096A KR 20150105001 A KR20150105001 A KR 201501050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ashing
- vibration
- impulse
- clea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9000011538 clean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06 ultrasonic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8 laminat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재료와 세척재가 수용되는 세척공간과,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세척재에 임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재료를 세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ulse cleaner including: a body having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so as to be movable; a cleaning spac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receive a material and a cleaning material; A drainage par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material to the outside, and a vibration part for generating an impulse in the wash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washing space to clean the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펄스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펄스를 발생시켜 과일 또는 식기 등의 표면이 상하지 않고 세척할 수 있는 임펄스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ulse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ulse cleaner capable of generating an impulse to clean a surface of a fruit, tableware or the like without damaging it.
일반적으로 과일 또는 식기 등의 세척작업이 가정주부들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과일 또는 식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식기세척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washing work such as fruit or tableware has been performed manually by housewives. Recently, however, a dishwasher for automatically cleaning fruit or tablewar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이와 같은 식기 세척기의 세척 방식은 크게 2개로 분류할 수 있다. Such dishwasher washing method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첫째는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분사식 세척방식과 둘째는 세척기 내측에 식기를 물에 불리는 세척부를 가지며, 세척부에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부착하여 식기 또는 과일 표면에 부착된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초음파 세척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First, there is a nozzle spray type cleaning method which injects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hrough a nozzle, and second, an ultrasonic generator which generates ultrasonic waves in a washing part has a washing part called a water inside the washing machine. And an ultrasonic cleaning method that removes the ultraviolet ray and the like.
그러나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분사식 세척방식은 과일이나 야채 등을 세척할 경우 껍질이 얇거나 단단하지 못한 야채나 과일 등은 고압 세척수에 의하여 부서지거나 표면이 상하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되고, 식기의 미세한 홈이나 손잡이 연결부와 같이 세척수의 고압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세척력이 약화되어 물의 사용량과 세제의 사용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고압의 세척수와 식기가 부딪쳐 발생하는 소음이 매우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과일이나 야채 등은 초음파 세척 방식을 많이 사용할 수 있다.However, in the nozzle spray cleaning method of spraying with high pressure, vegetables or fruits which are thin or hard when the fruits or vegetables are washed are damaged by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or are damaged such as the surface is broken, The washing force for the portion where the high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can not reach is weakened, such that the amount of water used and the amount of the detergent used may be unnecessarily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noise generated due to the high pressure washing water and the dishware hits very much, so that a fruit or vegetable can use a lot of ultrasonic washing method.
이와 같은 초음파 세척 방식은 세척조 내부에 식기나 과일 등을 담아 초음파를 발생시켜 강력한 에너지에 의해 충격파를 일으키어 이를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Such an ultrasonic cleaning method generates ultrasonic waves by containing dishes or fruits in the inside of the washing tub, and generates shock waves due to strong energy to clean the washing tub.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 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초음파 세척 방식은 짧은 시간동안 전압이나 전류 또는 충격파를 큰 진폭으로 발생시키는 펄스 방식을 사용한다. 이 때, 펄스 방식으로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세척기는 주파수가 물체에 부딪치기 때문에 장시간의 세척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ultrasonic cleaner, the ultrasonic cleaning method uses a pulse method in which a voltage, a current, or a shock wave is generated with a large amplitude for a short time. At this time, the ultrasonic washing machine which generates the shock wave in the pulse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washing time is requir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frequency is hit against the object.
그리고, 초음파 세척기는 용도에 따라 19.5kHz ~ 2MHz까지 생산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산업용 및 가정용 초음파 세척기의 주파수대는 28kHz, 40kHz, 68kHz 가 주파수대의 80~90% 를 차지하고 있다.Ultrasonic cleaners are produced from 19.5kHz to 2MHz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but the frequencies of 28kHz, 40kHz, and 68kHz of industrial and domestic ultrasonic cleaners developed so far in Korea account for 80 ~ 90% of the frequency band.
또한 주파수 발생방법은 단주파 방식의 28kHz의 주파수가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데, 28kHz의 주파수로 단주파 세척시 더러워진 모든 것을 제거할 수가 없다.In addition, the frequency generation method is mostly applied to the frequency of 28 kHz of the short-wave type, and it is impossible to remove all of the soiled ones by the short frequency cleaning at the frequency of 28 kHz.
