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4908A -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908A
KR20150104908A KR1020140026858A KR20140026858A KR20150104908A KR 20150104908 A KR20150104908 A KR 20150104908A KR 1020140026858 A KR1020140026858 A KR 1020140026858A KR 20140026858 A KR20140026858 A KR 20140026858A KR 20150104908 A KR20150104908 A KR 20150104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pressure gas
transfer line
conveyor
mine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민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908A/ko
Publication of KR2015010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90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50/00Obtaining minerals from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21C50/02Obtaining minerals from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pendent on the ship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025/025Vessels adapted for particular combinations of bulk cargo
    • B63B2025/027Ore-bulk-oil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에 구비되며, 해저에서 양광된 광물을 이송시키면서 제1 차 탈수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송된 광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저장된 광물을 이송시키면서 제2 차 탈수하는 제2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된 광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 상기 제2 저장탱크에서 셔틀탱커의 저장탱크로 연결되는 이송라인부 및 상기 이송라인부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System for Treating and Delivering Submarine Mineral}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선박에서 셔틀탱커로 해저광물을 원활히 이송시키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육상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해양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자원을 채취할 수 있는 작업설비를 갖춘 해양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구조물 중에서 해저광물을 채광하는 선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심해저의 광물을 채광하기 위한 기술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채광된 광물은 유체에 비하여 무게가 무겁고, 채광된 광물끼리 응집하게 되어 채광된 광물을 이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해저광물 채광선박에서 셔틀탱커로 광물을 이송하기 위하여, 크레인 등을 이용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육상과 달리 해상에서는 해저광물 채광선박과 셔틀탱커가 파도에 의해 흔들리게 됨에 따라 크레인 역시 흔들리게 됨으로써, 이러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광물을 이송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이송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크레인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크레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저광물 채광선박과 셔틀탱커 모두가 데크에서 개구된 개구부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개구부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해치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해저광물 채광선박과 셔틀탱커의 데크를 활용하는 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6065호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에서 셔틀탱커로 해저광물을 원활히 이송시키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선체에 구비되며, 해저에서 양광된 광물을 이송시키면서 제1 차 탈수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송된 광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 상기 선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저장된 광물을 이송시키면서 제2 차 탈수하는 제2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된 광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 상기 제2 저장탱크에서 셔틀탱커의 저장탱크로 연결되는 이송라인부 및 상기 이송라인부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 2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고압기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고압기체이송라인 및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탱크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측벽을 기준으로 예각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고압기체를 발생시키는 고압기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장탱크에서 상기 제2 저장탱크로 광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저장탱크에서 상기 셔틀탱커의 저장탱크로 광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라인부는 상기 광물이 이송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이송파이프 및 상기 이송파이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파이프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선박에서 셔틀탱커로 해저광물을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해저광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운영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해저광물을 이송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저장탱크까지 해저광물이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해저광물이 제2 저장탱크에서 셔틀탱커로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해저광물 채광선박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저장탱크까지 해저광물이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해저광물이 제2 저장탱크에서 셔틀탱커로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제1 컨베이어부(210), 제1 저장탱크(310), 제2 컨베이어부(220), 제2 저장탱크(320) 고압기체이송라인(410), 조절밸브(430), 이송라인부(500) 및 펌프(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은 자항능력을 갖춘 선박일 수 있고, 자항능력을 갖추지 않고 해저광물을 채광하는 설비를 갖춘 해상 구조물일 수도 있다. 상기 선박은 해저광물이 존재하는 광구로 이동된 후, 해저에서 광물을 채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채굴된 광물은 양광부(110)를 통해 상기 선박의 선체(1)로 양광된다. 즉, 상기 양광부(110)는 상기 채굴된 광물을 상기 선체(1)로 끌어올리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210)는 상기 선체(1)에 구비되며, 해저에서 상기 양광된 광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는 상기 양광부(110)과 연결되며, 상기 양광된 광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는 상기 양광된 광물을 제1 차 탈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는 롤러(212)와 밸트(214)를 포함하며, 상기 밸트(214)는 상기 한쌍의 롤러(2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물에 포함된 유체는 상기 밸트(214)와 밸트(214)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서 하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광물은 상기 복수 개의 밸트(214)를 따라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는 상기 유체를 수집하는 유체수집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수집부(250)는 상기 롤러(212) 및 상기 밸트(214)에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저장탱크(310)는 상기 선체(1)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를 따라 이송된 광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는 상기 제1 저장탱크(3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를 따라 이송된 광물은 상기 제1 저장탱크(31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2 컨베이어부(220)는 상기 제1 저장탱크(3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장탱크(310)의 저장된 광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는 전술한 제1 컨베이어부(210)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는 상기 제1 저장탱크(3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장탱크(310)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저장탱크(310)의 측벽을 기준으로 예각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저장탱크(310)의 하단부는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제1 저장탱크(310)에 저장된 광물이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다.
