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00130A -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130A
KR20150100130A KR1020140021524A KR20140021524A KR20150100130A KR 20150100130 A KR20150100130 A KR 20150100130A KR 1020140021524 A KR1020140021524 A KR 1020140021524A KR 20140021524 A KR20140021524 A KR 20140021524A KR 20150100130 A KR20150100130 A KR 2015010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key button
user
keyboard
charact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엘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엘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엘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4002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0130A/ko
Publication of KR2015010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3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집합을 생성하는 문자열 생성부; 상기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을 각각 키 버튼에 대응시켜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는 키보드 생성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매칭시키는 선택 문자 결정부; 상기 매칭된 문자를 조합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개인 정보 획득부; 를 포함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KEYBOARD}
본 발명은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키 버튼에 복수개의 문자가 할당될 수 있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수많은 사용자 단말기들(예컨대, 개인용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금융자동화단말기, 자동티켓발급기, 출입통제시스템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부분의 사용자 단말기들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하는데, 입력수단으로서 스크린에 그래픽적으로 표시되는 가상키보드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표적 사례로,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뱅킹에서 가상키보드를 모니터에 표시하고, 마우스를 이용해 계좌비밀번호나 보안카드번호 같은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휴대단말사용자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개인휴대단말 사용자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개인 업무(이메일 확인 및 전송, 금융 업무, 웹쇼핑 등)나 여가 활동(영화시청, 게임 등) 등을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컴퓨터는 별도의 키보드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에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그 가상키보드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아이디(ID), 패스워드 등)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로서, 인증서 암호, 아이핀(i-PIN) 아이디, 아이핀(i-PIN) 비밀번호, 통장 또는 카드 비밀번호, 게임아이템 거래 비밀번호 등이 포함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가상키보드는 통상적인 쿼티(QWERTY) 자판으로 이루어지는 바, 쿼티 자판의 각각의 키에 문자와 숫자를 배열하여 선택적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같은 협소한 스크린의 IT 사용자 단말기에 이러한 쿼티 자판의 가상키보드를 적용할 경우, 각 키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각각의 키에 할당된 문자나 숫자를 인지하기 힘들고, 키 터치시 인접 키를 잘못 터치하여 입력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생성하여 하나의 키 버튼에 상기 문자열을 대응시킴으로써 복수개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 입력할 수 있는 키 버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집합을 생성하는 문자열 생성부; 상기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을 각각의 키 버튼에 대응시켜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는 키보드 생성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된 문자로 결정하는 입력 문자 결정부; 상기 입력된 문자들을 사용자 개인 정보로 획득하는 개인 정보 획득부; 를 포함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개의 문자가 상기 하나의 키 버튼에 대응할 때,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한번 터치하는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두번 터치하는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개의 문자가 상기 하나의 키 버튼에 대응할 때,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특정 길이 이하로 드래그(drag) 하는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상기 특정 길이 이상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는 상기 키 버튼의 영역에서 시작하는 드래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드래그 정보는 드래그하는 방향 또는 드래그하는 길이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2개의 문자가 상기 하나의 키 버튼에 대응할 때, 상기 드래그하는 길이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기준치 초과인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이 포함하는 문자의 수는 동일 혹은 상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집합을 생성하는 문자열 생성 단계; 상기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을 각각 키 버튼에 대응시켜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는 키보드 생성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된 문자로 결정하는 선택 문자 결정 단계; 상기 입력된 문자들을 사용자 개인 정보로 획득하는 개인 정보 획득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안 키보드 및 제2 보안 키보드가 포함하는 문자 및 키 버튼의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를 알더라도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는 알 수 없어 사용자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이 적용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보안 키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보안 키보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키보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보안 키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보안 키 버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키보드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명세서에서 '문자'라 함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개인 정보를 구성하는 임의의 기호로서, 영문자, 숫자, 한글문자, 특수문자를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의미로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가상키보드를 구성하는 키들은 해당 키에 대응하는 문자(영문자, 숫자, 한글문자, 특수문자)가 하나 이상 포함되며, 사용자는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문자키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개인 정보 입력창에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
도 1은 이 발명이 적용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는 스크린(11)과, 입력감지부(12)와, 출력제어부(13)와, 제어부(14)와, 저장부(15)와, 통신부(16)를 구비한다. 스크린(11)은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전용 장치(예컨대, 모니터)일 수도 있고, 화면 출력과 정보 입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입력감지부(12)는 사용자가 스크린(11)을 터치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포인팅기기를 클릭 또는 터치하여 선택하면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14)에게 제공한다. 출력제어부(13)는 제어부(14)에서 구성된 화면을 스크린(11)에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4)는 저장부(15) 또는 통신부(16)로부터 보안 키보드 정보를 획득하여 이 발명에 따른 보안 키보드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제어부(13)를 통해 스크린(11)에 표시되도록 하고, 입력감지부(12)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내지 키 버튼들을 인식하고 입력된 기호들을 저장부(15)에 저장한다. 저장부(15)는 제어부(14)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들(예컨대, 메뉴입력정보, 입력된 개인정보 문자열 정보, 문자키 선택정보)을 저장하고, 이 발명에 따른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통신부(16)는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서버와 통신한다.