그리고, 초음파 세척작업은 세척효과를 올려주게 되면 세척물에 손상의 위험이 따르게 되는 위험손상과의 싸움이다. 초음파는 강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손상이 발생되기 직전의 초음파 출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Ultrasonic cleaning work is a fight against dangerous damage that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cleaning, which is followed by the risk of damage to the wash. Ultrasound is not all that powerful. It is best to use ultrasonic power just before the damage occurs.
세척물의 종류, 오염의 종류, 및 세제 등이 제각각이므로 세척시간 및 초음파 출력등도 각각 설정하여 주어야한다.Since the type of cleaning material, type of cleaning agent, and detergent are different, cleaning time and ultrasonic output should be set separately.
최근까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28kHz의 주파수대는 캐비테이션의 강한 발생으로 인해 전자제품의 소형화로 패턴폭이 점점 줄어들고 잇는 회로패턴에 박리현상이 발견되는등 기판에 손상을 주는 현상들이 많이 나타났기 때문에 캐비테이션의 발생이 적은 주파수대를 찾아 40kHz 를 대부분 사용하여 적용시키고 있다.Since the frequency band of 28kHz,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in the country until now, has a lot of phenomena that the substrate is damaged due to the occurrence of peeling phenomenon in the circuit pattern which is decreasing the pattern width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due to the strong generation of cavitation. We use most of the 40kHz frequency band to find low frequencies.
초음파 세척이 갖추어야 할 3가지 기능은 강력세척, 긴수명, 저소음등이 3요소이다. 현재의 세척기는 이러한 기능을 추구하려면 40kHz 전후가 되어 소음을 피할 수 없게 되고 강력한 초음파를 내려면 침식이 빨라져 진동자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three functions that ultrasonic cleaning should have are the three factors of robust cleaning, long life, and low noise. The current washing machine is about 40kHz to seek such a function, and noise can not be avoided. In order to produce a strong ultrasonic wave, the erosion is accelerated and the life of the oscillator is shorte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55kHz의 주파수에서 세척을 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임펄스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ulse cleaner capable of reducing noise by washing at a frequency of 55 kHz.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일 또는 식기의 하부와 상부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임펄스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ulse cleaner capable of simultaneously cleaning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a fruit or tablewa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재료와 세척재가 수용되는 세척공간과,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세척재에 임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재료를 세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ulse cleaner comprising: a body having wheels at a lower end thereof so as to be movable; a cleaning spac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receive a material and a cleaning material; A drainage unit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space to the outside, and a vib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mpulse in the clean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space to clean the material.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상기 바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홀과, 상기 수용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를 수용하며 내부에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진동홀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임펄스의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세척공간의 세척정도를 표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 wheel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brake for fixing the main body at the floor, a receiving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epth to form the washing space, A vibrat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body to receive the vibrating part and having a fixing nut therein; and a vibration hole formed outside the body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impulse to express the degree of washing of the washing space The controller can be provided.
상기 수용홀은 상기 세척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receiving hole may include a temperatur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leaning material.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용홀의 바닥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를 방출시키는 원형의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재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척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엘보와, 상기 엘보의 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세척재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원형의 수평배수관과, 상기 수평배수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재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may include a circular vertical drain pipe provided at the bottom end of the receiving hole to discharge the wash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washing space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wash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 elbow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leaning material; a circular horizontal drain pipe connected to an end of the elbow and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cleaning material to the outside; And a valve for blocking the discharge of the cleaning material.
상기 진동부는 상기 본체의 진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재에 주파수에 의한 진동을 전달하는 임펄스 방식의 진동소자와,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진동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소자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패킹과, 상기 진동소자의 하단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홀의 내부에 구비하는 상기 고정너트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진동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vibration unit includes an impulse-type vibration element inserted in a vibration hole of the main body to transmit frequency-dependent vibration to the cleaning material, and a noise generated between the vibration element and the vibration hole, A bolt formed in a spiral shape at a lower end of the vibration element and coupled to the fixing nut provided inside the vibration hole, and an oscillation unit f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vibration element.