제2 저장탱크(320)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를 통해 이송된 광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에 의해 이송된 광물은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저장탱크(320)는 밀폐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저장탱크(320)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와 연결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22)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일측에 힌지축(3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압기체이송라인(410)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 연결되며, 고압기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10)은 상기 제2 저장탱크(320) 내에 고압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고압기체공급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기체공급부(420)는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10)에 연결되며, 상기 고압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10)는 상기 선체(1)에 이미 설치된 압축공기라인(미도시)에서 분기될 수 있다.
조절밸브(430)는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20)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기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압기체는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20)을 따라 상기 제2 저장탱크(320)로 이송되어 상기 제2 저장탱크가 일정 이상의 압력에 이르게 되면, 상기 조절밸브(430)를 작동시켜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20)이 폐쇄된다.
이송라인부(500)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서 셔틀탱커(2)의 저장탱크(600)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송라인부(500)는 이송파이프(530) 및 개폐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파이프(530)의 일측은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이송파이프(530)의 타측은 상기 셔틀탱커의 저장탱크(60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셔틀탱커의 저장탱크(60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파이프(530)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서 상기 셔틀탱커의 저장탱크(600)로 상기 광물이 이송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520)는 상기 이송파이프(53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파이프(53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520)는 일반적인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 고압기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개폐장치(520)는 상기 이송파이프(530)를 폐쇄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펌프(510)는 상기 이송라인부(5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510)는 상기 이송파이프(530)를 따라 이송하는 광물을 가압하여 상기 셔틀탱커의 저장탱크(6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 고압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을 일정 압력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양광된 광물을 상기 선체에서 상기 셔틀탱커로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압력측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부(440)는 제2 저장탱크(320)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부(440)은 후술할 제어부(700)로 측정된 압력값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절밸브(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은 일정 압력 이상일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측정부(440)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 압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조절밸브(430)가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10)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절밸브(430)가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10)을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광물이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를 통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로 이송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절밸브(430)가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10)을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가 중지되면서 상기 도어(322)가 상기 제2 컨베이어부(220)와 연결된 부분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조절밸브(430)가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410)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된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송라인부(500)의 개폐장치(520)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장치(520)가 상기 이송파이프(5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가 일정 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조절밸브(4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에 따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집광단계는 상기 해저에서 채굴된 광물을 모은다. 그리고, 양광단계는 상기 채굴된 광물을 상기 선박으로 끌어올린다.
제1 차 탈수단계는 상기 양광된 광물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부(2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유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물에 포함된 유체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셔틀탱크로 상기 광물을 운반시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제1 차 광물저장단계는 상기 제1 저장탱크(310)에 상기 제1 차 탈수된 광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차 탈수단계는 상기 제1 저장탱크(310)에 저장된 광물을 상기 제2 컨베이어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로 이송하면서 광물에 포함된 유체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2 차 광물저장단계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 상기 제2 차 탈수된 광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1 차 광물저장단계와 상기 제2 차 광물저장단계를 분리하여 운용함에 따라, 상기 제1 차 광물저장단계에서는 상기 양광된 광물을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2 차 광물저장단계에서는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시켜 이송라인부(500)을 따라 상기 광물을 셔틀탱커(2)로 원활히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 차 광물저장단계에서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를 밀폐시켜 제2 저장탱크(320)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차 광물저장단계와 별도로 운용하게 된다.
고압기체 공급단계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 상기 고압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압력을 일정 압력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송라인부 개방단계는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된 경우, 상기 개폐장치(520)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파이프(530)를 개방한다.