통신부(16)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는 본 발명의 보안 키보드 시스템(2)과 통신한다. 보안 키보드 시스템(2)은 사용자 단말기(1)와 통신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단말기(1)에게 사용자가 요청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 공급 서버(17), 사용자가 웹서비스를 요청할 때 사용자 단말기(1)로부터 입력되는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적법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18),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로부터 수신한 보안 키보드의 조작 정보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웹서비스 공급 서버(17), 인증 서버(18),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 중 임의의 둘 이상의 서버가 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명세서에서 웹서비스 공급 서버(17)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앱 포함)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의 스크린(11)에 표시된 보안 키보드를 이용하여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문자키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데, 이렇게 선택된 정보들은 입력감지부(12)에서 인식되어 제어부(14)로 전달된다. 제어부(14)는 사용자가 보안 키보드를 통해 입력한 문자키 선택 정보를 통신부(16)를 통해 웹서비스 공급 서버(17) 또는 인증 서버(18)에게 전달하며 인증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는 이 발명에 따른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보안 키보드 시스템(2)으로부터 다운로드받는다. 사용자 단말기(1)가 웹서비스 공급 서버(17)에 접속할 때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를 통해 이 발명에 따른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는 웹서비스 공급 서버(17)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즉, 웹에서는 보안 키보드를 서버에 설치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로그인하려 하면 서버가 로그인 페이지 및 보안 키보드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측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포함)에서 보안 키보드는 서비스 부품으로 들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에서 응용 프로그램 공급 서버(앱은 앱스토어)에서 보안 키보드가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다운로드하여 로그인하려 하면, 서버가 보안 키보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보안 키보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만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웹은 로그인할 때마다 서버가 보안 키보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반면, 응용 프로그램(어플 포함)은 응용 프로그램을 서버에서 정보기긱로 다운로드하면 그 안에 보안 키보드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은 이와 같이 웹 상에서의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과,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의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웹서비스 공급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통상적으로 웹서비스 공급서버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인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웹서비스 공급서버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에 도 2와 같은 개인 정보 제공 화면을 제공하고, 그 사용자 단말기(1)는 개인 정보 입력 화면(예컨대, 로그인 웹페이지, 계좌번호 입력 웹페이지, 또는 각종 비밀번호 입력 웹페이지 등)을 스크린 화면에 표시한다.
도 3은 기존의 기본 입력 키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도 2와 같은 개인 정보 입력 화면에서 개인 정보 입력창을 선택(터치 또는 클릭)하여 입력 준비가 감지되면(S22), 사용자 단말기(1)는 기본 입력 키보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기본 입력 키보드라 함은 통상적인 쿼티(QWERTY) 자판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개인 정보에 속하는 어떠한 문자도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배열의 보안 키보드라도 상관없다. 도 3과 같은 기존의 기본 입력 키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혹은 기본 설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안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대체 키보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보안 키보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웹서비스 공급 서버(17)에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기(1)는 웹서비스 공급 서버(17)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인 정보 입력 화면을 수신하여 스크린 화면에 표시한다(S51).