상기 진동소자는 상기 수용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재료의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진동소자와, 상기 재료의 상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홀의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재료의 상부를 세척하는 상부진동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vibrat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vibrating hol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vibrating hol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receiving hole for was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n upper vibration element for clea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상기 진동소자는 강한 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재료의 표면에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55~80kHz의 임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vibrating element can generate an impulse of 55 to 80 kHz to prevent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material by strong frequency.
본 발명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에 의하면, 55~80kHz의 임펄스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에 의하여 소음을 줄이며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impuls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can be reduced and the cleaning effect can be enhanced by the vibration element generating the impulse of 55 to 80 kHz.
그리고, 수용홀의 바닥과 측면에서 임펄스가 발생되어 과일 또는 식기의 하부와 상부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An impulse is generated at the bottom and the side of the receiving hole to simultaneously clean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uit or table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임펄스 세척기의 평면도의 A-A'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임펄스 세척기의 평면도의 B-B'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소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의 커버를 나타낸 저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impuls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n impuls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A-A 'of the top view of the impulse cleaner shown in Fig. 2;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ulse cleaner shown in FIG. 2, taken along the line BB 'in the plan view.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vibration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cover of an impuls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mpuls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임펄스 세척기에서 세척하는 식기 또는 과일 및 야채를 "재료"로 칭하고, 물이나 별도의 세척용액을 "세척재"로 칭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a dishware or fruit and vegetables to be washed in an impulse washing machine will be referred to as "material", and water or a separate washing solution will be referred to as "washing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mpuls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impuls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10)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재료(20)와 세척재(30)를 수용하는 세척공간(200)과,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30)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수부(300)와,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세척재(30)에 임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재료(20)를 세척시키는 진동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1 and 2, an
상기 본체(100)는 세척재(30)에 의하여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료(20)의 세척을 위하여 진동이 발생할 때 본체(100)의 강도를 고려한 프레스 타입으로 본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100)를 고정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상기 바퀴(11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공간(200)을 형성하는 수용홀(120)과,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임펄스의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세척공간(200)의 세척정도를 표출하는 컨트롤러(140)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바퀴(11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를 사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110)에는 별도의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를 사용하여 상기 재료(20)를 세척할 때는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바퀴(110)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본체(100)에 수용되는 세척재(30)를 사용한 후 상기 세척재(30)를 배수할 때 상기 본체(100)를 들어올려 하수구 및 씽크대 등과 같이 배수가 가능한 곳에 배출시켜야 한다. 그러나, 세척재(30)가 수용된 상기 본체(100)의 하중은 쉽게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퍽시 세척기는 전기를 사용하여 재료(20)를 세척하는 것이므로 전기선이 닿을 수 있는 곳까지 이동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100) 하부에 상기 바퀴(110)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에 의하여 세척시에는 세척재(3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상기 재료(20)를 세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상기 수용홀(12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공간(2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세척공간(200)은 상기 본체(100) 상부에서 상기 본체(100) 내부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재료(20)와 세척재(3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30)는 상기 재료(20)가 수용된 후 상기 본체(100)에서 넘치지 않고 상기 재료(20)가 잠기도록 수용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수용홀(120)은 상기 세척재(3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121)는 상기 수용홀(120)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온도조절장치(121)는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수용홀(12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121)에 의하여 상기 세척재(30)는 상기 재료(20)의 종류에 따라 세척재(30)의 온도를 조절하여 효과적인 세척을 할 수 있다.The receiving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재(30)에 임펄스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410)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홀(120)에 구비되는 상기 온도조절장치(12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40)에는 LCD패널이 구비되어 상기 임펄스의 강도 및 세척재(30)의 온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세척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40)에서 조작한 명령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진동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4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조작상태를 터치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세척공간(200)이 덮이도록 커버(5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30)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홀(120)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진동부(400)는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세척재(30)에 임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재료(20)를 세척시키는 진동소자(4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소자(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홀(120) 바닥에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진동소자(41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주파수가 상기 세척재(30)에 퍼지도록 할 수 있다.