펌핑단계는 상기 펌프(510)를 작동시켜 이송파이프(530)를 가압하여 상기 광물이 상기 이송파이프(530)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광물이송단계는 상기 펌프(510)의 가압과 상기 제2 저장탱크(320)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광물이 상기 제2 저장탱크(320)에서 상기 셔틀탱커의 저장탱크(600)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양광부
210: 제1 컨베이어부
220: 제2 컨베이어부
310: 제1 저장탱크
320: 제2 저장탱크
410: 고압기체이송라인
430: 조절밸브
440: 압력측정부
500; 이송라인부
510: 펌프
600: 셔틀탱커의 저장탱크
700: 제어부

Claims (8)

  1. 선박의 선체에 구비되며, 해저에서 양광된 광물을 이송시키면서 제1 차 탈수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따라 이송된 광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저장된 광물을 이송시키면서 제2 차 탈수하는 제2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된 광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
    상기 제2 저장탱크에서 셔틀탱커의 저장탱크로 연결되는 이송라인부; 및
    상기 이송라인부에 설치된 펌프를 포함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탱크에 연결되며, 고압기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고압기체이송라인 및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기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탱크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저장탱크의 측벽을 기준으로 예각의 기울기를 가지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고압기체를 발생시키는 고압기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탱크에서 상기 제2 저장탱크로 광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을 폐쇄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탱크에서 상기 셔틀탱커의 저장탱크로 광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고압기체이송라인을 개방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부는
    광물이 이송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이송파이프; 및
    상기 이송파이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파이프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KR1020140026858A 2014-03-07 2014-03-07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Ceased KR20150104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58A KR20150104908A (ko) 2014-03-07 2014-03-07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58A KR20150104908A (ko) 2014-03-07 2014-03-07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08A true KR20150104908A (ko) 2015-09-16

Family

ID=5424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858A Ceased KR20150104908A (ko) 2014-03-07 2014-03-07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9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487A (ko) * 2017-04-03 2017-04-21 이우성 금속제련용 용광로 및 건설기계를 구비한 해양제철소
CN113982590A (zh) * 2021-12-27 2022-01-28 中国海洋大学 一种浮力自升式传输多金属结核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487A (ko) * 2017-04-03 2017-04-21 이우성 금속제련용 용광로 및 건설기계를 구비한 해양제철소
CN113982590A (zh) * 2021-12-27 2022-01-28 中国海洋大学 一种浮力自升式传输多金属结核系统及方法
CN113982590B (zh) * 2021-12-27 2022-03-22 中国海洋大学 一种浮力自升式传输多金属结核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8700B2 (en) Use of underground gas storage to provide a flow assurance buffer between interlinked processing units
KR101541063B1 (ko) 선박의 횡경사 저감 장치 및 저감 방법
KR102041457B1 (ko) 선박에 제공된 밀봉 단열 탱크
KR101259630B1 (ko) 액상 화물 하역 장치
US20190360319A1 (en) Offshore hydrocarbon processing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50104908A (ko) 해저광물 처리 및 이송 시스템
KR101959877B1 (ko) 해저 생산플랜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가스 부스팅 및 가스 리프팅 시스템
NO333956B1 (no) En slangetrommelstasjon
US20170240257A1 (en) Submarine vehicle, method for picking up a load from the seabed and a method for setting down a load on the seabed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KR20170135840A (ko) 물 흡입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이 장착된 부유식 선박
WO2015082544A1 (en) Subsea storage system with a flexible storage bag and method for filling and emptying such subsea storage system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KR101384713B1 (ko) 분체 이송 시스템
NO20101216A1 (no) Lasteslange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20150133008A (ko) 기액분리 시스템
KR101571501B1 (ko) 버퍼 탱크
KR20150042589A (ko) 채광선
KR101507226B1 (ko) 해저 생산플랜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듀얼 파이프 시스템
KR20160017765A (ko)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KR102016707B1 (ko) 원통형 선체용 화물 하역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해상구조물
KR20150083517A (ko) 해상 lng 벙커링 터미널
KR101171931B1 (ko) 선박의 경사시험 방법
KR20150028439A (ko) 자연 유하식 적하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