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2308A -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308A
KR20150102308A KR1020140024036A KR20140024036A KR20150102308A KR 20150102308 A KR20150102308 A KR 20150102308A KR 1020140024036 A KR1020140024036 A KR 1020140024036A KR 20140024036 A KR20140024036 A KR 20140024036A KR 20150102308 A KR20150102308 A KR 20150102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control unit
key
touch
key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배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14002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308A/ko
Priority to US14/570,689 priority patent/US20150248274A1/en
Priority to EP14200671.7A priority patent/EP2913748A1/en
Priority to CN201510007328.0A priority patent/CN104881216A/zh
Publication of KR2015010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30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 입력을 위해 키패드를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터치결과가 음향으로 표현될 수 있는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입력부재(10) 및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따라 해당 키입력부재(10)에 대응되는 음향을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출력시키는 음향컨트롤부(30)와, 음향컨트롤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컨트롤부(30)를 온/오프시키는 음향선택부재(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TOUCH PANEL FOR DISCERNABLE KEY TOUCH}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 입력을 위해 키패드를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터치결과가 음향으로 표현될 수 있는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나 네트워크 단말기 등의 기기에서 기기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수단으로 키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키보드는 기계적 구성을 갖추고 있는데, 사출물로 제작된 키 아래에 스프링과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키를 일정한 세기로 타격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스위치가 조작되게 하여 키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기계적 구성을 갖추고 있는 키보드 이외에도 터치 센서 방식을 이용한 키보드가 등장하였다. 터치센서 방식을 이용한 키보드는 인체(손가락)와의 접촉 여부를 그 접촉에 따른 인체 전류의 감지나, 압력이나 온도변화 등을 이용해서 감지하고 인식하는 기술수단을 갖고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방식의 키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를 이용한 키보드는 키보드를 슬림화, 고급화할 수 있고, 기구적인 구성의 키보드에 비하여 키 타격시 인체, 특히 손가락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구적인 구성의 키보드는 키 타격이 손가락의 감각에 의해서 즉시 인지될 수 있지만, 터치 센서 방식의 키보드는 전기적인 상태 변화로 터치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키 터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자신이 입력한 키가 올바르게 인식되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공보 10-0831408호가 208.02.29.자로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키 입력을 위해 키패드를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터치결과가 음향으로 표현될 수 있는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입력부재(10) 및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따라 해당 키입력부재(10)에 대응되는 음향을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출력시키는 음향컨트롤부(30)와, 음향컨트롤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컨트롤부(30)를 온/오프시키는 음향선택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향컨트롤부(30)는 키입력부재(10)에 대응되는 문자나 숫자에 대한 음향이 저장되는 음향저장부(31)와, 키입력부재(10)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32)와, 입력감지부(32)의 감지에 따라 음향저장부(31)에 저장된 해당 음향을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재(20)를 제어하는 음향제어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향컨트롤부(30)는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1ms 동안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재(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음향컨트롤부(30)는 키입력부재(10)를 통해 연속된 동일한 키 값이 10ms 안에 입력되면 음향출력부재(20)를 최초에 한번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는, 사용자가 키 입력을 위해 키패드를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터치결과가 음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향컨트롤러를 보인 블록도.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은 키입력부재(10)와, 음향출력부재(20)와, 음향컨트롤부(30)와, 음향선택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입력부재(1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것으로 터치패널이나 키패드 또는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키입력부재(10)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문자나 수자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되는 문자나 수자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재(20)는 음향이 출력되는 것으로 부저나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재(20)는 부저로 구성되는 경우 키입력부재(10)인 터치패널에 내장되어서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따라 '삐'하는 소리를 출력하고, 스피커로 구성되는 경우 키입력부재(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저와 동일하게 '삐'하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따라 문자나 숫자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한다.
음향컨트롤부(3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입력부재(10) 및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따라 해당 키입력부재(10)에 대응되는 음향을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러한, 음향컨트롤부(3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 칩과 전자부품들이 탑재된 PCB로 구성될 수 있어서, 키입력부재(10)인 터치패널에 내장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향컨트롤부(30)는 키입력부재(10)에 대응되는 문자나 숫자에 대한 음향이 저장되는 음향저장부(31)와, 키입력부재(10)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32)와, 입력감지부(32)의 감지에 따라 음향저장부(31)에 저장된 해당 음향을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재(20)를 제어하는 음향제어부(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입력부재(10)를 통해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감지부(32)에서 해당 문자나 숫자가 감지되므로 음향제어부(33)가 입력된 문자나 숫자에 해당되는 음향을 음향저장부(31)에서 검색하여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검색된 음향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A', 'B', 'C' 또는 '1', '2', '3'을 입력하면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에이', '비', '씨' 또는 '일', '이', '삼'이라는 음향이 출력된다.
더욱이, 음향컨트롤부(30)는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1ms(millisecond) 동안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재(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키입력부재(10)를 통해 키 값이 입력되면 문자나 숫자가 입력되면 문자나 숫자에 해당되는 부저음이나 음향이 1ms 동안 출력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타이핑속도가 빨라서 많은 수의 문자나 숫자가 연속적으로 입력되어도 부저음이나 음향이 중복되지 않으면서 하나씩 순서대로 정확하게 출력될 수 있다.
덧붙여, 음향컨트롤부(30)는 키입력부재(10)를 통해 연속된 동일한 키 값이 10ms 안에 입력되면 음향출력부재(20)를 최초에 한번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문자나 숫자가 10ms 안에 입력되면 입력된 첫 번째 문자나 숫자만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문자나 숫자가 연속적으로 입력됨에 따라 동일한 부저나 음향이 연속으로 중복되어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향선택부재(40)는 음향컨트롤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컨트롤부(30)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향선택부재(40)를 스위칭동작시켜서 음향컨트롤부(30)에 전원이 입력되게 하면 음향컨트롤부(30)가 작동되어서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따라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음향선택부재(40)를 스위칭동작시켜서 음향컨트롤부(30)에 전원이 입력되지 않게 하면 음향컨트롤부(3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키입력부재(10)의 입력이 발생되어도 음향컨트롤부(3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향선택부재(40)를 통해 음향컨트롤부(30)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게 하거나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 입력을 위해 키패드를 터치하였을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터치결과가 음향으로 표현될 수 있어서, 자신이 입력하는 문자나 숫자를 부저음이나 음향으로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이 입력하는 문자나 숫자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타도 인식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청각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키입력부재
20 : 음향출력부재
30 : 음향컨트롤부
31 : 음향저장부
32 : 입력감지부
33 : 음향제어부
40 : 음향선택부재