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임펄스 세척기(10)의 평면도의 A-A'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임펄스 세척기(10)의 평면도의 B-B'를 나타낸 측 측단면도이다.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A-A 'of the top view of the impulse cleaner 10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impulse cleaner 10 showing the B- Sectional view.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10)는 세척공간(200)을 형성하는 본체(100)와,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세척재(30)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수부(300)와, 상기 세척재(30)에 임펄스를 발생시키는 진동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3 to 4, the impulse clea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본체(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파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홀(120)은 상기 세척공간(200)에 상기 세척재(30)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세척재(30)가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수용홀(120)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소정의 깊이로 파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진동홀(13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동홀(130)에는 임펄스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4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상기 진동홀(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홀(120)의 하부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수용홀(120)에는 상기 본체(100) 내측면으로 온도조절장치(121)가 바닥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140)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세척재(3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121)는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기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121)에 냉각기능을 구비하여 차가운 세척재(30)로 세척을 해야하는 재료(20)를 세척할 때는 상기 수용홀(120)을 차갑게 하여 세척재(3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A
예를 들어, 온수에 취약한 과일을 세척할 때는 온도조절장치(121)의 냉각기능을 실행하여 세척재(30)의 온도를 낮추어 과일을 세척할 수 있다. 반대로, 냉수에 취약한 과일을 세척하거나 기름기가 많은 식기류를 세척할 때는 온도조절장치(121)의 온열기능을 실행하여 세척재(30)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leaning a fruit vulnerable to hot water, the cooling function of the
또한, 상기 수용홀(120)의 상부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가 접하는 위치에는 걸림쇠(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쇠(150)는 상기 본체(1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단부가 상기 본체(10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수용홀(120)의 바닥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30)를 방출시키는 원형의 수직배수관(310)과, 상기 수직배수관(3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재(30)를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척재(3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엘보(320)와, 상기 엘보(320)의 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세척재(30)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원형의 수평배수관(330)과, 상기 수평배수관(3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재(30)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340)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수직배수관(310)은 상기 수용홀(120)의 바닥 단부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배수관으로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30)가 빨려나갈 수 있도록 할 수있다. 상기 수직배수관(310)의 상부와 상기 수용홀(120)의 바닥에는 상기 세척재(30)를 배수하지 않을 때 상기 세척재(30)가 방출되지 않도록 밀폐커버(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커버(311)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배수관(310)의 상부에 회전시켜 결합되거나 압력에 의하여 세척재(30)가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직배수관(310)과 결합할 수 있다.The
상기 밀폐커버(311)는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재료(20)가 상기 밀폐커버(311)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으면 제거하고 사용될 수있다.The sealing
예를 들어, 상기 밀폐커버(311)는 상기 밸브(340)와 함께 상기 세척재(30)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표면이 약한 과일 등을 세척할 때는 상기 수용홀(12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밀폐커버(311)에 의하여 과일 등의 표면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밀폐커버(311)를 제거하여 상기 과일 등을 세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ling
상기 엘보(320)는 상기 수직배수관(3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배수관(310)의 밀폐커버(311)가 개방된 후 수직배수관(31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상기 세척재(30)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엘보(320)는 상기 세척재(30)가 수직에서 수평으로 이동될 때 원만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엘보(320)가 상기 수직배수관(310)에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세척재(30)는 상기 수직배수관(310)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세척재(30)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무게가 무거운 상기 본체(100)를 들어서 처리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세척재(30)가 상기 본체(100)의 측면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상기 엘보(320)를 통해 상기 세척재(30)를 수직에서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f the
상기 수평배출관은 상기 엘보(320)의 단부에 결합되어 타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배출관도 상기 수직배수관(310)과 동일하게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배수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재(30)가 상기 수평배축관에 남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배출관은 소정의 경사가 발생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discharge pipe may be formed by being coupled to an end of the
상기 밸브(340)는 상기 수평배수관(330)의 단부 중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배수관(330)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세척재(30)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밸브(340)는 상기 밀폐커버(311)와 동일하게 상기 세척재(30)를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340)는 상기 밀폐커버(311)가 상기 재료(2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때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밀폐력이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진동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진동홀(130)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재(30)에 주파수에 의한 진동을 전달하는 임펄스 방식의 진동소자(410)를 구비할 수 있다.The
진동소자(410)에서 발생시키는 임펄스(impulse)란 충동, 자극을 의미하며, 극히 짧은 시간동안 큰 진폭(振幅)으로 나오는 전압(電壓)이나 전류(電流) 또는 충격파를 펄스라고 한다. 1개만인 것을 특히 임펄스라고 하여 주기적인 충격파를 일컫는 펄스(pulse)와 구별될 수 있다.The impulse generated by the
또한, 임펄스는 역적(力積)이라고도 하며 그 크기는 힘을 받은 물체에 생기는 운동량의 변화와 같다. 물체와 물체가 충돌했을 때처럼 운동량이 급격히 변할 경우, 운동량의 변화가 그다지 크지 않더라도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시간이 짧은 만큼 큰 힘이 작용할 수 있다.The impulse is also referred to as the impulse, the magnitude of which is the same as the change in momentum that occurs in a force-loaded object. If the momentum changes suddenly, such as when an object collides with an object, a large force may act as long as the time between actions is short, even if the momentum change is not very large.