사용자가 개인 정보 입력 화면의 개인 정보 입력창을 선택(터치 또는 클릭)하여 입력 준비가 감지되면(S52),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개의 문자를 하나의 키 버튼에 포함하는 도 6과 같은 보안 키보드를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로부터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개인 정보를 획득한다(S53). 도 6은 하나의 키 버튼에 문자열이 포함된 보안 키보드의 예를 도시한 화면으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보안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해야 할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 개인 정보가 입력 완료되면(S54), 인증 서버(18)로부터 입력된 개인 정보를 인증받는다(S55).
도 3과 같은 보안 키보드는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만 알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취약한 단점이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공간 혹은 키 버튼을 따로 구비하여 키 버튼의 배열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공간 혹은 키버튼이 존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문자가 들어있는 키 버튼이 위치할 영역이 좁아져 터치 시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키보드를 사용하면 키 버튼의 크기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를 알아도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키보드는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에서 생성한다. 이하에서,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는 문자열 생성부(191), 키보드 생성부(192), 선택 문자 결정부(193), 개인 정보 획득부(194)를 포함한다.
비록 본 도 5 및 이하의 명세서에 따른 설명에서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19)의 각 구성이 모두 보안 키보드 시스템(2) 상에 구현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 구성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1)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혹은, 일부 구성의 기능만 사용자 단말기(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문자열 생성부(19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집합을 생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문자열'이란 하나 이상의 문자가 포함된 배열을 뜻한다. 예를 들어, (a), (a,b,c), (c,a) 등이 모두 문자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해야 하는 모든 문자를 문자열로 묶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경우 키보드에는 a 부터 z 까지의 알파벳이 모두 표시되어야 하므로, 문자열 생성부(191)는 a 부터 z 까지의 모든 문자를 포함할 수 있는 문자열 집합의 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열 생성부(191)가 생성한 문자열 집합은 {(q,w), (r,e), (y,t), (u,i), (p,o), (s,a), (f,d), (g,h), (k,j), (l,m), (z,x), (v,c), (b,n)} 일 수 있다. 상기 예의 문자열 집합을 이하에서 문자열 집합예(a)라고 하며, 문자열 집합예(a)는 일반적인 쿼티 자판의 배열 순서를 변형하여 알파벳을 2개씩 묶은 문자열 집합을 생성한 것이다.
문자열 생성부(191)가 생성하는 문자열 집합은, 문자열 내의 문자 순서가 바뀌는 경우 및 문자열끼리의 순서가 바뀌는 경우도 다른 문자열 집합인 것으로 간주된다. 즉, 문자열 집합예(a)는 {(w,q), (r,e), (y,t), (u,i), (p,o), (s,a), (f,d), (g,h), (k,j), (l,m), (z,x), (v,c), (b,n)} 혹은 {(r,e), (q,w), (y,t), (u,i), (p,o), (s,a), (f,d), (g,h), (k,j), (l,m), (z,x), (v,c), (b,n)}와 다른 문자열 집합으로 간주된다.