Claims (4)

  1.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키입력부재(10)와,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재(20)와,
    음향출력부재(20) 및 키입력부재(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키입력부재(10)의 입력에 따라 해당 키입력부재(10)에 대응되는 음향을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출력시키는 음향컨트롤부(30)와,
    음향컨트롤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향컨트롤부(30)를 온/오프시키는 음향선택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음향컨트롤부(30)는
    키입력부재(10)에 대응되는 문자나 숫자에 대한 음향이 저장되는 음향저장부(31)와,
    키입력부재(10)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부(32)와,
    입력감지부(32)의 감지에 따라 음향저장부(31)에 저장된 해당 음향을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재(20)를 제어하는 음향제어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음향컨트롤부(30)는 음향출력부재(20)를 통해 1ms 동안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부재(2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음향컨트롤부(30)는 키입력부재(10)를 통해 연속된 동일한 키 값이 10ms 안에 입력되면 음향출력부재(20)를 최초에 한번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KR1020140024036A 2014-02-28 2014-02-28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Ceased KR20150102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36A KR20150102308A (ko) 2014-02-28 2014-02-28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US14/570,689 US20150248274A1 (en) 2014-02-28 2014-12-15 Touch panel capable of recognizing key touch
EP14200671.7A EP2913748A1 (en) 2014-02-28 2014-12-30 Touch panel capable of recognizing key touch
CN201510007328.0A CN104881216A (zh) 2014-02-28 2015-01-07 能认知键触摸的触摸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36A KR20150102308A (ko) 2014-02-28 2014-02-28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08A true KR20150102308A (ko) 2015-09-07

Family

ID=5227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036A Ceased KR20150102308A (ko) 2014-02-28 2014-02-28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48274A1 (ko)
EP (1) EP2913748A1 (ko)
KR (1) KR20150102308A (ko)
CN (1) CN1048812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6648A (zh) * 2016-11-09 2018-05-2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智能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9515A (ja) * 1999-05-26 2000-12-08 Nec Yonezawa Ltd Atm装置およびatm入力方法
AU7354000A (en) * 1999-09-07 2001-04-10 Cirque Corporation A miniature keyboard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n integrated web browsing and data input device
US7205284B2 (en) 2000-07-10 2007-04-17 University Of Mississippi Potent immunostimulants from microalgae
WO2004100518A1 (en) * 2003-05-05 2004-11-18 Behruz Vazvan A communication method, system, devices and software arranged to operate in this system and devices
CN2634549Y (zh) * 2003-09-02 2004-08-18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携带型电子装置
EP1880267B1 (en) * 2005-05-13 2019-12-0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
FR2891928B1 (fr) * 2005-10-11 2008-12-19 Abderrahim Ennadi Clavier a ecran tactile universel multilingue et multifonction
US8281041B2 (en) * 2006-11-22 2012-10-02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keypad entry errors
KR20090018391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음향 선택이 가능한 터치 스위치를 구비하는 카 오디오장치
US20100302175A1 (en) * 2009-05-29 2010-12-02 Agere Systems Inc.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uchscreen
TWI405101B (zh) * 2009-10-05 2013-08-11 Wistron Corp 具觸控面板之電子裝置及其運作方法
JP5204286B2 (ja) * 2011-11-02 2013-06-0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US20130300590A1 (en) *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8274A1 (en) 2015-09-03
EP2913748A1 (en) 2015-09-02
CN104881216A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1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US973370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JP6121102B2 (ja) 近接感知による触覚的効果
US20090225043A1 (en) Touch Feedback With Hover
WO2011024460A1 (ja) 入力装置
US20090313542A1 (en) User Interface Impact Actuator
US9373464B2 (en) Keyswitch, keyboard and related force feedback method
WO2009102515A1 (en)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user-operated switch
CN102043566A (zh) 具触控面板的电子装置及其运作方法
US20120169620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Locating an Interactive Element Associated with a Touch Sensitive Interface
CN102902351A (zh) 触摸式电子装置
CN105653168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978152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specified function thereof
KR101277270B1 (ko) 자기력을 이용한 비접촉식 입력 및 촉각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N101179785A (zh) 包括可操作按键且能提示按键触碰的电子系统及控制方法
KR20150102308A (ko) 키터치 인지 가능한 터치패널
CN103869952B (zh) 触感反馈系统及提供触感反馈的方法
TWI549021B (zh) 觸感呈現裝置
KR102257614B1 (ko) 접촉감지식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가변 촉각효과로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957736A (zh) 电子阅读装置和电子阅读装置的控制方法
JP5143881B2 (ja) 触感呈示装置およ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CN111481887B (zh) 一种手指灵活度训练器及训练方法
CN108021239B (zh) 一种按键切换方法和电子设备
JP2022109146A (ja) 触覚フィードバックシステム
KR20090011037A (ko) 소리에 반응하는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