이와 같은 힘을 충격력(衝擊力 : 격력 또는 순간력)이라 하며, 그 효과는 힘 자체보다 임펄스로 나타내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Such a force is called an impact force (impact force or momentary force), and it may be convenient to express the effect by the impulse rather than the force itself.
또한, 상기 진동소자(410)는 강한 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재료(20)의 표면에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55~80kHz의 임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일반적으로 섬세한 기판용도의 40kHz의 주파수는 소음을 피할 수 없게 되고 강력한 초음파를 내려면 침식이 QKf라져 진동자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대가 한 단계 더 약한 68kHz의 주파수는 진폭이 낮아져 캐비테이션의 힘이 약해지고, 이는 유리 혹은 렌즈 종류의 파티컬 제거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과일, 채소류에는 세척이 원활하지가 않다.Generally, the frequency of 40kHz for delicate substrate is inevitable and the life of the oscillator can be shortened due to the erosion of QKf in order to produce strong ultrasound. The frequency of 68kHz, which is one step lower than the frequency, weakens the cavitation force due to the low amplitude, which is used to remove the particles of glass or lens type.
그러므로, 상기 진동소자(410)는 셈세한 기판용도의 40kHz 와 유리, 렌즈의 파티컬용의 68kHz 의 중간값인 55kHz ~ 80kHz의 임펄스를 발생시켜 표면의 강도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과일 및 식기류에 사용될 수 있도록 임펄스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진동소자(410)는 상기 수용홀(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홀(130)에 삽입되어 상기 재료(20)의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진동소자(411)와, 상기 재료(20)의 상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홀(120)의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홀(130)에 삽입되어 상기 재료(20)의 상부를 세척하는 상부진동소자(4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vibrating
상기 하부진동소자(411)는 상기 수용홀(120)의 바닥에 구비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진동홀(130)에 삽입되는 것으로 재료(20)의 하부를 임펄스를 발생시켜 세척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진동소자(411)에 의하여 상기 재료(20)가 상기 세척재(30) 내부에서 회전하며 세척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세척재(30) 내부에서 다수의 재료(20)가 적층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재료(20)가 회전하지 않고 재료(20)의 하부만 세척될 수 있다,The lower vibrating
상기 상부진동소자(412)는 상기 수용홀(12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재료(20)의 측면에서 임펄스를 발생시키므로 적층된 다수의 재료(20)의 상부를 세척할 수 있다.