또한, 문자열 생성부(191)는 중복되는 문자열이 존재하는 문자열 집합 및 중복되는 문자가 존재하는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w), (r,e), (y,t), (u,i), (p,o), (s,a), (f,d), (g,h), (q,w), (k,j), (l,m), (z,x), (v,c), (b,n)} 혹은 { (q,w), (r,r), (e,e), (y,t), (u,i), (p,o), (s,a), (f,d), (g,h), (k,j), (l,m), (z,x), (v,c), (b,n)}와 같은 문자열 집합을 생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문자열 생성부(191)는 통상의 문자를 일부만 포함되는 문자열 집합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자열 집합예(a)에서 알파벳 q,w가 제외된 문자열 집합 {(r,e), (y,t), (u,i), (p,o), (s,a), (f,d), (g,h), (k,j), (l,m), (z,x), (v,c), (b,n)}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키보드 생성부(192)는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을 각각 키 버튼에 대응시켜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키보드 생성부(192)는 문자열 하나당 하나의 키 버튼을 할당하여 전체 보안 키보드를 구성한다. 따라서 전체 키보드의 키 버튼의 개수는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열의 개수일 수 있다. 물론,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열 외에도 다른 문자열을 포함하는 키 버튼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6는 키보드 생성부(192)에 의해 생성된 보안 키보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는 상술한 문자열 집합예(a)를 토대로 키보드 생성부(192)가 생성한 보안 키보드를 예시하고 잇다. 도 5를 참조하면, {(q,w), (r,e), (y,t), (u,i), (p,o), (s,a), (f,d), (g,h), (k,j), (l,m), (z,x), (v,c), (b,n)} 가 모두 하나의 키 버튼에 각각 할당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각각의 키 버튼을 보안 키 버튼(42)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키 버튼(42)은 문자열 생성부(191)가 생성한 문자열이 대응되어 생성되므로, 하나의 보안 키 버튼(42)안에는 단일 혹은 복수개의 문자가 대응되거나 중복되는 문자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같은 보안 키보드 내에서도 하나의 키 버튼(42)이 포함하는 문자의 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보안 키 버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기존의 보안 키보드와 같이 하나의 키 버튼(42) 내에 한/영 문자가 하나씩 대응되는 예시이다. 도 7b는 하나의 키 버튼(42) 내에 2개의 한/영 문자가 대응되는 예시이다. 또한, 도 7c는 하나의 키 버튼(42) 내에 한/영 문자가 하나씩 대응되나, 2개의 버튼을 바로 인접하게 하여 키 버튼의 크기를 줄인 예시이다. 도 7d는 하나의 키 버튼(42)에 한/영 문자 4개씩이 대응된 예시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키 버튼(42)에 하나의 문자가 아닌 문자열이 대응되는 경우, 사용자가 키 버튼(42)을 터치하였을 때 어떤 문자를 선택하는지 결정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선택 문자 결정부(193)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매칭시키는 역할을 한다. 키 선택 신호란, 사용자가 해당 키 버튼을 터치한 횟수, 키 버튼을 드래그한 길이 혹은 드래그한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문자 결정부(193)는 사용자가 도 7b에 나타난 키 버튼을 1번 터치(선택)하는 경우 's' 문자를 매칭시키고, 2번 터치하는 경우 'a' 문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aa'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키 버튼을 2번 터치하고 space키를 누른 후 다시 키 버튼을 2번 터치할 수 있다. 만약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가 3개라면 3번 터치하는 경우 3번째 문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선택 문자 결정부(193)는 사용자가 도 7b에 나타난 키 버튼을 일정 길이 이하로 드래그하면 's' 문자를 매칭시키고, 일정 길이 이상으로 드래그하면 'a' 문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키 버튼을 드래그하는 기준 시작점은 해당 키 버튼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가 3개라면 한번 터치하는 경우 3번째 문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혹은, 문자를 한번 터치하는 경우 첫번째 문자를, 짧게 드래그 하는 경우 두번째 문자를, 길게 드래그 하는 경우 세번째 문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혹은 드래그에 따른 문자 설정 방법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드래그 방법은 하나의 키 버튼을 복수번 터치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 정보 획득부(194)는 선택 문자 결정부(193)가 매칭한 문자를 조합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사용자 개인 정보는 인증 서버(18)로 전달되어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키 버튼에 복수개의 문자를 대응시키는 도 6과 같은 보안 키보드의 일 예를 설명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키보드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순서도는 도 4의 S53 단계의 보안 키보드를 표시하고 개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구체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보안 키보드 요청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보안 키보드 요청 신호가 없는 경우, 일반 입력 키보드를 표시한다(S26).
사용자로부터 보안 키보드 요처 신호가 있는 경우, 문자열 생성부(191)는 문자열의 집합을 생성한다(S22).