The upper vibrat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소자(4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400)의 진동소자(410)는 본체(100)의 진동홀(130)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재(30)에 주파수에 의한 진동을 전달하는 임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5, the
상기 진동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진동홀(130)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재(30)에 주파수에 의한 진동을 전달하는 임펄스 방식의 진동소자(410)와, 상기 진동소자(410)와 상기 진동홀(1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소자(410)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패킹(420)과, 상기 진동소자(410)의 하단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홀(130)의 내부에 구비하는 상기 고정너트(131)에 결합되는 볼트(430)와, 상기 진동소자(410)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5, the
상기 진동소자(410)는 상기 수용홀(120)에 형성되는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어 재료(20)를 세척하는 세척재(30)에 충격 55~80kHz 파장의 임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소자(410)는 상기 수용홀(120)의 상부와 측면에 구비하여 상기 재료(2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진동소자(410)는 상기 수용홀(120)에 구비되는 다수의 진동홀(130)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진동소자(410)가 상기 진동홀(1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진동홀(130)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너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동소자(410)의 하단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131)에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는 볼트(430)가 구비될 수 있다.The vibrating
그리고, 상기 진동소자(410)는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부(440)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의하여 임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진부(440)는 (+)극과 (-)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패킹(420)은 상기 진동소자(410)와 상기 수용홀(120)에 다수 구비되는 상기 진동홀(1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소자(410)가 임펄스를 발생시킬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등 충격방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420)에 의하여 상기 진동소자(410)와 상기 진동홀(130) 사이로 상기 세척재(30)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acking 420 is provided between the vibrating
상기 패킹(420)은 상기 진동소자(410)와 상기 진동홀(130) 사이에 식용접착재 등의 인체에 무해한 접착재를 사용하여 상기 진동소자(410)와 상기 진동홀(130) 사이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재는 세척재(30)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수용홀(120)의 표면보다 상기 본체(100) 내부로 접근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e packing 420 can bond betwe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10)의 커버(500)를 나타낸 저면도이다.6 is a bottom view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5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덮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상기 커버(500)는 상기 세척공간(200)의 상부가 덮이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500)의 사면에 형성된 단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커버(500)가 상기 세척공간(200)의 상부에 덮이므로 상기 세척공간(200)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30)와 상기 재료(20)가 세척될 때 상기 세척재(30)가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20)가 빛에 의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세척재(30)는 진동소자(410)에 의하여 임펄스가 발생할 때 진동에 의하여 본체(100) 외부로 넘칠 수 있다. 액체로 형성된 상기 세척재(30)가 본체(100) 외부로 넘치게 되면 전자제품인 상기 임펄스 세척기(10)의 파손될 위험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재료(20)는 과일, 야채 등 빛에 많은 노출이 되면 변질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재료(20)를 세척할 때 커버(500)가 없으면 빛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커버(500)를 상기 임펄스 세척기(10)의 상부에 덮이도록 구비하여 상기 세척재(30)가 넘치거나 상기 재료(20)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ing
또한, 상기 커버(500)는 상기 본체(100) 상부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단부에 걸림턱(51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걸려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커버(500)는 상기 본체(100) 상단에 형성된 걸림쇠(150)에 걸리도록 걸림장치(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520)는 상기 커버(500)의 마주보는 양면에 구비되거나 사면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500)가 상기 임펄스 세척기(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세척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the impulse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d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dding, or the like of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 would say.
10: 임펄스 세척기
20: 재료
30: 세척재
100: 본체
200: 세척공간
300: 배수부
400: 진동부10: impulse cleaner 20: material
30: Cleaning material 100: Body
200: washing space 300: drainage part
400:
Claims (7)
상기 본체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재료와 세척재가 수용되는 세척공간과,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수부와,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세척재에 임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재료를 세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임펄스 세척기.
A main body having a wheel at a lower end thereof so as to be movable,
A cleaning spac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epth to receive the material and the cleaning material,
A drainage part for discharging the wash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washing space to the outside,
And a vibrating part for generating an impulse to the clean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space to clean the material.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상기 바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홀과,
상기 수용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를 수용하며 내부에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진동홀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임펄스의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세척공간의 세척정도를 표출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임펄스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the wheel for moving the main body from the floor,
A receiving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epth to form the washing space;
A vibrating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hole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o receive the vibrating part and having a fixing nut therein;
And a controller which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impulse and exposes the degree of washing of the washing space.
상기 수용홀은 상기 세척재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펄스 세척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eiving hole comprises a temperatur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material.
상기 배수부는 상기 수용홀의 바닥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세척재를 방출시키는 원형의 수직배수관과,
상기 수직배수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척재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척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엘보와,
상기 엘보의 단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세척재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원형의 수평배수관과,
상기 수평배수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재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펄스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rainage portion includes a circular vertical drain pipe provided at the bottom end of the receiving hole to discharge the wash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washing space,
An elbow coupled to an end of the vertical water pip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washing material to discharge the wash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body,
A circular horizontal drain pipe coupled to an end of the elbow and having an other end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cleaning material to the outside,
And a valve provid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drain pipe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cleaning material.
상기 진동부는 상기 본체의 진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재에 주파수에 의한 진동을 전달하는 임펄스 방식의 진동소자와,
상기 진동소자와 상기 진동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소자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패킹과,
상기 진동소자의 하단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홀의 내부에 구비하는 상기 고정너트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진동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발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펄스 세척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ibration unit includes an impulse-type vibration element inserted in a vibration hole of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vibration by frequency to the cleaning material,
A packing provided between the vibration element and the vibration hole to prevent noise generated by vibration of the vibration element,
A bolt formed in a spiral shape at a lower end of the vibration element and coupled to the fixing nut provided in the vibration hole,
And an oscillation unit f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vibration element.
상기 진동소자는 상기 수용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재료의 하부를 세척하는 하부진동소자와,
상기 재료의 상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홀의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재료의 상부를 세척하는 상부진동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펄스 세척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vibrating element includes a lower vibrating element inserted into the vibrating hole provided below the receiving hole to clean the lower portion of the material,
And an upper vibration element inserted in the vibration hol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hole to clean 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to clean the upper portion of the material.
상기 진동소자는 강한 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재료의 표면에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55~80kHz의 임펄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펄스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ibration element generates an impulse of 55 to 80 kHz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material by a strong frequenc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096A KR20150105001A (en) | 2014-03-07 | 2014-03-07 | Impulse W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096A KR20150105001A (en) | 2014-03-07 | 2014-03-07 | Impulse Wa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5001A true KR20150105001A (en) | 2015-09-16 |
Family
ID=5424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7096A Ceased KR20150105001A (en) | 2014-03-07 | 2014-03-07 | Impulse W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05001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642U (en) * | 2016-11-25 | 2018-06-04 | 조성호 | Ultrasonic cleaners |
KR20200001891U (en) * | 2019-02-19 | 2020-08-27 | 김복운 | Washing device for cauldron |
CN112704446A (en) * | 2019-10-09 | 2021-04-27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Wash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4
- 2014-03-07 KR KR1020140027096A patent/KR2015010500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1642U (en) * | 2016-11-25 | 2018-06-04 | 조성호 | Ultrasonic cleaners |
KR20200001891U (en) * | 2019-02-19 | 2020-08-27 | 김복운 | Washing device for cauldron |
CN112704446A (en) * | 2019-10-09 | 2021-04-27 |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 Wash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18980A (en) | Ultrasonic dishwasher system | |
KR101761344B1 (en) | Ultrasonic cleaners | |
US7754026B2 (en) | Dishwasher with sonic cleaner | |
KR102158301B1 (en) | Ultrasonic dishwasher using micro bubble | |
JP3187670U (en) | Ultrasonic washing sink | |
KR20150105001A (en) | Impulse Washer | |
KR20150057058A (en) | Dishwasher for sink | |
KR20210008622A (en) | Ultrasonic dish washer | |
EP1523926B1 (en) | Dishwasher | |
KR200486983Y1 (en) | Ultrasonic cleaners | |
KR101869373B1 (en) | Sink integrated ultrasonic wave washer | |
KR20070083137A (en) | Ultrasonic cleaner | |
KR200379422Y1 (en) | Ultrasonic cleaner | |
KR20020026223A (en) | A movable type washer using supersonic waves and ozone | |
KR200259143Y1 (en) | Ultrasonic Washer for Fruit and Vegetable kind | |
KR100604381B1 (en) | food washer | |
CN210582410U (en) | Multifunctional cleaning water tank | |
CN210597498U (en) | Domestic water tank with ultrasonic transducer | |
KR200276506Y1 (en) | A movable type washer using supersonic waves and ozone | |
CN210597499U (en) | Frequency conversion ultrasonic wave basin | |
CN208002679U (en) | A kind of domestic ultrasonic washer | |
KR200196672Y1 (en) | Ultra cleaning machine | |
KR20210079119A (en) | Ultrasonic cleaner | |
KR200348485Y1 (en) | Automatic washing apparatus | |
KR20050094138A (en) | An ultrasonic generator washer for si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