다음으로, 키보드 생성부(192)는 모든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을 각각 키 버튼에 대해 대응시킨 후(S23)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S24). 이때, 보안 키보드의 키패드들에 포함된 문자열은 사용자 개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문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 문자 결정부(193)는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일반 입력 키보드 혹은 본 발명의 보안 키보드에 대한 키 버튼 선택 선호를 수신하고, 키 버튼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된 문자로 결정한다(S29). 상술한 바와 같이, 키 버튼 선택 신호는 키 버튼을 복수번 터치하는 횟수 혹은 드래그하는 방향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 정보 획득부(194)가 입력된 문자를 조합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를 획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가 터치하는 키 버튼의 크기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 정보로 개인 정보를 유추해낼 수 없는 보안 키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사용자 단말기 11: 스크린
12: 입력 감지부 13: 출력 제어부
14: 제어부 15: 저장부
16: 통신부 17: 웹서비스 공급 서버
18: 인증 서버 19: 보안 키보드 제공 서버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집합을 생성하는 문자열 생성부;
    상기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을 각각 키 버튼에 대응시켜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는 키보드 생성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된 문자로 결정하는 선택 문자 결정부;
    상기 입력된 문자들을 사용자 개인 정보로 설정하는 개인 정보 획득부;
    를 포함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문자가 하나의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할 때,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한번 터치하는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두번 터치하는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문자가 하나의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할 때,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특정 길이 이하로 드래그(drag) 하는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상기 특정 길이 이상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는 상기 키 버튼의 영역에서 시작하는 드래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드래그 정보는 드래그하는 방향 또는 드래그하는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키 버튼이 2개의 문자에 대응될 때, 상기 드래그하는 길이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기준치 초과인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되는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이 포함하는 문자의 수는 동일 혹은 상이한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7.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집합을 생성하는 문자열 생성 단계;
    상기 문자열 집합의 문자열들을 각각 키 버튼에 대응시켜 보안 키보드를 생성하는 키보드 생성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키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 버튼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된 문자로 결정하는 선택 문자 결정 단계;
    상기 입력된 문자들을 사용자 개인 정보로 획득하는 개인 정보 획득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문자가 하나의 상기 키 버튼에 대응할 때,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한번 터치하는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두번 터치하는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되는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문자가 상기 하나의 키 버튼에 대응할 때,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을 특정 길이 이하로 드래그(drag) 하는 경우 첫번째 문자가 선택되고, 상기 특정 길이 이상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두번째 문자가 선택되는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안 키보드가 포함하는 문자 및 키 버튼의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보안 키보드 제공 방법.
KR1020140021524A 2014-02-24 2014-02-24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Ceased KR20150100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24A KR20150100130A (ko) 2014-02-24 2014-02-24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24A KR20150100130A (ko) 2014-02-24 2014-02-24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30A true KR20150100130A (ko) 2015-09-02

Family

ID=5424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524A Ceased KR20150100130A (ko) 2014-02-24 2014-02-24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01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025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코스콤 보안 키 배열 방법 및 그 장치
CN111124147A (zh) * 2019-11-11 2020-05-08 北京芯盾集团有限公司 基于单键功能自定义实现敏感信息安全输入的装置
CN113342303A (zh) * 2021-05-31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输入方法和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025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코스콤 보안 키 배열 방법 및 그 장치
CN111124147A (zh) * 2019-11-11 2020-05-08 北京芯盾集团有限公司 基于单键功能自定义实现敏感信息安全输入的装置
CN111124147B (zh) * 2019-11-11 2023-07-21 北京芯盾集团有限公司 基于单键功能自定义实现敏感信息安全输入的装置
CN113342303A (zh) * 2021-05-31 2021-09-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输入方法和装置
CN113342303B (zh) * 2021-05-31 2024-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输入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882B2 (en) Dynamic unlock mechanisms for mobile devices
US10223517B2 (en) Gesture-to-password translation
EP3443724B1 (en) Web service picture passwords
US97167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vert password manager
KR101711270B1 (ko) 페르소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인가
US9946867B1 (en) Input mirroring
RU263212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ерки пароля для проверки входного пароля и компьютер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ерки пароля
US201403155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5513159A (ja) 個人化仮想キーボード提供方法
US10440007B1 (en) Symbolic feedback for user input
US10666663B2 (en) Detecting fraudulent user access to online web services via user flow
US20200036749A1 (en) Web browser incorporating social and community features
KR20150100130A (ko) 보안 키보드 제공 시스템
WO2018130852A1 (en) Improved authentication
TWI659337B (zh) 顯示動態虛擬鍵盤之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AU2015249192A1 (en) Us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using perso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